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231Y1 - 4주식 유압착유기 - Google Patents

4주식 유압착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231Y1
KR200196231Y1 KR2020000010169U KR20000010169U KR200196231Y1 KR 200196231 Y1 KR200196231 Y1 KR 200196231Y1 KR 2020000010169 U KR2020000010169 U KR 2020000010169U KR 20000010169 U KR20000010169 U KR 20000010169U KR 200196231 Y1 KR200196231 Y1 KR 2001962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milking
plate
hydraulic
hydraulic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01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재
Original Assignee
이도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재 filed Critical 이도재
Priority to KR20200000101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2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2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2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0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 rams
    • B30B9/06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 rams co-operating with permeable casings or str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6Platens or press rams
    • B30B15/062Press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판, 슬라이드 판, 하판 및 지주로 구비된 착유기 몸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모터에 의한 스크류의 회전으로 이동자재 한 헤드 저면에 나사붙임식으로 눌름판이 일체로 되게하고, 눌름판 저면에는 방사상의 유로를 형성시킨 것과,
상판과 착유통 사이에 스프링과 축으로 장치된 착유통 상승 제어장치를 설치하되, 부라켓트 상측부가 축으로 회전자재하게 끼워져 있고 그 중간부에 스프링이 항상 내향으로 밀어주도록 되어 있으며, 스프링의 대향진 위치에는 내향 돌편으로 돌설시켜 헤드의 이동시 벌어지고 오무려지게 구성하고 상기 부라켓트 하단에 재치턱을 구성한 것과,
유압실린더 내에 설치된 피스톤의 하부면은 넓고 상부면은 좁게 구성하고 유압실린더의 상면에는 피스톤 지지판을 나사결합 하되, 유압실린더의 배유관 내면에 상향 경사진 드레인 홈을 환상으로 형성시켜 피스톤 상승시 드레인 홈의 경사진 부분으로 작동유가 드레인 되도록 하고, 피스톤의 적은 상부면은 피스톤 지지판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지지되게 한 것을 각각 구비하므로 작업시 힘들이지 않고도 피 착유곡물로부터 단번의 작업으로 완벽하게 기름을 추출할 수가 있는 4주식 유압착유기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4주식 유압착유기{Four props style ole press}
본 고안은 참깨, 들깨 등의 곡물로부터 식용유를 추출하는 유압착유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유압실린더에 내장된 피스톤의 하부면 측은 넓은 직경으로 하여 많은 양의 작동유로서 압력을 받도록 하고, 상부면은 적은 직경으로 하여 하부에서 받은 고압력을 소경의 착유통 저부에 삽설된 가압판을 집중적으로 가압토록 하며, 실린더의 피스톤 상승시 피 착유물이 담겨진 착유통도 함께 상승하여 착유통의 저부는 가압판이 피 착유물을 상향 압압토록함과 동시에 착유통의 상부는 헤드 저면에 일체로 나사결합 된 눌름판이 하향 압압토록 함으로서 피 착유물로부터 착유효율을 배가할 수 있고 기름을 다 추출한 깻묵은 착유통의 제어장치에 의해 간편히 깻묵만 인출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유압착유기는 실린더 내경과 피스톤의 외경이 기계적인 공차를 제외하고 동일하기 때문에 자연 피스톤이 입입되는 착유통의 외경이 커질 수밖에 없으므로 결국 유압착유기의 몸체가 커지게 되어 자연 기계의 점유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착유통의 내경이 피스톤의 외경보다 커지게 됨에 따라 곡물로부터 기름을 추출하는 가압력이 그 한계를 넘지 못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한번에 곡물의 기름을 완전히 추출할 수 없었기 때문에 수회 이상 거듭한 재탕으로 기름을 짜고 있으며 특히 착유통의 상부, 즉 피 착유물 위의 착유포와 저면이 민자인 플랜지판이 올려져 있어 상기 착유포를 통과한 기름이 추출되는 유로통로가 없으므로 착유물 자체가 기름흐름의 장애요소가 되어 더욱 높은 피스톤의 가압력이 요구되었을 뿐만 아니라 착유하기 위해서는 필히 피 착유물 위에 착유포, 원형 플랜지판(두께 약 20∼22m/m 무게 약 7∼8kg정도)을 매번 넣고 착유해야 함에 따라 주로 기름의 추출작업을 하는 부녀자들이 비교적 높은 위치의 착유통 내에 넣고 빼고 하기에는 매우 무거웠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실린더 내에 삽설되는 피스톤을 구성함에 있어서, 하부로부터 유압을 직접 받는 하부면은 넓게 하고 착유통 내의 가압판을 입입하는 상부면은 적은 경으로 하여 피스톤의 넓은 하부면에서 받은 고압력을 적은경의 상부면이 집중적으로 가압판을 압압토록하므로 그 가압력을 배가시킬 수 있으며, 착유통 상부 착유포 위의 눌름판 저면에는 방사상의 유로가 구성되어 있어 착유포를 통과한 기름을 한번에 완벽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종래 중량이 무거운 원형 플랜지판을 넣고 뺄 이유가 없도록 헤드 직하에 나사결합으로 눌름판을 일체가 되게 부착시켰으며 착유가 완료된 깻묵은 착유통상부의 헤드를 뒤로 이동시켜 주면 자동으로 제어장치의 받침턱이 착유통 상면을 잡아주므로 피스톤만 다시 상승시키면 착유통 내의 깻묵만 착유포와 함께 위로 올라와 전혀 힘들이지 않고도 간편히 깻묵을 인출시킬 수가 있다.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A)는 작동전 초기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작동중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전체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착유통의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착유통 상부에 내설된 눌림판 저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착유통 상부에 내설된 눌림판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의 착유통이 상승을 제어토록 된 제어장치사시도.
도7은 본 고안의 유압실린더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상판, 2.:슬라이드판, 3:하판, 4:지주,
5:몸체, 6:스크류, 7:헤드, 8:레일홈,
9:착유통, 10:실린더, 11:유도기, 12:헤드 작동모터,
13:받침대, 14:레일 15:가이드편, 16:유로틈새,
17:눌름판, 18:착유포, 19:유로, 20:부라켓트,
21:축, 22:제어장치, 23:재치턱, 24:내향돌편,
25:스프링, 26:피스톤, 27:하부면, 27a:상부면,
28:가압판, 29:피스톤 지지판, 30:U형패킹, 31:유지링,
32:배유관, 33:하부작동유 입출관, 34:피 착유물, 35:드레인 홈,
36:관통공, 37:히터.
첨부도면 도1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상판(1), 슬라이드 판(2), 하판(3)과 지주(4)로 이루어진 착유기 몸체(5)인데, 몸체(5)의 상판(1) 직하에는 스크류(6)로 이동자재한 헤드(7)와 슬라이드 판(2)에는 레일홈(8)에 의하여 이동 및 승강 자재토록 된 착유통(9)과 하판(2)에는 실린더(10)와 환형 기름 유도기(11)를 구비하였다.
헤드(7)는 상판(1) 뒷면에 볼트 등으로 체결되고 헤드 작동모터(12)가 재치된 받침대(13)의 스크류(6)와 연동되어 있는데 상판(1)의 저면에 부착된 레일(14)에 의하여 전후이동이 가능케 되어있다.
도2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착유통 단면도이며, 도4, 도5는 본 고안의 착유통 상부에 내설된 눌름판 저면도와 단면도로서 상판(1) 직하의 착유통(9)은 슬라이드 판(2)의 레일홈(8)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슬라이드 판(2)의 중심부에 형성된 가이드편(15)에 의하여 승강 가능토록 되어있으며 착유통(9) 내측에는 다수의 유로틈새(16)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이 헤드(7) 저면에 나사결합에 의해 일체로 된 눌름판(17) 저면에는 착유포(18)를 통과한 기름이 방사상으로 퍼져 수거되도록 유로(19)가 형성되어 짜여진 기름을 수거 가능케 되어있다.
도6은 본 고안의 착유통이 상승을 제어토록 된 제어장치 사시도로서, 상판(1) 저면에 부라켓트(20)에 축(21)으로 설치되어 회전 가능토록 제어장치(22)가 구성되어 있는데, 하부에는 재치턱(23)을, 상부에는 내향돌편(24)을 각각 형성하고 상판(1)과 재치턱(23) 간에는 스프링(25)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헤드(7)의 이동시 그 외면이 제어장치(22)의 내향돌편(24)을 약간밀어 착유통(9) 상면에 닿아 제어하고있던 제어장치(22)의 재치턱(23)을 외향으로 밀어주게 됨에 따라 이때는 착유통(9)의 상승이 가능하게 되어있다.
도7은 본 고안의 유압실린더를 나타낸 요부단면도로서, 유압실린더(10)내에 피스톤(26)을 설치하되, 이 피스톤(26)의 하부면(27)은 넓게하고, 상부면(27a)을 적은경으로 하여 역시 근사한 경의 착유통(9) 저면 가압판(28)을 가압토록 되어있으며 특히 배유관(32) 내면 측에는 상향 경사각도로 형성된 드레인 홈(35)이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피스톤(26) 상승시 실린더(10) 하부측의 작동유가 드레인 홈(35) 경사면을 통해 배유관(32)으로 배유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26)의 승강작동 시 2중경으로 구성된 피스톤(26)의 상부면(27a)이 상부 피스톤 지지판(29)의 관통공(36)에 지지된 상태로 작동하기 때문에 피스톤(26)은 항상 정위치에서 승강토록 되어있고 특히 피스톤(26)의 U형팩킹(30)이 작동유에 의해 피스톤(26) 상승시 외향으로 벌어지더라도 피스톤(26) 하강시 드레인 홈(35)의 경사면에 의하여 그 벌어진 U형팩킹(30)의 외향부분이 다시 내향으로 오므려지므로 스므스하게 하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중 미 설명부호 31은 피스톤 지지판(29)의 관통공(36) 내면에 끼워진 유지링, 33은 하부작동유 입출관, 34는 피 착유물, 37은 히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면,
먼저 착유통(9)은 슬라이드 판(2)의 레일홈(8)을 따라 손잡이를 잡고 당겨주므로 도1의 점선과 같이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착유통(9)의 상부가 개방이 되므로 착유통(9) 내의 상부 착유포(18)를 인출시킨 후 하부착유포, 피 착유곡물(34), 상부착유포(18) 순으로 착유통(9) 내부에 넣고 도1의 점선에서 실선의 위치로 넣는데, 이때 착유통(9)은 레일홈(8) 내의 단부에 스톱바를 장치하면 되는 것이다.
일단 착유통(9)과 헤드(7)를 정위치에 위치시킨 후 통상의 오일펌프(도시치 않았음)를 구동시켜 실린더(10)의 하부작동유 입출관(33)으로 작동유를 인입시키면 실린더(10) 내의 피스톤(26)이 상승하게 되며 이때 실린더(10)의 배유관(32)은 개방되어 있으므로 피스톤(26)이 상승하면서 착유통(9) 내의 가압판(28)이 상승하여 피 착유물(34)을 압축함과 동시에 그 부하로 인해 착유통(9)이 자연 상승하게 되어 헤드(7)의 눌름판(17)이 착유통(9) 내로 천천히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착유통(9)내의 피착유물(34)의 하부는 가압판(28)이 상방으로 압압하고 상부는 눌름판(17)이 하방으로 압압하게 되므로 피 착유물(34)을 효율적으로 착유할 수 있게되며 피스톤(26)이 실린더(10)의 상부까지 상승할 때 작동유는 드레인 홈(35)의 경사진 부분을 통하여 배유되게 하였고 이때 작동유에 의하여 피스톤(26)의 하부면(27)에 설치된 U형팩킹(30)의 외연부가 외향으로 약간 벌어지게 되더라도 피스톤(26)의 하강시 U형팩킹(30)의 외연부가 드레인 홈(35)의 상향 경사진 부분에 닿아 오므러지게 되어 스므스하게 하강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피스톤(26)의 적은경을 가진 상부면(27a)의 외주면을 실린더(10)의 피스톤 지지판(29)에 천공된 피스톤(26)의 관통공(36) 내측면에 유지링(31)을 설치하여 오일의 누출을 방지하고 피스톤(26)의 적은경의 상부면(27a)을 지지하므로 유동을 방지하였다. 피스톤(26)이 상승하여 도3과 같이 가압판(28)을 가압하게 되면 가압판(28)이 상승하면서 눌름판(17)과 가압판(28) 간의 피착유곡물(34)이 짜지게 되어 착유통(9)의 다수의 유로틈새(16)로 수거됨과 동시에 착유포(18)를 통과한 기름이 눌름판(17) 저면의 방사상으로 요설된 유로(19)를 통해 수거되도록 하므로 피 착유곡물(34)로부터 거의 모든 기름을 완벽하게 수거할 수 있다.
즉 실린더(10)에 내설된 피스톤(26)의 하부 넓은 면적을 가진 하부면(27)에 작동유가 주입됨에 따라 높은 가압력을 부여받게 되는데 피스톤(26)의 좁은경을 가진 상부면(27a)이 이와 근사한 경을 가진 착유통(9)의 가압판(28)을 가압하게 됨에 따라 결국 상기의 높은 가압력을 그대로 전달하게 되어 착유통(9) 내의 피 착유곡물(34) 역시 가압력을 받게되므로 한번의 작업으로 높은 착유효율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눌름판(17)의 저면에 요설된 방사상의 유로(19)에 의하여 착유수거효율을 높여 결국 착유효율을 극대화시키는 잇점이 있다.
일단 고효율로 착유된 깻묵은 인출시켜야 하는데, 이때 착유통(9)의 헤드(7)와 눌름판(17)을 도1의 실선에서 점선과 같이 헤드 작동모터의 구동으로 스크류(6)를 회전시킴에 따라 레일(14)에 안내되어 후방으로 이동하고 착유통(9)의 상부를 개방시키면 자동적으로 축(21)을 중심으로 스프링(25)의 탄발력에 의해 착유통(9)의 상면에 제어장치(22)의 재치턱(23)이 닿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실린더(10)의 피스톤(26)을 상승시키면 착유통(9)은 제어장치(22)의 재치턱(23)에 의하여 상승을 제어 당하게 되고 내부의 깻묵만 상승하므로 간편히 깻묵을 인출하면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참깨, 들깨 등의 곡물로부터 식용유를 짜내는 유압착유기에 있어서, 실린더에 내설된 피스톤의 하부면은 넓게 하고 상부면, 즉 가압부분은 적은경으로 하여 적은 경의 착유통 내에 압입되어 가압판을 가압하게 하므로 고압의 착유가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일단 착유된 착유통 상부의 눌름판 저면에 요설된 방사상의 유로에 의해 상기 곡물로부터 완벽하게 고효율로 기름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헤드 저면에 눌름판을 나사결합 식으로 일체가 되게 하므로 종래와 같이 피 착유물 상부에 위치한 중량이 7∼8kg정도의 원형 플랜지를 매번 넣고 빼는 수고와 번거로움에서 탈피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실린더의 배유관 내면에 상향 경사진 드레인 홈을 형성시켜 피스톤 상승시 작동유가 드레인 되게 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상판(1), 슬라이드 판(2), 하판(3) 및 지주(4)로 구비된 착유기 몸체(5)를 구성함에 있어서,
    몸체(5)의 상판(1) 직하에 스크류(6)로 이동 가능한 헤드(7)를 구비하되 그 저면에 착유된 기름을 추출하는 눌름판(17)을 나사붙임으로 일체가 되게 설치한 구조와 상판(1)과 착유통(9) 상면간에는 스프링(25)과 축(21)으로 장치된 제어장치(22)의 구조와 유압실린더(10)에 내설된 피스톤(26)의 하부면(27)은 넓게 하고 상부면(27a)은 적은경으로 하여 피스톤(26) 하부면(27)의 고압력을 적은경의 상부면(27a)에 전달토록 함을 특징으로 한 4주식 유압착유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헤드(7) 저면에 나사붙임으로 일체가 된 눌름판(17)을 구성하되, 저면에 다수의 방사상으로 요설된 유로(19)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 4주식 유압착유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판(1)과 착유통(9) 상면간에 제어장치(22)를 구성하되, 부라켓트(20) 상측부가 축(21)으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그 중간부에는 스프링(25)이 항상 내향으로 밀어주도록 되어 있으며, 스프링(25)의 대향진 위치에는 내향돌편(24)을 돌설시켜 헤드(7)의 이동시 벌어지고 오므러지게 구성하며, 부라켓트(20)의 하단에는 재치턱(23)을 형성시켜서 된 4주식 유압착유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유압실린더(10) 내의 피스톤(26)을 하부면(27)은 넓고, 상부면(27)은 좁게 구성하고, 유압실린더(10)의 상면에는 피스톤 지지판(29)을 나사결합 하되,
    유압실린더(10)의 배유관(32) 내면에 상향 경사진 드레인 홈(35)을 환상으로 형성시켜 피스톤(26)의 상승시 드레인 홈(35)의 경사진 부분에 의해 작동유가 드레인 되도록 하고 피스톤(26)의 적은경의 상부면(27a)은 피스톤 지지판(29)의 관통공(36)에 삽입되어 지지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 4주식 유압착유기.
KR2020000010169U 2000-04-10 2000-04-10 4주식 유압착유기 KR2001962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169U KR200196231Y1 (ko) 2000-04-10 2000-04-10 4주식 유압착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169U KR200196231Y1 (ko) 2000-04-10 2000-04-10 4주식 유압착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231Y1 true KR200196231Y1 (ko) 2000-09-15

Family

ID=19651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169U KR200196231Y1 (ko) 2000-04-10 2000-04-10 4주식 유압착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2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905B1 (ko) 2016-10-14 2017-05-12 명형식 식물성 오일을 이용한 바이오 연료 제조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905B1 (ko) 2016-10-14 2017-05-12 명형식 식물성 오일을 이용한 바이오 연료 제조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77071C (zh) 一种咖啡机的酿造头组件
EP0280345B1 (en) Device for the preparation of coffee
US4249400A (en) Water-extraction press
KR101535278B1 (ko) 최저의 인체하중과 최소의 착좌스위치 동작으로 변기 물내림 기능을 극대화시킨 장진 가압돌기가 형성된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US4909704A (en) Barrel pump
KR200196231Y1 (ko) 4주식 유압착유기
EP1028162B1 (en) Must container and fermentation apparatus
US4452056A (en) Liquid extracting apparatus
US5083503A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making a beverage such as coffee, soup,tea, cocoa or the like
CN116534454B (zh) 一种用于石油开采的储存油罐
CN104909319B (zh) 酱料输送装置
CN105736815B (zh) 一种浴缸排水阀
US4574599A (en) Apparatus for pressing liquid from cloth goods
JP5883111B2 (ja) 上部駆動式搾汁機の本体搭載用フレーム及びこれを利用したフレームアセンブリー
KR200155578Y1 (ko) 착유기
ITGE20010099A1 (it) Macchina da caffe'
CN108301472B (zh) 一种进水阀快速进水结构
KR950010550Y1 (ko) 착 유 기
KR200183023Y1 (ko) 유압착유기의 유판가열장치
CN220888844U (zh) 一种电动式下水器
KR200166813Y1 (ko) 곡물 착유기
KR102042454B1 (ko) 에스프레소 머신용 실린더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스프레소 머신
SU112631A1 (ru)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привод механизма раскрыти вставного долота
CN217189310U (zh) 一种便于清洗的沙拉酱乳化机
KR20110051109A (ko) 그리스 공급장치용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