KR20020003964A -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3964A
KR20020003964A KR1020000035966A KR20000035966A KR20020003964A KR 20020003964 A KR20020003964 A KR 20020003964A KR 1020000035966 A KR1020000035966 A KR 1020000035966A KR 20000035966 A KR20000035966 A KR 20000035966A KR 20020003964 A KR20020003964 A KR 20020003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read
reading
checking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5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3829B1 (ko
Inventor
박기범
Original Assignee
박기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67442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2000396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박기범 filed Critical 박기범
Priority to KR10-2000-0035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3829B1/ko
Publication of KR20020003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3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3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38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6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audib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OS 프로그램인 윈도우 환경하에서 실행되어 화면상의 각종 객체, 화면상태 및 각종메뉴를 음성으로 읽어줌은 물론 디스플레이된 문자를 사용자의 설정조건에 따라 음성으로 읽어줌으로써 시각장애자도 매우 손쉽고, 편리하게 윈도우 환경하에서 컴퓨터를 사용하게 할 수 있는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메시지 훅을 설정하는 단계와; 메시지 훅킹을 시작하는 단계와; 입력장치에 의한 이벤트가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단계에서 이벤트의 발생이 확인되었을 때 현재위치의 커서좌표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판독된 좌표에 해당하는 객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해당 객체가 없다면 상기 이벤트발생확인단계로 리턴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단계에서 좌표에 해당되는 객체가 있을 때 데이터부로부터 객체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판독된 객체정보를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와; 버퍼에 저장된 객체정보를 음성엔진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음성엔진으로 전송되는 객체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 {A computer screen reading method for the blind}
본 발명은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OS인 윈도우 환경하에서 실행되어 화면상의 각종 객체, 화면상태 및 각종메뉴를 음성으로 읽어줌은 물론 디스플레이된 문자를 사용자의 설정조건에 따라 음성으로 읽어줌으로써 시각장애자도 매우 손쉽고, 편리하게 윈도우 환경하에서 컴퓨터를 사용하게 할 수 있는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정보화사회를 살아가는데 있어서 없어서는 안될 최고의 기기이며, 이러한 컴퓨터를 얼마나 능숙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느냐 하는 것이 정보화사회를 살아가는 현대 사회인의 능력으로 평가받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컴퓨터를 배우기 위한 교육열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컴퓨터와 사용자를 연결시켜주는 OS(operation system) 프로그램의 발전으로 컴퓨터를 보다 배우기 쉽고 매우 간편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윈도우 등과 같은 OS 프로그램의 개발로 인하여 컴퓨터 사용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컴퓨터 및 OS 프로그램의 급속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시각장애자들은 윈도우 등과 같은 OS 프로그램이 탑재된 컴퓨터를 사용할 수가 없기 때문에 정상인과의 능력격차가 보다 크게 벌어지게 되어 사회로부터 급속히 도태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OS인 윈도우 환경하에서 실행되어 화면상의 각종 객체, 화면상태 및 각종메뉴를 음성으로 읽어줌은 물론 디스플레이된 문자를 사용자의 설정조건에 따라 음성으로 읽어줌으로써 시각장애자도 매우 손쉽고, 편리하게 윈도우 환경하에서 컴퓨터를 사용하게 할 수 있는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메시지 훅을 설정하는 단계와; 메시지 훅킹을 시작하는 단계와; 입력장치에 의한 이벤트가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단계에서 이벤트의 발생이 확인되었을 때 현재위치의 커서좌표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판독된 좌표에 해당하는 객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해당 객체가 없다면 상기 이벤트발생확인단계로 리턴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단계에서 좌표에 해당되는 객체가 있을 때 데이터부로부터 객체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판독된 객체정보를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와; 버퍼에 저장된 객체정보를 음성엔진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음성엔진으로 전송되는 객체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중 입력장치의 이벤트에 따른 객체정보음성출력하는 것을 예시하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중 웹브라우저 페이지의 내용을 음성출력하는 것을 예시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중 도표 또는 테이블의 내용을 음성출력하는 것을 예시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중 컴퓨터환경정보를 음성출력하는 것을 예시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중 화면상에 문자로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음성출력하는 것을 예시하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중 화면상에 문자로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읽기때 일기단위설정하는 것을 예시하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중 화면상에 문자로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읽기때 일기단위설정하는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중 사용자가 원하는범위내에서 디스플레이된 문자 또는 아이콘중 원하는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내용찾기 단계를 예시하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중 음성출력중 출력을 일시정지시키는 것을 예시하는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중 메뉴의 구성을 차별화된 음성으로 출력하는 메뉴내용음성출력단계를 예시하는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중 메뉴의 구성을 차별화된 음성으로 출력하는 메뉴내용음성출력단계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중 현재시간 및 날짜를 음성출력하는 단계는 예시하는 흐름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중 입력장치의 이벤트에 따른 객체정보음성출력하는 것을 예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중 웹브라우저 페이지의 내용을 음성출력하는 것을 예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중 도표 또는 테이블의 내용을 음성출력하는 것을 예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중 컴퓨터환경정보를 음성출력하는 것을 예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중 화면상에 문자로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음성출력하는 것을 예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중 화면상에 문자로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읽기때 일기단위설정하는 것을 예시하는 흐름도이고,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중 화면상에 문자로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읽기때 일기단위설정하는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중 사용자가 원하는 범위내에서 디스플레이된 문자 또는 아이콘중 원하는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내용찾기 단계를 예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중 음성출력중 출력을 일시정지시키는 것을 예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중 메뉴의 구성을 차별화된 음성으로 출력하는 메뉴내용음성출력단계를 예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중 메뉴의 구성을 차별화된 음성으로 출력하는 메뉴내용음성출력단계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중 현재시간 및 날짜를 음성출력하는 단계는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은 메시지훅설정단계(S100)와, 메시지훅킹단계(S110)와, 이벤트발생확인단계 (S120)와, 커서좌표정보판독단계(S130)와, 객체유무확인단계(S140)와, 객체정보판독단계(S150)와, 객체정보저장단계(S160)와, 객체정보전송단계(S170)와, 객체정보음성출력단계(S180)로 구성된다.
상기 메시지훅설정단계(S100)는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메시지훅을 설정하고, 상기 메시지훅킹단계(S110)는 상기 메시지훅설정단계(S100)가 완료되면, 메시지 훅킹을 시작한다.
상기 이벤트발생확인단계(S120)는 입력장치에 의한 이벤트가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즉, 마우스 또는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화면상에 띄워져 있는 읽기커서를 이동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읽기커서가 이동되었을 때에는 상기 커서좌표정보판독단계(S130)를 실시하고, 읽기커서가 이동되지 않았을 때에는 재차 읽기커서의 이동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커서좌표정보판독단계(S130)는 상기 확인단계(S120)에서 이벤트의 발생이 확인되었을 때 현재위치의 읽기커서에 대한 좌표정보를 판독하고, 읽기커서에 대한 X, Y좌표정보의 판독이 완료되면, 상기 객체유무확인단계(S140)를 실시한다.
상기 객체유무확인단계(S140)는 판독된 읽기커서에 대한 X, Y좌표상에 객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해당 객체가 없다면 상기 이벤트발생확인단계 (S120)로 리턴하고, 만약 객체가 존재한다면 상기 객체정보판독단계(S150)를 실시한다.
상기 객체정보판독단계(S150)는 상기 확인단계(S140)에서 좌표상에 객체가 존재하고 있을 때 데이터부로부터 그 객체에 대한 정보를 검색 및 판독하고, 판독이 완료되면, 상기 객체정보저장단계(S160)를 실시한다.
상기 객체정보저장단계(S160)는 상기 객체정보판독단계(S150)에서 판독되어진 객체정보를 버퍼에 저장하고, 상기 객체정보전송단계(S170)는 버퍼에 저장된 객체정보를 음성엔진으로 전송하며, 상기 객체정보음성출력단계(S180)는 음성엔진으로 전송되는 객체정보를 스키퍼 등을 통하여 음성으로 출력한다.
상기 객체정보로는 아이콘, 메뉴, 화일 등의 명칭뿐만 아니라 이들의 각종등록정보, 폰트, 색깔 및 절대좌표 등이 해당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은 브라우저상의 문서내용음성출력단계(S290)와, 도표 또는 테이블내용 음성출력단계(S300)와, 컴퓨터환경정보음성출력단계(S400)와, 내용음성출력단계(S500)와, 음성출력일시중단단계(S800)와, 메뉴내용음성출력단계(S900)와,
상기 브라우저상의 문서내용음성출력단계(S290)는 브라우저 페이지상의 문서내용을 시각장애자가 귀로 듣고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브라우저실행단계(S200)와, 주소입력단계(S210)와, 서버접속확인단계 (S220)와, 브라우저페이지선택단계(S230)와, 에러메시지음성출력단계(S280)와, 문서파싱단계(S240)와, 문서내용저장단계(S250)와, 문서내용전송단계(S260)와, 문서내용음성출력단계(S270)로 구성된다.
상기 브라우저 실행단계(S200)는 윈도우 환경하에서 브라우저를 실행하고, 상기 주소입력단계(S210)는 실행된 브라우저상의 주소입력부에 사용자가 접속할 주소를 입력하고, 해당서버에 접속을 실시한다.
상기 서버접속확인단계(S220)는 사용자가 입력한 주소에 해당되는 서버에 접속이 완료된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접속에 실패하였을 때에는 상기 에러메시지음성출력단계(S280)를 실시하여 사용자에서 접속이 실패한 원인을 알려주고, 만약 접속이 완료되었을 때에는 상기 브라우저페이지선택단계(S230)가 실행된다.
상기 에러메시지음성출력단계(S280)는 상기 확인단계(S220)에서 서버접속이 실패하였을 때 해당되는 에러메시지를 음성출력하고, 상기 주소입력단계(S120)로리턴되고, 상기 브라우저페이지선택단계(S230)는 상기 확인단계(S220)에서 서버에 접속된 것이 확인되었을 때 현재 브라우저 페이지를 선택한다.
상기 문서파싱단계(S240)는 브라우저 페이지상의 문서를 음성엔진에 의해 음성출력할 수 있도록 문서내용을 파싱(PARSING)하며, 상기와 같이 파싱이 완료된 문서내용은 상기 문서내용저장단계(S250)에 의해 버퍼에 저장되고, 버퍼에 저장된 문서내용은 상기 문서내용전송단계(S260)에 의해 저장된 문서내용이 음성엔진으로 전송하고, 음성엔진으로 전송된 문서내용은 상기 문서내용음성출력단계(S270)에 의해 출력수단을 통하여 음성으로 출력된다.
상기 도표 또는 테이블내용 음성출력단계(S300)는 도표 또는 테이블 형성된 문서의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하여 시각장애자가 도표 또는 테이블의 내용을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일여는단계(S310)와, 가로읽기확인단계(S320)와, 세로읽기확인단계(S330)와, 가로판독단계(S340)와, 세로판독단계(S380)와, 판독내용저장단계(S350)와, 판독내용전송단계(S360)와, 음성출력단계(S370)로 구성된다.
상기 파일여는단계(S310)는 도표 또는 테이블를 갖는 문서파일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파일을 열고, 상기 가로읽기확인단계(S320)는 열려진 문서상의 도표 또는 테이블 내용을 가로로 읽을 것인지를 사용자에게 확인하고, 만약 사용자가 가로로 읽도록 YES를 선택하면, 상기 가로판독단계(S340)를 실시하여 도표 또는 테이블의 내용을 가로방향으로 판독하고, 만약 상기 확인단계(S320)에서 NO를 선택하였다면 상기 세로읽기확인단계(S330)를 실시한다.
상기 세로읽기확인단계(S330)는 열려진 문서상의 도표 또는 테이블을 세로로읽을 것인지를 확인하고, 세로읽기를 선택하지 않았을 때 상기 확인단계(S320)로 리턴하고, 만약 세로로 읽도록 YES를 선택하였다면 상기 세로판독단계(S380)를 실시하여 열려진 문서상의 도표 또는 테이블의 내용을 세로방향으로 판독한다.
상기 판독내용저장단계(S350)는 상기 가로 및 세로판독단계(S340)(S380)에서 판독된 내용을 버퍼에 저장하고, 상기 판독내용전송단계(S360)는 버퍼에 저장된 내용을 음성엔진으로 전송하고, 상기 음성출력단계(S370)는 도표 또는 테이블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한다.
상기 컴퓨터환경정보음성출력단계(S400)는 사용하는 컴퓨터의 환경정보를 시각장애자인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알려주기 위한 것으로서, 컴퓨터환경정보선택단계 (S410)와, 컴퓨터환경정보판독단계(S420)와, 환경정보저장단계(S430)와, 환경정보전송단계(S440)와, 컴퓨터환경정보음성출력단계(S450)로 구성된다.
상기 컴퓨터환경정보선택단계(S410)는 사용하는 컴퓨터의 환경을 알아보기 위하여 컴퓨터환경정보를 음성출력하는 메뉴 또는 특수키를 선택하고, 상기 컴퓨터환경정보판독단계(S420)는 상기와 같은 컴퓨터환경정보키를 선택하였을 때 데이터부에서 컴퓨터환경정보를 판독하고, 판독된 컴퓨터환경정보는 상기 환경정보저장단계(S430)에 의해 버퍼에 저장되고, 상기 환경정보전송단계(S440)는 버퍼에 저장된 컴퓨터환경정보를 음성엔진으로 전송하고, 상기 컴퓨터환경정보음성출력단계(S450)는 음성엔진으로 전송되는 컴퓨터환경정보를 출력수단을 통하여 음성으로 출력한다.
상기 내용음성출력단계(S500)는 문서의 내용을 시각장애자인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읽어주어 시각장애자가 문서의 내용을 알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읽기설정단계(S600)와, 이벤트발생단계(S510)와, 내용판독단계(S520)와, 내용저장단계(S530)와, 내용전송단계(S540)와, 내용음성출력단계(S550)로 구성된다.
상기 읽기설정단계(S600)는 문서 및 화면상의 내용을 어떠한 방식으로 읽을 것인지를 설정하기 위한 읽기단위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읽기커서가 위치된 내용을 읽기대상으로 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610)와; 상기 확인단계(S610)에서 NO를 선택하였을 때 커서가 위치된 내용의 이전내용을 일기대상으로 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620)와; 상기 확인단계(S620)에서 NO를 선택하였을 때 커서가 위치된 내용의 이후내용을 읽기대상으로 할 것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NO가 선택되었을 때 상기 확인단계(S610)로 리턴하는 단계(S630)와; 상기 각각의 확인단계 (S610)(S620)(S630)에서 일기대상이 선택되었을 때 읽기대상의 읽을 단위를 설정하는 단계(S640)로 구성되며, 상기 읽기단위설정단계(640)는 단어, 글자, 줄, 문장 및 문단중 하나를 선택하여 읽을 단위를 설정한다.
또한, 상기 내용읽기단위설정단계(S600)는 문장만을 읽을 것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NO를 선택하였을 때 다음단계로 넘어가는 단계(S650)와; 상기 확인단계 (S650)에서 YES를 선택하였을 때 구두점을 빼고 읽을 것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NO를 선택하였을 때 다음단계로 넘어가는 단계(S660)와; 상기 확인단계(S660)에서 YES를 선택하였을 때 마침표를 빼고 읽을 것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NO를 선택하였을 때 다음단계로 넘어가는 단계(S670)와; 상기 확인단계(S670)에서 YES를 선택하였을 때 아이콘을 읽을 것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NO를 선택하였을 때 다음단계로넘어가는 단계(S680)와; 상기 확인단계(S680)에서 YES를 선택하였을 때 컨트롤을 읽을 것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NO를 선택하였을 때 다음단계로 넘어가는 단계(S690)로 구성되어 상기 각각의 확인단계에서 확인된 사항을 읽기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발생단계(S510)는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이용하여 읽을 내용위치로 읽기커서를 이동시켜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상기 내용판독단계(S520)는 문서상에서 상기 읽기설정에 따라 읽을 내용을 판독하고, 상기 내용저장단계(S530)는 판독된 내용을 버퍼에 저장하고, 상기 내용전송단계(S540)는 버퍼에 저장된 내용을 음성엔진으로 전송하며, 상기 내용음성출력단계(S550)는 음성엔진으로 전송되는 내용을 출력수단을 통하여 음성으로 출력한다.
상기 음성출력일시중단단계(S800)는 음성출력중 음성출력중 필요에 때라 사용자가 음력출력을 일시중단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일단중단키작동확인단계(S810)와, 일시중단단계(S820)와, 일시중단키해제확인단계(S830)로 구성된다.
상기 일단중단키작동확인단계(S810)는 음성출력시에 일단중단키가 작동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일시중단단계(S820)는 상기 확인단계(S810)에서 YES를 선택하였을 때 음성출력을 일시중단시키며, 상기 일시중단키해제확인단계(S830)는 일시중단키가 해제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해제되었다면 상기 음성출력을 개시하고, 해제되지 않았다면 상기 음성출력일시중단계(S820)로 리턴된다.
상기 메뉴내용음성출력단계(S900)는 시각장애자인 사용자가 화면상의 메뉴의 내용은 물론 서브메뉴가 있는 메뉴인지도 음성출력만으로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것으로서, 남성기본음확인단계(S910)와, 여성기본음확인단계(S920)와, 이벤트발생단계(S930)(S970)와, 서브메뉴확인단계(S940)(S980)와, 여성음출력단계(S950) (S1000)와, 남성음출력단계(S960)(S990)로 구성된다.
상기 남성기본음확인단계(S910)는 기본음성을 남성음으로 설정할 것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여성기본음확인단계(S920)는 상기 확인단계(S910)에서 NO를 선택하였을 때 기본음성을 여성음으로 설정할 것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NO를 선택하였다면 상기 획인단계(S910)로 리턴되고, 상기 이벤트발생단계(S930)는 상기 확인단계 (S910)에서 YES를 선택하였을 때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읽기커서를 이동시켜 내용읽기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상기 서브메뉴확인단계(S940)는 이동된 읽기커서가 위치된 메뉴가 서브메뉴가 있는 것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여성음출력단계(S950)는 상기 확인단계(S940)에서 NO가 선택되었을 때 여성음으로 메뉴내용을 음성출력하고, 상기 남성음출력단계(S960)는 상기 확인단계(S940)에서 YES가 선택되었을 때 남성음으로 메뉴내용을 음성출력한다.
상기 이벤트발생단계(S970)상기 확인단계(S920)에서 YES를 선택하였을 때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읽기커서를 이동시켜 내용읽기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상기 서브메뉴확인단계(S980)는 이동된 읽기커서가 위치된 메뉴가 서브메뉴가 있는 것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남성음출력단계(S990)는 상기 확인단계(S980)에서 NO가 선택되었을 때 남성음으로 메뉴내용을 음성출력하며, 상기 여성음출력단계(S1000)는 상기 확인단계(S980)에서 YES가 선택되었을 때 여성음으로 메뉴내용을 음성출력한다.
또한, 상기 메뉴내용음성출력단계(S900)는 시각장애자인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가 선택가능한 메뉴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음성출력만으로 간단하게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남성기본음확인단계(S910)와, 여성기본음확인단계(S920)와, 이벤트발생단계(S930)(S970)와, 선택가능한메뉴확인단계(S1010)(S1020)와, 여성음출력단계(S1040)(S1050)와, 남성음출력단계(S1030)(S1060)로 구성된다.
상기 남성기본음확인단계(S910)는 기본음성을 남성음으로 설정할 것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여성기본음확인단계(S920)는 상기 확인단계(S910)에서 NO를 선택하였을 때 기본음성을 여성음으로 설정할 것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NO를 선택하였다면 상기 확인단계(S910)로 리턴되고, 상기 이벤트발생단계(S930)는 상기 확인단계(S910)에서 YES를 선택하였을 때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읽기커서를 이동시켜 내용읽기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상기 선택가능한메뉴확인다계(S1010)는 이동된 읽기커서가 위치된 메뉴가 선택가능한 것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남성음출력단계(S1030)는 상기 확인단계 (S1010)에서 NO가 선택되었을 때 남성음으로 메뉴내용을 음성출력하고, 상기 여성음출력단계(S1040)는 상기 확인단계(S1010)에서 YES가 선택되었을 때 여성음으로 메뉴내용을 음성출력한다.
상기 이벤트발생단계(S970)는 상기 확인단계(S920)에서 YES를 선택하였을 때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읽기커서를 이동시켜 내용읽기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상기 선택가능한메뉴확인단계(S1020)는 이동된 읽기커서가 위치된 메뉴가 서브메뉴가 선택가능한 것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여성음출력단계(S1050)는 상기 확인단계(S1020)에서 NO가 선택되었을 때 여성음으로 메뉴내용을 음성출력하고, 상기 남성음출력단계(S1060)는 상기 확인단계(S1020)에서 YES가 선택되었을 때 남성음으로 메뉴내용을 음성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은 컴퓨터에 최종이벤트가 발생된 이후로 소정시간 동안 이벤트가 없을 때 시각장애자인 사용자에게 현재시간 및 날짜를 음성을 알려주기 위한 시간 및 날짜출력단계(S1100)를 포함한다.
상기 시간 및 날짜출력단계(S1100)는 카운트단계(S1110)와, 확인단계(S1120)와, 현재시간 및 날짜판독단계(S1130)와, 시간 및 날짜정보저장단계(S1140)와, 시간 및 날짜정보전송단계(S1150)와, 음성출력단계(S1160)로 구성된다.
상기 카운트단계(S1110)는 최종이벤트가 발생된 후 소정시간을 카운트하고, 상기 확인단계(S1120)는 소정시간이 경과하는 동안 이벤트가 발생되었는지 확인하고, 만약 이벤트가 발생되었다면 상기 카운트단계(S1110)로 리턴한다.
상기 현재시간 및 날짜판독단계(S1130)는 상기 확인단계(S1120)에서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았을 때 데이터부로부터 현재시간 및 날짜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시간 및 날짜정보저장단계(S1140)는 판독된 시간 및 날짜정보를 버퍼에 저장하고, 상기 시간 및 날짜정보전송단계(S1150)는 버퍼에 저장된 시간 및 날짜정보를 음성엔진으로 전송하며, 상기 음성출력단계(S1160)는 음성엔진으로 전송되는 시간 및 날짜정보를 음성을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는 윈도우 또는 리눅스와 같은 OS 프로그램이 탑재된 컴퓨터에서 실행되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각종상태 및 메뉴 내용은 물론 브라우저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내용들을 음성을 출력하여 시각장애자도 최신 컴퓨터를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뿐만 아니라 메뉴중 서브메뉴가 있는 것과 없는 것 또는 실행할 수 있는 메뉴와 실행할 수 없는 메뉴인지를 별도의 조작 없이 커서의 배치만으로 차별화된 음성으로 메뉴내용을 음성출력시킴으로서 시각장애자도 간단히 알 수 있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OS 프로그램인 윈도우 환경하에서 실행되어 화면상의 각종 객체, 화면상태 및 각종메뉴를 음성으로 읽어줌은 물론 디스플레이된 문자를 사용자의 설정조건에 따라 음성으로 읽어줌으로써 시각장애자도 매우 손쉽고, 편리하게 윈도우 환경하에서 컴퓨터를 용이하게 사용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6)

  1. 메시지 훅을 설정하는 단계(S100)와; 메시지 훅킹을 시작하는 단계(S110)와; 입력장치에 의한 이벤트가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120)와; 상기 확인단계 (S120)에서 이벤트의 발생이 확인되었을 때 현재위치의 커서좌표정보를 판독하는 단계(S130)와; 판독된 좌표에 해당하는 객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해당 객체가 없다면 상기 이벤트발생확인단계(S120)로 리턴하는 단계(S140)와; 상기 확인단계(S140)에서 좌표에 해당되는 객체가 있을 때 데이터부로부터 객체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S150)와; 판독된 객체정보를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S160)와; 버퍼에 저장된 객체정보를 음성엔진으로 전송하는 단계(S170)와; 음성엔진으로 전송되는 객체정보를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S1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마우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키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정보는 객체등록정보, 객체의 폰트, 색깔, 절대좌표 또는 객체의 명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브라우저를 실행하는 단계(S200)와; 브라우저상의 주소입력부에 접속할 주소를 입력하는 단계(S210)와; 입력한 주소에 해당되는 서버에 접속이 완료된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220)와; 상기 확인단계(S220)에서 서버에 접속된 것이 확인되었을 때 현재 브라우저 페이지를 선택하는 단계(S230)와; 상기 확인단계(S220)에서 서버접속이 실패하였을 때 해당되는 에러메시지를 음성출력하고, 상기 주소입력단계(S210)로 리턴하는 단계(S280)와; 브라우저 페이지상의 문서를 파싱하는 단계(S240)와; 파싱된 문서내용을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S250)와; 저장된 문서내용을 음성엔진으로 전송하는 단계(S260)와; 문서내용을 음성출력하는 단계(S270)로 구성되는 브라우저상의 문서내용음성출력단계(S29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도표 또는 테이블파일을 여는 단계(S310)와; 도표 또는 테이블을 가로로 읽을 것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320)와; 상기 확인단계(S320)에서 가로읽기를 선택하였을 때 해당되는 도표 또는 테이블의 내용을 가로로 판독하는 단계(S340)와; 상기 확인단계(S320)에서 가로읽기를 선택하지 않았을 때 도표 또는 테이블을 세로로 읽을 것인지를 확인하고, 세로읽기를 선택하지 않았을 때 상기 확인단계(S320)로 리턴하는 단계(S330)와; 상기 확인단계(S330)에서 세로읽기를 선택하였을 때 해당되는 도표 또는 테이블의 내용을 세로로 판독하는 단계(S380)와; 상기 가로 및 세로판독단계(S340)(S380)에서 판독된 내용을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S350)와; 버퍼에 저장된 내용을 음성엔진으로 전송하는 단계(S360)와; 도표 또는 테이블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S370)로 구성되는 도표 또는 테이블내용 음성출력단계(S3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하는 컴퓨터의 환경을 알아보기 위하여 컴퓨터환경정보를 선택하는 단계(S410)와; 데이터부에서 컴퓨터환경정보를 판독하는 단계(S420)와; 판독된 환경정보를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S430)와; 버퍼에 저장된 환경정보를 음성엔진으로 전송하는 단계(S440)와; 컴퓨터환경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S450)로 구성되는 컴퓨터환경정보음성출력단계(S4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문서 및 화면상의 내용을 어떠한 방식으로 읽을 것인지를 설정하기 위한 읽기단위를 설정하는 단계(S600)와;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이용하여 읽을 내용위치로 읽기커서를 이동시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S510)와; 읽을 내용을 판독하는 단계(S520)와; 판독된 내용을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S530)와; 버퍼에 저장된 내용을 음성엔진으로 전송하는 단계(S540)와;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S550)로 구성되는 내용음성출력단계(S5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읽기단위설정단계(S600)는 읽기커서가 위치된 내용을 읽기대상으로 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610)와; 상기 확인단계(S610)에서 NO를 선택하였을 때 커서가 위치된 내용의 이전내용을 일기대상으로 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620)와; 상기 확인단계(S620)에서 NO를 선택하였을 때 커서가 위치된 내용의 이후내용을 읽기대상으로 할 것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NO가 선택되었을 때 상기 확인단계(S610)로 리턴하는 단계(S630)와; 상기 각각의 확인단계(S610)(S620)(S630)에서 일기대상이 선택되었을 때 읽기대상의 읽을 단위를 설정하는 단계(S6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읽을단위설정단계(S640)는 단어, 글자, 줄, 문장 및 문단중 하나를 선택하여 읽을 단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읽기단위설정단계(S600)는 문장만을 읽을 것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NO를 선택하였을 때 다음단계로 넘어가는 단계(S650)와; 상기 확인단계(S650)에서 YES를 선택하였을 때 구두점을 빼고 읽을 것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NO를 선택하였을 때 다음단계로 넘어가는 단계(S660)와; 상기 확인단계(S660)에서 YES를 선택하였을 때 마침표를 빼고 읽을 것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NO를 선택하였을 때 다음단계로 넘어가는 단계(S670)와; 상기 확인단계(S670)에서 YES를 선택하였을 때 아이콘을 읽을 것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NO를 선택하였을 때 다음단계로 넘어가는 단계(S680)와; 상기 확인단계(S680)에서 YES를 선택하였을 때 컨트롤을 읽을 것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NO를 선택하였을 때 다음단계로 넘어가는 단계(S690)로 구성되어 상기 각각의 확인단계에서 확인된 사항을 읽기방식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범위를 설정하는 단계(S710)와; 찾을 내용이 문자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720)와; 상기 확인단계 (S720)에서 NO를 선택하였을 때 찾을 내용이 아이콘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NO를 선택하였을 때 상기 확인단계(S720)로 리턴되는 단계(S730)와; 상기 각각의 확인단계(S720)(S730)에서 찾을 내용의 종류가 결정되었을 때 원하는 내용을 찾기 위해 키워드로 사용될 내용을 입력하는 단계(S740)와; 입력된 내용을 키워드로 하여 해당되는 내용을 검색하는 단계(S750)와; 상기 검색이 완료됨과 동시에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내용에 해당되는 문자 또는 아이콘상으로 일기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S760)로 구성되는 내용찾기단계(S7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음성출력시에 일단중단키가 작동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810)와; 상기 확인단계(S810)에서 YES를 선택하였을 때 음성출력을일시중단시키는 단계(S820)와; 일시중단키가 해제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해제되었다면 상기 음성출력을 개시하고, 해제되지 않았다면 상기 음성출력일시중단 (S820)로 리턴되는 단계(S830)로 구성되어 음성출력중 음성출력을 일시중단시키기 위한 음성출력일시중단단계(S8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기본음성을 남성음으로 설정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910)와; 상기 확인단계(S910)에서 NO를 선택하였을 때 기본음성을 여성음으로 설정할 것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NO를 선택하였다면 상기 획인단계(S910)로 리턴되는 단계(S920)와; 상기 확인단계(S910)에서 YES를 선택하였을 때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읽기커서를 이동시켜 내용읽기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S930)와; 이동된 읽기커서가 위치된 메뉴가 서브메뉴가 있는 것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940)와; 상기 확인단계(S940)에서 NO가 선택되었을 때 여성음으로 메뉴내용을 음성출력하는 단계(S950)와; 상기 확인단계(S940)에서 YES가 선택되었을 때 남성음으로 메뉴내용을 음성출력하는 단계(S960)와; 상기 확인단계(S920)에서 YES를 선택하였을 때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읽기커서를 이동시켜 내용읽기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S970)와; 이동된 읽기커서가 위치된 메뉴가 서브메뉴가 있는 것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980)와; 상기 확인단계(S980)에서 NO가 선택되었을 때 남성음으로 메뉴내용을 음성출력하는 단계(S990)와; 상기 확인단계(S980)에서 YES가 선택되었을 때 여성음으로 메뉴내용을 음성출력하는 단계(S1000)로 구성되는 메뉴내용음성출력단계(S9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내용음성출력단계(S900)는 기본음성을 남성음으로 설정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910)와; 상기 확인단계(S910)에서 NO를 선택하였을 때 기본음성을 여성음으로 설정할 것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NO를 선택하였다면 상기 획인단계(S910)로 리턴되는 단계(S920)와; 상기 확인단계(S910)에서 YES를 선택하였을 때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읽기커서를 이동시켜 내용읽기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S930)와; 이동된 읽기커서가 위치된 메뉴가 선택가능한 것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1010)와; 상기 확인단계(S1010)에서 NO가 선택되었을 때 남성음으로 메뉴내용을 음성출력하는 단계(S1030)와; 상기 확인단계(S1010)에서 YES가 선택되었을 때 여성음으로 메뉴내용을 음성출력하는 단계(S1040)와; 상기 확인단계(S920)에서 YES를 선택하였을 때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읽기커서를 이동시켜 내용읽기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S970)와; 이동된 읽기커서가 위치된 메뉴가 서브메뉴가 선택가능한 것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1020)와; 상기 확인단계(S1020)에서 NO가 선택되었을 때 여성음으로 메뉴내용을 음성출력하는 단계(S1050)와; 상기 확인단계 (S1020)에서 YES가 선택되었을 때 남성음으로 메뉴내용을 음성출력하는 단계(S10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최종이벤트 발생 후 소정시간을 카운트하는단계(S1110)와, 소정시간이 경과하는 동안 이벤트가 발생되었는지 확인하고, 만약 이벤트가 발생되었다면 상기 카운트단계(S1110)로 리턴하는 단계(S1120)와, 상기 확인단계(S1120)에서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았을 때 데이터부로부터 현재시간 및 날짜정보를 판독하는 단계(S1130)와, 판독된 시간 및 날짜정보를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S1140)와, 버퍼에 저장된 시간 및 날짜정보를 음성엔진으로 전송하는 단계(S1150)와, 음성엔진으로 전송되는 시간 및 날짜정보를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S1160)로 구성되는 시간 및 날짜출력단계(S1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
KR10-2000-0035966A 2000-06-28 2000-06-28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 KR100373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5966A KR100373829B1 (ko) 2000-06-28 2000-06-28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5966A KR100373829B1 (ko) 2000-06-28 2000-06-28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3964A true KR20020003964A (ko) 2002-01-16
KR100373829B1 KR100373829B1 (ko) 2003-02-26

Family

ID=19674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5966A KR100373829B1 (ko) 2000-06-28 2000-06-28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38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69460A (zh) * 2018-01-04 2018-07-10 高大山 一种电子屏幕的阅读方法、系统及终端设备
CN113490025A (zh) * 2021-08-03 2021-10-08 Vidaa美国公司 显示设备及电子节目指南显示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34261A1 (en) * 2008-12-02 2010-06-03 Microsoft Corporation Sensory outputs for communicating data valu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69460A (zh) * 2018-01-04 2018-07-10 高大山 一种电子屏幕的阅读方法、系统及终端设备
CN108269460B (zh) * 2018-01-04 2020-05-08 高大山 一种电子屏幕的阅读方法、系统及终端设备
CN113490025A (zh) * 2021-08-03 2021-10-08 Vidaa美国公司 显示设备及电子节目指南显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3829B1 (ko) 200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7303A (en) Controlled computer interface
US5825854A (en) Telephone access system for accessing a computer through a telephone handset
KR101143034B1 (ko) 음성 명령을 명확하게 해주는 중앙집중식 방법 및 시스템
KR102476621B1 (ko) 사용자, 자동화된 어시스턴트 및 컴퓨팅 서비스 간의 다중 모드 상호 작용
JP5789608B2 (ja) 触覚強化テキストインターフェース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6816835B2 (en) Electronic mail system and device
EP0216129B1 (en) Apparatus for making and editing dictionary entries in a text to speech conversion system
US6085161A (en) System and method for auditorially representing pages of HTML data
TW468115B (en) Flexible hyperlink association system and method
JP2017511558A (ja) 保護必要情報の安全なスクリーン共有を伴う電子通信
US20030050778A1 (en) Focused language models for improved speech input of structured documents
WO19990211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ditorially representing pages of html data
JP2002342212A (ja) 情報アクセス方法、情報アクセス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70003640A (ko) 음성 인식 방법 및 음성 인식 장치
US6732078B1 (en) Audio control method and audio controlled device
US20050228635A1 (en) Method for describing existing data by a natural language and program for that
JP4072900B2 (ja) 端末装置
EP3440558A1 (en) Generating and rendering inflected text
GB2387927A (en) User interface control apparatus
JP2006323827A (ja) 音楽フォント出力装置、フォントデータベース及び言語入力フロントエンドプロセッサ
KR100373829B1 (ko) 시각장애자용 컴퓨터화면낭독방법
JPH08263260A (ja) テキスト読み上げ方法
Wersényi Auditory representations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better human-computer interaction
JP3907604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ならびに記憶媒体、プログラム
JP7229296B2 (ja) 関連情報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40910

Effective date: 2006103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0300017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40910

Effective date: 200610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417

Effective date: 2007103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10000093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417

Effective date: 2007103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200012398;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30000345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EXTG Extinguishme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1128

Effective date: 2008082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200012398;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1128

Effective date: 20080820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911

Effective date: 2008111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300003452;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911

Effective date: 2008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