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5755Y1 - 조립식 파일 - Google Patents

조립식 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5755Y1
KR200195755Y1 KR2020000010055U KR20000010055U KR200195755Y1 KR 200195755 Y1 KR200195755 Y1 KR 200195755Y1 KR 2020000010055 U KR2020000010055 U KR 2020000010055U KR 20000010055 U KR20000010055 U KR 20000010055U KR 200195755 Y1 KR200195755 Y1 KR 2001957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passage
center
joint
screw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00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순철
Original Assignee
배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철 filed Critical 배순철
Priority to KR20200000100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57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57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57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SCONSTRUCTIONAL ELEMENTS IN GENERAL; STRUCTURES BUILT-UP FROM SUCH ELEMENTS, IN GENERAL
    • F16S3/00Elongated members, e.g. profiled members; Assemblies thereof; Gratings or grilles
    • F16S3/06Assemblies of elongated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파일에 관한 것으로서, 단면이, 중앙에 통로(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로의 외곽으로 볼트 체결용 구멍(13)이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연에는 일부가 외측으로 개구되어 있는 다수의 조립홈(14)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파일(11)과 이 파일(11)을 다양한 형태로 접속하기 위한 이음매 및 마개(31)로 이루어져서 각종 작업 라인을 임의대로 구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체적으로 유압, 공압 등의 유체나 선재 등의 공급 라인을 형성할 수 있어서, 작업 라인에서 유압이나 공압 등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고, 별도의 유체 공급 라인이 필요없으므로 그 외관이 미려하고 작업 환경을 청결하게 할 수 있으며, 작업자로 하여금 보다 편안하고 능률적인 작업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파일{prefabricated pile}
본 고안은 각종 작업라인을 형성하는 파일(pile)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막대와 배관의 기능을 겸할 수 있고, 특히 유체나 선재의 공급라인을 포함할 수 있도록 된 조립식 파일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파일이라 함은 각종 틀을 형성하는 기본 단위로서의 막대를 의미하며, 특히 작업을 위한 작업라인을 형성하거나 기계나 기구 등의 받침대 또는 선반 등에서 폭 넓게 적용되는 막대를 뜻하며, 단순한 기둥에서부터 복잡한 공정의 생산라인 등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일반 가정은 물론 각종 산업 분야에서 그 용도를 찾을 수 있는 단위 조립체(이하 '파일'이라 함)를 말한다.
그 중에서 종래 기술의 한 예를 들면, 특정 물품을 생산하기 위한 작업을 함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인 작업을 위하여 작업대 또는 연속적인 작업라인을 형성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작업대는 다수의 파일을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여 각 방향으로의 조립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파일은 그 용도에 따라 목재나 금속재가 사용되고 있는데, 근래에는 조립의 용이성과 가벼운 점 등으로 인하여 알루미늄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작업대를 구성하는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와 같이 사용되는 종래의 파일(1)은 그 구성이 단순하여 각 파일과의 연결 및 조립이 용이하지 못하여 작업이 불편하였을 뿐 아니라, 연결 상태 및 외관이 불량하고 충분한 강도를 갖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파일은 이음매의 처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고, 이미 설치된 상태에서의 추가적인 파일의 연결시에는 기 설치된 파일을 다시 분리하여 처음부터 절단과 조립의 작업이 다시 이루어져야 하는 등 비 효율적인 작업을 할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각종 제품의 생산라인에는 필요에 따라 공압, 유압 등을 이용하는 기구의 설치가 이루어지기도 하고, 전선이나 소모성의 선재 등의 공급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종래의 파일에 의한 작업라인의 설치시에는 별도의 유체 공급라인 또는 선재의 공급라인이 추가적으로 연결되었고, 이러한 호스나 선재의 추가 설치는 전체적으로 외관을 불량하게 만들 뿐 아니라 작업자의 시각과 행동에 대하여 장애적인 요소로 작용하여 작업의 능률을 저하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되기도 하고 있다.
그나마,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종 배선(2)을 작업대를 형성하고 있는 파일에 밀착시켜서 별도의 고정수단(3)에 의해 고정토록 하고 있으나, 시각적인 외관의 불량을 해소하기에는 부족할 뿐 아니라, 그러한 작업 자체가 파일의 조립작업 즉, 작업라인을 설치하는 작업과 유체나 선재 등의 배선을 처리하는 작업이 이중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폐단으로 남아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보다 용이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연결이 가능한 조립식 파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미 설치된 상태에서도 필요에 따라 어느 부위에서도 임의의 연결이 가능토록 된 조립식 파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각 구성 파일의 조립이 용이하면서 각종 유체나 선재의 공급 라인을 자체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조립식 파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용이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고, 유체나 선재의 공급 라인을 포함하고 있으면서 그 외관이 미려하고 조립상태가 견고하여 작업의 능률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된 조립식 파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그 단면이, 중앙에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로의 외곽으로 볼트 체결용 구멍이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연에는 일부가 외측으로 개구되어 있는 다수의 조립홈이 형성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의 단면 구조를 이루는 통로와 구멍 및 조립홈은 파일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원 파일은 그 단면의 외곽 형상이 사각, 삼각 등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다르게는 원형이나 타원형 등의 형태로 될 수도 있으며, 그 외곽 형상에 관계없이 상기의 단면 특징이 적용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파일의 통로에 삽입되기 위하여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면에서 돌출되는 접속관이 형성되어 있고, 각 접속관은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이음매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이음매는 접속관의 돌출 방향이나 수에 따라 엘보우 이음매, T이음매, 크로스 이음매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 접속관은 파일의 통로에 접속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외주연에 패킹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파일의 일단 측면으로부터 파일의 통로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 중앙으로부터 접속돌부가 형성되어 그 중앙에는 나사구멍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돌부의 반대쪽 면에서 상기 나사구멍의 외측으로 패킹수납용 홈이 형성되어 있고, 가장자리에 근접하여 다수의 볼트 체결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측면 인출용 이음매를 더 구비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파일을 직선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길게 형성되어 측면으로 다수의 볼트 체결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막대 이음매를 더 구비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최종 파일의 통로를 폐쇄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으로 접속관이 돌출되어 있고, 그 중앙에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접속관의 외곽으로 볼트 체결용 구멍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마개를 더 구비하는 것이다.
이러한 마개는 파일의 최종 단부에서 볼트에 의해 체결되고, 별도의 캡이 상기 나사구멍에 조립되어 통로를 개폐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상기 나사구멍이 아예 자체적으로 폐쇄된 구성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파일을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조립 형태에 따라 이음매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조립 연결할 수 있으며, 연결된 파일의 내부는 유체의 공급 파이프로 사용될 수 있어서, 작업라인의 틀을 구성함과 동시에 유체나 선재의 공급 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위치에서 파일의 측면에 구멍을 뚫고 여기에 측면 인출용 이음매를 접속하여 어느 방향으로든 통로의 연결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연결된 파일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직각으로 이어진 부분의 내측에는 브라켓을 사용하여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최종 파일의 통로는 마개로써 폐쇄하고, 필요에 따라 이 마개를 제거함으로써 추가적인 연결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의 라인 형성은 물론이고 구조적인 변경이나 추가적인 연결 등 다양한 선택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 - 종래 작업대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 상기 도 1의 가-가선 단면도
도 3 - 본 고안에 따른 파일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 본 고안에 따른 파일의 조립 상태를 일례로서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5 - 본 고안에 따른 파일의 조립 상태를 일례로서 나타낸 조립 단면도
도 6 - 본 고안에 따른 엘보우 이음매의 사시도
도 7 - 본 고안에 따른 T이음매의 사시도
도 8 - 본 고안에 따른 측면 인출용 이음매의 사시도
도 9 - 본 고안에 따른 측면 인출용 이음매의 조립 상태 단면도
도 10 - 본 고안에 따른 마개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파일 12 ; 통로
13 ; 볼트 체결용 구멍 14 ; 조립홈
15 ; 턱 16 ; 엘보우이음매
17 ; T이음매 18 ; 크로스이음매
19 ; 접속관 22 ; 브라켓
23 ; 측면 인출용 이음매 24 ; 접속돌부
29 ; 막대 이음매 30 ; 기밀 유지용 이음관
31 ; 마개 36 ; 캡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을 첨부된 일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로서의 파일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원 파일(11)은 동일 단면의 연속된 긴 막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단면의 중앙에 통로(12)가 형성되어 있다.
통로(12)의 주변으로는 측면부착물의 조립시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볼트 체결용 구멍(13)이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연에는 다수의 조립홈(14)이 형성되어 있는데, 각 조립홈(14)은 외측이 일부가 개구되어 그 입구의 양측으로 턱(1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조립홈(14)은 파일(11)의 측면에 이음매가 연결될 때 볼트머리가 삽입되는 홈으로 사용된다.
도면에서 파일(11)은 사각형의 단면을 이루고 있으나, 원형이나 다른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통로(12) 또한 사각형이나 타원 등 그 단면 형상을 달리할 수 있다.
그리고, 파일(11)이 다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될 때에는 각 면 마다 조립홈(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원 파일은 이음매에 의해 연결되는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일의 조립상태를 일례로서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고, 도 5는 조립된 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낸 조립 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각 연결 상태에 따라 다른 형태의 이음매가 사용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우선, 파일(11)이 직각으로 연결될 때에는 엘보우이음매(16)가 사용되고, 'T' 형태로 연결될 때에는 T이음매(17)가 사용되며, '+' 형태로 연결될 때에는 크로스이음매(18)가 사용된다.
도 6은 엘보우이음매(16)를 일실시예로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T이음매(17)를 일실시예로서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들 각 이음매는 공통적으로 파일(11)의 통로(12)에 끼워지기 위한 접속관(19)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엘보우이음매(16)는 접속관(19)이 직각으로 두 개가 형성되어 있고, T이음매(17)는 세 방향으로 접속관(19)이 형성되어 있으며, 크로스이음매(18)는 사방으로 접속관(19)이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각 접속관은 내부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각 접속관(19)은 외주연에 홈(20)이 형성되어 패킹(21)이 설치됨으로써 파일(11)의 통로(12)에 끼워졌을 때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파일(11)이 연결되어 각을 이루는 부분에는 별도의 브라켓(22)을 대고 파일의 조립홈(14)에 볼트로써 체결함으로써 파일의 연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파일(11)의 측면으로 또 다른 파일이 연결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측면 인출용 이음매(23)가 사용되며, 도 8은 이 측면 인출용 이음매(23)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파일과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인출용 이음매(23)는 일측 중앙으로 접속돌부(24)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접속돌부(24)의 중앙으로 나사구멍(25)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돌부(24)의 반대쪽 면에서 상기 나사구멍(25)의 외측으로는 패킹(26)이 설치되어 있고, 외곽으로 다수의 볼트 체결용 구멍(27)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측면 인출용 이음매(23)의 연결시에는 필요한 위치에서 파일(11)의 측면에 구멍(28)을 뚫어서 통로(12)와 관통시킨 다음, 이음매(23)의 나사구멍(25)이 뚫려진 구멍(28)과 일치되도록 밀착시켜서 볼트 체결용 구멍(27)과 파일(11)의 조립홈(14)을 이용하여 볼트로써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측면 인출용 이음매(23)의 나사구멍(25)에 별도의 연결수단 예를 들면, 호스나 파이프 등을 연결하여 유체의 통로를 연결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구멍(28)은 상기 나사구멍(25)보다 작은 직경으로 뚫는 것이 요구된다.
측면 인출용 이음매(23)에 있어서, 다르게는 상기 나사구멍(25)이 일반 구멍으로 형성되고, 접속돌부(24)의 외주연에 패킹을 설치하여 바로 다른 파일을 직접 접속할 수도 있다.
또한, 두 개의 파일을 서로 직선적으로 연결할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각 파일의 측면에 막대 이음매(29)를 대고 파일의 조립홈에 볼트로써 체결하여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각 파일의 내부 통로에 기밀 유지용 이음관(30)을 설치하여 통로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설치된 파일의 최종 단부에는 마개(31)로써 통로를 폐쇄하게 되는데, 도 10은 마개의 일례를 단면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31)는 일측으로 접속관(32)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으로 나사구멍(33)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접속관(32)의 외측으로는 패킹(34)이 설치되어 있고, 그 외곽으로 다수의 볼트 체결용 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접속관(32)을 파일의 통로(12)에 끼우고, 별도의 캡(36)을 마개(31)의 외측으로부터 나사구멍(33)에 체결하여 통로(12)를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캡(36)을 제거하고 다른 유체의 전달수단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31)는 상기 나사구멍(33)이 자체적으로 폐쇄되어 있는 형태의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수의 파일(11)을 이음매를 이용하여 조립함으로써 선택적으로 다양한 작업라인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별도의 유체 전달라인이 필요없이 자체적으로 유압, 공압 또는 선재의 공급 라인을 형성할 수 있어서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도시하고 설명한 내용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의 설명일 뿐 이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단면이, 중앙에 통로(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로의 외곽으로 볼트 체결용 구멍(13)이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연에는 일부가 외측으로 개구되어 있는 다수의 조립홈(14)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파일(11)과 이 파일(11)을 다양한 형태로 접속하기 위한 이음매 및 마개(31)로 이루어져서 각종 작업 라인을 임의대로 구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체적으로 유압, 공압 등의 유체나 선재 등의 공급 라인을 형성할 수 있어서, 작업 라인에서 유압이나 공압 등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고, 별도의 유체 공급 라인이 필요없으므로 그 외관이 미려하고 작업 환경을 청결하게 할 수 있으며, 작업자로 하여금 보다 편안하고 능률적인 작업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이미 설치된 작업 라인에 있어서도, 임의의 위치에 추가적인 파일의 연결이 용이하고, 더불어 유체의 공급 라인마저 쉽게 연결할 수 있어서 비용의 절감과 인력 및 시간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어서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5)

  1. 그 단면이, 중앙에 통로(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로(12)의 외곽으로 볼트 체결용 구멍(13)이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연에는 일부가 외측으로 개구되어 있는 조립홈(14)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11)의 통로(12)에 삽입되기 위하여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면에서 돌출되는 접속관(19)이 형성되어 있고, 각 접속관(19)은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이음매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11)의 일단 측면으로부터 파일의 통로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 중앙으로부터 접속돌부(24)가 형성되어 그 중앙에는 나사구멍(25)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돌부(24)의 반대쪽 면에서 상기 나사구멍의 외측으로 패킹(26)이 설치되어 있고, 가장자리에 근접하여 다수의 볼트 체결용 구멍(27)이 형성되어 있는 측면 인출용 이음매(2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11)을 직선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길게 형성되어 측면으로 다수의 볼트 체결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막대 이음매(29)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11)의 통로(12)를 폐쇄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으로 접속관(32)이 돌출되어 있고, 그 중앙에 나사구멍(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접속관(32)의 외곽으로 볼트 체결용 구멍(35)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마개(3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일.
KR2020000010055U 2000-04-10 2000-04-10 조립식 파일 KR2001957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055U KR200195755Y1 (ko) 2000-04-10 2000-04-10 조립식 파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055U KR200195755Y1 (ko) 2000-04-10 2000-04-10 조립식 파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5755Y1 true KR200195755Y1 (ko) 2000-09-15

Family

ID=19651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055U KR200195755Y1 (ko) 2000-04-10 2000-04-10 조립식 파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57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5444A (en) Pipe coupling for well casing
US4915426A (en) Pipe coupling for well casing
US1589781A (en) Rotary tool joint
US5823581A (en) Pipe coupling
US6499772B1 (en) Radial conduit coupling system and method
EP0919758B1 (en) System of elements for the formation of modular pipelines consisting of extruded pipe sections
US20100133804A1 (en) Method of replacing pipe couplings
FI104011B (fi) Poratankokomponentti
CN200972038Y (zh) 一种连接塑料管与金属管接头的夹紧件
KR200195755Y1 (ko) 조립식 파일
EP0613407A1 (en) Method of assembly of tubular metallic fences
EP1407181A1 (en) Device for connecting and blocking hollow elements for the formation of fluid distribution plants
US20020167173A1 (en) Coupling system
US2880021A (en) Telescopic pipe joint with tolerance accommodating means
EP0896180A3 (en) Union for the connection of smooth pipes to threaded connections of hydraulic equipment and the like
KR200250960Y1 (ko) 조립식 파일의 접속장치
CN218494364U (zh) 一种石油管线接头辅助连接装置
CN218439419U (zh) 快接式的连接套
KR20080030427A (ko) 파이프 연결핀
KR970002929Y1 (ko) 가스기구의 관접속장치
CN211737674U (zh) 三通连接件
CN2649916Y (zh) 压接式三通接头
CN212154680U (zh) 一种便于组装的钻井管道
JPH094386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連結構造体及びその連結工法
KR200283848Y1 (ko) 관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