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021Y1 - 간판 형광등의 점등관 접속구 - Google Patents

간판 형광등의 점등관 접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021Y1
KR200196021Y1 KR2020000010065U KR20000010065U KR200196021Y1 KR 200196021 Y1 KR200196021 Y1 KR 200196021Y1 KR 2020000010065 U KR2020000010065 U KR 2020000010065U KR 20000010065 U KR20000010065 U KR 20000010065U KR 200196021 Y1 KR200196021 Y1 KR 2001960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board
lighting tube
terminal
light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00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영
Original Assignee
이성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영 filed Critical 이성영
Priority to KR20200000100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0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0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0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5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electroluminescent la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판 형광등의 점등관접속구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특히 간판내에 다수의 형광등을 설치할 때 점등관을 형광등과 연결코드로 원터치 접속 시킬 수 있어 형광등에 점등관을 설치하는 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간판의 형광등 점등관(6) 원통단자핀(61)에 원터치 결합되는 탄지접속부(11)와 이 탄지접속부(11)에 일체로 연결되어 원통단자핀(61)을 수용 고정하는 핀고정부(12)로 이뤄져 있는 점등관접속단자(1)와, 이 점등관접속단자(1)의 외측에 결합되는 피복유니트(2)로 이뤄져 있는 간판 형광등의 점등관 접속구를 제공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간판내에 다수의 형광등을 설치할 때 점등관의 연결 접속을 용이하게 하여 간판 제작의 작업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간판 형광등의 점등관접속구{Glow starter connector of lighting tube in signboard}
본 고안은 간판 형광등의 점등관접속구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특히 간판내에 다수의 형광등을 설치할 때 점등관을 형광등과 연결코드로 원터치 접속 시킬 수 있어 형광등에 점등관을 설치하는 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정한 장소에 붙박이로 고정되는 옥외간판은 야간에도 활용되기 위해 각종 조명기구가 내설되어져 있으며, 이중에서 그 조명기구로는 주로 형광등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조명장치로 형광등을 이용하는 옥외간판은 그 본체 내에 다수의 형광등이 설치되 있고, 이러한 전형적인 형태는 도 1과 같이 나타내었다.
상기 간판(5)내에 설치되는 다수의 형광등(3)은 다수의 형광등고정구(4)에 의하여 지지프레임에 고정되어져 있고, 이들 형광등(3)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안정기,점등관등이 이들 형광등(3)과 상호 연결되어져 있다.
상기 형광등(3)에 점등관을 연결 접속할 때는 간판(5)내의 전장품 설치 공간이 비좁다는 점을 고려하여 도 2와 같이 형광등(3)에 점등관(6)을 연결 설치하고 있다.
즉, 형광등튜브(31)의 양단에 설치된 단자핀(32)에는 일측에 접속핀부(71)를 가지고 피복전선부(72)로 전선(73)이 피복된 연결코드(7)의 접속핀부(71)가 연결접속되고, 타측은 연결코드(7)의 피복전선부(72)가 벗겨진 상태로 전선(73)이 점등관 (6) 외통부(62)의 일측에 현출되게 설치한 원통단자부(61)에 감이되는 형태로 형광등(3)에 점등관(6)을 설치하고 있다.
또, 상기와 같이 점등관(6)을 형광등(3)에 설치할 때는 점등관 연결코드(7)의 피복전선부(72)를 임의 길이 만큼 벗겨 전선(73)을 노출 시키는 작업과, 노출된 전선(73)을 점등관(6)의 원통단자부(61)에 수작업으로 일일이 연결하는 작업등이 요구되고 있어 이러한 간판의 제작 작업에 장시간이 들고 작업의 까다로움 및 번거로움이 많아 간판의 제작에 따른 생산성을 현저히 저하 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이와같이 종래에는 간판 형광등에 점등관을 설치할 때 연결코드의 피복을 벗기고 원통단자부에 일일이 감이하는 작업등으로 인하여 간판 제작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형광등과 점등관을 연결하는 연결코드의 일측에는 점등관의 원통단자부와 원터치로 접속 결합 될 수 있는 점등관접속구를 구비하여 형광등에 점등관을 설치하는 작업의 용이화와 간판 제작의 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과 관련된 옥외간판의 형광등 설치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2는 도 1에서 형광등에 점등관을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3은 본 고안의 점등관접속구를 이용하여 형광등에 점등관을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점등관접속구를 발췌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점등관접속구의 제 2 실시예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점등관접속구의 제 3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1A,1B. 점등관접속단자 11. 탄지접속부
12. 핀고정부 13.중간연결부
14. 전선연결부
2. 피복유니트 21.진입피복부
22. 중간연결피복부 23. 전선연결피복부
3. 형광등
본 고안은 특히 상기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도록 간판의 형광등 점등관 원통단자핀에 원터치 결합되는 탄지접속부와 이 탄지접속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원통단자핀을 수용 고정하는 핀고정부로 이뤄져 있는 점등관접속단자와, 이 점등관접속단자의 외측에 결합되는 피복유니트로 이뤄져 있는 간판 형광등의 점등관 접속구에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 이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봄으로서 본 고안의 보다 상세한 특징들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점등관접속구를 일측에 갖는 연결코드(7)로 형광등 (3)에 점등관(6)을 연결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점등관접속구는 점등관(6)의 원통단자부(61)에 원터치 착탈 결합 될 수 있도록 한 점등관접속단자(1)와, 이 점등관접속단자(1)의 외피를 감싸는 피복유니트(2)로 이뤄져 있다.
상기 피복유니트(2)는 피복전선부(72)와 접속핀부(71)등을 포함하는 연결코드(7)의 일측이 연결되어져 있다.
또, 상기 점등관접속단자(1)는 도 4와 같이 일측이 절결되어져 있고 점등관(6)의 원통단자부(61)를 인입하기 적합한 크기의 탄지접속부(11), 이 탄지접속부(11)와 일체로 연설되어져 있고 일측이 절결되어져 있으며 탄지접속부(11)로 인입된 점등관(6)의 원통단자부(61)를 수용 고정하는 핀고정부(12)로 이뤄져 있다.
또, 상기 핀고정부(12)의 후단에는 중간연결부(13)를 거쳐 피복이 벗겨진 전선(73)을 고정하기 위한 전선고정부(14)가 일체로 형성 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점등관접속구(1)는 이것을 도 5와 같이 또다른 점등관접속단 자(1A)를 갖는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탄지접속부(11)와 핀고정부(12)를 2분하지 않은 하나의 원통인입고정부(15)로 이뤄져 있고, 이 원통인입고정부(15)의 내측으로는 경사지게 돌출시킨 탄지고정편부(17)가 장방홈(16)과 함께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도 4 및 도 5에 의한 점등관접속단자(1,1A)들은 원터치 착탈 결합식으로 설계된 유형이지만 도 6은 점등관(6)에 점등관접속구를 결합한 이후 분리가 어려운 원터치 고정형 점등관접속단자(1B)를 나타 내고 있다.
여기서는 도면 중 앞측의 내직경이 뒤쪽의 내직경보다 작게 형성한 몸체부(19)와, 이 몸체부(19)와 일체로 연설되어져 있고 이것의 앞쪽에 탄지날개를 형성한 인입날개부(18)로 이뤄져 있다.
상기 점등관접속단자(1B)의 피복유니트는 점등관접속단자(1B)를 수용하기 적합한 크기의 피복유니트(2A)로 형성 되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도 1과 같은 옥외간판(5)에 형광등고정구(4)로 형광등(3)들이 고정되기 전에 점등관(6)을 형광등(3)에 연결 설치한다.
이때는 도 3과 같이 연결코드(7)의 접속핀부(71)를 형광등(3)의 단자핀(32)에 접속한 후 연결코드(7) 타측의 점등관접속구를 점등관(6)의 원통단자부(61)에 원터치 접속한다.
상기 점등관(6)의 원통단자부(61)에 점등관접속구를 원터치 접속할 때는 도 4와 같이 점등관접속단자(1)의 탄지접속편(11)이 일정한 간격으로 벌어지면서 원통단자부(61)가 점등관접속단자(1)측으로 진입되고 일정한 깊이 점등관접속단자(1)측으로 진입이 되면 핀고정부(12)에 원통단자부(61)가 정착 고정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형광등(3)에서 점등관(6)을 해체할때는 연결코드(7)의 점등관접속구를 손으로 잡아다니면 탄지접속편(11)이 손가락의 당기는 힘에 의해 벌어지면서 점등관접속단자(1)로 부터 빠져 나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의 제 2 실시예 점등관접속단자(1A)는 원통인입고정부(15)에 점등관(6)의 원통단자부(61)를 진입시키면 원통인입고정부(15)의 외통에서 내측으로 현출시킨 탄지고정편부(17)가 외측으로 밀리면서 원통단자부(61)가 원통인입고정부 (15) 내로 진입되고 원통단자부(61)가 원통인입고정부(15)의 탄지고정편부(17)를 벗어나면 탄지고정편부(17)가 원위치로 복귀되어 원동단자부(61)를 원통인입고정부 (15)에 정착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 도 6의 제 3 실시예의 점등관접속단자(1C)는 몸체부(19)의 전면에 형성한 인입날개부(18)측에 원통단자부(61)를 진입시키면 인입날개부(18) 측이 벌어지면서 몸체부(19)내로 인입되고 일단 몸체부(19)로 인입된 원통단자부(61)는 몸체부(19)에서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옥외간판내에 다수의 형광등을 설치할 때 형광등에 연결되는 점등관의 설치를 사람의 수작업에 의한 전선의 피복 벗기기 및 피복이 제거된 전선의 감이작업등을 요하지 않고 극히 간단한 방법으로 접속 연결할 수 있어 이러한 간판의 생산성 향상을 양호히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간판의 형광등 점등관(6) 원통단자핀(61)에 원터치 결합되는 탄지접속부(11)와 이 탄지접속부(11)에 일체로 연결되어 원통단자핀(61)을 수용 고정하는 핀고정부(12)로 이뤄져 있는 점등관접속단자(1)와, 이 점등관접속단자(1)의 외측에 결합되는 피복유니트(2)로 이뤄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형광등의 점등관 접속구
KR2020000010065U 2000-04-10 2000-04-10 간판 형광등의 점등관 접속구 KR2001960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065U KR200196021Y1 (ko) 2000-04-10 2000-04-10 간판 형광등의 점등관 접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065U KR200196021Y1 (ko) 2000-04-10 2000-04-10 간판 형광등의 점등관 접속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021Y1 true KR200196021Y1 (ko) 2000-09-15

Family

ID=19651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065U KR200196021Y1 (ko) 2000-04-10 2000-04-10 간판 형광등의 점등관 접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02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811A (ko) * 2000-09-04 2002-03-09 송해영 광고용 형광등 전원접속단자
US10086418B2 (en) 2012-12-21 2018-10-02 Posco Shape-correcting and rolling method and shape-correcting device for high-strength stee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811A (ko) * 2000-09-04 2002-03-09 송해영 광고용 형광등 전원접속단자
US10086418B2 (en) 2012-12-21 2018-10-02 Posco Shape-correcting and rolling method and shape-correcting device for high-strength ste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4792A (en) Flexible lighting system
US20080198590A1 (en) Extensible light shade
US10408392B2 (en) Outdoor lamp holder and outdoor lamp string using same
WO2010087946A1 (en) Illuminated panel-mount connector receptacle
US5489813A (en) Neon lamp
RU2001131592A (ru) Кабельный штекер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кабельных соединений
US4544218A (en) Electrical ornamentation system
KR200196021Y1 (ko) 간판 형광등의 점등관 접속구
EP1744601A3 (en) Discharge lamp light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6170964B1 (en) Ornamental lighting device with a flexibly- shapable light emitting tube capable of portraying user-designed signs in a flickering manner
FI83373C (fi) Lamphaollarstruktur foer ring-, u- eller pi-formad gasurladdnings- eller fluorescenslampor med ett lampfaeste.
CN210624207U (zh) 具有复数玻璃管的拼接灯具
CN111779994A (zh) 一种防水耐高温的霓虹灯带
CN213872597U (zh) 固定装置及拼接组件
CN220958104U (zh) 一种户外装饰用led旗帜灯
KR200191208Y1 (ko) 간판용 형광등 스타터
CN220489028U (zh) 一种灯具连接机构及组合灯具
CN218819730U (zh) 一种导线发光的灯串
KR200190659Y1 (ko) 안정기의 접속단자
US20080053937A1 (en) Curtain rod assembly with lights
JP3238439U (ja) エアロープ警告照明器具
CN218721136U (zh) 一种led舱顶灯
CN113847580A (zh) 流星机的光纤固定装置
CN220471465U (zh) 一种平板灯
CN216619516U (zh) 分体式地插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