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316Y1 - 세수용 수도 밸브 - Google Patents

세수용 수도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316Y1
KR200197316Y1 KR2020000011494U KR20000011494U KR200197316Y1 KR 200197316 Y1 KR200197316 Y1 KR 200197316Y1 KR 2020000011494 U KR2020000011494 U KR 2020000011494U KR 20000011494 U KR20000011494 U KR 20000011494U KR 200197316 Y1 KR200197316 Y1 KR 2001973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using
plate
circumferential surfac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4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만현
Original Assignee
권만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만현 filed Critical 권만현
Priority to KR20200000114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3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3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3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드시 물을 사용해야 하는 시점에서만 비로소 물이 토출되도록 하므로서 불필요한 물소비가 방지되도록 하는 세수용 수도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측 상부로 삽입되는 캡형상의 감압구(20)와; 상기의 감압구(20) 내부로 삽입되는 스풀 형상의 디스크(30)와; 상기 하우징(10)의 하단부 내주면에 나사결합되는 캡 형상의 연결구(40)와; 상기 디스크(30)에 축결합된 소경의 봉부재인 터치 레버(35)에 끼워지는 원형 플레이트인 디버터(50); 및 상기 연결구(40)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스프레이 헤드(60)로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인바 물을 반드시 사용해야 하는 시점에서만 물을 공급하고, 그렇치 않은 경우에는 물 공급이 차단되게 하므로서 물의 소비량을 철저히 제한시켜 불필요한 물 소비가 방지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세수용 수도 밸브{Waterwork valve for washing hands}
본 고안은 세수용 수도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을 씻기 위해 밸브에 손을 갖다 댈때에 비로소 물이 토출되므로서 불필요한 물소비가 방지되도록 하는 세수용 수도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에 설치되는 수도 밸브는 단순히 세수 및 세면을 위한 목적으로만 설치된다.
도 1은 이와같은 수도 밸브의 대표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체(1)에는 하측 선단에 물을 토출시키는 토수구(1a)가 형성되고, 본체(1)의 상측에는 회동하는 각도에 따라 냉수 또는 온수 그리고 냉, 온수가 혼합된 혼합수의 토출량을 제어하는 레버(2)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수도 밸브는 세면기에 물을 일정량 담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별문제가 없으나 세면기가 불결하거나 간단히 세면 및 세수를 하는 경우에는 물을 계속 틀어 놓은 상태를 유지한 채 사용하게 된다.
즉 물을 틀어논 상태에서 얼굴이나 손을 적시고, 그 다음 비누칠을 한 다음 손에 물을 받아 얼굴에 묻은 비누를 씻어내거나 손을 비벼 손에 묻은 비누를 씻어내게 된다.
하지만 비누칠을 하는 상태에서는 물을 전혀 사용할 필요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대부분 물을 계속 틀어논 상태에서 비누칠을 하게 되므로 불필요한 물 소비가 야기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초래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물이 토출되게 하므로서 물의 불필요한 소비가 방지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도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도 밸브의 분리된 상태의 반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을 적용한 사용상태의 일례도,
도 5는 본 고안을 적용한 사용상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11 : 결합돌부
20 : 감압구 21 : 구멍
30 : 디스크 31 : 상부 플레이트
32 : 하부 플레이트 33 : 연결축
34 : 압축 스프링 35 : 터치 레버
40 : 연결구 41 : 관통홀
50 : 디버터 60 : 스프레드 헤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외주면으로 수나사가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도록 한 결합돌부가 상부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결합돌부의 하부는 하향 개방되는 종형상이면서 하단부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도록 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부로 삽입되며, 측면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미세한 간극으로 이격되고, 측면의 하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하단부의 직상부측 외주면에는 다수의 구멍을 형성시켜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면서 내부는 하향 개방되도록 한 캡형상의 감압구와; 상기의 감압구 내부로 삽입되며, 일단에는 압축 스프링이 끼워지고, 타단에는 미세한 직경의 봉부재인 터치 레버의 일단이 결합되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체로 연결되는 스풀 형상의 디스크와;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상측에는 상기 하우징이 나사결합되며, 상부면에는 상기 감압구의 하단부와 함께 상기 압축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디스크의 하부 플레이트가 밀착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의해서는 중앙에 관통시킨 관통홀이 개폐되도록 하며, 하향 개방되는 캡 형상의 연결구와; 상기 터치 레버에 끼워지면서 상기 연결구의 내부에 위치되는 평판의 원형 플레이트인 디버터와; 내주면이 상기 연결구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며, 바닥면의 중앙은 소정의 높이로 상향 돌출되도록 하여 그 상단면에 상기 디버터가 밀착되고, 바닥면의 외주연부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도록 한 스프레이 헤드로서 구비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도 밸브의 전체적인 구성을 분리시킨 상태의 반단면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크게 하우징(10)과 감압구(20)와 디스크(30)와 연결구(40)와 디버터(50) 및 스프레이 헤드(60)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고안에서 하우징(10)은 전체적으로 내부가 비고, 하향 개방된 종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부재로서, 하단부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그의 바닥면에는 외주연부로 다수의 구멍(11a)을 형성한 결합돌부(11)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감압구(20)는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부는 결합돌부(11)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11a)들에서 서로 대칭이 되는 구멍들(11a)간 직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면서 외주면이 하우징(10)의 내주면과는 미세한 간극으로 이격되도록 한 구성으로서, 특히 하단부는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하우징(10)의 내주면과 외주면이 밀착되는 플랜지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외측으로 연장시킨 하단부의 직상부측 외주면에는 다수의 구멍(21)들이 형성되고, 내부는 빈 공간인 하향 개방된 캡형상이다.
디스크(30)는 상부 플레이트(31)와 하부 플레이트(32)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축(33)에 의해서 일체로 결합되는 스풀 형상의 작동부재로서, 상부 플레이트(31)에는 상부로 압축 스프링(34)의 일단이 결합되고, 하부 플레이트(32)에는 미세한 직경의 봉부재인 터치 레버(35)의 일단이 일체로 결합되도록 한 구성이다.
상부 플레이트(31)에 일단이 결합되는 압축 스프링(34)은 타단이 감압구(20)의 내측 상부면에 밀착되면서 디스크(30)를 탄력 지지하게 된다.
한편 디스크(30)의 상부 플레이트(31)는 외경이 감압구(20)의 내경과 거의 유사한 크기로 형성되도록 하되 하부 플레이트(32)는 상부 플레이트(31)보다는 작은 외경을 갖는 구성으로 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연결구(40)는 외주면으로 수나사가 형성된 내부가 비고 하향 개방된 캡형상의 연결부재로서, 외주면 상부는 하우징(10)의 하단부측 내주면에 나사결합되며, 상부면에는 감압부(20)의 플랜지형상의 하단부와 함께 디스크(30)의 하부 플레이트(32)가 면밀착된다.
연결구(40)의 상부면에는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된 관통홀(41)이 형성되어 이 관통홀(41)을 통해 터치 레버(35)가 통과하게 되며, 특히 디스크(30)의 하부 플레이트(32)와 면밀착되는 관통홀(41)의 주연부에는 오링(42)이 구비되도록 하여 하부 플레이트(32)가 오링(42)에 밀착되면서 관통홀(41)측으로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디버터(50)는 연결구(40)의 내경보다는 작은 외경을 갖는 평판의 원형 플레이트로서, 터치 레버(35)에 끼워져 연결구(40)의 내부에 위치된다.
스프레드 헤드(60)는 내주면으로 암나사가 형성되어 하우징(10)과 대응되는 방향에서 연결구(40)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며, 바닥면 중앙은 소정의 높이로 상향 돌출되도록 하여 그 상단면으로 평판의 원형 플레이트인 디버터(50)가 밀착되도록 하고, 이러한 중앙의 돌출 부위의 바닥면 외주연부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다수의 홀(62)이 형성되도록 한 구성이다.
도 3은 상기한 구성들을 결합한 상태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결합 단면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되는 감압구(20)는 상부면이 하우징(10)의 내측 상부면에 밀착되고, 하단부의 플랜지형 외주면은 하우징(10)의 내주면과 밀착되며, 특히 플랜지형 하단부는 저면이 연결구(40)의 상부면에 밀착되면서 유동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감압구(20)에 삽입되는 디스크(30)는 하부 플레이트(32)가 연결구(40)의 상부면에 밀착되면서 그 상부에서 연결축(33)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상부 플레이트(31)는 감압구(20)의 측면을 관통시킨 다수의 구멍(21)보다는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이러한 상부 플레이트(31)와 감압구(20)의 내측 상부면간으로 구비한 압축 스프링(34)에 의해서는 항상 상부 플레이트(31)와 하부 플레이트(32)의 결합체를 하부로 밀어내게 되는 탄력을 갖게 된다.
이때 하우징(10)의 하단부 내주면으로 연결구(40)를 나사결합시키게 되면 연결구(40)의 상부면에는 감압구(20)의 하단부와 디스크(30)의 하부 플레이트(32)가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하부 플레이트(32)가 밀착되는 연결구(40)의 상부면에는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되는 관통홀(41)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때의 관통홀(41)은 하부 플레이트(32)보다는 작은 내경을 갖도록 하므로서 하부 플레이트(32)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관통홀(41)의 외주연부로 오링(42)을 삽입시키게 되면 하부 플레이트(32)가 보다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감압구(20)의 내부와 연결구(40)의 관통홀(41)간 기밀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때 하부 플레이트(32)의 저면에는 중앙에 소경의 봉부재인 터치 레버(35)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바 이 터치 레버(35)는 동시에 연결구(40)의 관통홀(41)의 중심을 지나게 된다.
이와같은 터치 레버(35)에는 평판의 원형 플레이트인 디버터(50)가 끼워지며, 디버터(50)는 연결구(40)의 관통홀(41)의 직하부 공간에서 연결구(40)의 내측 상부면과 미세한 간극을 두고 더 이상 상향 이동이 불가능하게 위치된다.
한편 디버터(50)는 연결구(40)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스프레드 헤드(60)의 결합에 의해 스프레드 헤드(60)의 바닥면에서 중앙을 소정의 높이로 상향 돌출되게 한 돌출단부(61)의 상단면에 저면이 밀착되면서 결국 상부와 하부로 전혀 유동이 불가능한 상태로서 유지된다.
스프레드 헤드(60)의 바닥면을 상향 돌출시킨 돌출단부(61)는 중앙이 수직으로 관통되며, 이 관통된 홀을 통해 소경의 봉부재인 터치 레버(35)가 지나면서 스프레드 헤드(60)의 저부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특히 연결구(40)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하우징(10)의 결합단부와 스프레드 헤드(60)의 결합단부간으로는 기밀 향상을 위해 패킹(70)이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종래 수도 밸브의 토수구에 하우징(10)의 상단부에 형성한 결합돌부(11)가 직접 나사 결합되게 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수도관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적용한 사용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수도 밸브 또는 수도관에 나사 체결된 상태에서 터치 레버(35)를 조작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하우징(10)의 결합돌부(11)에 형성한 다수의 구멍(11a)을 통해 유입되는 물은 하우징(10)의 내주면과 감압구(20)의 외주면간 간극을 통해 유도되며, 이렇게 유도되는 물은 감압구(20)의 하단부측 외주면으로 형성한 다수의 구멍(21)을 통해 감압구(20)의 내부로 유도된다.
이때 수직으로 유동하던 물은 감압구(20)의 구멍(21)을 통하면서 유동방향이 전환되면서 하우징(10)으로 유입되던 수압을 대폭적으로 감압시키게 된다.
이렇게 감압되어 감압구(20)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은 압축 스프링(34)에 의해 탄력지지되고 있는 디스크(30)의 상부 플레이트(31)와 하부 플레이트(32)의 사이로 유도되어 일단 정체되는 상태가 되는데 이는 하부 플레이트(32)에 의해 연결구(40)측 관통홀(42)이 폐쇄되면서 더 이상 유동이 불가해지기 때문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터치 레버(35)의 조작에 의해 물이 토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손등으로 터치 레버(35)를 간단히 밀게 되면 터치 레버(35)가 연결된 디스크(30)가 압축 스프링(34)에 의해 지지되는 부위를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서 기울어지는 상태가 된다.
이때 하부 플레이트(32)의 일측이 연결구(40)의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이렇게 이격된 공간을 통해 감압구(20) 내부에 정체되어 있던 물이 연결구(40)의 관통홀(41)을 통해서 유동하기 시작한다.
관통홀(41)을 통과한 물은 연결구(40)의 내주면과 평판의 디버터(50)의 외측면간 공간을 통해 스프레드 헤드(60)의 바닥면에 다수 형성한 홀(62)을 통해서 토출된다.
터치 레버(35)를 일측으로 민 상태에서는 하부 플레이트(32)와 연결구(40)의 상부면 간으로 물이 유동할 수 있는 미세 공간이 계속 형성되므로 스프레드 헤드(60)를 통해 물을 지속적으로 토출시킬 수가 있게 되면서 손에 물을 받을 수가 있거나 손을 씻을 수가 있다.
한편 비누를 사용하기 위해 터치 레버(35)에서 손을 떼게 되면 본 고안은 도 4에서와 같은 하부 플레이트(32)에 의해 연결구(40)의 관통홀(41)이 폐쇄되는 상태가 되면서 물 공급이 차단된다.
손에 비누칠을 한 직후 재차 터치 레버(35)를 손등으로 밀게 되면 다시 관통홀(41)이 개방되면서 스프레드 헤드(60)를 통해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된다.
특히 양치질을 위해 컵에 물을 받게 되는 경우에도 컵을 터치 레버(35)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터치 레버(35)를 밀게 되면 물이 토출되므로 종전과 같이 별도로 레버를 조작할 필요가 없는 편리함이 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물을 반드시 사용해야 하는 시점에서만 물을 공급하고, 그렇치 않은 경우에는 물 공급이 차단되게 하므로서 물의 소비량을 철저히 제한하게 되면 보다 불필요한 물 소비를 줄일 수가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반드시 물을 사용해야 하는 시점에서만 터치 레버(35)를 조작하여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불필요한 물의 낭비가 최소화되도록 하는 동시에 어린이들에게는 자연스럽게 절수의 습관을 습득시키게 되는 매우 경제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외주면으로 수나사가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다수의 구멍(11a)이 형성되도록 한 결합돌부(11)가 상부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결합돌부(11)의 하부는 하향 개방되는 종형상이면서 하단부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도록 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측 상부로 삽입되며, 측면은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면과 미세한 간극으로 이격되고, 측면의 하단부는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면에 밀착되며,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하단부의 직상부측 외주면에는 다수의 구멍(21)을 형성시켜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면서 내부는 하향 개방되도록 한 캡형상의 감압구(20)와;
    상기의 감압구(20) 내부로 삽입되며, 일단에는 압축 스프링(34)이 끼워지고, 타단에는 미세한 직경의 봉부재인 터치 레버(35)의 일단이 결합되며, 상부 플레이트(31)와 하부 플레이트(32)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체로 연결되는 스풀 형상의 디스크(30)와;
    수나사가 형성된 외주면 상측은 상기 하우징(10)의 하단부 내주면에 나사결합되며, 상부면에는 상기 감압구(20)의 하단부와 함께 상기 압축 스프링(34)에 의해 탄력지지되는 상기 디스크(30)의 하부 플레이트(32)가 밀착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32)에 의해서는 중앙에 관통시킨 관통홀(41)이 개폐되도록 한 하향 개방되는 캡 형상의 연결구(40)와;
    상기 터치 레버(45)에 끼워지면서 상기 연결구(40)의 내부에 위치되는 평판의 원형 플레이트인 디버터(50); 및
    내주면이 상기 연결구(40)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며, 바닥면의 중앙은 소정의 높이로 상향 돌출되도록 하여 그 상단면에 상기 디버터(50)가 밀착되고, 바닥면의 외주연부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다수의 홀(52)이 형성되도록 한 스프레이 헤드;
    로서 구비되는 세수용 수도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30)의 상부 플레이트(31)는 상기 감압구(20)의 내경보다는 작은 외경이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32)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31)의 외경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갖는 세수용 수도 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40)의 상기 하부 플레이트(32)가 밀착되는 관통홀(41)의 외주연부에는 오링(42)이 삽입되게 하여 기밀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세수용 수도 밸브.
KR2020000011494U 2000-04-22 2000-04-22 세수용 수도 밸브 KR2001973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494U KR200197316Y1 (ko) 2000-04-22 2000-04-22 세수용 수도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494U KR200197316Y1 (ko) 2000-04-22 2000-04-22 세수용 수도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7316Y1 true KR200197316Y1 (ko) 2000-09-15

Family

ID=19653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494U KR200197316Y1 (ko) 2000-04-22 2000-04-22 세수용 수도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31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7552E1 (en) Aerator with dual spraying functions
US2935265A (en) Jet-aerator spray shower-head
US8573512B2 (en) Handheld water discharging device
US2510396A (en) Aerating device
US5662276A (en) Check assembly of a sprinkling head for a kitchen cabinet
US11639597B2 (en) Multifunctional water outlet device
US6561441B1 (en) Kitchen-used sprinkling gun
KR200197316Y1 (ko) 세수용 수도 밸브
EP1860358B1 (en) Upwardly and downdwardly discharged faucet
JP5081500B2 (ja) 吐出容器
CN217301711U (zh) 一种两功能开关水起泡器
US20100025612A1 (en) Control valve for a water tap
JP2005515050A (ja) 二方弁を組み込んだシャワー・パイプおよびシャワー・パイプ用二方弁
JP4226440B2 (ja) シャワーヘッドの吐水切換構造
JP2002317478A (ja) 洗面台用シャワーヘッド
JP3688486B2 (ja) 止水機能付シャワーヘッド
US6187186B1 (en) Device for introducing substances into water
JP4260943B2 (ja) 止水機能付き吐水ヘッド
KR100341351B1 (ko) 절수형 세면기
CN217301710U (zh) 一种多功能开关水起泡器
KR200168423Y1 (ko) 다용도 샤워기
CN110026302B (zh) 一种精油花洒
JP2539995Y2 (ja) シャワ−ヘッド
CN216654983U (zh) 一种卫浴出水装置
CN102429450B (zh) 便携式香水挥发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