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522Y1 - 퍼머용 플랫아이롱 - Google Patents

퍼머용 플랫아이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522Y1
KR200197522Y1 KR2020000009329U KR20000009329U KR200197522Y1 KR 200197522 Y1 KR200197522 Y1 KR 200197522Y1 KR 2020000009329 U KR2020000009329 U KR 2020000009329U KR 20000009329 U KR20000009329 U KR 20000009329U KR 200197522 Y1 KR200197522 Y1 KR 2001975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cases
head
hinge
handle portion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93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수
Original Assignee
이승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수 filed Critical 이승수
Priority to KR20200000093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5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5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5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Iron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퍼머 작업시 화상 위험이 배제되고 상,하부케이스의 틀어짐이 미연에 방지되며 전선단락 발생을 현저히 감소되게 하는 동시에 편안하게 잡을 수 있게 하여 피로감을 줄일 수 있고 손바닥 찝힘이 완전히 배제되는 플랫아이롱에 관한 것으로서,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히터부재(14)가 내장되고, 상기 히터부재(14)의 열에너지를 모발에 전달시키는 플랫부재(13)와, 이 플랫부재(13)에 히터부재(14)가 밀착 되게 하는 탄력부재(15)가 헤드부(11) 내면 쪽에 설치되며 상기 헤드부(11)와 일체로 연장된 손잡이부(12)를 각각 갖는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10')를 가지며 상기 상,하부케이스(10,10')는 손잡이부(12) 후미 내측에 각각 형성된 힌지보스(22,22')가 힌지축(20)으로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 운동하고 상기 힌지보스(22,22')에 설치된 비틀림스프링(21) 탄력에 의해 상,하부케이스(10,10')가 힌지축(21)을 중심으로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며 상기 하부케이스(10') 후미에 전선을 안내하는 전선마감부재(25)를 갖는 플랫아이롱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1)에 내장된 히터부재(14)의 열에너지가 상,하부케이스(10,10') 외면으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열차단부재(16)를 가지며 상,하부케이스(10,10')의 헤드부(11) 외면에는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방열공(17) 및 상기 방열공(17) 사이에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돌출되는 다수의 안전돌륜부(18)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11)와 손잡이부(12)의 경계부분에 밀림방지턱부(19)를 가지며 상,하부케이스(10,10')의 회동 각도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힌지보스(22,22') 외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슬립운동되게 결합되는 틀어짐방지용 관부(23,23')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11)와 손잡이부(12)는 소정의 옆방향 꺽임각도(α)를 갖도록 하는 한편 하부케이스(10')의 손잡이부(12)에는 다수의 손가락홈부(27)를 갖게 하여 편리함을 줄 수 있고, 전선마감부재(25)는 하부케이스(10') 손잡이부(12)로부터 하부방향으로 꺽임각도(β)를 갖게 하여 전선단락을 미연에 방지되게 하고, 상,하부케이스(10,10')는 그 내측면 양측에 살찝힘 방지를 위한 모따기면부(26)를 가지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퍼머용 플랫아이롱{Flat iron for permanent wave}
본 고안은 예컨대 곱슬한 머리카락에 열에너지를 부여하여 일자상태가 되도록 머리카락을 펴주는데 사용되는 플랫아이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랫아이롱의 헤드부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사용자가 손 화상을 입지 않도록 하고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하여도 피로감이 적으며 힌지 구조를 개선하여 서로 맞닿는 상,하부 히팅부재가 어긋남이 없이 맞닿도록 하고 사용시에 살갓이 찝히지 않게 개선된 퍼머용 플랫 아이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랫아이롱은 곱슬머리 등을 열에너지를 가하여 머리카락을 펴 주는데 이용되는 것으로서, 통상 스트레이트 퍼머용 아이롱이라고도 불리우고도 있다.
따라서, 선행기술로 개시된 플랫아이롱은 일본 실용신안출원공개번호 소63-114204호 및 동 공개번호 소63-123203호, 소63-123204호, 소63-123205호가 있으며, 한국 실용신안공개번호 제1999-22149호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의 플랫아이롱 들을 종합해 보면, 납짝한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회동 운동되는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로 구성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또한,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는 모발이 접촉되어 열에너지를 전달시키는 플랫부재가 내측면에 설치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와 일체로 연장되고 손으로 잡는 부분이 되는 손잡이부로 구분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의 플랫아이롱 들은 여러 가지 결점을 가지고 있다.
우선,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의 헤드부 내부에 내장된 히터부재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그 헤드부 전체가 너무 뜨거워서 약간이라도 취급부주의가 있게 되면 손 화상을 입는 결점이 있다.
이와 같이 헤드부 전체가 가열되는 것은 방열이 효율적으로 되지 못하는 것과, 히터부재에서 발생된 열에너지가 모발과 접촉되는 플랫부재에만 전달되어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케이스부재에도 잘 전달되는 구조를 가진 것과, 또한 케이스 외면이 밋밋한 평면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손이나 피부 접촉시 뜨거운 면과 직접적으로 면접촉 되는 것들이 복합적으로 손이나 피부 화상을 입게 되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히터부재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는 보통 60 - 180℃ 범위이다. 따라서, 고온으로 하여 사용할 때에는 매우 높은 온도로 상승하고 이 온도는 충분히 화상을 입을 정도이다.
원래, 히터부재에서 발생된 열에너지는 모발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플랫부재에만 전달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선행기술에서는 그 열에너지가 케이스부재에도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고열 발생시 케이스부재로 전달된 열이 방열이 잘 되면 그 만큼 케이스부재는 뜨겁지 않게 되는데, 선행기술은 방열 구조가 없거나 미약함으로 인하여 케이스부재가 더욱 뜨거워지게 되는 문제를 수반한다.
그러므로 사용시에 취급 부주의로 인해 상,하부케이스의 헤드부가 피부나 머리결을 잡고 있는 손등에 닿게 되거나 또는 플랫아이롱을 잡고 있던 손이 미끌려서 헤드부에 닿게 되면 뜨거움을 많이 느끼거나 직접적인 화상을 입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고 있다.
또한,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에 각각 구비된 상,하부 플랫부재가 상호 정확하게 맞닿지 못하고 어긋남으로써 모발을 효율적으로 펴주지 못하는 결점이 있다.
즉, 플랫아이롱의 힌지부 구조는 일본 실용신안출원공개번호 소63-11420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와 일체로 된 힌지보스와 하부케이스(1')에 구비 된 힌지보스가 중간에서 맞닿도록 일렬로 되게 하여 힌지축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부품간에 공차가 크거나 또는 장기사용으로 인해 힌지보스 내면에 마모가 따르게 되면 그 유격으로 인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동운동하게 되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는 틀어짐 현상이 초래되고, 이러한 틀어짐이 조금만 되어도 힌지부와 먼거리상에 있는 헤드부에서는 많이 틀어지는 상태가 됨으로써 그 헤드부 내면쪽에 설치되어 있는 상,하부플랫부재는 서로 많이 어긋나게 접촉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하부 플랫부재가 어긋나게 되면 그 사이에서 누름력을 받아야 하는 모발에 편중적인 힘이 가해지거나 또는 열에너지를 제대로 전달받지 못함으로써 양호한 퍼머를 하지 못하게 되고 작업자(미용사)가 매우 힘든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따라서, 예전에는 상,하부케이스 중간부에 틀어짐방지돌기 및 홈부를 구비하게 하여 틀어짐 현상을 최대한 방지되게 하였으나 이 경우 외관상 좋지 않고 완전한 틀어짐 방지가 도모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힌지부 쪽의 하부케이스 후단부에 연결되는 전선마감부재가 수평상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플렛아이롱을 손으로 들고 작업하게 되면 아랫방향으로 처지게 되는 전선의 꺽임 현상이 초래되고, 이러한 꺽임현상이 퍼머작업시 반복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단락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그리고 선행기술의 플랫아이롱은 헤드부와 손잡이부가 일직선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플랫아이롱을 잡은 손의 손목이 심하게 꺽이게 되는 상태로 퍼머 작업을 해야 하고, 그로 인해 작업이 불편하고 오랜 작업시 피로감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하부케이스를 오무릴 때 손잡이 부분에서 상,하부케이스 사이에 손바닥이 찝혀서 꼬집히는 문제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선행기술의 플랫아이롱은 퍼머를 위해 열이 발생되는 헤드부에서 화상 위험이 높고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운동하는 상,하부케이스의 틀어짐 현상이 있으며 전선 단락 발생율이 많으며 작업시 손목 꺽임 문제로 인한 피로 가중 문제와 손바닥이 찝히는 단점 등을 모두 수반하므로 사용상 불편하고 제품 신뢰성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으로서, 화상 위험이 배제되고 상,하부케이스의 틀어짐이 미연에 방지되는 플랫아이롱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선단락 발생을 현저히 감소되게 하는 동시에 편안하게 잡을 수 있게 하여 피로감을 줄일 수 있고 손바닥 찝힘이 배제되는 플랫아이롱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히터부재가 내장되고, 상기 히터부재의 열에너지를 모발에 전달시키는 플랫부재와, 이 플랫부재에 히터부재가 밀착 되게 하는 탄력부재가 헤드부 내면 쪽에 설치되며 상기 헤드부와 일체로 연장된 손잡이부를 각각 갖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가지며 상기 상,하부케이스는 손잡이부 후미 내측에 각각 형성된 힌지보스가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 운동하고 상기 힌지보스에 설치된 비틀림스프링 탄력에 의해 상,하부케이스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며 상기 하부케이스 후미에 전선을 안내하는 전선마감부재를 갖는 플랫아이롱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에 내장된 히터부재의 열에너지가 상,하부케이스 외면으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열차단부재를 가지며 상,하부케이스의 헤드부 외면에는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방열공 및 상기 방열공 사이에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돌출되는 다수의 안전돌륜부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와 손잡이부의 경계부분에 밀림방지턱부를 가지며 상,하부케이스의 회동 각도 틀어짐 방지하기 위해 힌지보스 외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슬립운동되게 결합되는 틀어짐방지용 관부를 갖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부케이스의 헤드부와 손잡이부는 소정의 꺽임각도를 갖도록 구성함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케이스의 손잡이부에는 다수의 손가락홈부를 갖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선마감부재는 하부케이스 손잡이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꺽임각도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부케이스는 그 내측면 양측에 살찝힘 방지를 위한 모따기면부를 갖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플랫아이롱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플랫아이롱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X -X'선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플랫아이롱의 사용상태도,
도 5a 및 도 5b는 도 2의 Y -Y'선 부분의 분리 단면도 및 조립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플랫아이롱의 평면도,
도 7은 도 4의 Z - Z'선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일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 ' :상,하부케이스 11 : 헤드부
12 : 손잡이부 13 : 플랫부재
14 : 히터부재 15 : 탄력부재
16 : 열차단부재 17 : 방열공
18 : 안전돌륜부 19 : 밀림방지턱부
20 : 힌지축 21 : 비틀림스프링
22,22' : 힌지보스 23 : 틀어짐방지용 관부
24 : 전선 25 : 전선마감부재
26 : 모따기면부 27 : 손가락홈부
본 고안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플랫아이롱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을 참조 하면, 본 고안의 플랫아이롱은 크게 구분하여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10')로 구분된다.
또한, 상,하부케이스(10,10')는 각각 헤드부(11)와 손잡이부(12)로 구분되며, 이들 헤드부(11)와 손잡이부(12)는 일체로 연장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부(11)는 모발에 열을 주기 위한 부분이며, 손잡이부(12)는 상,하부케이스(10,10')를 오무리고 펴주기 위해서 한 손으로 잡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하부케이스(10,10')는 비전도체인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되며 그 내부에는 열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부품들이 내장되게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하부케이스(10,10)의 헤드부(11) 내면에는 평영한 면을 가지며 열에너지를 전달받아서 모발에 전달시켜 변형이 되게 하는 플랫부재(13)가 고정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플랫부재(13)의 내부에는 전기에너지를 공급 받아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히터부재(14)가 내장되며, 이 히터부재(14)는 탄력부재(15)의 탄력에 의해서 플랫부재(13)에 밀착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히터부재(13)에서 발생된 열에너지가 상,하부케이스(10,10') 의 헤드부(11) 외면으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열차단부재(16)가 헤드부(11)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열차단부재(16)는 운모와 같이 내열성을 가지며 열전달성이 낮은 것이 좋다.
또한, 상,하부케이스(10,10')의 헤드부(11) 외면에는 방열공(17)이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며, 이 방열공(17) 사이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안전돌륜부(18)가 다수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방열공(17)을 포함하여 안전돌륜부(18)는 상,하부케이스(10,10)을 사출 성형시킬 때 형성된다.
따라서, 전기에너지를 공급받게 되면 히터부재(14)가 발열을 하여 열에너지가 발생된다. 이 열에너지는 플랫부재(13)에 전달되고 상,하쪽의 플랫부재(13) 사이에서 눌림되는 모발에 열에너지가 전달됨으로써 그 모발은 펴지는 상태로 변형되는 퍼머가 되는 것이다.
한편, 히터부재(14)의 발열에 의해서 헤드부(11) 전체는 열을 받게 되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본 고안은 헤드부(11) 외면쪽으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열차단부재(16)가 있다.
그러므로 히터부재(14) 열은 플랫부재(13) 쪽으로 유도되는 상태가 되어 그 플랫부재(13)는 예전보다 더욱 빨리 뜨거워지는 상태가 된다.
반면에, 상,하부케이스(10,10') 외면은 열차단부재(16)에 의해서 히터부재(14)의 열을 전달 받게 되는 영향이 줄어 들게 되므로 빨리 뜨거워 지지는 않는다. 그렇다고 헤드부(11) 외면이 전혀 열을 받지 않는 것은 아니다. 다만 열을 받게 되는 영향이 매우 많이 줄어 들고 히터부재(14)에서 발생되는 열을 직접적으로 받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상,하부케이스(10,10')가 전달 받은 열은 대기(공기)상에 노출된 방열공(17)을 통해 외부로 열을 방출시키게 된다. 즉, 방열공(17)에 의해 열 방출 면적이 많아져서 신속한 열 방출이 됨으로써 상,하부케이스(10,10')의 헤드부(11)가 미처 화상을 입을 정도로 뜨거워지지 않게 된다.
더욱이 헤드부(11) 외면에는 다수의 안전돌륜부(18)가 돌출되어 있다. 그러므로 헤드부(11) 외면에 손이나 피부가 닿게 되면 그 안전돌륜부(18) 상단에 접촉되는 상태가 되고 이러한 접촉상태는 점접촉이 되므로 뜨거움을 심각하게 느끼지 않게 된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이 헤드부(11)와 접촉되지 말아야 하는 것은 사용자가 모두 인식하고 있다. 그러므로 뜨거운 헤드부(11)와 접촉하지 않으려고 하지만 퍼머 작업시에 취급 부주의에 의한 접촉이 따르게 되는 것이나 이때 헤드부(11)와 접촉되어도 화상을 입지 않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본 고안은 상,하부케이스(10,10')의 헤드부(11)와 손잡이부(12)의 경계부분에 밀림방지턱부(19)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하부케이스(10,10')의 손잡이부(12)를 한손으로 잡고 작업할 때 그 잡은 손이 밀림방지턱부(19)에 걸려서 헤드부(11) 쪽으로 밀려 나가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해 손 화상을 입지 않게 된다. 특히 상부케이스(10)에 있는 밀림방지턱부(19)에 의해서는 엄지 손가락이 수시로 앞으로 밀려나가서 헤드부(11)에 접촉되어 뜨거움을 갖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므로 작업 능률을 더욱 올릴 수 있게 한다.
한편, 상,하부케이스(10,10)는 손잡이부(12) 후미에서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힌지축(20)으로 연결되고, 내부에 설치된 비틀림스프링(21)의 탄력으로 인해서 상,하부케이스(10,10')는 각각 외측으로 밀려나서 벌어지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오무리는 것은 손잡이부(12)를 잡은 손 힘에 의해서 오무려지게 되는 회동운동을 하게 된다.
도 5a 및 도 5b는 상기와 같은 회동운동이 가능하게 하는 힌지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상,하부케이스(10,10')는 각각 힌지축(20)이 끼워져서 연결되는 힌지보스(22,22')가 있다.
상기 힌지보스(22,22')들은 중간에서 면접촉이 되는 상태로 힌지축(20)에 의해 결합되며 이러한 힌지보스(22,22')을 갖는 것은 공지기술이다. 그러나 힌지보스(22,22')만 가지고 회동운동되도록 하는 경우 부품 및 조립 공차에 의한 유격 발생 또는 힌지보스(22,22')의 내면이 마모되는 현상 등에 의해 유격이 커지게 되면 힌지축(20)을 중심으로 회동운동되는 상,하부케이스(10,10')는 옆쪽으로 틀어지게 되고 그로인해 헤드부(11) 내면부에 있는 양쪽의 플랫부재(13)가 서로 정확하게 일치하는 상태로 오무려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힌지보스(22,22') 외측부에 상,하부케이스(10,10')의 회동운동시 각도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힌지보스(22,22') 외측부에 서로 끼워질 수 있는 틀어짐방지용 관부(23,23')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틀어짐방지용 관부(23,23')는 상,하부케이스(10,10') 내부에서 허용되는 한 최대의 폭 길이를 갖도록 한다. 그것은 폭 길이가 길수록 그 만큼 비틀림이 없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5b와 같이 힌지축(20)에 의해 힌지보스(22,22')가 일렬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외측으로 상,하부케이스(10,10')에 벌어지게 하는 탄력을 부여하는 비틀림스프링(21)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립될 때 틀어짐방지용 관부(23,23')가 서로 끼워지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하부케이스(10,10')가 회동운동할 때 이들은 서로 슬립운동을 하게 되므로 상,하부케이스(10,10')의 회동운동을 방해하지 않게 되면서 그 상,하부케이스(10,10')가 틀어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부케이스(10) 또는 하부케이스(10')가 옆 방향으로 틀어지려는 힘이 작용되면 서로 맞물려 있는 틀어짐방지용 관부(23,23')가 서로 지지하게 되므로 옆으로 틀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하부케이스(10,10')의 손잡이부(12)는 헤드부(11)를 기준으로 하여 도 6에 보인바와 같이 옆 방향으로 소정의 꺽임각도(α)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12)가 꺽임각도(α) 상태를 갖게 되면 손잡이부(12)를 잡은 상태에서 퍼머 작업을 할 때 팔꿈치를 아랫방향으로 가져가는 상태로 잡고서 작업하는 상태가 되므로 손목이 꺽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손목이 꺽이지 않고 팔꿈치가 아랫방향을 향하는 자세로서 퍼머작업을 하게 되므로 오랜 시간 작업을 하여도 쉽게 피로감을 느끼지 않게 된다.
또한,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히터부재(14)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24)이 하부케이스(10')을 통과하는 지점에서 보호 되도록 하는 전선마감부재(25)가 하부케이스(10')의 손잡이부(12)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소정의 꺽임각도(β)를 갖도록 설치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손잡이부(12)를 잡고 작업을 할 때 전선(25)은 자연스럽게 아래 방향으로 처지는 상태가 되고, 그로 인해 전선마감부재(25)와 연결된 부분(P)이 꺽이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전선 단락이 미연에 방지되어 고장 수리 문제가 배제된다.
또한, 도 7를 참조하면 상,하부케이스(10,10')의 손잡이부(12) 내면부 양측에는 살찝힘 방지를 위한 모따기면부(26)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하부케이스(10,10')를 손으로 잡고서 오무릴 때 손바닥(H)이 모따기면부(26)를 가짐으로써 갖게되는 공간부(D)에 위치하게 되므로 손바닥 살갖이 찝히지 않게 된다.
또한, 도 8과 같이 하부케이스(10')의 손잡이부(12)에 손가락이 위치할 수 있는 손가락홈부(27)를 갖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잡을 수 있고 오랜 작업에도 피로감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해 헤드부에서의 화상 위험이 배제되고 상,하부케이스의 틀어짐이 미연에 방지되며 전선단락 발생을 현저히 감소되게 하는 동시에 편안하게 잡을 수 있게 하여 피로감을 줄일 수 있고 손바닥 찝힘이 없는 플랫아이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히터부재(14)가 내장되고, 상기 히터부재(14)의 열에너지를 모발에 전달시키는 플랫부재(13)와, 이 플랫부재(13)에 히터부재(14)가 밀착 되게 하는 탄력부재(15)가 헤드부(11) 내면 쪽에 설치되며 상기 헤드부(11)와 일체로 연장된 손잡이부(12)를 각각 갖는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10')를 가지며 상기 상,하부케이스(10,10')는 손잡이부(12) 후미 내측에 각각 형성된 힌지보스(22,22')가 힌지축(20)으로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 운동하고 상기 힌지보스(22,22')에 설치된 비틀림스프링(21) 탄력에 의해 상,하부케이스(10,10')가 힌지축(21)을 중심으로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며 상기 하부케이스(10') 후미에 전선을 안내하는 전선마감부재(25)를 갖는 플랫아이롱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1)에 내장된 히터부재(14)의 열에너지가 상,하부케이스(10,10') 외면으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열차단부재(16)를 가지며 상,하부케이스(10,10')의 헤드부(11) 외면에는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방열공(17) 및 상기 방열공(17) 사이에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돌출되는 다수의 안전돌륜부(18)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11)와 손잡이부(12)의 경계부분에 밀림방지턱부(19)를 가지며 상,하부케이스(10,10')의 회동 각도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힌지보스(22,22') 외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슬립운동되게 결합되는 틀어짐방지용 관부(23,23')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퍼머용 플랫아이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케이스(10,10')의 헤드부(11)와 손잡이부(12)는 소정의 옆방향 꺽임각도(α)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머용 플랫아이롱.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손잡이부(12)에는 다수의 손가락홈부(2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머용 플랫아이롱.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마감부재(25)는 하부케이스(10') 손잡이부(12)로부터 하부방향으로 꺽임각도(β)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머용 플랫아이롱.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케이스(10,10')는 그 내측면 양측에 살찝힘 방지를 위한 모따기면부(26)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퍼머용 플랫아이롱.
KR2020000009329U 2000-04-01 2000-04-01 퍼머용 플랫아이롱 KR2001975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329U KR200197522Y1 (ko) 2000-04-01 2000-04-01 퍼머용 플랫아이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329U KR200197522Y1 (ko) 2000-04-01 2000-04-01 퍼머용 플랫아이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7522Y1 true KR200197522Y1 (ko) 2000-09-15

Family

ID=19649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329U KR200197522Y1 (ko) 2000-04-01 2000-04-01 퍼머용 플랫아이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52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2929B2 (en) Hair iron
EP2953500B1 (en) Hair care device
CN1120681C (zh) 烫发卷钳
US7600520B2 (en) Portable electric curling iron
JP6360100B2 (ja) ヘアスタイリング装置
CN104507355B (zh) 头发造型装置
US20060037625A1 (en) Hair straightening appliance with flocked arms
KR20110074461A (ko) 브러시 아이언기
US20120138081A1 (en) Electric curling iron
US20050051188A1 (en) Hair styling appliance
US20220087391A1 (en) Hair styling appliance
KR200197522Y1 (ko) 퍼머용 플랫아이롱
KR200456457Y1 (ko) 헤어 아이론
KR880001070A (ko) 전열성 커얼링 아이론
EP2319352A1 (en) Hair iron device
JP6512471B2 (ja) ヘアーアイロン
EP2076151B1 (en) Hair styling iron with raised fins
DK3187067T3 (en) Hair styling apparatus
KR102438567B1 (ko) 두피 밀착형 뿌리볼륨 스타일러
KR100640069B1 (ko) 속눈썹 성형구
KR200393691Y1 (ko) 헤어아이론
KR200394534Y1 (ko) 헤어 아이론의 열판 보호장치
KR200404348Y1 (ko) 헤어 아이론
GB2580340A (en) A hair styling appliance
CN219020440U (zh) 一种卷发器及其负离子卷发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