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0182A - 자동차 엔진후드용 패드 - Google Patents

자동차 엔진후드용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0182A
KR20020000182A KR1020000034413A KR20000034413A KR20020000182A KR 20020000182 A KR20020000182 A KR 20020000182A KR 1020000034413 A KR1020000034413 A KR 1020000034413A KR 20000034413 A KR20000034413 A KR 20000034413A KR 20020000182 A KR20020000182 A KR 20020000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fiber
pad
engine hood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4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1262B1 (ko
Inventor
김재열
이동세
김준현
Original Assignee
김재열
삼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열, 삼우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재열
Priority to KR1020000034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1262B1/ko
Publication of KR20020000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0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2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8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cool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e.g. denser near its 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Landscapes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엔진 후드용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우수한 흡음효과와 동시에 소재의 재활용성 향상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에스텔섬유와 융점이 낮은 폴리에스텔 섬유를 혼합하고 카딩(carding)한 다음, 열성형하여 매트(mat)상태의 1차제품을 얻고, 상기 1차제품을 다층으로 적층한 다음 가열하여 이들이 상호 열융착되게 한 후 동시에 냉간성형한 다음 트리밍하여 제품을 제조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엔진후드용 패드{Pad for automobile engine hood}
본 발명은 주로 자동차용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열과 소음을 차단방지하기 위하여 후드 내에 장착사용하는 다층구조로 된 매트(mat) 및 패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엔진후드 저면에는 엔진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이나 소음을 차단, 방지하기 위한 패드를 장착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제공되고 있는 패드의 소재는 글라스울(유리섬유 + 수지)이나 레진펠트등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나, 소재의 재활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환경적 차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일부패드 소재의 경우 그 중량에 비하여 흡음성능이 우수하지 못한 단점이 있으며, 차량의 경량와 정책에 부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단점을 시정하고자 자동차용 엔진후드 내저면에 장착사용하는 패드를 구성함에 있어서, 흡음성이 우수하면서도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환경친화적인 제품이라고 말할수가 있다.
상기에서 우수한 흡음성을 제공받기 위하여 각기 다른 굵기(데니어)의 섬유사로 된 상태의 소재를 다층으로 적층, 열압착하여 매트(mat)의 소재로 사용하되, 매트(mat)층을 구성하는 각 섬유사들의 굵기가 다르게 구성하여 사용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동일한 굵기의 섬유사로 된 매트(mat)를 다층으로 적층, 열압착하여 매트(mat)를 제조하되, 각층의 밀도를 달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다른 방법으로는 다른 굵기의 섬유사를 서로 섞어서 매트를 제작하여 다층으로 적재 열압착하여 매트로 제조사용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의 조건으로 구성된 단층들의 두께를 서로 다르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되는 섬유사의 소재로는 융점이 약255℃인 폴리에스텔섬유(PET : Poly Ethlene Terephalate)와 LM섬유(Low Melting fiber)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에서 LM섬유(Low Melting fiber)의 구조는 내면에 융점이 약 250∼260℃인 폴리에스텔섬유가 구성되고, 외면에는 융점이 약180℃인 저융점섬유가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된 폴리에스텔 섬유와 저융점의 LM섬유를 혼합하여 요구되어지는 흡음성능에 따라 섬유사의 굵기와 매트(mat)의 밀도와 두께를 조절하여 매트(mat)로 제작되어진 1차제품을 얻는다.
이렇게 얻어진 1차제품을 설계된 흡음성능을 갖도록 적층하고, 열을 주어 가열한 후 즉시 냉간성형하고 트리밍을 함으로서 자동차 엔진 후드용 패드를 얻을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자동차 엔진 후드용 패드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매트(mat)를 제조하고자 하는 소재를 선별한다.
상기에서 사용되는 소재는 폴리에스텔 섬유를 50∼90wt%, 융점이 낮은 폴리에스텔 섬유를 10∼50wt%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약 7 : 3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폴리에스텔 섬유(PET : Poly Ethlene Terephalate)와 LM섬유(Low Melting fiber)가 혼합된 소재를 카딩(carding)공정을 통하여 두 소재가 골고루 혼합되도록 하며, 요구되어지는 흡음성능에 부합되게 평활한 상태로 펼쳐지게 한 다음, 롤러를 통하여 벌키성을 갖는 매트(mat)상태의 1차제품을 얻는다.
상기에서 얻어진 매트(mat)상태의 1차제품은 여러조건을 갖는 제품을 얻을수 있다.
즉 1차제품을 구성하는 섬유사의 밀도나 두께 및 굵기를 다르게 선정하여 사용할수 있으며, 사용되는 섬유사의 굵기는 요구되는 흡음성능에 따라서 대략 1∼20D(데니어)까지 폭넓게 사용되어 질수가 있다.
다양한 조건으로 얻어진 1차제품을 필요한 크기로 재단하고, 재단된 1차제품을 다층으로 적층한 다음 열간성형한다.
또한 굵기가 다른 섬유사를 혼합하여 매트(mat)상태의 1차제품을 얻고, 상기매트를 다층으로 적층하여 열간성형함으로서 자동차용 패드제품을 얻을 수가 있다.
상기에서 다층으로 적층되는 1차제품은 여러조건으로 할 수 있다.
즉 다층으로 적층되는 1차제품의 조건은 각층간 사용된 섬유사의 굵기를 달리하여 적층할수가 있다.
또한 굵기가 다른 섬유사를 혼합하여 1차제품을 제조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동일굵기의 섬유사로 패딩(padding)상태의 1차제품을 얻되, 밀도가 상이한 1차제품을 적층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또 다른 수단으로서는 상기 단층들의 두께를 서로 다르게 조합하여 적층하여 같은 굵기의 섬유로 된 1차제품의 두께를 달리하여 적층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각기 다른 조건의 1차제품을 다층으로 적층하는 것은 단층으로 구성된 제품보다 우수한 흡음효과를 얻을수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다층으로 적층된 매트(mat)상태의 1차제품을 결속함에 있어서 열융착에 의한 상호결속방법으로서 결속이 신속용이하고 결속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열간성형의 온도조건을 LM섬유의 융점보다는 높게, 폴리에스텔 섬유의 융점보다는 낮게 하는 것이 이상적이며, 이때의 온도조건은 180∼220℃정도가 적당하다.
상기한 온도조건으로 열간성형하게 되면 LM섬유가 용융되면서 근접한 폴리에스텔 섬유와 융착되어 서로 결속이 된다.
다층으로 적층된 매트(mat)상태의 1차제품을 가열하여 저융점섬유가 녹도록 한 후 다시 냉간성형한 다음 트리밍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자동차 엔진후드용 패드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엔진후드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패드를 제조함에 있어서, 폴리에스텔 섬유와 LM섬유를 골고루 혼합하여 패딩상태의 1차제품을 얻고 상기 1차제품을 다층으로 적층한 다음 열간성형하여 패드를 제조하되, 패딩상태의 1차제품은 각기 다른 굵기와 밀도 및 두께를 갖도록 함으로서 흡음효과를 증진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 엔진후드용 패드를 제작함에 있어서, 소재의 조성 즉 굵기와 밀도, 두께가 상이한 매트(mat)상태의 1차제품을 다층으로 적층한 다음 가열하여 저융점섬유를 용융시키고 냉간압착성형함으로서 우수한 흡음효과를 얻을수가 있으며 재생섬유의 활용과 패드의 재활용이 가능케 함으로서 환경친화적인 제품이라고 할수가 있다.

Claims (3)

  1. 자동차 엔진후드용 패드를 제조함에 있어서, 폴리에스텔 섬유와 융점이 낮은 폴리에스텔 섬유를 혼합하고 카딩(carding)한 웹(web)상태의 소재를 영융착하여 매트(mat)상태의 1차제품을 얻고, 상기 매트(mat)상태의 1차제품을 다층으로 적층한 다음 열을 가함으로서 LM섬유가 용융되어 섬유상호간 융착되게 하고, 당시 냉간성형한 다음 트리밍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후드용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다층으로 적층되는 매트(mat)는 매트(mat)를 구성하는 섬유사의 굵기나 밀도 및 두께를 달리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후드용 패드.
  3. 제1항에 있어서, 서로 굵기가 다른 섬유사를 혼합하여 다층으로 적층되는 매트(mat)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후드용 패드.
KR1020000034413A 2000-06-22 2000-06-22 자동차 엔진후드용 패드 KR100361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413A KR100361262B1 (ko) 2000-06-22 2000-06-22 자동차 엔진후드용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413A KR100361262B1 (ko) 2000-06-22 2000-06-22 자동차 엔진후드용 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182A true KR20020000182A (ko) 2002-01-05
KR100361262B1 KR100361262B1 (ko) 2002-11-18

Family

ID=19673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413A KR100361262B1 (ko) 2000-06-22 2000-06-22 자동차 엔진후드용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12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531B1 (ko) * 2002-06-03 2004-09-30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자동차용 엔진후드 성형기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880468B1 (ko) * 2002-09-02 2009-01-28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자동차 엔진후드 성형기재 및 그 제조방법
TWI644793B (zh) * 2016-08-31 2018-12-21 Huvis 股份有限公司 包含低熔點聚酯樹脂的包裝托盤面板及其製備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13705A1 (de) * 1975-03-27 1976-10-07 Dynamit Nobel Ag Motorhaubenauskleidung fuer kraftfahrzeuge
JPH0796792A (ja) * 1993-09-29 1995-04-11 Hayashi Gijutsu Kenkyusho:Kk 成形敷設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20291A (ja) * 1994-07-08 1996-01-23 Hayashi Gijutsu Kenkyusho:Kk 自動車用内装基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531B1 (ko) * 2002-06-03 2004-09-30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자동차용 엔진후드 성형기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880468B1 (ko) * 2002-09-02 2009-01-28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자동차 엔진후드 성형기재 및 그 제조방법
TWI644793B (zh) * 2016-08-31 2018-12-21 Huvis 股份有限公司 包含低熔點聚酯樹脂的包裝托盤面板及其製備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1262B1 (ko) 200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1386B2 (en) Moldable heat shield
KR101279522B1 (ko) 내열 및 접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기지재 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천정재용 경량 천연섬유강화복합보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1015513B1 (ko) 자동차 내장재용 경량복합판재
US9586380B2 (en) Moulded multilayer lining for heat and sound insulation
US6572723B1 (en) Process for forming a multilayer, multidensity composite insulator
US5549776A (en) Self-supporting impact resistant laminate
KR101650343B1 (ko) 성형 다층 라이닝의 제조 방법
US20030176131A1 (en) Insulating material
RU2074914C1 (ru) Волокнистый материал,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волокнистого мата,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формованного изделия (варианты) и формованное изделие
KR100802677B1 (ko) 수직 배열 구조를 가진 흡음재와 그 제조방법
KR100862308B1 (ko) 다층구조의 자동차용 천정재
JP2008529869A (ja) 自動車用天井材
KR100921073B1 (ko) 자동차용 플로워카페트 및 이의 성형방법
US20080075911A1 (en) Multilayer, composite, fleece materia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composite, fleece material
KR100361262B1 (ko) 자동차 엔진후드용 패드
KR101901257B1 (ko) 차량의 엔진용 커버 및 그 제조방법
JP2005513286A (ja) モールド可能な複合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67505B2 (ja) 多密度構成のフェルト吸音材
KR101704195B1 (ko) 차량 외장용 섬유 부품 및 제조 방법
KR100450531B1 (ko) 자동차용 엔진후드 성형기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810396B1 (ko) 자동차용 플로우카페트 기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30221A (ko) 차량용 언더플로워
KR102129992B1 (ko) 고내열 및 강성 경량 보호소재와 그의 제조방법
KR100341097B1 (ko) 자동차용 선쉬이드보드의 제조방법
KR20210146494A (ko) 자동차 엔진커버 또는 엔진언더플로어용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3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