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515Y1 - 유아용 포유병의 즉석 가온(加溫)장치 - Google Patents

유아용 포유병의 즉석 가온(加溫)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515Y1
KR200199515Y1 KR2019980015820U KR19980015820U KR200199515Y1 KR 200199515 Y1 KR200199515 Y1 KR 200199515Y1 KR 2019980015820 U KR2019980015820 U KR 2019980015820U KR 19980015820 U KR19980015820 U KR 19980015820U KR 200199515 Y1 KR200199515 Y1 KR 2001995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milk
heating
presen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58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5125U (ko
Inventor
이수혁
Original Assignee
이수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혁 filed Critical 이수혁
Priority to KR20199800158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515Y1/ko
Publication of KR200000051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1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5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515Y1/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포유병의 즉석 가온장치에 관한 것으로 때와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유아에게 항상 적정온도로 데운 우유를 먹일 수 있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본 고안은 발열체 즉, 물과 접촉하면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발열되면서 수증기를 발산하는 발열석(22)과 물을 수용한 소정의 튜브(21)를 함께 포장한 카트리지(20), 그리고 상기 튜브를 침봉(31)으로 파괴하는 침봉판(30) 등을 주름팩(10)의 저부에 내장하여된 구조이다.
본고안 사용시에는 상기 주름팩 내측으로 우유가 수용된 포유병을 삽입하여 아래로 눌러주면 침봉판의 침봉에 의해 튜브가 파괴되면서 물과 발열석이 접촉하여 뜨거운 수증기를 발산케 함으로써 포유병 내의 우유를 가온시켜 주게 된다.
본 고안은 유아용 포유병의 즉석 가온을 주된 목적으로 하나 캔, 병, 팩 등에 수용된 제반 식음료도 즉석에서 가열하여 먹을 수 있다.
본 고안은 주부들에게 일층 편리함을 제공하게 되고 특히 가족 외출시에도 유아에게 항상 적정온도의 우유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유아의 건강유지에도 매우 바람직 할 뿐아니라 유아의 성장발육에도 크게 도움이 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아용 포유병의 즉석 가온(加溫)장치
본 고안은 때와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유아에게 항상 따뜻하게 데운 우유를 먹일 수 있도록 안출된 유아용 포유병의 즉석 가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와 함께 가족들의 외출시 유아에게 제공할 우유를 포유병에 담아 휴대하게된다. 이때 시간이 경과할수록 우유는 냉각 되는데 이와같이 차거운 우유는 기호성이 떨어지고 특히 면역성이 약한 유아에게 부작용을 초래하기도 한다.
또한 동절기에는 우유를 보온상태로 오래 보관하면 미생물의 오염이 우려되고 또 일반저으로 우유를 넣은 포유병을 휴대가방 등에 깊숙히 보관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그 보온정도는 극히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우유를 별도의 보온병에 수용하여 수유시 마다 포유병에 옮겨 담은후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보온병을 별도로 휴대함으로서 휴대품이 가중되는 불편함이 지적된다.
통상 흔히 경험하고 보아왔듯이 가족 나들이 등 외출시 유아에게 우유를 먹이되 유아에게 그 만족할만한 적정온도(약 40°∼50°C)의 우유를 적기에 먹인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인식 되고있다.
특히 지하철 이나 가족단위의 모임등 다수인이 운집한곳 등에서는 주위를 의식하여 우유가 아주 차겁지만 않으면 그냥 먹이게 되는데 이 경우 소화기능이 발달되지 않은 아기에게는 매우 위험하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이며 특히 본 고안은 상기한 유아용 포유병 외에도 병, 캔, 팩 등에 수용된 음료나 식품 그리고 군사용 비상식량등을 포함한 제반 소형용기에 수용되어 제공되는 각종 식음료등도 본 고안을 이용하여 식음하기에 적당한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발열체 즉, 물과 접촉하면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발열되면서 수증기를 발산하는 발열석과 물을 수용한 소정의 튜브를 함께 포장한 카트리지, 그리고 상기 튜브를 파괴하는 침봉판 등을 주름팩의 저부에 내장하여된 구조로서 이를 간단히 휴대하여 때와 장소에 관계없이 그 발열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시에는 상기 주름팩을 상하로 길게 편 다음 그 내측으로 우유가 수용된 포유병을 삽입하여 아래로 눌러주면 침봉판에 의해 튜브가 파괴되면서 물이 용출되어 그 저부의 발열석과 접촉하여 뜨거운 수증기를 발산케 함으로써 포유병 내의 우유를 가온시켜 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발열석은 알려진 바와같이 생석회와 염화칼슘 및 염화마그네슘을 혼합한 것으로 이를 3∼5mm 정도의 입자로 성형하여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구성도
도 2는 본 고안 주름팩의 휴대상태도
도 3은 본 고안 발열 카트리지의 발췌사시도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주름팩 11 : 덮개
20 : 카트리지 21 : 튜브
22 : 발열석 30 : 침봉판
31 : 침봉 40 : 포유병
상부에 덮개(11)가 나사 결합된 주름팩(10)을 구비하고 그 저부에는 물이 수용된 튜브(21)와 발열석(22)이 상하로 내장된 카트리지(20)를 내설하는 한편, 카트리지(20)의 상면에는 침봉(31)이 타설된 침봉판(30)을 결합하여 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20)의 상면은 주로 부직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침봉(31)은 삼각형태로서 침봉판(30)과 일체형의 구조이나 두변이 타설되어 있어 일면을 눌러주면 타설이 안된 일변이 절곡되면서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바와 같이 그 예각부가 뾰족하게 돌출되게 된다.
그리고 카트리지(20)상면의 침봉판(30)은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카트리지(20)상면에 간단히 부착되는 구조이며 한편으로는 이 침봉판(30)을 카트리지(20)상면에 단순히 안착하여 제공할 수 도 있다. 또 이 침봉판(30)과 함께 카트리지(20)는 4∼6개 정도로 단위 포장하여 필요시 마다 1개씩 꺼내어 쓸수도 있고 외출시 미리 주름팩(10)저부에 내설하여 휴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주름팩(10)의 바닥은 카트리지(20)의 화학반응시 특히 가열되는 부분이므로 2∼3중으로 보강하여 화상 등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면부호중 (40)은 우유가 수용된 포유병을 보인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같이 본 고안의 주름팩(10)은 가로주름을 형성한 것으로 상하로 신축 가능하고 외출시에는 도 2(a) 에서와 같이 상하로 압축하면 납작하게 축소되어 휴대하기가 극히 간편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침봉판(30)이 결합된 카트리지(20)를 별도로 휴대하거나 또는 주름팩(10)저부 내측에 수용하여 휴대할 수도 있다.
가장 바람직한 휴대수단은 상기 침봉판(30)이 결합된 카트리지(20)를 주름팩(10)저부에 내설하는 것이 휴대품을 줄일 수 있으며 외출시간이 장기화 될 것으로 예상되면 별도의 카트리지(20)를 적절한 갯수로 별도로 휴대한다.
본 고안의 사용상태는 도 1에서 나타내고 있는바, 즉 주름팩(10)의 덮개(11)를 열고 그 내측의 카트리지(20)상면에 결합된 침봉판(30)을 분리한 다음 침봉판(30)의 침봉(31)일면을 밀어주면 침봉(31)은 타설된 두변이 침봉판(30)에서 분리되면서 침봉판(30)과는 직교되게 절곡되어 뾰족하게 돌출된다.
이와같이 돌출된 침봉(31)을 하향 즉 카트리지(20)상면을 향하도록 침봉판(30)을 안착한 다음 주름팩(10)을 상하로 길게 신장시키고 이어 우유가 수용된 포유병(40)(또는 분말우유를 별도로 타서 먹일 경우에는 보리차 등이 수용된 포유병)을 주름팩(10)내부로 완전히 삽입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주름팩(10)상부에 덮개(11)를 다시 결합하여 주름팩(10)내부를 밀폐한 다음 포유병(40)을 하방으로 눌러주면 그 저부의 침봉판(30)이 압압되면서 하향 돌설된 침봉(31)이 부지포로된 카트리지(20)상면을 쉽게 관통하여 물이 수용된 튜브(21)를 파괴하게 된다.
튜브(21)의 파괴로 인하여 물이 용출되고 물은 곧바로 저부의 발열석(22)과 접촉하여 발열이 이루어 지며 이때 물은 수증기화하여 카트리지(20)상면의 부직포를 통과하여 주름팩(10)과 포유병(40)사이로 올라옴에따라 포유병(40)외면을 가온시켜 우유(또는 보리차)를 따뜻하게 데워주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증기의 온도는 약 90°∼100°C 정도로서 포유병(40)내의 내용물을 적정온도인 40°∼50°C 내외로 가온시키게 됨을 알 수 있었다.
포유병(40)의 가온이 끝나면 덮개(11)를 열고 포유병(40)을 인출하게 되며 이때 수증기는 모두 증발되고 고체화된 카트리지(20)만 남게되는바, 이 카트리지(20)는 주위의 쓰레기통에 버리거나 또는 무기질 비료화 할 수 있으므로 화분이나 정원에 비료로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유아가 먹는 우유의 량이 유아의 성장상태나 시간 등에 따라 다름으로 인하여 포유병의 크기도 대, 중, 소 정도로 제공되는 것을 고려하여 카트리지의 이와 부합되는 발열량을 갖도록 튜브(21)내의 물의 량, 그리고 발열석(22)의 양을 조절한 3가지 정도의 카트리지(20)를 제공하여 이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한 포유병외에도 캔음료 특히 캔커피나 인삼쥬스 및 캔에 수용된잣죽 또는 호박죽과 같은 인스턴트 식품 및 환지용 간식 그리고 한약 파우치, 군 비상식량 등도 가열하여 식음 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고안을 그대로 사용하여도 크게 무리는 없으나 가열 대상물의 외형에 따라 따라 약간의 형태는 변화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유아용 포유병의 즉석 가온을 주된 목적으로 하나 상기한 제반 캔 등의 식음료도 즉석에서 가열하여 먹을 수 있는 다양한 사용처를 제공한다.
특히 유아에게 우유를 먹이는데 있어서 별도의 가열수단 없이 즉석에서 우유를 데워 먹일 수 있으므로 주부들에게 일층 편리함을 제공하게 되고 가정에서는 물론 특히 가족나들이 등 외출시에도 유아에게 항상 적정온도의 우유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유아의 건강유지에도 매우 바람직 할 뿐아니라 유아의 성장발육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Claims (1)

  1. 상부에 덮개(11)가 나사 결합된 주름팩(10)을 구비하고 그 저부에는 물이 수용된 튜브(21)와 발열석(22)이 상하로 내장된 카트리지(20)를 내설하는 한편, 카트리지(20)의 상면에는 침봉(31)이 타설된 침봉판(30)을 결합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포유병의 즉석 가온장치.
KR2019980015820U 1998-08-22 1998-08-22 유아용 포유병의 즉석 가온(加溫)장치 KR2001995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820U KR200199515Y1 (ko) 1998-08-22 1998-08-22 유아용 포유병의 즉석 가온(加溫)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820U KR200199515Y1 (ko) 1998-08-22 1998-08-22 유아용 포유병의 즉석 가온(加溫)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125U KR20000005125U (ko) 2000-03-15
KR200199515Y1 true KR200199515Y1 (ko) 2001-03-02

Family

ID=69502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5820U KR200199515Y1 (ko) 1998-08-22 1998-08-22 유아용 포유병의 즉석 가온(加溫)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95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864B1 (ko) * 2003-01-22 2006-04-07 한영태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휴대용 가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864B1 (ko) * 2003-01-22 2006-04-07 한영태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휴대용 가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125U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04041B1 (en) Feeding bottle
CA2495063C (en) A portable beverage preparation device and system
WO1993017928A1 (es) Envase para mezclar un extracto en polvo soluble y agua
US20130247591A1 (en) Thermal Container
US6601577B2 (en) Container assembly for warming beverages and method of forming and using it
US6880550B2 (en) Food and beverage container
JP3230118U (ja) 自己加熱容器
KR200199515Y1 (ko) 유아용 포유병의 즉석 가온(加溫)장치
US20100119657A1 (en) Self-heating container for preparing a fresh hot drink
US20110126821A1 (en) Air Activated Warmer Assembly
JP4286289B2 (ja) 液体加熱容器
GB2450552A (en) Thermic module for heating of container
JP2007130384A (ja) 携帯用簡易加熱器
KR102268602B1 (ko) 음식포장용기
WO2006091182A1 (en) Container assembly and method for warming beverages
JP2000238797A (ja) 清水と粉状食品の袋詰体
CN210520778U (zh) 家用液体加热器
RU2281897C2 (ru) Саморазогревающаяся упаковка
JP3115586U (ja) 加熱装置
JP3668946B2 (ja) 味噌汁等の飲料品
KR200316504Y1 (ko) 내용물 온도를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는 온열용기
KR200297699Y1 (ko) 종이컵 받침
JPH0535025U (ja) 即席加熱剤内蔵の食品容器
KR20100004363U (ko) 음식물 가열용 발열팩
JP3118060U (ja) 加温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