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3600A - 컴퓨터를 이용한 무선 화상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컴퓨터를 이용한 무선 화상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3600A
KR20020003600A KR1020000034248A KR20000034248A KR20020003600A KR 20020003600 A KR20020003600 A KR 20020003600A KR 1020000034248 A KR1020000034248 A KR 1020000034248A KR 20000034248 A KR20000034248 A KR 20000034248A KR 20020003600 A KR20020003600 A KR 20020003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amera
main body
voice signal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4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훈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20000034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3600A/ko
Publication of KR20020003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360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용 컴퓨터(PC) 카메라를 무선화함과 함께 PC 헤드셋(Headset)의 마이크로폰을 PC 카메라에 내장시킴으로써 PC를 이용한 화상통신을 무선화할 수 있는 컴퓨터를 이용한 무선 화상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컴퓨터를 이용한 무선 화상 통신 장치는 컴퓨터의 USB 포트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컴퓨터의 키보드, 마우스 및 게임기와 상기 컴퓨터간 제어신호를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지국과, 화상신호를 입력하는 카메라와,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카메라와 마이크로폰의 화상 및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무선주파수 모듈(RF Module)과, 상기 카메라, 마이크로폰 및 무선주파수 모듈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로 구성된 화상 및 음성 신호 입력 장치로 구성되어, 컴퓨터를 이용한 화상통신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컴퓨터를 이용한 무선 화상통신 장치{Wireless picture communication device using computer}
본 발명은 컴퓨터를 이용한 화상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개인용 컴퓨터(PC) 카메라를 무선화함과 함께 PC 헤드셋(Headset)의 마이크로폰을 PC 카메라에 내장시킴으로써 PC를 이용한 화상통신을 무선화할 수 있는 컴퓨터를 이용한 무선 화상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PC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초기에는 전화선을 이용하는 모뎀을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광케이블을 이용한 xDSL, 케이블 모뎀 등의 차세대 통신망이 점점 확대되고 있다.
차세대 통신망은 전화선에 비해 훨씬 빠른 데이터 전송속도를 제공하며, 이러한 데이터 전송 속도의 고속화는 초기의 56k 모뎀의 제한적인 대역폭에서 시험적으로 진행되던 화상통신, 인터넷폰 등의 멀티미디어 환경 프로그램들에게 보다나은 PC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PC 통신 환경의 발전속에서 PC의 멀티미디어 기능은 과거보다 훨씬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되었고, PC의 눈이라 할 수 있는 PC 카메라 또한 그 수요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PC 카메라는 화상통신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일반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PC 카메라는 PC의 USB 포트에 꽂아 사용하는 형태가 시장의 대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 PC 카메라는 USB(Universal Serial Bus) 카메라라고도 불리 운다.
여기서 USB는 컴팩, DEC, IBM, Intel, MS, NEC등의 회사들이 만든 소자디바이스(DEVICE) 통신규약으로, 키보드, 조이스틱, 스캐너, 모뎀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인터페이스를 하나로 통일하여 불필요한 인터페이스의 개발을 억제하고, 포트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서 개발됐다. USB에서는 이론적으로 127개의 USB 장비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며, USB는 트리 구조를 통해 연결되는데, USB 장비에는 각각 두 개의 포트가 있으며 각각의 포트에는 다시 USB 장비들이 연결된다. 즉, 아래로 가지를 치듯이 연결되는 것이다. 이것은 USB장비들이 허브의 역할까지 겸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모든 USB장비가 허브의 역할까지 겸할 필요는 없다. 마우스 같은 경우는 마우스에 다른 장치를 연결할 필요가 없으므로 다중 접속할 필요없이 단일 접속만 가능하면 된다. 또한 많은 장비들을 연결할 수 있으면서도 PC에 전원이 들어와 있는 상태에서 장비를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핫플러깅을 지원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개인용 컴퓨터 및 그 주변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개인용 컴퓨터 및 그 주변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종래 PC는 기본적으로 중앙처리장치(CPU), 메모리 장치(RAM, ROM, 하드디스크), 사운드 카드, 그래픽 카드 등을 내장한 PC 본체(1)와, PC 본체(1)에서 연산되어 출력되는 텍스트 또는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출력장치인 모니터(2)와, PC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 중의 하나인 키보드(3)와, 윈도우(Windows) 환경에 적합한 입력장치 중의 하나인 마우스(4)와, PC 사용자를 포함한 PC 본체(1) 주변의 사물을 입력하는 PC 카메라(5)와, PC 본체(1)의 사운드 카드의 입출력 단자에 연결되어, PC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로폰(6a)과, 임의의 다른 PC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이어폰(6b)으로 이루어진 헤드셋(Headset)(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PC 카메라(5)는 최근에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화상통신(채팅, 인터넷 전화)을 하기 위한 것으로 PC 본체(1)의 USB 포트에 연결되어 PC 사용자 또는 PC 본체(1) 주변의 사물을 입력받아 케이블(Cable)을 통해 PC 본체(1)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종래 PC 환경에서의 화상 통신은 PC 사용자가 PC 환경을 화상 채팅 또는 인터넷 전화로 설정한 후 목적하는 상대방 PC와 연결되면, 사용자의 모니터(2)에는 상대방 PC 카메라로 입력되는 상대방 모습과 그 주변 환경이 출력되며, 목적하는 상대방 사용자의 모습 역시 출력된다.
그러면 PC 사용자는 헤드셋(6)의 마이크로폰(6a)을 통해 자신의 음성을 상대방에게 전달하고, 역시 헤드셋(6)의 이어폰(6b)을 통해 상대방의 음성을 듣게 된다.
즉, 모니터(2)를 통해서는 상대방의 모습을 영상으로 보고, 헤드셋(6)을 통해서는 상대방에게 음성을 전달하거나 상대방의 음성을 들으면서 화상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개인용 컴퓨터 및 그 주변장치에서의 화상통신에 있어서는 PC 카메라는 PC 본체의 USB 포트에, 헤드셋은 PC 본체의 사운드카드의 입출력 단자에 케이블로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특히 사용자가 헤드셋을 착용하므로 인한 이용범위의 제한과 같은 사용자의 이동 범위를 제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고, PC 본체와 주변장치간 유선 연결라인 수를 증가시키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용 컴퓨터(PC) 카메라와, PC 헤드셋(Headset)의 마이크로폰을 PC 카메라에 내장시킴으로써 PC를 이용한 화상통신을 무선화할 수 있는 컴퓨터를 이용한 무선 화상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개인용 컴퓨터 및 그 주변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컴퓨터 및 그 주변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컴퓨터 카메라의 상세 블록 구성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컴퓨터의 USB 포트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컴퓨터의 키보드, 마우스 및 게임기와 상기 컴퓨터간 제어신호를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지국과, 화상신호를 입력하는 카메라와,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카메라와 마이크로폰의 화상 및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무선주파수 모듈(RF Module)과, 상기 카메라, 마이크로폰 및 무선주파수 모듈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로 구성된 화상 및 음성 신호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컴퓨터 및 그 주변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컴퓨터 카메라의 상세 블록도로서, 첨부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를 이용한 무선 화상통신 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PC 본체(컴퓨터)(10)와, 화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PC 본체(10)로 전송하는 화상 및 음성신호 입력장치(30)와, 상기 PC 본체(10)의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에 유선 케이블(14)로 연결되어 상기 PC 본체(10)와 상기 화상 및 음성신호 입력장치(30)간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20)으로 크게 구분되어 진다.
그 세부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우선 PC 본체(10)는 기본적으로 모니터(15)와 연결되고, 기지국(20)은 상기 화상 및 음성신호 입력장치(30)외에도키보드(11), 마우스(12) 및 게임기(13)와 상기 PC 본체(10)간 제어신호를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한다.
그리고, 화상 및 음성신호 입력장치(30)는 화상신호를 입력하는 카메라(32)와,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로폰(33)과, 상기 기지국(20)으로 상기 카메라와(32) 마이크로폰(33)의 화상 및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무선주파수 모듈(RF Module)(31)과, 상기 카메라(32), 마이크로폰(33) 및 무선주파수 모듈(31)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35)로 구성되며, 화상 및 음성신호 입력장치(30)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내장하는 롬(ROM)이나, PC 본체(10)와 화상 및 음성신호 입력 장치(34)간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임시저장하기 위한 램(RAM)으로 구성된 메모리부(35)를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컴퓨터를 이용한 화상 통신 장치의 화상통신 방법은 PC 사용자가 자신의 PC 프로그램을 화상 채팅 또는 인터넷 전화로 설정한 후 목적하는 상대방을 선택하거나, 다이얼을 하여 상대방 PC와 연결되면, PC 사용자는 모니터(15)를 통해 상대방과 화상통신을 하게 된다. 이때, PC 사용자는 화상 및 음성신호 입력장치(30)를 이용하여 자신의 모습이나 자신의 주변 환경 및 음성을 상대방 모니터와 상대방 PC의 음성 출력장치(예를 들면, 스피커)로 전송하게 되고, 자신 역시 자신의 음성 출력 장치(예를 들면, 스피커)를 통해 상대방의 음성을 듣게 된다.
여기서 PC 사용자는 음성은 영상 및 음성신호 입력장치(30)의 마이크로폰(33)을 통해 입력되고, PC 사용자의 영상은 카메라(32)를 통해 입력된다. 그러면 마이크로 프로세서(35)에서는 카메라(32)와 마이크로폰(33)으로 입력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변조(Modulation)하여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 RF) 모듈(Module)(31)로 전송하고, 무선 주파수 모듈(31)에서는 변조된 무선주파수를 이용해 기지국(2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기지국(20)에서는 무선 주파수 모듈(31)에서 전송된 영상 및 음성 데이터 신호를 PC 본체(10)로 전송하고, PC 본체(10)에서는 모뎀이나 광케이블등을 이용한 xDSL을 통해 상대방 PC 본체로 전송한다. 이때 무선주파수를 이용하는 기술로는 스프레드 스펙트럼 주파수 호핑 시스템을 이용해 영상 및 음성 신호 출력장치(30)의 무선 주파수 모듈(31)과 기지국(20)간 무선통신을 지원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보드(11), 마우스(12) 및 게임기(13) 역시 무선화하여 기지국(20)을 통해 PC 본체(10)의 USB 포트로 신호가 전송되도록 하고, USB 포트에서는 키보드(11), 마우스(12) 및 게임기(13)에서 기지국(20)을 통해 입력된 신호를 PC 본체(10)의 중앙처리장치를 통해 모니터(15)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컴퓨터를 이용한 화상통신시 PC 카메라와마이크로폰을 하나의 장치로 구성함과 동시에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므로 화상통신시 사용자의 이동 범위를 제한시키지 않고, PC 본체와 주변장치간 연결라인수를 줄이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컴퓨터의 USB 포트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컴퓨터의 키보드, 마우스 및 게임기와 상기 컴퓨터간 제어신호를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지국과,
    화상신호를 입력하는 카메라와,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카메라와 마이크로폰의 화상 및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무선주파수 모듈(RF Module)과, 상기 카메라, 마이크로폰 및 무선주파수 모듈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로 구성된 화상 및 음성 신호 입력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무선 화상통신 장치.
KR1020000034248A 2000-06-21 2000-06-21 컴퓨터를 이용한 무선 화상통신 장치 KR200200036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248A KR20020003600A (ko) 2000-06-21 2000-06-21 컴퓨터를 이용한 무선 화상통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248A KR20020003600A (ko) 2000-06-21 2000-06-21 컴퓨터를 이용한 무선 화상통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3600A true KR20020003600A (ko) 2002-01-15

Family

ID=19673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248A KR20020003600A (ko) 2000-06-21 2000-06-21 컴퓨터를 이용한 무선 화상통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360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236B1 (ko) * 2004-12-31 2009-03-25 레노보(베이징)리미티드 카메라핸드폰을 컴퓨터의 카메라로 사용하여비디오데이터를 취득하는 방법
KR101006026B1 (ko) * 2009-04-15 2011-01-06 (주)초이스테크놀로지 통합 수신용 rf 프로토콜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US10297101B2 (en) 2008-05-02 2019-05-21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Gaming system and a method of monitoring a gaming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236B1 (ko) * 2004-12-31 2009-03-25 레노보(베이징)리미티드 카메라핸드폰을 컴퓨터의 카메라로 사용하여비디오데이터를 취득하는 방법
US10297101B2 (en) 2008-05-02 2019-05-21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Gaming system and a method of monitoring a gaming device
US11145157B2 (en) 2008-05-02 2021-10-12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Gaming machin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game meter data to a portable device
KR101006026B1 (ko) * 2009-04-15 2011-01-06 (주)초이스테크놀로지 통합 수신용 rf 프로토콜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07164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language translation and avatar simulating human attributes, and method thereof
US8825468B2 (en) Mobile wireless display providing speech to speech translation and avatar simulating human attributes
EP1223729A2 (en) A user supported display device
CN112868244A (zh) 一种点对多点的数据传输方法及设备
CN110650405A (zh) 无线耳机控制系统、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3391118A (zh) 一种蓝牙耳机及利用该蓝牙耳机共享音频的方法
CN113223539B (zh) 一种音频传输方法及电子设备
CN109194827B (zh) 一种终端设备、音频信号输出方法及系统
JP2006313513A (ja) コンピュータ用無線周辺システム
KR20020050531A (ko) 블루투스 단말기의 무선 핸드셋 사용방법
US9872133B1 (en) Wired wearable audio video to wireless audio video bridging device
JP2023514783A (ja) オーディオ伝送方法、電子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KR20020003600A (ko) 컴퓨터를 이용한 무선 화상통신 장치
US20190004766A1 (en) Wired wearable audio video to wireless audio video bridging device
CN101009897A (zh) 使用无线终端输出音频数据的设备和方法
CN211403431U (zh) 一种基于网络的可扩展连接实现同声翻译的装置
JP2001244928A (ja) 通信システム
KR101653599B1 (ko) 스마트 미디어 커넥터
JP3114127U (ja) ポータブルブイオーアイピー無線連結器
JP2003323257A (ja) マイクロフォン付きワイヤレスマウス
CN113115290B (zh) 接收音频资料的方法
CN114125638B (zh) 一种耳机播放控制方法及控制装置
JP3124017U (ja) 音響設備用メスコネクタを備えたインターネット電話
CN107453809A (zh) 蓝牙通讯装置及其与终端设备的音频通信方法
US20220417689A1 (en) Audio Transmiss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