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097Y1 - 일회용 테이프 - Google Patents

일회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097Y1
KR200196097Y1 KR2020000012516U KR20000012516U KR200196097Y1 KR 200196097 Y1 KR200196097 Y1 KR 200196097Y1 KR 2020000012516 U KR2020000012516 U KR 2020000012516U KR 20000012516 U KR20000012516 U KR 20000012516U KR 200196097 Y1 KR200196097 Y1 KR 2001960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joint
muscles
present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25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한
Original Assignee
이재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한 filed Critical 이재한
Priority to KR20200000125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0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0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0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2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dres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85Accessories for dressings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the application on the skin, e.g. single hand handling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절주위의 근육 및 인대와 동일한 형상의 몸체(1)와 관절부위를 커버하지 않도록 절개부(2)로 형성되어서 관절을 펴주는 근육들의 작용방향과 일치하게 부착됨으로써 손상된 관절 주위의 구조물을 보강 및 지지하는 일회용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테이프가 관절 전체를 가리지 않는 형상으로 되어 테이프의 압박으로 인한 관절손상이나 손상부위와는 상관없는 구조물들을 고정함으로써 발생하는 또다른 손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여 관절의 약화를 염려할 필요가 없으며 누구라도 집에서 간단히 부착함으로써 치료할 수 있는 테이프로써 상품으로서의 효과가 크며 의료기관에서 환자 치료시에도 짧은 시간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테이프{Throwaway Tape}
본 고안은 일회용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손상된 근육이나 인대 부위에 부착하여 손상된 부분만을 보강 및 지지해줌으로써 치료효과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일회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근육이나 인대 손상에 대한 전문적 치료 관점은 고정과 보강으로 깁스 (plaster cast)나 의료용 테이프를 이용한 전형적인 요소와 약물요법 등에 의한 치료를 들 수 있다.
종래에는 가벼운 정형외과적 질환으로서 삐거나 근육 및 인대손상이 있을 때 큼지막한 파스를 붙이거나 조형물에 의한 고정, 운동에 의한 보강 등으로 치료하는 양상을 대체적으로 띠고 있었다.
그러나 기존의 파스를 사용할 경우, 관절부위까지 파스로 가리게 되어 움직임을 자유롭지 못하게 하여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며 테이프의 압박에 의해 관절에 무리를 주어 결과적으로 손상 부위와는 상관없는 부분의 약화를 초래하기도 하였다.
또한, 근래에는 근육이나 인대 손상환자에 대한 치료 방법으로 탄력성과 접착력을 가진 천 테이프로 고정하여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보조함으로써 각종 질환을 치료하는 테이핑 요법의 사용이 본격화되고 있는 시점이다.
그러나, 근육통, 염좌(sprain) 또는 좌상(strain)과 같은 인대손상, 근육약화 등에 사용되는 테이핑 요법은 정확한 손상부위의 촉지와 근육 및 인대의 역학적 작용에 대한 정확한 테이핑 시술에 의해 치료가 좌우되므로, 병원이나 한의원, 또는 트레이너들만이 시술할 수 있는 전문적인 치료방법이어서 근육, 인대, 관절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일반인들이 이용할 수는 없었다.
따라서, 가벼운 근육이나 인대 손상에 대한 질환치료도 병원에 가서 전문가에게 치료받아야 하므로 진료비의 부담과 통근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따르게 되었다.
더욱이, 전문가가 테이핑 치료를 하더라도 근육과 인대의 모양 및 방향에 따라서 테이프를 일일이 찢어서 부착하여야 하므로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손상된 부위의 근육이나 인대 모양을 잡아줄 수 있도록 그 형상에 따라 만들어진, 완성된 형태의 테이프를 제조함으로써 일반인들이 근육, 인대, 관절에 대한 해부학적인 전문 지식이 없이도 테이핑 요법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완제품 형식의 일회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테이프를 손가락에 적용한 경우의 1 실시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b는 상기 도 1a를 사용자의 손가락 환부에 부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테이프를 팔목관절에 적용한 경우의 2 실시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b는 상기 도 2a를 사용자의 손바닥쪽의 팔목 환부에 부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테이프를 팔목관절에 적용한 경우의 3 실시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b는 상기 도 3a를 사용자의 손등쪽의 팔목 환부에 부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테이프를 팔꿈치에 적용한 경우의 4 실시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b는 상기 도 4a를 사용자의 팔꿈치 환부에 부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테이프를 어깨에 적용한 경우의 5 실시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b는 상기 도 5a를 사용자의 어깨 환부에 부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테이프를 무릎에 적용한 경우의 6 실시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b는 상기 도 6a를 사용자의 무릎 환부에 부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7a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테이프를 발목에 적용한 경우의 7 실시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b는 상기 도 7a를 사용자의 발목 환부에 부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테이프 본체
2 : 절개부
본 고안의 일회용 테이프는 관절주위의 근육 및 인대와 동일한 형상의 몸체(1)와 관절부위를 커버하지 않도록 절개부(2)로 형성되어서 관절을 펴주는 근육들의 작용방향과 일치하게 부착됨으로써 손상된 관절 주위의 구조물을 보강 및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테이핑 요법은 관절을 움직이는 근육의 작용을 정상적으로 되게 하기 위해 인대, 근육, 관절낭 내의 구조물 등과 같은 관절 구조물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도록 보강 및 지지하는 것으로서, 인체의 각 부분에 따라 인대 및 근육의 작용방향이나 구조의 형상이 다르므로 그 해당 인대 및 근육의 모양대로 테이프를 만들어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회용 테이프는 관절 부분은 피하고 관절을 움직이는 근육 부분만 커버하는 형상으로 되어 보강 및 지지가 필요한 부분만을 잡아주는데, 이것은 손상되지 않은 정상적인 근육과 관절에 테이프를 부착하게 되면 근육과 관절의 움직임을 저해하며 테이프의 압박에 의한 관절손상이나 손상부위와는 상관없는 구조물들에 무리를 주게되어 또 다른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인체는 성별이나 신체의 크고 작은 면에서는 차이가 있으나 모든 사람은 보편적으로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크기는 다르지만 해부학적 측면에서 볼 때 인대나 근육의 기시점 및 정지점은 일치하므로 이러한 점에서 테이프의 길이에 여유를 주어 얼마든지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테이프 완제품을 만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근육, 골격근 및 인대의 형상대로 만든 일회용 테이프를 근육들의 작용방향과 일치하게 부착함으로써 보다 높은 보강 및 지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에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7a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각종 형상의 일회용 테이프의 실시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1b 내지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테이프를 사용자의 환부에 부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고안의 일회용 테이프는 도면에 표시된 O을 중심점으로 하여 화살표로 표시한, 근육 작용방향의 역방향으로 최대한 신장시켜 신축성 및 탄력성을 갖도록 한 상태에서 붙여주어서 근육의 작용방향으로의 일을 도와 힘을 더해주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
① 손가락에 적용할 경우
일반적으로 손가락의 접혀지는 부위는 근육이 두껍고 관절의 역학적 작용에 의해 잘 다치지 않게 되므로, 여기서는 손가락의 손등 인대를 다쳤을 때 사용하는 손가락용 테이프가 손가락 인대모양으로 형상화된다.
즉,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테이프의 손가락 부위용 테이프 형상으로서, 손가락 관절의 신근(extensor muscle)들의 건(tendon)을 커버할 수 있는 형상인 테이프 본체(1)의 중간에는 절개부(2)가 형성되었고 직사각형 모양의 상부는 손가락 관절의 각 부위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도록 두 개의 가닥(11)으로 절개되었으며 하부는 상부보다 약간 넓은 사각형모양의 일체(12)로 형성된다.
도 1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의 인대가 손상되었을 때, 상기 두 개의 가닥(11)은 원위지절간 관절(Proximal Interphalanges Joint), 근위지절간 관절 (Distal Interphalanges Joint), 중수지절간 관절(Metacaphal Phalanges Joint)의 방향으로 향하게 위치되고 손가락의 관절부위가 가려지지 않도록 절개부(2)는 관절 위에 위치시키며 하부의 사각형모양의 일체(12)는 건(tendon) 위에 적절히 부착된다.
② 팔목관절에 적용할 경우
손목은 굴곡(flexion)과 신전(extension) 방향으로 근육이 잡혀있으므로 손목과 손바닥 사이에는 모든 인대가 지나가고 있으나 넘어지거나 다칠 때는 한쪽 방향만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손목 부위를 보정하기 위한 테이프는 손바닥과 손등의 2가지 모양으로 분리된다.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테이프의 손바닥 부위용 테이프 형상으로서, 테이프 본체(1)는 하부에 직사각형 모양의 고정부(21)와 상부에 손바닥의 형상대로 하부 보다 넓은 사각형 모양의 고정부(22)가 형성되어 테이프가 손바닥에 잘 부착되도록 하였고 중간부에는 엄지손가락을 움직이는 근육을 방해하지 않도록 반원모양의 절개부(2)가 형성된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테이프의 손등 부위용 테이프 형상으로서, 테이프 본체(1)는 하부에 직사각형 모양의 고정부(21)와 상부에 손등의 형상대로 하부 보다 넓은 다각형 모양의 고정부(22)가 형성되어 테이프가 손등에 잘 부착되도록 하였고 중간부에는 엄지손가락을 움직이는 근육을 방해하지 않도록 절개부(2)가 형성된다.
도 2a와 3a에 나타낸 가상선은 테이프의 고정부(22)가 더 연장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2b와 3b에 표시된 20은 관절의 중심축이 되는 점으로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의 20이 중심점으로 먼저 부착된 후 테이프의 고정부(21)(22)가 상하로 잡아당겨져서 적절하게 부착된다.
③ 팔꿈치에 적용할 경우
팔꿈치에 주로 발생하는 5∼6가지의 질환 중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질환은 내측상과염(golf elbow)과 외측상과염(tennis elbow)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내측상과염과 외측상과염에 사용할 수 있는 팔꿈치용 테이프를 팔꿈치의 근육과 인대모양으로 형상화한다.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테이프의 팔꿈치용 테이프 형상으로서, 테이프 본체(1)는 대략 ㄴ자 형태로 형성되며 굵기가 상이한 직사각형의 세 부분 (31), (32). (33)으로 형성되고, 부분(31)과 (32) 사이에 절개부(2)가 형성되어있어 팔꿈치 뼈(30')는 덮지 않으면서 팔의 근육 및 그 작용방향과 일치하는 형태로 잘 부착되게 만들어진다.
도 4b는 외측상과염의 치료를 위해 팔꿈치 외측으로 테이프를 붙인 상태를 나타내는데, 팔꿈치를 굽혔을 때 외측으로 튀어나온 뼈(30')를 중심점으로 하여 절개부(2)를 위치시켜 팔꿈치 뼈(30') 위에 테이프가 부착되지 않게 비워두며 장지신근(extensor digis longus muscle)(31') 방향으로 부분(31)이 부착되고 단지신근 (extensor digis brevious muscle)(32') 방향으로 부분(32)이 부착되며, 팔꿈치 관절을 펴주는 근육들(33'), 즉 상완삼두근(triceps brachii), 완요골근 (brachioradialis) 등과 같은 신근근육(extensor muscle)들의 작용방향과 일치하게 부분(33)이 부착된다.
내측상과염의 경우, 팔의 내측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팔꿈치용 테이프가 부착된다.
④ 어깨에 적용할 경우
팔과 어깨가 붙는 관절에 염증이 생기는 오십견과 같이 어깨에 주로 발생하는 질환들의 치료를 위해, 관절부위 근육의 활동을 보조하여 도와주고 염증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만든 어깨보조용 테이프는 도 5a와 같은 형상으로 된다.
테이프 본체(1)는 대략 +자 형태로 형성되며 어깨 부위를 둘러싼 근육 모양의 세 부분(40), (41), (42)과 목 부위의 근육 모양의 부분(43)으로 형성되며 부분(40), (41), (42)사이에 두 개의 절개부(2)가 형성되어, 어깨뼈는 덮지 않으면서 어깨와 목의 근육 및 그 작용방향과 일치하는 형태로 잘 부착되어지게 된다.
팔과 어깨의 움직임은 작용근과 협력근의 협력작용으로 이루어지므로, 본 고안의 테이프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40)을 삼각형 모양의 어깨세모근 (Deltoid muscle)(40') 위에, 부분(41)을 큰가슴근(Pectoralis major muscle)(41') 위에, 부분(42)을 등세모근(Trapezius muscle)(42') 위에, 부분(43)을 극상근 (Superior spinatus muscle)(43') 위에 위치시켜 어깨 부위의 구조물을 지지하도록 부착된다.
⑤ 무릎에 적용할 경우
손가락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무릎의 경우도 가장 많이 다치게 되는 부위가 무릎을 펴는 앞부분의 무릎뼈를 둘러싼 근육이다.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테이프의 무릎 부위용 테이프 형상으로서, 테이프 본체(1)는 V자 모양의 절개부(2)로 폭 차이가 나도록 나뉘어진 대략 사각형 모양의 넓은 부분(51)과 좁은 부분(52)로 이루어진 상부와 무릎 뼈를 둘러싼 근육 모양과 같이 둥근 모양이며 그 중앙에 절개부(2)가 형성된 중간부와 상부보다 약간 좁은 대략 사각형 모양으로 상기 중간부의 절개부(2)가 이어져 나뉘어진 두 부분(53)으로 형성되어 무릎관절 주위의 근육 및 그 작용방향과 일치하는 형태로 잘 부착되어지게 된다.
즉, 무릎 뼈의 위쪽에 있는 가쪽넓은근(Vastus lateralis muscle)(51')과 넙다리곧은근(Rectus femoris muscle)(51”), 안쪽넓은근(Vastus medialis muscle) (52') 및 무릎 인대(Patellar lig.)(53')를 커버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된다.
도 6b 와 같이, 테이프 본체의 중앙에 형성된 절개부(2)를 무릎뼈(50') 에 위치시켜서 테이프가 무릎뼈(50')를 커버하지 않도록 하였으며 상부의 넓은 부분(51)을 가쪽넓은근(51')과 넙다리곧은근(51”) 위에, 좁은 부분(52)를 안쪽넓은근(52') 위에 위치시켜 부착하였으며 무릎뼈(50') 아래로는 두 부분(53)을 무릎인대(53') 위에 겹쳐지게 부착하였다.
⑥ 발목에 적용할 경우
도 7a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테이프의 발목용 테이프 형상으로서, 테이프 본체(1)는 발목의 측부 인대들의 모습과 유사하며 대략 굵기가 상이한 직사각형의 세 부분 (63), (64). (65)로 형성되고, 부분(63), (64). (65) 사이에 2개의 V자형 절개부(2)가 형성되도록 만들어진다.
도 7b는 염좌(sprain) 치료시 발목 외측으로 테이프를 붙인 상태를 나타내는데, 발목의 외측 복사뼈(60') 위에 부분 (63)과 (64) 사이의 절개부(2)를 위치시켜 테이프가 뼈를 가리지 않도록 하며 이 복사뼈를 중심으로 하여 61은 세 개의 인대-외측복사뼈 밑의 앞목말종아리인대(Anterior talofibular ligament), 발꿈치종아리인대(Calcareofibular ligament), 뒤목말종아리인대(Posterior talofibular ligament)-가 작용하는 부위에 발목관절의 외번(eversion)과 발등 굴곡등을 시키는 근육의 방향으로 위치되고, 62는 발등방향으로 앞정강종아리인대(Anterior tibiofibular ligament), 목인대(Corvical ligament), 아래폄근지지띠(inferior extensor retinaculum)의 방향에, 63은 발목관절을 외번시키는 근육들(ex: peroneus, longus, brevis)의 작용방향과 일치하게 위치되어 외측 복사뼈 주위의 과내번(hypervarus)을 방지하는 근육 및 인대들의 작용방향과 일치하게 부착된다.
상기와 같이 부착한 본 고안의 일회용 테이프는 관절을 가리지 않게 부착됨으로써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고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손상된 근육과 인대를 보강 및 지지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일회용 테이프는 기존의 관절 치료용 파스 제품에도 디자인 개량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이하여 제조된 본 고안의 일회용 테이프는 근육과 골격근의 불균형으로 인한 통증부의 피부에 접착하여 비틀리거나 늘어난 근육, 골격근 및 인대를 바로잡아 치료할 수 있는 완제품 형식의 테이프로서 누구라도 집에서 간단히 치료할 수 있어 상품으로서의 효과가 크며 의료기관에서 환자 치료시에도 짧은 시간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테이프가 관절 전체를 가리지 않게 부착됨으로써 테이프의 압박에 의한 관절손상이나 손상부위와는 상관없는 구조물들을 고정함으로써 발생하는 또다른 손상을 방지하면서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여 관절의 약화를 염려할 필요가 전혀 없는 효과적인 테이프이다.

Claims (1)

  1. 관절주위의 근육 및 인대와 동일한 형상의 몸체(1)와 관절부위를 커버하지 않도록 절개부(2)로 형성되어서 관절을 펴주는 근육들의 작용방향과 일치하게 부착됨으로써 손상된 관절 주위의 구조물을 보강 및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테이프.
KR2020000012516U 2000-05-02 2000-05-02 일회용 테이프 KR2001960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516U KR200196097Y1 (ko) 2000-05-02 2000-05-02 일회용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516U KR200196097Y1 (ko) 2000-05-02 2000-05-02 일회용 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097Y1 true KR200196097Y1 (ko) 2000-09-15

Family

ID=19654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516U KR200196097Y1 (ko) 2000-05-02 2000-05-02 일회용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0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159B1 (ko) * 2002-12-04 2005-09-15 차득영 치료용 테이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159B1 (ko) * 2002-12-04 2005-09-15 차득영 치료용 테이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pgrande et al. Fractures of the hand
JP3062676B2 (ja) 外反拇指矯正用テープ
Tidy Massage and remedial exercises: In medical and surgical conditions
Richardson et al. The bridle procedure
Serghiou et al. Burn rehabilitation along the continuum of care
Macdonald Pocketbook of taping techniques
McGrath et al. Static progressive splinting for restoration of rotational motion of the forearm
Shah et al. Dynamic splinting of forearm rotational contracture after distal radius fracture
KR200196097Y1 (ko) 일회용 테이프
Speed A Text-book of Fractures and Dislocations: Covering Their Pathology, Diagnosis and Treatment
Keenan et al. A neuro-orthopaedic approach to the management of common patterns of upper motoneuron dysfunction after brain injury
Pehnke et al. Congenital—Syndactyly
Hebela et al. Neuro-orthopedic management of the dysfunctional extremity in upper motor neuron syndromes
Michaud et al. Treatment of grade III thumb metacarpophalangeal ulnar collateral ligament injuries with early controlled motion using a hinged splint
Thompson et al. Handbook of Splinting and Casting: Mobile Medicine Series
Botte et al. Reconstructive surgery of the upper extremity in the patient with head trauma
Hurov et al. Management of a metacarpophalangeal joint fracture using a dynamic traction splint and early motion
Srinivasan et al. Essential surgery in leprosy: techniques for district hospitals
Winterton et al. The neuro-orthopaedic approach
Suk et al. Hand Fractures
Thompson et al. Manual of Splinting and Casting
Solomon 25 FingerDeformities Sprains and
Das Effectiveness of KIASTM in Post-surgical Wrist and Hand Rehabilitation following Spaghetti Wrist Injury-A Single Case Report.
JOPLIN et al. Treatment of Arthritic Joints
Birrer et al. Taping of sports injuries: Review of a basic skill: General principles, specifics for the ank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