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3245A -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individual harness elements to a transport device - Google Patents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individual harness elements to a transpor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3245A
KR20020003245A KR1020017014207A KR20017014207A KR20020003245A KR 20020003245 A KR20020003245 A KR 20020003245A KR 1020017014207 A KR1020017014207 A KR 1020017014207A KR 20017014207 A KR20017014207 A KR 20017014207A KR 20020003245 A KR20020003245 A KR 20020003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p
pile
elements
carp
displa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42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프라치 벤친
유스튜스 물리스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스타우블리 아게 패피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스타우블리 아게 패피콘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20003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3245A/en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14Apparatus for threading warp stop-motion droppers, healds, or re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xiliary Weaving Apparatuses, Weavers' Tools, And Shuttles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Looms (AREA)

Abstract

The invention relates to a warp drawing machine for arranging harness elements such strands or lamellae on warps. Such a warp drawing machine is normally fitted with a device for receiving a stack of individualized harness elements and for feeding harness elements to a separating device, wherein the separating device has at least one separating and one individualizing member which separate the first harness element from the stack and guides the harness element already separated from the stack in the direction of a transport device for further separation from the stack. The transport device then brings the harness element to a warp drawing station. A warp drawing machine also normally includes at least one retaining means that can be placed against the stack. In order to reduce the structure of said machine while ensuring high functional safety, displacement means (64) of an individualizing organ (30) of the separating device and at least one retaining means (70) in a transfer means (60) are structurally assembled together and can move together in a direction deviating from the direction of displacement (25) of the harness elements.

Description

개별의 분리된 오르내리 요소를 이송장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INDIVIDUAL HARNESS ELEMENTS TO A TRANSPORT DEVICE}TECHNICAL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INDIVIDUAL HARNESS ELEMENTS TO A TRANSPORT DEVICE}

직조를 하기 위해, 잉아 혹은 드롭퍼 같은 오르내리 요소는 날실 통경기 수단에 의해 경사에 통경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분리 스테이션에 공급되는 각각의 오르내리 요소의 더미로 인해 행해진다. 잉아 혹은 드롭퍼에 대한 이러한 종류의 분리 스테이션은 종래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잉아에 대한 분리 스테이션이 설계상 드롭퍼의 분리 스테이션과 다를지라도,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특징은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오르내리 요소를 빼내는데, 특히 각각의 경우에서 최선두 요소를 오르내리 요소 더미에서 빼내서 이송장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그런 다음 개별의 분리된 오르내리 요소를 오르내리 장치가 경사에 정렬되어 있는 날실 통경기의 또 다른 위치로 이동시킨다. 날실 통경기가 실패 없이 작동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개별의 오르내리 요소가 각각의 분리 스테이션에 의해 상응하는 더미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하고, 개별적으로 분리되도록 하고, 예정된 시간에 이동하는 것이 중요하다.In order to weave, orna elements such as carp or dropper are inclined by warp threading means. This is generally done due to the pile of each ordinal element fed to the separation station. Separation stations of this kind for carp or dropper are known in the art. Although the separation station for the carp is different from the dropper's separation station by design, a common feature is to pull the up and down elements in each case, in particular in each case by removing the best two elements from the pile up and down the transfer device. To move to. The individual separate up and down elements are then moved to another position in the warp thread where the up and down device is aligned to the slope. In order for the warp threader to operate without failure, it is important for the individual up and down elements to be pulled out of the corresponding pile by each separating station, to be separated separately, and to move at the scheduled time.

그러므로 예를 들어, 이런 형식의 날실 통경기에서, 잉아는 이동 가능한 분리 나이프(knife)와 구동된 더미 압착기 수단에 의해 그 더미로부터 첫 번째로 분리된다. 잉아는 두 개의 이송부재와 함께 동시에 더미로부터 이탈되고, 두 개의 이송 밴드(band)로 대체된다. 더미 압착기는 미리 더미에 대해 지탱되도록 하여, 더미가 유지된다.Thus, for example, in a warp tube of this type, the carp is first separated from the pile by a movable separating knife and driven dummy compactor means. The carp is removed from the dummy simultaneously with the two conveying members and replaced by two conveying bands. The dummy compactor is supported in advance against the dummy so that the dummy is held.

종래 기술의 분리 장치에서, 움직이는 개별의 부품이 개수가 비교적 많고 각각은 자체 구동을 가져야 하는 것이 단점으로 여겨진다. 또한 작동 안정성이 분리 장치의 개별 구성요소와 동기적으로 정밀하게 움직이는 것에 좌우되는 것도 단점으로 생각된다.In the separation devices of the prior art, it is considered a disadvantage that the moving individual parts have a relatively large number and each must have its own drive. It is also considered to be a disadvantage that the operating stability depends on precise movemen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individual components of the separation device.

본 발명은 경사에 잉아 혹은 드롭퍼 같은 오르내리 요소 장치에 대한 날실 통경기와 관련되는데, 개별적으로 분리 가능한 오르내리 요소의 더미를 수용하는 장치와 오르내리 요소를 분리 장치에 공급하는 장치로 구비되고, 분리 장치는 최선두 오르내리 요소를 더미로부터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탈 부재 및 분리 부재를 갖고, 이어서 더미로부터 또다시 이탈하기 위해, 이미 분리된 오르내리 요소를 더미로부터 이송장치로 이동하게 하며, 이송장치는 오르내리 요소를 날실 통경기로 이동시키며, 더미에 대해 지탱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수단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또한 앞서 설명된 청구항 제 12 항에 대한 방법과 관련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rp tube for an ordinal element device, such as a carp or dropper, on an incline, comprising a device for receiving a pile of individually separable ordary elements and a device for supplying the ordary elements to the separating device, The separating device has at least one release member and separating member that separates the headmost up and down element from the dummy, and then moves the already separated up and down element from the dummy to the transfer device, in order to escape again from the dummy, Moves the up and down elements to the warp tube, and there is at least one retaining means that can bear against the pile. In addition, 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the method for claim 12 described above.

도 1은 CH 682 577과 관련하여 날실 통경기의 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rp thread game in connection with CH 682 577;

도 2는 날실 통경기의 회수 모듈의 예시도;2 is an illustration of a recovery module of a warp threader;

도 3은 공급 장치에 결속된 잉아를 이송장치로 이동하는 부분을 도시하는 특면도;FIG. 3 is a special view showing a portion for moving an ingot bound to a feeding device to a conveying device; FIG.

도 4는 도 3에서 분리 부재의 상측면도;4 is a top side view of the separating member in FIG. 3;

도 5는 도 3에서 하단 이탈 부재의 상세한 도식도;FIG. 5 is a detailed schematic view of the bottom release member in FIG. 3; FIG.

도 6은 도 5의 이탈 부재를 도시하는 상측면도;FIG. 6 is a top side view showing the release member of FIG. 5; FIG.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상단 이탈부재의 입면도;7 is an elevation view of the upper detachment member shown in FIG. 3;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부분의 측면도;8 is a side view of the portion shown in FIG. 7;

* 부호설명 ** Code Description *

1....스탠드 2....날실 빔 이송기1 .... stand 2 .... warp beam conveyor

3....날실빔 4....리프팅장치3 .... warp beam 4 .... lifting device

5....프레임 7....통경바늘5 .... frame 7 .... Thread needle

본 발명의 목적은 날실 통경기의 설계를 간단히 하고, 높은 작동 안정성을 갖도록 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implify the design of warp threaders and to have high operational stability.

도입부에서 언급된 날실 통경기는 다음과 같이 그 목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유지요소와 분리장치의 이탈부재에서 변위수단은 구조적으로 혹은물리적으로 이송수단에 서로 조합되어 있고, 이 두 개는 오르내리 요소의 변위 방향으로부터 이탈된 방면으로 함께 이동할 수 있다.The warp warp mentioned in the introduction can be achieved as follows. In the at least one retaining element and the detachment member of the separating device the displacement means are structurally or physically combined with each other in the conveying means, both of which can move together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direction of displacement of the up and down elements.

앞선 날실 통경기의 분리 장치에서, 한편으로는 "최선두 잉아를 분리하고 그 레일(rail) 중 하나를 이송수단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잉아더미를 유지하는 것"은 다른 소조립체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라, 두 개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수단은 서로 하나의 부품으로 연결되어 이 두 가지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두 가지 기능에 대해 단 하나의 구동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결점에 민감한 구성요소들이 개수가 줄어듦에 따라, 본 발명에 대한 장치의 작동 안정성이 증가될 수 있다.In the separating device of the warp warp, on the one hand it functions to "separate the leading carp and move one of its rails to the conveying means," and on the other hand to "keep the carp." Performed by subassembli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two operatively connected means are connected in one piece to each other to perform these two functions. You can also use only one drive for both functions. As the number of defect sensitive components decreases, the operational stability of the device fo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creased.

선호적으로 변위수단 및 유지수단 사이에서 구비되는 단일부품 강체 연결은 이 두 개의 수단이 서로 동기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영구적으로 결정되는 추가적인 이점을 갖을 수 있다. 이 장치의 두 가지 구성요소는 작동하는 동안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없는데, 특히 단일부품으로 되어 있거나 서로 강체 연결이 되어 있을 때 그렇다. 그러므로 작동 안정성을 증가시킨다.The one-piece rigid body connection, preferably provided between the displacement means and the retaining means, may have the further advantage that the two means are permanently determined to move synchronously with each other. The two components of the device cannot move relative to each other during operation, especially when they are monolithic or rigidly connected to one another. Thus increasing operational stability.

변위수단과 유지수단이 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레버에 통합되어 있을 경우 단순한 설계가 이루어진다. 이 레버는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를 갖는데, 하나의 돌출부는 변위수단의 통합된 부분을 형성하고, 다른 돌출부는 유지수단의 통합된 부분을 형성한다.A simple design is achieved when the displacement and retaining means are integrated in the lever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axis. The lever has at least two protrusions, one protrusion forming an integrated part of the displacement means and the other protrusion forming an integrated part of the retaining means.

"최선두 잉아의 변위"와 "잉아더미의 유지"의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레버는 그 이동방향의 반대이거나 회전이 일어나는 방향에서 두 개의 사점 사이를 진동한다. 이 두 가지 기능은 이동방향이 잉아의 치환 방향에서 어떠한 요소도 갖지 않는다면 이러한 레버 같은 것과 효과적으로 조합이 될 수 있다.In order to perform two functions of "displacement of the leading carp" and "holding the carp", the lever vibrates between two dead point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or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These two functions can be effectively combined with such levers as long as the direction of movement has no element in the displacement direction of the infant.

청구항 제 10 항과 제 12 항에 의한 방법과 장치의 수단으로 본 발명의 목적이 이루어진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means of the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claims 10 and 12.

또한 종속절로부터 본 발명에서 언급된 정밀도가 이루어 질 수 있다.Also, the precision mention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from the dependent claus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예증적 실시예를 참고하여 더 자세히 설명되었다.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iv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도 사용될 수 있는 날실 통경기의 기본 설계를 도시한다. 이 같은 기계는 기본 스탠드(1)와 정렬되어 있는 여러 가지 소조립체로 구성되는데 각각은 기능적 모듈을 형성한다. 날실빔(3)이 배열된 날실빔(beam) 이송기(2)는 기본 스탠드(1)의 앞쪽에 있다. 날실 빔 이송기(2)는 또한 경사(KF)가 인장장착된 프레임(5)을 고정하기 위한 리프팅 장치(4)로 구성된다. 통경을 하기 위해 날실 빔(3)과 함께 리프팅 장치(4)의 날실 빔 이송기(2)는 통경기의 설치측면이라고 불리는 곳으로 이동하여 올라가고, 프레임(5)은 리프팅 장치(4)에 의해 들어올려지고 도시된 위치로 예상되는 곳에 매달리게된다.1 shows a basic design of a warp threader which may also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machine consists of several subassemblies which are aligned with the base stand 1, each forming a functional module. The warp beam conveyor 2, on which the warp beams 3 are arranged, is in front of the base stand 1. The warp beam conveyor 2 also consists of a lifting device 4 for fixing the frame 5 on which the warp KF is tensioned. The warp beam conveyor 2 of the lifting device 4 together with the warp beam 3 moves up to a place called the installation side of the hole, and the frame 5 is lifted by the lifting device 4 to make the diameter. It is suspended from where it is expected to be lifted and shown.

프레임(5)과 날실빔(3)은 종축방향의 기본 스탠드(1)로 옮겨진다. 이러한 변위가 일어나는 동안, 경사(KF)는 이전 실 이탈 단계(6)로 인도되고, 동시에 분리 및 분할된다. 분리된 후에, 경사는 잘려지고 회수 모듈이라고 불리는 통합된 부분을 형성하는 통경바늘(7)에 인도된다.The frame 5 and the warp beam 3 are moved to the base stand 1 in the longitudinal axis direction. While this displacement takes place, the slope KF is led to the previous thread release step 6 and at the same time separates and divides. After being separated, the warp is guided to the penetrating needle 7 which is cut and forms an integrated part called a recovery module.

통경바늘(7) 바로 옆에 작동 스테이션에 있는 비디오 화면(8)을 통해 볼 수 있으며, 이 화면은 기계의 작동과 고장 그리고 데이터 입력을 표시하게 된다. 작동 스테이션은 프로그래밍 모듈이라고 불리는 부분이며, 특정한 기능이나 순차진행의 수동 입력을 위한 입력 단계로 구성된다. 통경기는 제어 컴퓨터로 구성되고 제어박스(9)에 정렬된 제어 모듈 수단에 의해 제어된다. 이 제어 컴퓨터는 선호적으로 각 기능적 모듈에 대해 제어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고 감시되는 개별 모듈 컴퓨터로 구성된다. 통경기의 주 모듈은 이미 언급에 모듈에 추가하여 바디(reed) 모듈 및 드롭퍼, 잉아를 포함한다.This can be seen through the video screen 8 at the operating station next to the telescopic needle 7, which displays the machine's operation, failure and data entry. An operating station is called a programming module and consists of input stages for manual entry of a specific function or sequence. The tuber is controlled by control module means composed of a control computer and aligned to the control box 9. This control computer preferably consists of a separate module computer which is controlled and monitored by the control computer for each functional module. The main module of the game machine includes a reed module, dropper and carp in addition to the module already mentioned.

날실 이탈 단계(6)에서 경사(KF)는 통경바늘(7)에 통경되고, 이 바늘의 경로는 인장장착된 경사(KF)의 평면에 수직으로 이동하며, 통경기의 일명 해체측면에서 이미 언급된 설치측면을 분리하는 평면을 형성한다. 설치측면에서, 경사가 통경되는 잉아 혹은 드롭퍼 개별 오르내리 요소 및 경사가 공급된다. 해체측면에서는, 일명 오르내리장치(잉아, 드롭퍼, 바디)는 통경 경사와 함께 빠져나온다. 날실 정지 드롭퍼 (LA)는 경사(KF)의 평면 바로 뒤에, 잉아(LI) 뒤에 그리고 후면에서 멀리있는 바디의(WB)의 뒤에 정렬한다. 경사가 통경된 후에, 드롭퍼는 드롭퍼 이송 레일(12)의 해체측면에 도달하게 된다.In the warp escape step 6 the warp KF is passed through the diameter needle 7 and the path of the needle moves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tensioned warp KF, already mentioned in the so-called disassembly side of the warp machine. Form a plane to separate the installation side. On the installation side, the ingot or dropper individual up and down elements and the incline, which are inclined, are fed. On the disassembly side, so-called up and down devices (carp, dropper, body) come out with the diameter inclination. The warp stop dropper (LA) aligns immediately behind the plane of the slope (KF), behind the carp (LI) and behind the body (WB) far from the rear. After the inclination has passed, the dropper reaches the disassembly side of the dropper feed rail 12.

잉아(LI)는 또다른 공급장치에 고정되고, 본 발명에서 하기 상세한 설명과 관련된 분리장치에 자동적으로 교체된다. 여기서, 잉아는 개별적으로 자체 통경 위치로 오게되고, 날실 통경이 일어난 후에, 해체측면의 상응하는 잉아 프레임(14)에 분포하게 된다.The carp LI is fixed to another feeder and is automatically replaced by a separator in the present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the following description. Here, the carp is individually brought to its diameter position, and after the warp diameter has occurred, it is distributed in the corresponding carp frame 14 on the disassembly side.

바디(WB)는 통경 바늘 다음 단계에 이동되며, 상응하는 바디 톱니는 통경을 하기 위해 열려있다. 통경이 있은 후에, 바디(WB)는(잉아 프레임(14)의 바로 오른쪽에 부분적으로 도시됨) 마찬가지로 해체측면에 위치해 있다.The body WB is moved to the next step after the telescopic needle, and the corresponding body tooth is open for telescopic. After the passage, the body WB (shown partly to the right of the carp frame 14) is likewise located on the disassembly side.

오르내리 장치 이송기(15)라고 불리는 것은 해체측면에 구비된다. 특히 드롭퍼 이송기 레인(12), 잉아 프레임(14) 그리고 바디의 고정장치 같은 곳에 단단히 조여진 이송부재와 함께 도시된 위치인 기본 스탠드에 떠밀려지고, 통경 후에 경사와 함께 오르내리 장치를 이송한다.What is called the up and down device feeder 15 is provided in the disassembly side surface. In particular, it is pushed to the base stand, which is the position shown with the transport member tightly fastened to the dropper conveyor lane 12, the carp frame 14 and the fixing device of the body, and conveys the device up and down with the slope after the passage.

설명된 기능들은 공통제어 컴퓨터에 의해 통제되는 시스템 혹은 자동기계를 구성하는 다수의 모듈에 해당된다. 이미 언급된 통경기의 주 모듈은 선호적으로 모듈식 설계 자체이고, 부모듈로 구성된다. 모듈식 설계는 스위스 특허 CH 679 871에 공지되어 있으며, 참고로 본 내용에 발표되어 있다.The functions described correspond to a number of modules that make up a system or automatic machine controlled by a common control computer. The already mentioned main module of the competition is preferably a modular design itself and consists of sub-modules. The modular design is known from Swiss patent CH 679 871 and is hereby incorporated by reference.

도 1은 오직 예증을 위한 도면이다. 경사 통경기에서, 본 발명과 관련하여 분리된 오르내리 요소의 이송을 위한 장치가 설치되어야 하는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기계와 상당히 다를 수 있는 문자 그대로 혹은 자세히 설명될 수 있는 모듈 같은 것이다.1 is for illustration only. In inclined tillers,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for the transport of separate ordinal elements has to be installed, for example as a module that can be described literally or in detail which can be quite different from the machine shown in FIG. .

도 2에 조립된 것과 같이, 통경 바늘(7)은 통경 모듈의 주 통합부분을 형성하고, 이 모듈은 그립퍼(gripper) 밴드(16)와 이것으로 이송되는 고정 그립퍼(17)로 구성된다. 통경바늘(7)은 가이드(guide)(18) 같은 채널 안에서 왕복운동 방향(화살표 P)으로 움직이는데, 이 가이드(18)는 직선 방향에 있는 프레임(5)으로 부터 아치모양의 말단부분(19)까지 뻗어있다. 가이드(18)는 통경기를 통과하는데, 오르내리 장치(드롭퍼(LA),잉아(LI))가 있는 부분과 바디(WB)가 있는 부분에서 끊기게 되는데, 이는 오르내리 장치가 끌어내림 위치에 공급되도록 하며, 그것들을 이송하고, 통경 후에는 이송부재(드롭퍼 이송기(12) 혹은 잉아 프레임(14))에 이동하고 경사를 바디(WB)로 끌어당길 때까지 이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As assembled in FIG. 2, the diameter needle 7 forms the main integral part of the diameter module, which consists of a gripper band 16 and a fixed gripper 17 conveyed thereto. The penetrating needle 7 moves in a reciprocating direction (arrow P) in a channel such as a guide 18, which guides the arched end 19 from the frame 5 in a straight direction. Stretched out The guide 18 passes through the tube, where it is cut off at the part with the up and down device (dropper LA, Ina LI) and at the part with the body WB, which is supplied to the down position. It is to convey them, and to move them to the conveying member (dropper conveyer 12 or the carp frame 14) after diameter, and to move until it pulls incline to the body WB.

드롭퍼(LA) 혹은 잉아(LI)를 통경 위치까지 공급하고, 드롭퍼 분배기(LD) 혹은 잉아 분배기(HD) 수단에 의해 각각의 이송부재를 이동할 때까지 이것들을 이송시킨다. 두 개의 부모듈이 안정성있게 작동하도록 하기 위해, 각각의 오르내리장치요소는 개별적으로 정확한 시간에 공급되어야 한다. 두 개의 부모듈(LD),(LH)은 기본적으로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데, 여기에 공급된 오르내리 요소를 순차적으로 운반하여 통경 위치까지 이송하고, 통경이 끝난 후에, 이송부재를 이동시키는 이송위치까지 이동시키는데, 정확히 말해 드롭퍼 이송 레인(12) 혹은 잉아 프레임(14)이 이송되는 것이다.The dropper LA or the carp LI is supplied to a diameter position, and these are conveyed until each conveying member is moved by the dropper dispenser LD or the carp dispenser HD means. In order for the two submodules to work stably, each lift mechanism element must be supplied individually and at the correct time. The two sub-modules LD and LH basically perform the same function. The two ore modules LD and LH are sequentially transported to the telescopic position by transporting the up and down elements supplied thereto. In other words, the dropper conveying lane 12 or the carp frame 14 is conveyed.

도 3은 날실 통경기의 공급장치(20)를 도시한다. 상기 공급장치는 잉아(LI)에 대한 두 개의 비스듬한 이송 레일(21),(22) 셋트를 갖는다. 잉아 더미(23)는 두 개의 레인에 정렬되어 있고, 잉아(LI)는 각각의 상단 및 하단 레일의 고리에 밀려져 있다. 잉아(LI)는 레일의 종축과 평행한 방향(화살표 24의 방향으로)으로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는데, 하단 레일(21) 부분에 움직이도록 정렬된 슬라이드(slide) 형태의 중량은 더미(23)의 마지막 잉아를 지탱한다. 그러므로 화살표(24)는 또한 슬라이드에 의해 더미(23)에 미치는 압력의 효과적인 방향을 나타낸다. 두 개의 레일이 수평에 대해 비스듬하게 되어 있는 곳의 각도는 잉아더미(23)에 남아있는 잉아(LI)의 수와 관계없이 선택되어지고, 최선두 잉아(25)는 분리장치(26)에 대해 거의 일정한 힘을 견딘다. 이러한 형식의 공급장치(20)는 스위스 특허 출원 1998 1864/98에 공지되어 있고, 본 발명에 참고로 사용되었다.3 shows a supply device 20 for warp threading. The feeder has two sets of oblique conveying rails 21, 22 for the carp LI. The carp dummy 23 is arranged in two lanes, and the carp LI is pushed in the loops of the respective upper and lower rails. Carp LI is made to move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rail (in the direction of arrow 24). Although not shown, the weight in the form of a slide aligned to move on the lower rail 21 portion bears the last carp of the pile 23. The arrow 24 therefore also indicates the effective direction of the pressure exerted on the dummy 23 by the slide. The angle where the two rails are slanted relative to the horizontal is chosen irrespective of the number of relies (LI) remaining in the ream pile (23), and the best head car (25) is almost relative to the separator (26). Withstands constant force. A feeder 20 of this type is known from Swiss patent application 1998 1864/98 and used by refer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일점 쇄선으로 계략 도시된 것은 이탈 부재(30),(31)가 두 개의 레일(21),(22)의 하단 단부(21a),(22a)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3은 또한 일점 쇄선으로 분리부재(32)를 도시한다. 이 두 개의 이탈부재(30),(31)는 잉아더미(23)로부터 최선두 잉아(25)를 분리하며, 상기 잉아를 레일(21),(22)의 단부(21a),(22a)에 이송하며, 그 후에 분리 부재(32)는 다음 단계를 위해 잉아(25)를 더미(23)로부터 분리한다. 레일 단부에서, 각각의 잉아는 분리 장치(26)에서 이송 수단(33)으로 이송된다.FIG. 3 schematically shows the breakaway members 30 and 31 at the lower ends 21a and 22a of the two rails 21 and 22, respectively. 3 also shows the separating member 32 in dashed dashed line. The two separating members 30 and 31 separate the head of the carp 25 from the carp pile 23 and transfer the carp to the ends 21a and 22a of the rails 21 and 22. The separating member 32 then separates the carp 25 from the dummy 23 for the next step. At the rail end, each carp is conveyed from the separating device 26 to the conveying means 33.

예증적 실시예에서, 이송수단(33)은 두 개의 순환 이동 밴드(34),(35)를 갖도, 거기에 수용 스파이크(26)가 배열되어 있다. 잉아(LI)는 그 고리모양과 함께 이탈부재(30),(31)로 인해 상단 및 하단 이송 밴드(34),(35)의 수용 스파이크(36)로 떠밀려진다. 횡단면으로 부분 도시된 이송 밴드(34),(35)의 이동방향은 도3의 도면 평면에 대해 직각이다. 그러므로 두 개의 이송 밴드(34),(35)는 도 3의 (37)에 의한 평면으로 이동한다. 그러므로 최선두 잉아(25)는 이송밴드(34),(35)에 단단히 고정되며, 하단 이송 밴드(35)의 각 수용 스파이크(36)는 잉아가 이송되는 시간에 스프링(38) 힘의 반대인 상단 이송 밴드(34)의 방향으로 옮겨질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수용 스파이크는 여기에 작용하는(도시안됨) 공기 실린더 수단으로 옮겨질 수가 있다.In an illustrative embodiment, the conveying means 33 has two circular movement bands 34, 35, but the receiving spike 26 is arranged therein. The carp LI is pushed into the receiving spikes 36 of the upper and lower conveying bands 34 and 35 due to the release members 30 and 31 together with the ring shape thereof.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conveying bands 34, 35, partly shown in cross section, is perpendicular to the drawing plane of FIG. 3. Therefore, the two transfer bands 34, 35 move in the plane by 37 in FIG. Therefore, the leading head carp 25 is firmly fixed to the transfer bands 34 and 35, and each receiving spike 36 of the lower transfer band 35 has an upper end opposite to the spring 38 force at the time when the carp is transferred. It can be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conveying band 34. For example, the receiving spike can be transferred to an air cylinder means acting on it (not shown).

도 4에서, 분리 부재(32)에 있는 분리 나이프(knife)(40)의 모서리(41)는 최선두 잉아(25)를 더미(23)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최선두 잉아(25)에 대해 측면으로 압착된다. 그 결과, 최선두 잉아(25)는 이송방향(화살표 24)의 수직인 방향(42)과는 달리 빗나간 방향이거나 구부러진 방향이 된다. 분리부재(32)에 있는 더미압착기(45)의 노우즈(43)는 측면으로 압착되는 최선두 잉아 및 더미(23) 사이의 화살표(44) 방향에 따라 동시에 회전축을 따라 회전한다. 더미 압착기(45)는 나이프(40)의 복귀 행정에 대한 시간의 차이를 두고 뒤로 회전하며, 최선두 잉아를 분리 나이프(40)의 반대측면으로 이동한다. 이 위치에서, 잉아에 의해 다시 구부러진다. 이러한 형식의 분리 부재는 본 출원인의 국제 특허 출원 PCT/CH98/00400에 공지되어 있다. 이 출원의 내용은 분리부재(32)의 기능과 설계에 부합하기 위해 참고로 제시되어 있다.In FIG. 4, the edge 41 of the separating knife 40 in the separating member 32 is squeezed laterally with respect to the leading head carp 25 to separate the leading head carp 25 from the dummy 23. . As a result, the head of the chief 25 is in a deflected or bent direction, unlike the direction 42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direction (arrow 24). The nose 43 of the dummy compactor 45 in the separating member 32 rotates along the axis of rotation at the same tim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44 between the best head Ina and the dummy 23 compressed to the side. The dummy compactor 45 rotates back with a time difference for the return stroke of the knife 40 and moves the head head caravan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eparation knife 40. In this position, it is bent again by the carp. Separation members of this type are known from the applicant's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CT / CH98 / 00400. The contents of this application are presented for reference to match the function and design of the separating member 32.

상단 및 하단 이탈 부재(30),(31)는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와 도 6에서 하단 이탈 부재(31)는 공기 실린더(48)로 구성되고, 피스톤 로드(49)에는 베어링 접촉(47)으로 회전레버(40)에 회전 가능하게 맞물려 있다. 최선두 잉아(25)를 하단 이송밴드(35)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피스톤 로드(49)는 도 5에 도시된 최대 연장 위치로부터 실린더(48)로 밀려나야 된다. 회전레버(50)가 홈 링크를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도시안됨), 드라이버(driver)(51)는 자유로운 위치에 있으며, 레버(50)는 같은 시간에 이동밴드(35)의 방향과 이송방향(24)의 교차점에서 원형아치 모양을 따라 회전한다. 분리 나이프에 의해 유동적인 잉아의 편차로 인해, 더미 압착기가 변위 이동하고 최선두 잉아가 풀리게 되는데, 잉아는 레버(50)의 드라이버(51) 앞에서 미리 가져오게 된다. 그러므로 회전 레버(50)는 상기 레버가 회전 운동하는 동안(도 5의 화살표 53) 이미 분리된 최선두 잉아(25)를 넘기게 된다. 드라이버(51)는 하단 이송기 레일(22)의 하단 고리에 있는 잉아(25)를 하단 이송 밴드(35)의 수용 스파이크(36)로 밀어낸다.The upper and lower release members 30 and 31 can be used continuously. In FIG. 5 and FIG. 6, the lower end release member 31 is composed of an air cylinder 48, and the piston rod 49 is rotatably engaged with the rotary lever 40 by a bearing contact 47. In order to move the head head ingot 25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feed band 35, the piston rod 49 must be pushed into the cylinder 48 from the maximum extended position shown in FIG. Since the rotary lever 50 moves along the home link (not shown), the driver 51 is in a free position, and the lever 50 is at the same time the direction of the moving band 35 and the conveying direction ( At the intersection of 24, rotate along the circular arch shape. Due to the fluid variation of the carp by the separating knife, the dummy compactor is displaced and the best head car is released, which is brought before the driver 51 of the lever 50. The rotary lever 50 therefore turns over the already best head carp 25 while the lever rotates (arrow 53 in FIG. 5). The driver 51 pushes the ingot 25 in the lower ring of the lower conveyor rail 22 into the receiving spike 36 of the lower conveying band 35.

도 7와 도 8은 상단 이송기 레인(21)에 있는 이탈 부재(30)를 도시한다. 분명한 도식을 위해, 분리 부재 혹은 하단 이탈 부재 혹은 도 8에 있는 하단 이송기레일을 나타내지 않는다. 상단 이탈부재(30)는 이중돌출 레버(61)로 설계된 이송수단으로 구성된다. 레버(61)는 회전 가능한 회전 샤프트(shaft)(62)와 함께 두 개의 돌출부 사이의 상단 단부에 구비된다. 회전부재를 작동하기 위해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공기 실린더가 홈 링크를 통해 레버(61)의 샤프트(62)에 연결되어 있다. 회전샤프트(62)는 대략 수평으로 되어 있고, 이송밴드(34)의 반대위치에 있는 레일(21)의 단부(21a) 위에 정렬되어 있다. 회전샤프트(62)가 두 개의 레인(21),(22)의 종축으로 뻗은 가장의 평면에 놓여있기 때문에, 회전 부재는 이 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어있다. 이 평면(63)은 도 7에서 도면의 평면과 일치한다.7 and 8 show the release member 30 in the top conveyor lane 21. For the sake of clarity, no separation member or bottom release member or bottom conveyor rail in FIG. 8 is shown. The upper detachment member 30 is composed of a conveying means designed as a double protrusion lever (61). The lever 61 is provided at the top end between the two projections together with the rotatable shaft 62. To operate the rotating member, although not shown, an air cylinder is connected to the shaft 62 of the lever 61 via a groove link. The rotary shaft 62 is approximately horizontal and is aligned above the end 21a of the rail 21 opposite the transfer band 34. Since the rotary shaft 62 lies in the plane of the hea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two lanes 21, 22, the rotating member is perpendicular to this plane. This plane 63 coincides with the plane of the figure in FIG. 7.

레버의 첫 번째 구부러진 림(limb)은 변위 수단(64)으로 설계되었고, 이송밴드(34),(35)의 방향으로 최선두 잉아(25)를 옮기는 역할을 한다. 이같은 목적으로, 레버(61)의 면은 이송밴드를 향에 위치해 있는데, 비스듬한 변위면(65)으로 설계되었다. 변위면(65)은 림 부분에만 작동하는데, 특히 림의 자유단부(67)까지 레일(21)의 바로 아래의 킹크(kink)(66)까지이다.The first bent limb of the lever is designed as a displacement means 64 and serves to move the leading head carp 25 in the direction of the feed bands 34, 35. For this purpose, the face of the lever 61 is located facing the conveying band, which is designed with an oblique displacement face 65. The displacement surface 65 operates only on the rim part, in particular up to the free end 67 of the rim up to the kink 66 just below the rail 21.

변위면(65)은 레버의 하단 자유단부(67)가 이송밴드(34),(35)에 의해 형성된 가장 평면(68)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것 같이 경사져있다. 레버(61)와 평면(68) 사이의 거리는, 첫 번째 림의 자유단부(67)로 시작해서 림의 킹크(66)까지 계속해서 줄어든다. 반대로, 레버(61)의 면(69)(뒤부분)은 잉아더미(23)와 반대에 위치하는데, 평면(68)에 평행하고, 회전샤프트(62)에 직각이며 또한 수직이다. 평면(68)과 면(69)은 약10°정도의 각도를 이루어야 한다.The displacement surface 65 is inclined as if the lower free end 67 of the lever is far from the most plane 68 formed by the transfer bands 34, 35. The distance between the lever 61 and the plane 68 decreases starting with the free end 67 of the first rim and continuing to the kink 66 of the rim. Conversely, the face 69 (back) of the lever 61 is located opposite to the pile 23, parallel to the plane 68 and perpendicular to the rotary shaft 62 and perpendicular to it. Plane 68 and face 69 should be at an angle of about 10 degrees.

두 번째 림은 유지수단(70)으로 구비되고, 상단 레일(21)의 단부(21a) 위에 위치해 있다. 킹크(72)와 자유단부(73) 사이에서, 상기 림은 유지부분(74)으로 구비된다. 유지부분(74)은 두 개의 레일의 평면(63)에 거의 직교로 된 방향으로 결정된 길이를 갖는다. 레버(61)의 특정한 회전위치에서, 상단 레일(21) 위에서 잉아더미(23)가 쐐기형상의 유지부분(74)을 떠맡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번째 림의 유지부분(74)은 레버의 변위면(65) 보다 이송밴드의 평면(68)으로부터 많이 떨어져 있다.The second rim is provided with retaining means 70 and is located above the end 21a of the upper rail 21. Between the kink 72 and the free end 73, the rim is provided with a retaining portion 74. The retaining portion 74 has a length determin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63 of the two rails. In a particular rotational position of the lever 61, the pile 23 is held by the wedge-shaped retaining portion 74 on the upper rail 21. As shown in FIG. 7, the retaining portion 74 of the second rim is farther from the plane 68 of the transfer band than the displacement surface 65 of the lever.

레버(61)는 상기 분리 장치(26)가 최선두 잉아가 더미로부터 분리되자마자 회전하며, 이 잉아는 하단 이탈부재(31)에 의해 하단 이송 밴드(35)의 수용 스파이크로 이미 눌려지게 된다. 레버의 첫 번째 림(변위수단(64))의 하단 단부는 최선두 잉아(25)와 잉아더미(23) 사이를 뚫고 가게 된다. 그 결과, 첫 번째 림은 자체 변위면(65)에 있는 점에서, 잉아(25)의 면과 접촉하게 되고, 상기 면은 잉아더미(23)를 향해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단계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최선두 잉아(25)는 유지부분(74)에 대한 상단 단부(25a)에 놓이게 된다. 회전 부재로 인해, 유지 부분(74)은 최선두 잉아(25)와 전체 더미(23)를 풀어주게 되고, 그 후에 변위 면(25)은 최선두 잉아(25)를 지탱하게 된다. 그러나, 유지부분(74)을 지탱하는 대신에, 더미(23)는 하단 레일(21) 아래에서 잉아더미(23)를 향해있는 첫 번째 림의 면(69)을 지탱하게 된다.The lever 61 rotates as soon as the separation device 26 separates the head of the carp from the pile, which is already pressed by the lower release member 31 to the receiving spike of the lower transport band 35. The lower end of the first rim of the lever (displacement means 64) penetrates between the leading head carp 25 and the carp pile 23. As a result, the first rim is in contact with the face of the carp 25 at a point on its own displacement surface 65, which face is positioned towards the carp pile 23. This step is shown in FIG. The leading head carp 25 is placed at the upper end 25a to the retaining portion 74. Due to the rotational member, the retaining portion 74 releases the leading head carp 25 and the entire pile 23, after which the displacement surface 25 bears the leading head carp 25. However, instead of holding the retaining portion 74, the dummy 23 bears the face 69 of the first rim facing the carp pile 23 below the bottom rail 21.

레버(61)의 연속적인 회전 이동으로 인해, 잉아(25)와 변위수단(64)의 사이의 접촉점은 잉아(25)의 상단 고리(단부(25a)) 방향으로 변위면(65)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한, 레버의 변위면(65)이 평면(68) 방향을 따라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레버(61)는 상단 이송밴드(34) 방향으로 상단 단부(25a)와 함께 잉아를 밀어내게 된다. 이 단계에서, 더미(23)는 또한 레버(61)의 변위수단(64)의 뒤쪽 면을 지탱하게 되고, 레버에 의해 유지된다. 레버의 변위면(65)은 도 7 도면의 평면에 가로방향으로 잉아를 압착하거나 손상을 주지 않고(자동잠금을 피하기 위해) 잉아를 따라 미끄럼 운동을 해야한다. 변위 면(65)과 수직한 것으로 형성되는 적당한 각도는 레버와 잉아의 재료에 따라 선택되어 진다.Due to the continuous rotational movement of the lever 61,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carr 25 and the displacement means 64 moves along the displacement surface 65 in the direction of the top ring (end 25a) of the carr 25. Done. In addition, since the displacement surface 65 of the lever is inclined along the plane 68 direction, the lever 61 pushes the ingot together with the upper end 25a in the upper conveying band 34 direction. In this step, the dummy 23 also bears the rear face of the displacement means 64 of the lever 61 and is held by the lever. The displacement plane 65 of the lever should slide along the hed without squeezing or damaging the h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the plane of Fig. 7 (to avoid self-locking). The appropriate angle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displacement plane 65 is chosen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lever and the carp.

잉아(25)가 이러한 방법으로 상단 이송밴드(34)의 수용 스파이크(36)에 눌려진 다음에, 레버(61)는 최대 편차에 도달하고(두 번째 사점), 상기 레버는 초기 위치를 향해 뒤로 회전한다. 이러한 경우, 쐐기 형상의 유지부분(74)이 잉아 더미(23)의 앞에 있는 자유단부(74a)와 만나는 점에 도달하게 되지만, 잉아 더미의 최선두 잉아와는 아직 접촉하지 않는다. 이송밴드(34),(35)의 방향의 면(69)에 대한 자유 단부(74a)의 오프셋 때문에, 이러한 접촉은 첫 번째 사점의 방향에서 레버(61)의 연속적인 회전 운동을 할 동안만 일어난다. 그런 다음, 변위수단(64)의 뒤쪽 대신에 유지부분(74)이 또다시 잉아더미를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레버의 모양으로 인해, 그 더미는 레버(61)가 첫 번째 사점에서 두 번째 사점으로 진동 운동하는 동안 측면으로 압착되지 않으며, 뒤로 다시 돌아가지 않는다. 레버가 초기 위치(첫번째 사점)에 도달한 후에, 새로운 사이클 즉, 회전의 잉아가 더미에서 이탈되는 사이클이 시작된다.After the carp 25 is pressed in the receiving spike 36 of the upper feed band 34 in this way, the lever 61 reaches a maximum deviation (second dead point) and the lever rotates back toward the initial position. do. In this case, the wedge-shaped retaining portion 74 reaches the point where it meets the free end 74a in front of the carp dummy 23, but is not yet in contact with the head of the carp dummy. Because of the offset of the free end 74a with respect to the face 69 in the direction of the feed bands 34, 35, this contact takes place only during the continuous rotational movement of the lever 61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dead center. . Then, instead of the rear of the displacement means 64, the retaining portion 74 again performs the function of holding the pile. Due to the shape of the lever, the pile is not squeezed laterally while the lever 61 vibrates from the first dead point to the second dead point and does not go back again. After the lever has reached its initial position (first dead point), a new cycle begins, ie a cycle in which the carb of rotation leaves the dummy.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이송수단으로 구비되는 드롭퍼 분리 장치가 공급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 dropper separating device provided as a conveying means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pplied.

Claims (13)

잉아 혹은 드롭퍼 같은 오르내리 요소가 정렬된 날실 통경기에서, 경사는 개별적으로 분리 가능한 오르내리 요소의 더미를 수공하기 위한 장치와 오르내리 요소를 분리 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 구비되고, 분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 및 이탈 부재를 포함하고, 이탈부재는 더미로부터 최선두 오르내리 장치를 분리하며 그 다음 더미로부터 이탈하며, 이미 분리된 오르내리 요소를 이송장치의 방향의 더미로부터 멀리하게 하며, 이송장치는 날실 통경기에 오르내리 요소를 이동하고, 적어도 하나의 유지 수단은 더미에 대해 지탱되도록 하며, 분리장치의 이탈부재(30)의 변위수단(64)과 적어도 하나의 유지수단(70)은 구조적으로 이송수단에(60)서로 조합되어 있고, 이 두 가지는 이송요소의 변위 방향(25)으로부터 벗어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실 통경기.In warp threaders, in which warp or drop elements, such as a carp or dropper, are aligned, the warp is provided with a device for handing a pile of individually separable oreuri elements and a device for supplying the oreri elements to a separation device, wherein the separation device is At least one separating and disengaging member, wherein the disengaging member separates the best two up and down devices from the pile and then moves away from the pile, keeping the already separated up and down elements away from the pile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port device. Moves the element up and down in the warp thread, the at least one retaining means is supported against the pile, and the displacement means 64 and the at least one retaining means 70 of the separating member 30 of the separating device are structurally Combined with the conveying means 60, both of which can move in a direction deviating from the displacement direction 25 of the conveying element Warp warp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변위수단(64)과 유지수단(70)은 이송수단(60)에서 하나의 부품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실 통경기.A warp warp tube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cement means (64) and the retaining means (7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one piece in the conveying means (60). 상기 하나 혹은 두 가지 모두의 청구항에 있어서, 이송 수단(60)은 레버(61)를 갖고, 첫 번째 림은 변위수단(64)의 통합 부분이고, 두 번째 림은 유지수단(70)의 통합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실 통경기.In one or both of the claims, the conveying means 60 has a lever 61, the first rim is an integral part of the displacement means 64, and the second rim is an integral part of the retaining means 70. Warp warp characterized in that it is. 상기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청구항에 있어서, 이송수단(60)은 샤프트(6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실 통경기.Warp warp machine according to one or more of the claim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veying means (60) is rotatably aligned with respect to the shaft (62). 상기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청구항에 있어서, 이송 수단(60)은 이송장치의 이송부재(33)가 움직이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실 통경기.The warp thread tube according to one or more of the claim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fer means (60) can mov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nsfer member (33) of the transfer device moves. 제 3 항에서 제 5 항까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청구항에 있어서, 레버의 첫 번째 위치는 변위면(65)으로 구비되고, 레버(61)가 이동함에 따라 분리된 오르내리 요소를 지탱할 수 있으며, 뒤쪽에서 오르내리 요소의 더미가 특정한 시간에 지탱하는 면(69)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실 통경기.Claims 1 to 5, in accordance with one or more of the claims, the first position of the lever is provided with a displacement surface 65, capable of supporting a separate up and down element as the lever 61 moves, A warp warp, characterized in that the pile of up and down elements has a surface (69) supporting at a particular time. 상기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청구항에 있어서, 오르내리 요소 더미는 변위수단(64)이 분리된 오르내리 요소와 접촉할 때까지 유지수단(70)에 의해 유지됨에 따라, 이송수단(60)의 형상은 분리된 오르내리 요소에 의한 움직임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실 통경기.In one or more of the claims, the pile up and down elements are held by the holding means 70 until the displacement means 64 are in contact with the separated up and down elements, so that the shape of the transfer means 60 is separated. The warp thread game characterized by the same movement by the added up and down elements. 상기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청구항에 있어서, 이송기 레일(21,22)은 수용 잉아(LI)로 구비되고, 이송수단(60)은 두 개의 이송기 레일의 중 적어도 하나에 잉아를 교체하는 것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실 통경기.In one or more of the claims, the feeder rails 21, 22 are provided with receiving inlets LI, and the conveying means 6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the two feeder rails for replacing the ingots. Warp warp characterized in that. 제 8 항에 있어서, 잉아의 하나의 단부를 드라이버(51)가 이동하여 이송장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첫 번째 이탈부재(30,31)의 드라이버(51)는 최선두 잉아(25)와 더미 사이에 올 수 있고, 나머지 잉아의 단부를 이송장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각각의 잉아와 더미 사이에 두 번째 이탈부재(30,31)가 위치함으로 인해 최선두 잉아(25)가 더미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분리부재(32)를 특징으로 하는 날실 통경기.9. The driver (51) of the first disengagement members (30, 31) is placed between the head of the carp (25) and the dummy in order to move one end of the carp to the conveying device. And a separation member 32 in which the second head member 25 can be separated from the dummy due to the positioning of the second release members 30 and 31 between each carp and the dummy to move the remaining end of the carp to the transfer device. Warp war game characterized by). 잉아나 드롭퍼 같은 오르내리 요소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는 각각 개별적으로 더미로부터 분리되어 날실 통경기의 이송장치에 구비되어 있는데, 이 장치는 오르내리 요소의 더미를 수용하는 장치로 구비되고, 오르내리 요소를 분리장치에 공급하는데, 이 분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 및 이탈부재를 포함하고, 이 두 부재는 최선두 오르내리 요소를 더미로부터 분리하며, 다음 번 또다시 더미로부터 이탈하기 위해 이미 분리된 오르내리 요소를 이송장치 방향으로 더미로부터 멀리하게 하며, 더미에 대해 지탱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수단이 있고, 분리 장치의 이탈부재(30,31)에 있는 변위 수단(64)과 적어도 하나의 유지 수단(70)은 구조적으로 이송 수단(60)과 서로 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아나 드롭퍼 같은 오르내리 요소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The device for transporting ornary elements, such as carp or dropper, is separately provided from the pile and is provided in the warp tube feeding device, which is provided with a device for receiving a pile of ornary elements. Supplying the separator to at least one separating and releasing member, which separates the two most up and down elements from the pile, and which has already been separated to remove it from the pile the next time. There is at least one retaining means which holds the element away from the pile in the direction of the conveying device, and which can bear against the pile, the displacement means 64 and the at least one retaining means in the release members 30, 31 of the separating device. 70 is for structurally conveying up and down elements, such as ingots and droppers,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combined with the conveying means 60. Device for. 제 10 항에 있어서, 변위 수단과 유지 수단은 오르내리 요소의 변위 방향으로부터 벗어나서 동시에 공동으로 이동할 수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1. A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displacement means and the retaining means are able to move away from the direction of displacement of the up and down elements simultaneously in a common manner. 분리 가능한 오르내리 요소를 오르내리 요소의 더미로부터 이송장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에서, 최선두 오르내리 요소가 이송장치로 이송하기 위해 붙들릴 수 있는 수단의 범위에 있는 분리장치의 수단으로 최선두 오르내리 요소가 첫 번째로 더미로부터 분리되고, 시차를 두어 오르내리 요소(25)의 첫 번째 단부는 첫 번째 이탈부재에 의해 이송장치로 이송되고, 오르내리 요소(25)의 두 번째 단부는 두 번째 이탈부재(30)에 의해 이송장치로 이송되며, 오르내리 요소의 변위 이동과 더미의 유지는 적어도 하나의 이탈부재의 수단으로 인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오르내리 요소를 오르내리 요소의 더미로부터 이송장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In a method for moving a removable ordinal element from a pile of ordinal elements to a conveyer, the best two ordary elements by means of a separator in the range of means by which the best ordinal element can be held for transport to the conveyer. Is first separated from the pile, and staggered so that the first end of the up and down element 25 is transferred to the transfer device by the first release member, and the second end of the up and down element 25 is the second release member. A removable oratory element from the pile of the ordnary el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veyed to the conveying device by 30, wherein the displacement movement and maintenance of the dummy is carried out by means of at least one detachment member. Method for moving to 제 12 항에 있어서, 첫번째 단부의 하단과 바로 다음 상단 단부가 이송장치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13. A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lower end of the first end and the immediately next upper end are conveyed to the conveying device.
KR1020017014207A 1999-05-07 2000-05-03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individual harness elements to a transport device KR2002000324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863/99 1999-05-07
CH86399 1999-05-07
PCT/CH2000/000243 WO2000068479A1 (en) 1999-05-07 2000-05-03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individual harness elements to a transport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3245A true KR20020003245A (en) 2002-01-10

Family

ID=4196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4207A KR20020003245A (en) 1999-05-07 2000-05-03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individual harness elements to a transport device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177339B1 (en)
JP (1) JP2002544399A (en)
KR (1) KR20020003245A (en)
AT (1) ATE264418T1 (en)
AU (1) AU3953900A (en)
DE (1) DE50006079D1 (en)
TR (1) TR200103176T2 (en)
WO (1) WO2000068479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99443B1 (en) 2008-12-19 2016-03-16 Stäubli AG Pfäffikon Mobile drawing-in uni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0358A (en) * 1987-07-10 1989-01-24 Teijin Seiki Co Ltd Heald magazine
JPH06104946B2 (en) * 1989-10-11 1994-12-21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Dropper separation device
CH680933A5 (en) * 1990-03-06 1992-12-15 Zellweger Uster Ag
IT1241799B (en) * 1990-09-25 1994-02-01 El & M S R L Soc METHOD AND DEVICE FOR THE SELECTION OF LICCI LINKS IN AN AUTOMATIC STRETCHING MACHINE.
JPH05117941A (en) * 1991-10-24 1993-05-14 Teijin Seiki Co Ltd Mechanism for randomly separating dropper
CH687027A5 (en) * 1992-03-11 1996-08-30 Staeubli Ag Zweigwerk Sargans Lamellensepariervorrichtung for Kettfadeneinziehmaschinen.
CH687881A5 (en) * 1993-09-13 1997-03-14 Staeubli Ag Zweigwerk Sargans Heald for Kettfadeneinziehmaschinen.
TW403797B (en) * 1997-09-23 2000-09-01 Staeubli Ag Pfaeffikon Method and apparatus for singularizing heal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68479A1 (en) 2000-11-16
EP1177339A1 (en) 2002-02-06
ATE264418T1 (en) 2004-04-15
AU3953900A (en) 2000-11-21
DE50006079D1 (en) 2004-05-19
JP2002544399A (en) 2002-12-24
EP1177339B1 (en) 2004-04-14
TR200103176T2 (en) 2002-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0306B2 (en) Drawing machine
RU2537283C2 (en) Printing device with use of embossing
US5287605A (en) Device for manipulating healds or drop wires in a warp-thread drawing-in machine
CN101331064A (en) Enveloping device
KR100460341B1 (en)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holding or distributing harness elements
NO30031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a plurality of articles in carriers
US518438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ngularizing healds for warp thread drawing-in machine
KR20020003245A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individual harness elements to a transport device
US5253404A (en) Apparatus for drawing warp yarns into a weaving reed
JP7017991B2 (en) Weft operation device without pseudo selvage in gripper loom
US6735836B2 (en) Device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a machine part, and needling loom equipped therewith
JPH05155532A (en) System to jointly replace and carry bobbin
RU2028394C1 (en) Warp-drawing-in device of loom
SE432268B (en) SET AND APPARATUS FOR INPUTING A STRING IN A ROVING, WHICH IS IN A CONTINUOUS MOVEMENT
US4905737A (en) Method for separating a broken warp thread at the warp stop motion from the warp sheet on a weaving machine, and a device which uses this method
KR20010075061A (en) Strand or lamella feeding system
JPS58186639A (en) Weft yarn drawing apparatus of loom
AU649280B2 (en) Machine for automatically inserting warp threads
JPH04263651A (en) Dropper separating device in drawing machine
EP3798168B1 (en) Cutting device, bobbin conveying device, bobbin supplying device and method for cutting yarn
CZ299933B6 (en) Carpet weaving loom
NO164374B (en) HOSE SETTING CONTROL IN A VENTILATION CHANNEL.
KR100277088B1 (en) Lead separator for warp feeder
US5036967A (en) Apparatus for extracting bobbin tubes from a magazine
CZ221294A3 (en) Device for selective transfer of heal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