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320Y1 - 소형 알람장치 - Google Patents

소형 알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320Y1
KR200197320Y1 KR2020000011570U KR20000011570U KR200197320Y1 KR 200197320 Y1 KR200197320 Y1 KR 200197320Y1 KR 2020000011570 U KR2020000011570 U KR 2020000011570U KR 20000011570 U KR20000011570 U KR 20000011570U KR 200197320 Y1 KR200197320 Y1 KR 2001973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device
time
ear
alarm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5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일
Original Assignee
윤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일 filed Critical 윤영일
Priority to KR20200000115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3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3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3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3/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 G04G13/02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e.g. alarm clock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8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building-up characters using a combination of indicating elements, e.g. by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G04G9/12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building-up characters using a combination of indicating elements, e.g. by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using light valves, e.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알람장치는 전면에 시간을 표시하는 시간표시액정과 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시간입력부가 위치하고, 후면에 음향발생장치를 부착한 것으로 음향방생장치 외부를 귀에 삽입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한 소형 알람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알람장치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귀에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를 형성하여 상기 알람장치가 귀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소형 알람장치는 귀에 착용할 수 있도록 소형으로 제작되어 휴대가 간편할 뿐만아니라, 귀에 착용하므로써 복잡한 곳에서도 착용자만이 멜로디음, 알람음 등을 들을 수 있다.

Description

소형 알람장치{the small alarm device}
본 고안은 멜로디음을 포함하는 소리로서 약속된 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소형 알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알람장치를 귀에 직접 부착하여 발생되는 알람음이 외부로 파생되지 않고 착용자만이 들을 수 있도록 한 소형 알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람시계는 낮에 혼자 잠을 잔다거나 여행 중에 수면을 취할 때에 일어나기 원하는 시간이나, 하차 시간, 약속시간 등 정해진 시간에 외부로 알람음을 파생시켜 착용자에게 시간을 알려주는 역할을 해 왔다. 그러나 상기한 알람시계는 정숙을 필요로 하는 도서실이나 기타 공공 장소에서 외부로 알람음을 파생시켜 타인에게 피해를 줄 우려가 있어 사용을 꺼려해 왔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실용신안으로서 출원번호 1996-004260호에서는 알람의 기능을 갖는 손목시계에 이어폰 잭을 구비하고 원하는 시간을 세팅한 후에 이어폰을 착용하여 사용자가 세팅된 시간에 흘러나오는 알람음을 들을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이어폰 잭을 부착한 손목시계는 이어폰 잭을 부착하지 않은 일반 시계와는 달리 방수가 되지 않기 때문에 이어폰 잭으로 물에 닿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고, 이어폰 잭이 시계 안쪽으로 삽입되어야 하므로 시계의 크기에 제한이 있었다. 또한 알람시계의 사용자는 사용할 때에는 이어폰이 필요하여 반드시 이어폰을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음향발생장치가 부착되고 알람기능을 갖는 알람장치를 소형으로 제작하여 사용자가 직접 알람장치를 귀에 착용하여 멜로디음, 알람음 등을 착용자만이 들을 수 있는 소형 알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알람장치의 내부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받침편을 부착한 예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서 받침편을 부착한 예의 측면도이다.
도 6는 본 고안에서 받침편을 부착한 예의 후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받침편 2 : 뚜껑
3 : 탄성편 4 : 구멍
5 : 시간표시액정 6 : 시간입력부
7 : 분입력부
본 고안의 목적은 일측에 시간을 표시하는 시간표시액정(5)과 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시간입력부가 위치하고, 타측에 음향발생장치가 위치하며, 상기 음향발생장치의 외부가 귀에 삽입할 수 있도록 소형으로 형성시켜 알람장치를 귀에 직접 착용하므로써 멜로디음, 알람음을 착용자만이 들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소형 알람장치의 측면에서 연장된 받침편의 단부에 탄성편이 개폐 가능하게 부착하여 받침편과 탄성편 사이에 귀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하여 알람장치가 귀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기술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이 본 고안의 알람장치는 LCD 컨트롤러/타이머 회로(watch circut), LCD 디스플레이, 수정발진자, 스위치 입력부, 음향발생장치가 내장된다.
또한 도 2와 같이 일측에는 알람장치의 시간을 표시하는 시간표시액정(5)과 시, 분을 입력할 수 있는 시간입력부(6)과 분입력부(7)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필요한 시간 및 분을 시간표시 액정에서 확인하면서 시간입력부(6)에서 알람에 필요한 시간을 입력하고, 분입력부(7)에서 알람에 필요한 분을 각각 입력하여 세팅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알람장치의 타면에 위치하는 음향발생장치를 통해 멜로디음 또는 알람음 등을 들을 수 있으며, 귀에 삽입할 수 있는 뚜껑이 부착된다.
또한 소형 알람장치가 귀에 지지될 수 있도록 알람장치의 측면에서 연장된 받침편의 단부에 탄성편이 개폐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받침편과 탄성편은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을 사용하여 서로 부착된다. 따라서 받침편과 탄성편 사이에 귀의 일부가 위치하여 귀에 삽입된 알람장치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알람장치의 상부에서 세팅하고자 하는 시간을 시간입력부(6), 분입력부(7)를 사용하여 세팅한다. 시간의 세팅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뚜껑이 귀에 삽입되도록 착용한다. 알람장치의 일측면에 받침편과 탄성편이 스프링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탄성편을 오픈하여 귀볼이 안쪽에 위치시킨다.
사용자가 예약한 시간이 되면 멜로디음, 알람음 등이 발생하고, 발생된 멜로디음, 알람음 등은 스피커(2)를 통해 착용자에게만 전하여져 미리 예약된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된 본 고안은, 알람장치를 귀에 착용할 수 있는 소형으로 제작한 것으로 평상시에는 시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약속시간, 기상시간 등을 세팅하여 귀에 착용하므로써 멜로디음, 알람음 등을 자신만이 들으면서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알람장치는 타인에게 피해을 주기 않을 뿐만 아니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Claims (3)

  1. 일측에 시간을 표시하는 시간표시액정(5)과 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시간입력부가 위치하고, 타측에 음향발생장치가 위치하며, 상기 음향발생장치의 외부가 귀에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알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발생장치는
    압전구멍이 형성된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알람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알람장치가 귀에 지지될 수 있도록 알람장치의 측면에서 연장된 받침편의 단부에 탄성편이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알람장치.
KR2020000011570U 2000-04-24 2000-04-24 소형 알람장치 KR2001973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570U KR200197320Y1 (ko) 2000-04-24 2000-04-24 소형 알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570U KR200197320Y1 (ko) 2000-04-24 2000-04-24 소형 알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7320Y1 true KR200197320Y1 (ko) 2000-09-15

Family

ID=19653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570U KR200197320Y1 (ko) 2000-04-24 2000-04-24 소형 알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32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33264A1 (en) Vibratory alert device
US4821247A (en) Ear-mounted alarm clock
CN107453779A (zh) 一种多模式闹钟提醒控制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US6906983B2 (en) Autonomous ear-plug alarm with separate setting device
US9547281B2 (en) Electronic timer
GB2386036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having a timer
CA2369731A1 (en) Behaviour modification
KR200197320Y1 (ko) 소형 알람장치
CN101315542A (zh) 多功能数码时钟
CN101556456A (zh) 一种耳机式闹钟
CN201083977Y (zh) 眼罩型闹钟
US8031559B2 (en) Pulse alarm clock with alarm and acupuncture functions
US20110103193A1 (en) Personal Alert System with Adhesive Fixation
KR20110002778U (ko) 진동알람 손목시계
CN2364486Y (zh) 个性化叫醒时钟
CN2648476Y (zh) 振动报时手表
CN201311552Y (zh) 多功能数码时钟
CN205899252U (zh) 振动防赖床闹钟
JP3138444U (ja) 音声通知時計
CN2393125Y (zh) 防吵闹钟装置
KR200364968Y1 (ko) 진동알람형 손목시계
CN108669720A (zh) 一种震动式的无声手环闹钟
KR200320321Y1 (ko) 알람기능 밴드
JP6883351B2 (ja) 装置及びプログラム
GB2426080A (en) Dual alarm clock with quiet alert op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