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163Y1 - 액정평판디스플레이부의 틸트조절 각도가 넓은액정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평판디스플레이부의 틸트조절 각도가 넓은액정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163Y1
KR200197163Y1 KR2019970010351U KR19970010351U KR200197163Y1 KR 200197163 Y1 KR200197163 Y1 KR 200197163Y1 KR 2019970010351 U KR2019970010351 U KR 2019970010351U KR 19970010351 U KR19970010351 U KR 19970010351U KR 200197163 Y1 KR200197163 Y1 KR 2001971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display
display unit
uni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03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5996U (ko
Inventor
조창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103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163Y1/ko
Publication of KR199800659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9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1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1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Abstract

이 고안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신호에 의해 영상이 표시되는 액정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하방향으로 화면각도가 조절되는 틸트동작 각도를 보다 크게 가질 수 있도록 개선한 액정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스탠드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스탠드부를 연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각도를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조절 가능하게 하는 힌지부를 가진 액정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를 형성하는 스탠드의 회전가이드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부결합브라켓과 축보스로 연결되는 힌지부브라켓에 꺽임부를 형성하게 하고 상기 힌지부브라켓을 커버하는 힌지부카바에 카버상면부보다 낮은 위치로 형성되는 스톱퍼용 커버홈부를 구성하도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틸트동작시 상기 스톱퍼용 커버홈부까지 디스플레이부 후측하단부가 제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정평판디스플레이부의 틸트조절 각도가 넓은 액정디스플레이장치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신호에 의해 영상이 표시되는 액정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가 상,하방향으로 화면각도가 조절되는 틸트동작 각도를 크게 가질 수 있도록 개선된 액정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보화시대의 화상정보 전달매체로서 디스플레이장치의 소형화 및 박판화, 고품질화가 도모되고 있으며, 이러한 것에 부응하는 디스플레이장치로서 액정디스플레이장치가 있다.
액정평판디스플레이장치는 크게 구분하여 박판화되도록 구성되는 액정평판디스플레이부(LCD)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스탠드부를 가지는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이 보편적이며, 상기 스탠드부로부터 디스플레이부를 움직여서 조절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 이유는, 외부(PC)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신호에 따라 영상이 표시되는 액정평판디스플레이부를 사용자가 보기 좋은 위치로 조절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도 1 및 도 2는 상기와 같이 스탠드로부터 디스플레이부를 조절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선행기술에 의한 액정디스플레이장치의 개략적인 전체사시도 및 일측면 작용도를 보여 준다.
이것에 따르면, 선행기술에 의한 액정디스플레이장치는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신호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평판(2)을 가진 디스플레이부(1)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를 지지하는 스탠드부(3)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1)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하고 스탠드부(3)와 연결되게 하는 힌지부(4)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의 액정디스플레이장치는 스탠드부(3)가 크고 디자인이 나쁜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으며, 또한 디스플레이부가 상,하방향으로 각도조절되는 틸트동작은 가능하지만 좌,우방향으로 화면각도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를 갖고 있다.
그러므로 출원인에 의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도를 상,하방향으로 뿐만 아니라 좌,우방향으로도 조절시킬 수 있는 액정디스플레이장치가 한국 특허출원번호 제 96-52393 호로 선출원되었다.
상기 선출원된 장치의 기술은 1개소의 힌지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디스플레이부의 화면각도를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절 가능하도록 한 기술에 그 특징을 갖는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부는 상,하방향으로 화면각도가 조절되는 틸트동작과, 좌,우방향으로 회전되어 각도 조절되는 스위블동작이 실행된다. 그러나 힌지부는 힌지커버를 구비하는 구조를 이루므로서 상기한 틸트동작을 할 때에는 디스플레이부가 힌지커버에 닿으므로서 상부방향 각도 조절에 있어서 한계성을 갖게 되기 때문에 각도 조절 범위가 작아지는 문제를 수반하게 된다.
본 고안은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각도 조절에 있어 상부방향으로 각도 조절 범위를 크게할 수 있는 액정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스탠드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스탠드부를 연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각도를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조절 가능하게 하는 힌지부를 가진 액정디스플레이장치로서, 상기 힌지부를 형성하는 스탠드의 회전가이드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부결합브라켓과 축보스로 연결되는 힌지부브라켓에 꺽임부를 형성하게하고 상기 힌지브라켓을 커버하는 힌지부카바에 카버상면부보다 낮은 위치로 형성되는 스톱퍼용 커버홈부를 구성하도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틸트동작시 상기 스톱퍼용 커버홈부까지 디스플레이부 후측하단부가 제껴지도록 구성한 것을 그 특징으로한다.
도 1은 종래의 액정디스플레이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액정디스플레이장치의 일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실시된 액정디스플레이장치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를 분리한 액정디스플레이장치의 일부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 - A'선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작용을 보인 액정디스플레이장치의 일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디스플레이부 11 : 액정판넬
20 : 스탠드부 28 : 회전가이드홈면
30 : 수직힌지축 40 : 힌지부
41 : 힌지본체 47 : 힌지부카바
47a : 스톱퍼용커버홈부 48 : 수직축부
50 : 디스플레이부결합브라켓 51 : 힌지부결합브라켓
51a : 꺽임부 52,52' : 축보스
54 : 수평축부
본 고안이 실시된 액정디스플레이장치를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7에 나타낸 본 고안에 따른 액정디스플레이장치는, 크게 구분하여 영상이 표시되는 액정판넬(11)을 가진 디스플레이부(1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스탠드부(20)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0)와 스탠드부(20) 사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영상부를 사용자가 보기에 좋은 위치로 화면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힌지부(40)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10)는 이미 언급된 액정판넬(11)과, 상기 액정판넬(11)이 설치되도록 하는 지지부재로서 프런트 및 리어케이스(12)(13)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메인회로기판(14)이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스탠드부(20)는, 스탠드본체(21) 내부에 스피커(22)와 인터페이스회로기판(23)이 내장되도록 구성되고, 하부에는 웨이트(24)가 고정되는 보텀카바(25)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부호 26은 스피커카바이고, 27은 입력부카바를 나타낸다.
힌지부(40)는, 힌지본체(41)를 구비하며, 상기 힌지본체(41)는 하부에 원형상의 회전가이드면(42)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면(42)은 스탠드본체(21) 상부에 형성되는 회전가이드홈면(28)에 삽입되어 회전시에 미끄럼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힌지본체(41) 중앙에는 양측에 삽입가이드홀(43a)을 가진 힌지축삽입구멍(43)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힌지축삽입구멍(43)으로는 스탠드본체(21)의 회전가이드홈면(28) 중앙에 수직되게 설치된 수직힌지축(30))이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직힌지축(30)의 양측으로 형성된 이탈방지리브(30a)가 삽입되도록 결합된다.
다음에, 상기 힌지본체(41)를 90도 각도로 회전시키면, 힌지축(30)의 이탈방지리브(30a)가 회전되어 힌지축삽입구멍(43a)과 교각을 이루게 되므로서 이탈이 방지되는 한편, 상기 힌지본체(41)의 저면에 구비하는 이탈방지돌기(44)가 회전가이드홈면(28)에 형성된 탄성턱부(31)를 밀고 이동되므로서, 상기 탄성턱부(31)와 고정턱부(31')사이에서 상기 이탈방지돌기(44)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액정디스플레이장치는 스탠드본체(21)로부터 힌지본체(41)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 즉 수직힌지축(30)의 이탈방지리브(30a)와 힌지본체(41)에 형성되는 힌지축삽입구멍(43)의 삽입가이드홀(43a)이 교각을 이루므로서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하는 이탈방지수단과, 상기 힌지본체(41)의 이탈방지돌기(44)가 스탠드본체(21)의 탄성턱부(31)와 고정턱부(31') 사이에서만 회전되도록 하는 세이블회전각 제어수단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직힌지축(30)을 중심으로 힌지본체(41)가 회전되게 되는 좌우회전수단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힌지본체(41)의 상부 양측으로 상하회전수단을 각각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하회전수단은, 디스플레이부(10)의 리어케이스(13) 하단부에 스크류(45)에 의해 고정되는 디스플레이부결합브라켓(50)과, 힌지본체(41)의 고정보스(46)에 역시 스크류(45')로 결착되는 힌지부결합브라켓(51)을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힌지부결합브라켓(50)(51)에 각각 구비하는 축보스(52)(52')가 수평축(53)으로 연결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결합브라켓(50)이 상,하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결합브라켓(50)이 고정된 디스플레이부(10)가 상하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며, 이와같이 좌우 및 상하회전수단을 가지는 힌지본체(41) 위에는 힌지부카바(47)가 씌워지도록 결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 본 고안은 힌지부결합브라켓(51)에 그 특징이 있다. 즉, 상기 힌지부결합브라켓(51)은 수평축부(54)를 형성하게 하는 축보스(52')로부터 수직축부(48) 방향으로 꺽임부(51a)가 형성되게하여 고정되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상기 힌지본체(41) 위로 씌워지게 되는 힌지부카바(47)에 있어서 스톱퍼용 커버홈부(47a)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힌지부카바(47)는 스크류 또는 결착스냅등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힌지본체(41) 위에 씌워지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결과적으로 상기한 좌우회전수단에 의해 수직축부(48)를 가지게되며, 상하회전수단에 의해서는 수평축부(54)를 가지는 액정디스플레이장치를 구성하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액정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부(10)를 상하로 회전시켜 각도 조절하는 것을 보여 주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액정판넬(11)을 보기 좋은 쪽으로 놓여지도록 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에따라, 디스플레이부(10)는 수평축부(54)의 수평축(53)을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상하방향의 각도를 사용자 임의대로 맞출 수 있게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0)를 뒤로 제끼게 되는 상부방향으로의 틸트동작시에 힌지부결합브라켓(51)에 꺽임부(51a)가 있어 힌지부카바(47)에 스톱퍼용 커버홈부(47a)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10)의 후측하단부(10a)가 제약을 받지 않고 스톱퍼용 커버홈부(47a)까지 제껴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가령, 힌지부결합브라켓(51)이 꺽임부없이 수평된 상태를 이루게 되면, 힌지부카바(47)는 스톱퍼용 커버홈부(47a) 없이 상면부(47b)와 동일한 높이의 카바를 형성할 수 밖에 없으며, 아울러서 디스플레이부(10)의 후측하단부(10a)가 걸림되어 많이 제낄 수 없게 되고, 그것은 즉 틸트동작 각도를 도 7에서 "α"각도 뿐이 가질 수 없게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기한 틸트동작 각도보다는 더많은 "β"량 만큼의 틸트동작 각도를 얻게 하므로 상하방향으로의 화면각도 조절에 있어 선택폭을 ㄴ게 가질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수직축부(48)의 수직힌지축(30)을 중심으로 힌지본체(41)가 회전되므로 사용자 임의대로 좌우측으로의 액정판넬(11)이 위치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면서도 상하방향으로 액정판넬(11)이 위치하는 각도의 폭을 넓게 가지고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해 액정디스플레이장치의 틸트동작각도를 넓게 가질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상,하방향 화면각도 조절을 폭넓게 할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동시에 제품 신뢰성 향상을 도모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스탠드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스탠드부를 연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각도를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조절 가능하게 하는 힌지부를 가진 액정디스플레이장치로서,
    상기 힌지부를 형성하는 스탠드의 회전가이드홈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부결합브라켓과 축보스로 연결되는 힌지부브라켓에 꺽임부를 형성하게 하고 상기 힌지부브라켓을 커버하는 힌지부카바에 카버상면부보다 낮은 위치로 형성되는 스톱퍼용 커버홈부를 구성하도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틸트동작시 상기 스톱퍼용 커버홈부까지 디스플레이부 후측하단부가 제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디스플레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브라켓의 꺽임부가 힌지부의 수직축부방향으로 낮게 꺽임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디스플레이장치.
KR2019970010351U 1997-05-10 1997-05-10 액정평판디스플레이부의 틸트조절 각도가 넓은액정디스플레이장치 KR2001971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351U KR200197163Y1 (ko) 1997-05-10 1997-05-10 액정평판디스플레이부의 틸트조절 각도가 넓은액정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351U KR200197163Y1 (ko) 1997-05-10 1997-05-10 액정평판디스플레이부의 틸트조절 각도가 넓은액정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996U KR19980065996U (ko) 1998-12-05
KR200197163Y1 true KR200197163Y1 (ko) 2000-10-02

Family

ID=19500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0351U KR200197163Y1 (ko) 1997-05-10 1997-05-10 액정평판디스플레이부의 틸트조절 각도가 넓은액정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1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87729B2 (en) 2003-07-23 2007-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44935B (zh) * 2021-12-29 2024-04-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87729B2 (en) 2003-07-23 2007-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996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34363A (ko) 액정평판디스플레이부를 좌우 및 상하로 조절이 가능한 액정디스플레이장치
KR100242840B1 (ko) 액정디스플레이장치
KR19980034364A (ko) 와이어 꼬임이 없는 액정디스플레이장치
KR19980034366A (ko) 액정디스플레이장치의 스탠드구조
US7267312B2 (en) Display apparatus
US7127776B2 (en) Dual display type portable comput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6522530B2 (en) Computer system having a monitor movably coupled to a main body
US7336478B2 (en) Monitor apparatus
US6411271B1 (en) Liquid crystal display
JP4741846B2 (ja) 薄型表示装置用スタンド
KR19980034365A (ko) 균형유지가 되는 액정디스플레이장치
TWI357473B (en) Display device
EP1197833B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ngle of an imaging device
EP0703401B1 (en) Panel unit swing mechanism
US6867961B2 (en) Portable computer
KR19980034367A (ko) 스탠드부에 전원 및 신호부를 갖는 액정디스플레이장치
KR200204161Y1 (ko) 힌지연결부가 보강된 평판디스플레이장치
US20120013584A1 (en) Portable Computer Having A Tilt Camera Assembly
JP2008292692A (ja) 表示装置
KR200197163Y1 (ko) 액정평판디스플레이부의 틸트조절 각도가 넓은액정디스플레이장치
KR19990032025U (ko) 평판디스플레이장치의 스위블(swivel)장치
US20110050541A1 (en) Dual display device
KR20160001330A (ko) 카메라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화기
KR2005010931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10108910A (ko) 각도 조절과 높이 조절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엘시디모니터 스탠드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