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962Y1 - 전력량계의 단자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전력량계의 단자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962Y1
KR200196962Y1 KR2019980001458U KR19980001458U KR200196962Y1 KR 200196962 Y1 KR200196962 Y1 KR 200196962Y1 KR 2019980001458 U KR2019980001458 U KR 2019980001458U KR 19980001458 U KR19980001458 U KR 19980001458U KR 200196962 Y1 KR200196962 Y1 KR 2001969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crew
voltage
current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14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5792U (ko
Inventor
안성기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20199800014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962Y1/ko
Publication of KR199900357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7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9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9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전력량계의 단자연결구조는 전력량계의 생산과정에서 전압단자와 전류단자가 분리되어 허부하법에 의한 작동오차 시험과정을 거친 뒤에 실제사용에 적함하도록 전압단자와 전류단자를 연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전력량계의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이점을 제공키 위한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7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0)의 일측에 부착된 전압단자(24)와, 상기 전압단자(24)와 소정을 간격을 두고 베이스 플레이트(70)에 부착된 전류단자(34)와, 상기 각 단자(24, 34)에 부착된 단자나사(26, 36)와, 상기 전류단자(24)와 연결된 고정나사(92)와, 상가 고정나사(92)와 전압단자(24)에 부착된 단자나사(26)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수단은 고정나사(92)와 단자나사(26)를 같이 탄력적으로 결속하는 "U"형의 핀클립(9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클립(94)은 각 나사(92, 26)와의 걸림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굴곡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0)에는 핀클립(94)이 상기 두 나사(92, 26) 중 어느 하나에만 걸린 상태에서도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 돌기(72)가 고정나사(92)와 전압단자(24) 사이에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력량계의 단자연결구조
본 고안은 전력량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류측 코일단자와 전압측 코일단자를 분리 가능하게 접속하는 단자연결링크에 관한 것이다.
전력량계는 가정이나 산업체에서 사용한 전력량을 적산하기 위한 기기로서,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원판(10)과, 상기 원판(10)의 상 하방에 각각 위치된 전압코일(20) 및 전류코일(30)과, 상기 전압 전류코일(20, 30)이 감긴 전압 전류철심(22, 32)과, 상기 각 코일(20, 30)과 전원측 및 부하측 전선(80, 82)을 접속하기 위한 다수개의 전압 전류단자(24, 34)와, 상기 원판(10)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는 계수기(40)와, 상기 원판(10)에 일정한 제동력을 가하는 제동자석(5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바, 상기 각 기기들은 케이스(60) 내에 장착되어 있고, 단자들은 상기 케이스(60)의 일단에 구성된 단자함(60a)에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전압코일(20)은 전압철심(22)에 조밀한 간격으로 감긴 가는 철선으로 이루어져 있고, 전류코일(30)은 전압코일(20)에 비해 상대적으로 굵은 철선으로 이루어지며 넓은 간격으로 전류철심(32)에 감겨져 있다.
그리고, 단자함(60a)에 구비된 각 단자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자면 단자함(60a)의 도면상 좌측에는 전원측 전선(80)과의 연결되는 전압단자(24) 및 전류단자(34)가 베이스 플레이트(70)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각 단자(24, 34)에는 전선(80)과의 견고한 연결을 위한 단자나사(26, 36)가 갖추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전압단자(24)와 전류단자(34)는 회전링크(9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 상기 연결링크(90)는 그 일단이 베이스 플레이트(70)에 장착된 고정나사(92)에 의해 결속되고 고리모양의 타단이 전압단자(24)의 단자나사(26)에 끼워지게 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나사(92)는 케이스(60) 내의 전류단자(24)와 베이스 플레이트(70)의 저면에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전력량계는 전원이 공급될 경우 전압코일(20)과 전류코일(30)에서 서로 위상각이 다른 자속이 발생하여 이동자계가 발생하고, 이동자계가 원판(10)을 통과하여 와류가 형성되면 자속과 와류의 합성으로 발생하는 기자력에 의해 원판(10)이 회전되며, 상기 원판(10)에 계수기(40)가 연동되어 사용된 전력량을 표시하게 되는 바, 이때 원판(10)에는 제동자석(50)에 의한 제동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그 회전력이 적절하게 조절된다.
한편, 이러한 전력량계의 생산과정에서 그 성능시험은 작업상 안전성 및 전력요금의 절감을 위해 실제로 가정이나 산업체에서 사용되는 경우와 같이 적정한 전류와 전압이 같이 유지되는 전원을 이용한 실부하법이 아니라, 전류와 전압의 비율 차이를 크게하여 별도로 시험하는 허부하법을 사용하게 된다. 즉, 도 2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난 것과 같이 회전링크(90)의 일단을 전압단자(24)에서 빼내어 전압단자(24)와 전류단자(34)를 분리시킨 다음 전압단자(24)에 전류에 비해 전압이 상대적으로 크게 높은 전원을 연결함으로써 전압코일(20)을 통한 전력량계의 작동 오차를 측정하고, 전류단자(34)에 전압에 비해 전류의 세기가 상대적으로 큰 전원을 공급하여 전류코일(30)을 통한 전력량계의 작동 오차를 별도로 측정하는 것이다. 이때, 시험대상 전력량계의 작동 오차는 표준기와의 비교치에 의해 측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하면 전력량계의 생산과정에서 허부하법에 의한 성능시험을 위해 전압단자(24)와 전류단자(34)를 분리시키거나, 성능시험을 거친 다음 실제 사용 시에 적합하도록 전압단자(24)와 전류단자(34)를 연결할 경우 회전링크(90)의 연결 또는 분리를 위해 고정나사(92) 및 전압단자(24)의 단자나사(26)를 일일이 풀고 조이는 작업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전력량계의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압단자와 전류단자의 연결 및 분리를 쉽게 이룸으로써 전력량계의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 전력량계의 단자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부착된 전압단자와, 상기 전류단자와 소정을 간격을 두고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된 전류단자와, 상기 각 단자에 부착된 단자나사와, 상기 전류단자와 연결된 고정나사와, 상가 고정나사와 전압단자의 단자나사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전력량계의 단자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고정나사와 단자나사를 같이 탄력적으로 결속하는 "U"형의 핀클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핀클립은 두 나사와의 걸림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굴곡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핀클립이 상기 두 나사 중 어느 하나에만 걸린 상태에서도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 돌기가 전압단자와 전류단자 사이에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의 단자연결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력량계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종래 전력량계의 단자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단자연결구조에 적용되는 연결링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단자연결구조에 적용되는 단자나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상기 연결링크가 적용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단자연결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판 20 : 전압코일
22 : 전압철심 24 : 전압단자
26 : 단자나사 26a : 헤드부
26b : 본체 26c : 돌출부
30 : 전류코일 32 : 전류철심
34 : 전압단자 36 : 단자나사
40 : 계수기 50 : 제동자석
60 : 케이스 60a : 단자함
70 : 베이스 플레이트 72 : 가이드 돌기
80 : 전원측 전선 82 : 부하측 전선
90 : 회전링크 92 : 고정나사
92a : 헤드부 92b : 본체
92c : 돌출부 94 : 핀클립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3부터 도 5까지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고안의 구성 중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단자연결구조에 적용되는 연결링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단자연결구조에 적용되는 단자나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연결링크가 적용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단자연결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단자연결구조에는 전원단자와 전류단자의 접속 분리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연결수단이 적용되는 바, 상기 연결수단은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U"형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대칭되는 파형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핀클립(94)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핀클립(94)은 양단이 각 고정나사(92)와 전압단자(24)에 장착된 단자나사(26)를 탄력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간격으로 구부러지며, 그 양선단에서는 바깥방향으로 벌어지는 파형을 이룬다.
여기서, 상기 핀클립(94)은 전기가 잘 통하고 적당한 탄성을 지닌 금속재로 이루어져야 하며,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고정나사(92)와 전압단자(24)에 장착된 단자나사(26)의 헤드부(92a, 26a) 하방의 본체(92b, 26b)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돌출부(92c, 26c)가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70)에는 전압단자(24)와 전류단자(26) 사이에서 돌출하는 원통형의 가이드 돌기(7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단자연결구조에 의하면 허부하법에 의해 전력량계의 작동오차를 시험할 경우, 도 5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난 것과 같이 핀클립(94)이 전류단자(34)와 연결된 고정나사(92)에만 걸리도록 하여 전압단자(24)와 전류단자(34)를 분리한 다음 작업을 행하게 되며, 시험이 끝난 뒤에는 실제사용에 적합하도록 핀클립(94)을 밀어넣어 고정나사(92)와 전압단자(24)의 단자나사(26)에 같이 걸리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나사(92)와 단자나사(26)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돌출부(92c, 26c)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끼워지므로, 핀클립(94)은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아 마찰이 적은 각 나사(92, 26)의 돌출부(92c, 26c)를 탄력적으로 압박하게 되어 각 고정나사(92)와 전압단자(24)의 단자나사(26)를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은 단순히 핀클립(94)을 일측으로 밀거나 당기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가능해 진다.
더우기, 핀클립(94)은 전압단자(24)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도 그 일단이 고정나사(92)와 가이드 돌기(72)에 의해 같이 지지됨으로써 일측으로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고정나사(92)와 전압단자(24)의 단자나사(26)를 다시 연결할 때 그 위치를 재조정하지 않아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력량계의 단자연결구조에 의하면 전력량계의 생산과정에서 전압단자와 전류단자를 분리하여 허부하법에 의한 작동오차 시험과정을 거친 뒤에 실제사용에 적함하도록 전압단자와 전류단자를 연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전력량계의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이점이 발생한다.

Claims (3)

  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부착된 전압단자와, 상기 전압단자와 소정을 간격을 두고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된 전류단자와, 상기 각 단자에 부착된 단자나사와, 상기 전류단자와 연결된 고정나사와, 상기 고정나사와 전압단자의 단자나사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전력량계의 단자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고정나사와 단자나사를 같이 탄력적으로 결속하는 "U"형의 핀클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의 단자연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클립은 각 나사와의 걸림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굴곡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의 단자연결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핀클립이 상기 두 나사 중 어느 하나에만 걸린 상태에서도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 돌기가 전압단자와 전류단자 사이에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의 단자연결구조.
KR2019980001458U 1998-02-09 1998-02-09 전력량계의 단자연결구조 KR2001969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458U KR200196962Y1 (ko) 1998-02-09 1998-02-09 전력량계의 단자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458U KR200196962Y1 (ko) 1998-02-09 1998-02-09 전력량계의 단자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792U KR19990035792U (ko) 1999-09-15
KR200196962Y1 true KR200196962Y1 (ko) 2000-10-02

Family

ID=19531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1458U KR200196962Y1 (ko) 1998-02-09 1998-02-09 전력량계의 단자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96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647B1 (ko) * 2018-10-15 2020-01-08 주식회사 남전사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IoT 전력량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792U (ko)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A899374B (en) Electrical fault detecting device
KR200196962Y1 (ko) 전력량계의 단자연결구조
US3493862A (en) Induction meter having light-load adjuster
KR200196953Y1 (ko) 전력량계의 단자 연결장치
JP2000088889A (ja) カレントトランスとそれを用いた装置
KR100704489B1 (ko) 전력량 계측 시스템 및 그 계측 방법
JPH07218553A (ja) プリント基板
US2958835A (en) Pickup instrument for measuring device
US2785379A (en) Induction watthour meter for two and three wire service
Menne et al. Contact resistance measurement on contacts for an Ultra Fast Disconnector
JP3866456B2 (ja) 電力量計
CN215005638U (zh) 一种带负荷测试辅助工具
JPS58137Y2 (ja) 電力量計
KR20030065447A (ko) 무 접속형 전자식 전력량계
KR19990035793U (ko) 전력량계의 봉인구조
US2210778A (en) Current responsive instrument
CN216212717U (zh) 一种具有导线固定结构的电流三相平衡器
JP2506951Y2 (ja) 表示機能付無停電工具
US3351855A (en) Tachometer attachment for clamp-on type electric meter
JPS63210782A (ja) インダクテイブ・マルチプライヤ−
JP3068992U (ja) 変圧器
JP3229437U (ja) クランプ式電流計
JPH023182Y2 (ko)
KR200184306Y1 (ko) 전력량계의 회전원판 지지축용 베어링유닛
JPH041475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