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5453Y1 - A moving apparatus for repairing a trolley of the crane - Google Patents

A moving apparatus for repairing a trolley of the cra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5453Y1
KR200195453Y1 KR2020000008221U KR20000008221U KR200195453Y1 KR 200195453 Y1 KR200195453 Y1 KR 200195453Y1 KR 2020000008221 U KR2020000008221 U KR 2020000008221U KR 20000008221 U KR20000008221 U KR 20000008221U KR 200195453 Y1 KR200195453 Y1 KR 2001954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frame
crane
trolley bar
tro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822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엄태구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82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545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54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5453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1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miting trolley or crane travel; Arrangements of buffer-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레인의 트롤리바 보선용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크레인의 주행 및 부하물 운반을 위한 전원공급용 트롤리바와 그 애자부분등을 크레인과 별도로 이동하는 이동장치로서 극히 간편하게 점검 및 보수토록 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olley bar maintenance device of a crane, the purpose of which is to move the power supply trolley bar and its insulator, etc. to move the crane and transport the load separately from the crane, very easy to check and repair I'm in forever.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크레인 주행레일 (10)이 설치된 베이스 가이드(12)와 그 측부의 트롤리바(20)를 따라 이동토록 설치된 프레임(30)과, 상기 프레임(30)의 수평부(32) 하측으로 설치되어 프레임(30)을 이동토록 하는 구동수단(40)과, 상기 프레임(30)의 수직부(34) 일측으로 트롤리바 (20)와 접촉하여 슈접촉상태를 점검토록 하는 제 1 점검수단(50) 및, 상기 프레임 (30)의 수직부 타측에 설치되어 트롤리바(20)의 구배상태를 점검하는 제 2 점검수단(70)을 구비하는 트롤리바 보선용 이동장치를 제공한다.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rame 30 and a frame 30 installed to move along a trolley bar 20 of a base guide 12 and a side portion of which a crane traveling rail 10 is installed. Shoe contact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trolley bar 20 at the lower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32 to drive the drive means 40 to move the frame 30 and the vertical portion 34 of the frame 30 to one side. Trolley bar maintenance line having a first inspection means 50 for checking the state and a second inspection means 70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part of the frame 30 to check the gradient state of the trolley bar 20. Provide a mobile device for

Description

크레인의 트롤리바 보선용 이동장치{A MOVING APPARATUS FOR REPAIRING A TROLLEY OF THE CRANE}Trolley bar maintenance for cranes {A MOVING APPARATUS FOR REPAIRING A TROLLEY OF THE CRANE}

본 고안은 천정크레인의 전원을 공급하는 트롤리바(TROLLEY BA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천정크레인의 주행 및 부하물 운반을 위한 전원공급용 트롤리바의 점검 및 보수작업을 보다 간편하면서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어, 트롤리바의 향상된 작동성으로 인하여 천정크레인의 작동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크레인의 트롤리바 보선용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olley bar for supplying power of a ceiling crane. More specifically, the inspection and maintenance of a power supply trolley bar for traveling and carrying loads of a ceiling crane are more easily and precisely performed. It is possible to, because of the improved operability of the trolley bar relates to a trolley bar maintenance moving device of one crane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ceiling crane can be performed smoothly.

일반적인 천정크레인 및 트롤리바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천정 크레인은 고하물의 부하물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운반하기 위하여 제철공장등과 같이 중량물의 이동이 빈번한 산업현장에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천정크레인(100)의 주행을 위한 전원공급은 크레인 주행용 주행레일(110)을 고정하는 베이스 가이드(120)의 측면에 설치된 브라켓트(130)를 개재하여 애자(140)로서 전원이 흐르는 트롤리바(150)가 4상으로 설치되고, 이에 크레인 본체에 이동토록 설치된 접촉슈(160)가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다.A typical crane and trolley bar are shown in FIGS. 1 and 2, and such a crane is installed in an industrial site where heavy loads are frequently moved, such as steel mills, in order to safely and quickly carry loads of cargo. The power supply for driving the ceiling crane 100 is a trolley through which power flows as the insulator 140 via a bracket 130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base guide 120 that fixes the traveling rail 110 for crane driving. The bar 150 is installed in four phases, and is supplied with power while moving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hoe 160 installed to move to the crane body.

한편, 이와 같은 천정크레인의 트롤리바(150)는 주기적으로 점검 및 보수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의 크레인 트롤리바의 점검 또는 필요시의 보선작업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such a trolley bar 150 of the crane crane needs to be checked and repaired periodically, the conventional crane trolley bar inspection or when necessary maintenance work is shown in FIG.

즉,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천정크레인 트롤리바(150)를 점검하기 위하여는 작업자가 직접 베이스가이드를 통화여 트롤리바(150)위로 올라가서 안전띠를 착용한 상태에서 수작업 즉, 작업자의 육안으로 트롤리바(150)와 애자부분(140)등을 점검하고 보선이 필요한 부분은 보수 또는 부품교체를 수행하였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3, in order to check the ceiling crane trolley bar 150, the operator directly calls the base guide to the trolley bar 150 to climb on the trolley bar 150 by hand, that is to the human eye The trolley bar 150 and the insulator part 140 were checked and repaired or parts were replaced for the parts requiring maintenance.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트롤리바 점검 또는 보선작업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상당한 높이의 트롤리바(150)위로 올라가서 일일이 수작업으로 트롤리바(150)와 애자부분(140)들은 점검함으로 인하여, 작업이 극히 지연되는 것은 물론, 작업자의 육안 또는 육감으로 트롤리바(150)등을 점검하게 되어 정밀한 점검이 어렵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trolley bar inspection or maintenance work, the worker climbs onto the trolley bar 150 of a considerable height and manually inspects the trolley bar 150 and the insulator portions 140 by hand, thereby making the work extremely difficult. Of course, the trolley bar 150 and the like are inspected by the naked eye or the sixth sense of the worker, which makes it difficult to check precisely.

또한, 안전띠를 착용하고 트롤리바의 점검작업을 수행하지만, 작업자가 실수로 트롤리바에서 부터 낙하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ile wearing a seat belt and performing a check operation of the trolley bar, there is a fear that a safety accident such as an operator accidentally falls from the trolley bar.

이에 더하여, 도 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작업자에 의존한 트롤리바(150)의 점검작업이 불량할 경우에는, 트롤리바(150)의 이음매부분에서 발생한 단차(170)에 의하여 접촉하면서 이동하는 접촉슈(160)가 종종 뒤집히게 되고, 이는 결국 트롤리바(150)를 통한 크레인의 전원공급이 중단되는 원인이 초래되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4, when the inspection work of the trolley bar 150, depending on the operator is poor, while contacting by the step 170 generated in the joint portion of the trolley bar 150. The moving contact shoe 160 is often overturned, which in turn causes the power supply of the crane through the trolley bar 150 to be interrupted.

따라서, 이와 같은 급속한 크레인(100)의 전원공급 중단이 발생되면, 크레인의 정상적인 정지작동이 불가능하여 운반중인 고하중의 부하물이 심하게 흔들리게 되고, 이는 부하물이 다른 설비와의 충돌에 의한 설비파손 및, 심한 경우 부하물의 낙하를 발생시키는 심각한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Therefore, when such a rapid power supply interruption of the crane 100 occurs, the normal stop operation of the crane is impossible and the heavy load loads are severely shaken, which is caused by the load collision with other equipment There is a fear that serious safety accidents that cause breakage and, in severe cases, fall of the load will occur.

특히, 제철공장과 같은 용강이 담긴 래들의 이동중에는 폭발등에 의한 대형 안전사고가 발생되고, 트롤리바의 단차가 없다해도 그 굴곡상태 즉, 트롤리바의 구배상태가 일정하지 않으며, 이에 접촉하는 접촉슈(160)가 편심적으로 마모되어 크레인 전원공급설비의 수명을 극히 단축시키고 잦은 부품교체로 유지비용도 상승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during the movement of ladles containing molten steel, such as steel mills, large safety accidents occur due to explosions, and even if there is no step of the trolley bar, the curved state of the trolley bar is not constant, and the contact shoe that contacts it Eccentric wear and tear 160 is to shorten the life of the crane power supply equipment extremely short and frequent replacement of parts, such as the maintenance cost is also increased.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천정 크레인의 전원을 공급하는 트롤리바를 따라 이동토록 설치된 별도의 이동작업대로서 트롤리바, 애자부분 및 접촉슈의 점검작업을 극히 정밀하면서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크레인의 트롤리바 보선용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improve the various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which is to check the trolley bar, insulator and contact shoe as a separate mobile work platform installed to move along the trolley bar for supplying power of the ceiling crane It is to provide a trolley bar maintenance device for a crane which can perform extremely precise and fast.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정밀한 트롤리바 및 애자부분의 점검작업을 수행하여 갑작스런 크레인의 전원공급중단을 미연에 방지하여, 크레인의 급속한 작동중단에 따른 부하물의 설비파손 및 낙하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키는 크레인의 트롤리바 보선용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erforming the inspection work of the precise trolley bar and insulator part to prevent the sudden power supply interruption of the crane, safety accidents such as damage to the load of equipment due to the rapid operation of the crane It is to provide a trolley bar maintenance device of a crane that prevents in advance.

도 1은 일반적인 천정크레인를 도시한 개략도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typical ceiling crane

도 2의 a 및 b는 천정크레인 트롤리바를 도시한 요부 정면 및 평면도2 a and b are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ceiling crane trolley bar

도 3은 종래 작업자에 의한 트롤리바의 보선작업상태을 도시한 개략도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maintenance work state of the trolley bar by a conventional worker

도 4는 종래 트롤리바와 이에 접촉 이동하는 슈의 작동불량상태를 도시한 개략도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alfunction state of the conventional trolley bar and the shoe moving in contact with it

도 5는 본 고안인 크레인의 트롤리바 보선용 이동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5 is an overall configuration showing a trolley bar mainten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ors crane

도 6은 본 고안인 트롤리바 보선용 이동장치를 도시한 정면 구조도Figure 6 is a front structural view showing a trolley bar mainten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인 이동장치의 구동수단을 도시한 정면 구조도Figure 7 is a front structural view showing the drive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device

도 8은 본 고안인 이동장치의 브레이크수단을 도시한 개략도Figure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brake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device

도 9는 본 고안인 이동장치의 제 1 점검수단을 도시한 정면도9 is a front view showing a first inspection means of the mobi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고안인 이동장치의 제 2 점검수단을 도시한 정면도10 is a front view showing a second inspection means of the mobi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천정크레인의 트롤리바 보선용 이동장치1 .... Trolley bar maintenance for overhead crane

10.... 주행레일 12.... 베이스 가이드10 .. Running rail 12 .... Base guide

20.... 트롤리바 30.... 프레임20 .... Trolley Bar 30 .... Frame

40.... 구동수단 42,46.... 제 1,2 구동휠40 .... Driving means 42,46 .... First and second drive wheels

49.... 구동축 50.... 제 1 점검수단49 .... drive shaft 50 .... first inspection means

52,72.... 수직바아 58,76....수평바아52,72 ... Vertical Bar 58,76 ... Horizontal Bar

60.... 접촉슈 70.... 제 2 점검수단60 .... contact shoe 70 ....

78.... 접촉롤 80.... 지시침78 .... contact roll 80 .... indicator

82,84.... 제 1,2 눈금 90.... 브레이크수단82,84 .... 1st and 2nd scale 90 .... Brake mean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천정크레인 트롤리바에 있어서, 크레인 주행레일이 설치된 베이스 가이드와 그 측부의 트롤리바를 따라 이동토록 설치된 프레임과,As a technical configura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verhead crane trolley bar, the frame installed so as to move along the trolley bar of the base guide and its side, the crane running rail is installed,

상기 프레임의 수평부 하측으로 설치되어 프레임을 이동토록 하는 구동수단과,A driving means installed below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frame to move the frame;

상기 프레임의 수직부 일측으로 트롤리바와 접촉하여 슈접촉상태를 점검토록 설치되는 제 1 점검수단 및,First inspection means installed to check the shoe contact state by contacting the trolley bar toward one side of the vertical part of the frame;

상기 프레임의 수직부 타측에 설치되어 트롤리바의 구배상태를 점검토록 설치되는 제 2 점검수단을 구비하는 크레인의 트롤리바 보선용 이동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It is to provide a trolley bar maintenance device for a crane having a second check mean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portion of the frame and installed to check the gradient state of the trolley bar.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고안인 크레인의 트롤리바 보선용 이동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고, 도 6은 이동장치를 도시한 정면 구조도이며, 도 7은 구동수단을 도시한 정면 구조도이고, 도 8은 이동장치의 브레이크수단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9는 제 1 점검수단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제 2 점검수단을 도시한 정면도이다.Figure 5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trolley bar mainten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ors, Figure 6 is a front structural view showing a moving device, Figure 7 is a front structural view showing a drive means, Figure 8 is a movement Fig. 9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irst inspection means, and Fig. 10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econd inspection means.

본 고안인 크레인의 트롤리바 보선용 이동장치(1)는, 크게 크레인의 주행레일(10)이 설치된 베이스 가이드(12)의 상부 및 그 측부 트롤리바(20)를 따라 이동토록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30)과, 상기 프레임(30)의 수평부(32) 하측으로 설치되어 프레임(30)을 이동토록 하는 구동수단(40)과, 상기 프레임(30)의 수직부(34) 일측으로 트롤리바(20)와 접촉하여 슈접촉상태를 점검토록 하는 제 1 점검수단(50) 및, 상기 프레임(30)의 수직부 타측에 설치되어 트롤리바(20)의 구배상태를 점검하는 제 2 점검수단(70)으로 나누어 지는데, 먼저 상기 프레임(30)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trolley bar maintenance moving device 1 of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rame formed in an L-shape so as to move along the upper part of the base guide 12 on which the traveling rail 10 of the crane 12 is installed and the side trolley bar 20 thereof. 30, a drive means 40 installed below the horizontal portion 32 of the frame 30 to move the frame 30, and a trolley bar toward one side of the vertical portion 34 of the frame 30. First inspection means (50) for contacting (20) to check the shoe contact state, and second inspection means (50)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portion of the frame (30) to check the gradient state of the trolley bar ( 7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rame 30 first.

도 5 및 도 6에서는 본고안인 트롤리바 보선용 이동장치(1)의 프레임(30)을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프레임(30)은 크레인의 주행을 위한 주행레일(10)이 설치되는 베이스 가이드(12)를 따라 이동토록 ㄱ 자형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가이드(12)에 수평한 수평부(32)와, 이에 연이어 연결된 수직부(34)로 이루어 진다.5 and 6 illustrate a frame 30 of the trolley bar maintenance mov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base guide on which a traveling rail 10 for driving a crane is installed. It is installed in the a-shape so as to move along 12) consists of a horizontal portion 32 horizontal to the base guide 12, and a vertical portion 34 connected to it in series.

또한, 상기 수평부(32)는 사각철판으로 형성되어 그 상부 및 하부에는 안전바아 및 고정블록등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직부(34)는 상기 수평부(32)의 모서리에 두개의 바아가 일체로 결합 고정되고, 상기 수직부(34)의 하단부에는 작업자가 점검중 탈수 있도록 받침대(31)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portion 32 is formed of a square iron plate, and the upper and lower safety bars and fixing blocks are installed, the vertical portion 34 has two bars at the corner of the horizontal portion 32 It is integrally fixed and fixed, and a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portion 34 is provided with a pedestal 31 so that the worker can be dehydrated during the inspection.

다음, 도 5 및 도 7 에서는 상기 구동수단(4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동수단(40)은 본 고안인 장치(1)의 자체 주행을 위해서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구동수단(40)은 별도의 전원공급없이 밧데리등을 이용하여 보다 간편하게 자체주행토록 설치되며, 상세하게는 상기 베이스 가이드(10)상에 설치된 주행레일(12)을 따라 이동하는 제 1 구동휠(42)과, 그 반대측으로 상,하측에 설치된 가이드레일(44)을 따라 이동토록 상,하측에 설치된 제 2 구동휠(46a)(46b) 및, 상기 프레임(30)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모터(48)와 기어박스와 커플링을 개재하여 각 구동휠과 연결된 구동축(49)을 각각 구비한다.Next, Figure 5 and Figure 7 shows the drive means 40, this drive means 40 is installed for the self-driving of the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drive means 40 is a separate It is installed so that the self-driving more easily by using a battery, etc., without the power supply of the first driving wheel 42 moving along the running rail 12 installed on the base guide 10, and the opposite side The second drive wheels 46a and 46b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so as to move along the guide rails 44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drive motor 48 and the gear box and the coupl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30 are coupled. Each drive shaft 49 is connected to each driving wheel via a ring.

그리고, 상기 제 2 구동휠(46a)은 도면에서는 별도의 부호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구동축(49)의 단부에 설치된 기어와 상기 제 2 구동휠(46a)의 축에 설치된 기어들이 맞물리어 회전토록 된다.In addition, although the second drive wheel 46a is not shown in the drawings, gears provided at the end of the drive shaft 49 and gears installed at the shaft of the second drive wheel 46a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o rotate. .

다음, 도 5 및 도 9 에서는 상기 제 1 점검수단(5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제 1 점검수단(50)은, 종래기술부분에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트롤리바(20)에서 이음매 불량으로 인하여 발생된 단차로 인하여 실제 크레인 작동시 접촉슈(60)가 뒤집히게 되는 것을 사전에 점검하여 급작스런 크레인의 전원공급중단을 예방하기 위한 구성이다.Next, FIG. 5 and FIG. 9 show the first inspection means 50. The first inspection means 50 is seam in the trolley bar 20, as shown in FIG. 4 in the prior art. Checking in advance that the contact shoe 60 is inver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rane due to the step caused by the failure in advance to prevent the sudden power supply of the crane.

상기 제 1 점검수단(50)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프레임 수직부(34)의 일측으로 회전토록 설치된 수직바아(52)와, 상기 수직바아(52)를 따라 순차로 고정된 고정블록(54)에 탄설된 스프링(56)으로서 탄성토록 연결되는 수평바아(58) 및, 상기 수평바아(58)의 단부 하측에 설치되어 트롤리바(20)에 밀착 이동하는 접촉슈(60)를 구비한다.Looking at the first check means 50 in more detail, the vertical bar 52 is installed to rotate to one side of the frame vertical portion 34, and the fixed block 54 is fixed in sequence along the vertical bar (52) It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bar 58 elastically connected as a spring 56 installed in the end, and a contact shoe 60 is installed below the end of the horizontal bar 58 to move in close contact with the trolley bar 20.

그리고, 상기 수직바아(52)는 도면에서 상세하게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프레임 수직부(34)에 설치된 브라켓트의 베어링으로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평바아(56)은 트롤리바(20)의 점검시 발생되는 단차에 의한 유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2중의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바아(56)에 탄설되는 스프링(56)은 일단 및 타단이 수평바아(56)와 고정블록(54)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수평바아(56)는 트롤리바(20)의 설치수와 동일하게 즉, 4상으로 4개가 각각 설치된다.In addition, although the vertical bar 52 is not shown in detail in the drawings, the vertical bar 52 is rotatably installed as a bearing of a bracket installed on the frame vertical part 34, and the horizontal bar 56 is generated when the trolley bar 20 is inspected. It is formed in a double structure to enable the flow by the step that is, the spring 56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bar 56,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horizontal bar 56 and the fixed block 54, respectively, The horizontal bar 56 is the same as the number of installation of the trolley bar 20, that is, four in four phases are respectively installed.

또한, 상기 수펑바아(58)는 상기 고정블록(54)에 힌지상태로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도면에서 별도의 부호로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고정블록(54)과 스프링(56)이 연결되는 수평바아(58)에는 고정링으로서 볼트 고정한다.In addition, the top bar 58 is connected to the fixed block 54 in a hinged state so that the flow in the up, down direction is possible, and although not shown as a separate reference in the drawing, the fixed block 54 And a horizontal bar 58 to which the spring 56 is connected are fixed to the bolt as a fixing ring.

다음, 도 5 및 도 10 에서는 제 2 점검수단(7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제 2 점검수단(70)은, 트롤리바(20)의 상하 및 좌우측 구배상태를 점검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프레임(30) 수직부(34)의 타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바아(72)와, 상기 수직바아(72)를 수평하게 설치되며 탄설된 스프링(74)으로서 이중작동토록 설치된 수평바아(76)와, 상기 수평바아(76)의 일단 및 타단에 트롤리바(20)를 따라 이동하며 트롤리바(20)의 구배상태를 지시토록 설치된 접촉롤(78)과 지시침(80) 및, 상기 수평바아(76)의 중앙 및 수직바아(76)의 일측으로 설치되어 트롤리바(20)의 좌우 및 상하측 구배를 나타내는 제 1,2 눈금(82)(84)를 구비한다.Next, FIG. 5 and FIG. 10 show the second inspection means 70. The second inspection means 70 checks the up, down, left and right gradient states of the trolley bar 20. FIG. Vertical bars 72 rotatab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portion 34 of the frame 30 and horizontal bars installed horizontally with the vertical bars 72 horizontally installed so as to be dually operated. (76), the contact rolls 78 and the indicator needles 80 which move along the trolley bar 20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bar 76 and indicate the gradient state of the trolley bar 20; It is provided with one side of the center and the vertical bar 76 of the horizontal bar 76, the first and second scales 82, 84 to indicate the left and right and upper and lower gradients of the trolley bar (20).

한편, 상기 수직바아(72)는 상술한 제 1 점검수단(50)의 수직바아(52)와 마찬가지로 브라켓트와 베어링으로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직바아(72)에는 내부에 부쉬가 설치된 이동링(75)이 다수개 설치되어 이에 수평바아(76)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vertical bar 72 is rotatably installed as a bracket and a bearing, similar to the vertical bar 52 of the first check means 50 described above, the vertical bar 72 is a movable ring having a bush installed therein A plurality of (75) is installed so that the horizontal bar 76 is installed.

상기 수평바아(76)는 제 1 점검부(50)의 수평바아(58)와 마찬가지로 서로 겹쳐져 유동하는 2중구조로 이루어 지고, 상기 수평바아(76)에는 상기 고정링(75)에 일단이 고정되는 스프링(74)의 타단이 고정된다.The horizontal bar 76 has a double structure that overlaps and flows like the horizontal bar 58 of the first inspection unit 50, and one end is fixed to the fixing ring 75 at the horizontal bar 76. The other end of the spring 74 is fixed.

한편, 상기 수평바아(76)의 단부에는 상기 트롤리바(20)를 따라 이동하는 접촉롤(78)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평바아(76)의 다른 단부에는 트롤리바(20)와 수평바아 접촉롤(78)의 접촉 상태에 따라 움직이는 지시침(80)이 각각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end of the horizontal bar 76 is provided with a contact roll 78 to move along the trolley bar 20,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bar 76 is in contact with the trolley bar 20 and the horizontal bar. The indicator needles 80 which move in accordance with the contact state of the roll 78 are provided, respectively.

또한, 상기 수직바아(76)의 일측으로 일체로 수직하게 제 1 눈금(82)이 설치되어 있어, 트롤리바(20)의 구배에 따라 지시침(80)이 이동하여 상기 제 1 눈금(82)을 지시토록 한다.In addition, a first scale 82 is integrally vertically installed to one side of the vertical bar 76, and the indicator needle 80 moves according to the gradient of the trolley bar 20 to allow the first scale 82 to move. To indicate.

한편, 상기 2중으로 된 수평바아(76)에는 제 2 눈금(84)이 설치되어 있어 트롤리바(20)의 상태에 따라 즉, 좌우방향으로의 구배상태를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the double horizontal bar 76 is provided with a second scale 84 is shown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trolley bar 20, that is, the gradient st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다음, 도 5 및 도 8에서서 도시하고 있듯이, 본 고안인 트롤리바 보선용 이동장치(1)에는 이동장치(1)의 정지를 위한 수동조작용 브레이크수단(90)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브레이크수단 (90)은 상기 프레임(30) 수직부(34)의 중앙에 설치된 통상적인 기어판(92)에 맞물리는 조정핸들(94)과, 상기 조정핸들(94)의 당김작동에 따라 일체로 당겨지도록 연결되는 밴드(98)와, 상기 밴드(98)가 구동모터에 인접하여 설치된 고정휠(97)에 권선되어 그 내측으로 상기 고정휠(97)을 밀착 고정토록 설치된 드럼(96)을 구비하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드럼방식으로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Next, as shown in Figures 5 and 8, the trolley bar maintenance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with a manual control brake means 90 for stopping the moving device (1). The brake means 90 has an adjustment handle 94 that engages with a conventional gear plate 92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vertical portion 34 of the frame 30 and according to a pulling operation of the adjustment handle 94. Band (98) connected to be pulled integrally, and the drum (98) is wound around the fixed wheel 97 installed adjacent to the drive motor, the drum 96 is installed so that the fixed wheel 97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It is made of a configuration that is installed in a commonly used drum method having a.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in the above configuration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5 내지 도 10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하중 부하물을 운반하기 위한 천정기중가 주행토록 공장 측벽상에 설치된 베이스 가이드(12)에는 주행레일(10)이 설치되는데, 상기 주행레일(12)에는 프레임(30)의 수평부(32) 일측으로 설치된 제 1 구동휠(42)이 안착되고, 상기 제 1 구동휠(42)의 타측으로 베이스 가이드(12)상에 상,하측으로 설치된 두개의 가이드레일(44)에는 상,하측으로 두개의 제 2 구동휠(46a)(46b)이 안착된다.As shown in Fig. 5 to 10, the running rail 10 is installed in the base guide 12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factory to carry the heavy loads, the running rail 12 is The first driving wheel 42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32 of the frame 30 is seated, and two guides installed on the base guide 12 up and down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riving wheel 42. Two second driving wheels 46a and 46b are mounted on the rail 44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따라서, 상기 프레임(30)의 수평부(32) 상측으로 설치된 구동모터(48)를 작동시키면, 상기 구동모터(48)의 구동축과 기어박스 및 커플링을 개재하여 연결된 구동축(49)이 일체로 구동하여, 상기 구동축(49)의 양측으로 연결된 상기 제 1,2 구동휠(42)(46a)(46b)들은 각각의 주행 및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결국 상기 프레임(30)은 베이스 가이드(12)의 측부에 설치되고 프레임(30)의 수직부(34)에 인접하여 설치된 트롤리바(20)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driving motor 48 installed above the horizontal portion 32 of the frame 30 is operated, the driving shaft 49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48 via the gear box and the coupling is integrally formed. By driving,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wheels 42, 46a and 46b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driving shaft 49 move along the respective driving and guide rails, so that the frame 30 is a base guide ( It is to be moved along the trolley bar 20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12 and installed adjacent to the vertical portion 34 of the frame 30.

한편, 상기 프레임(30)이 이동하게 되면, 상기 프레임(30)의 수직부(34)에 양측으로 설치된 제 1,2 점검수단(50)(70)도 일체로 이동하게 되는데,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즉, 트롤리바(20)의 단차형성상태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제 1 점검수단 (50)을 사용하고, 반대로 트롤리바(20)의 상하측 또는 좌우측 구배상태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제 2 점검수단(70)을 이용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rame 30 is moved, the first and second inspection means 50 and 7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portion 34 of the frame 30 are also integrally moved, but the worker may Accordingly, the first inspection means 50 is used to check the step formation state of the trolley bar 20, and the second inspection means 70 is used to check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gradient states of the trolley bar 20. ).

즉, 상기 제 1 점검수단(50)을 사용하기 위하여는, 먼저 작업자가 프레임 수직부(34)에 설치된 수지바아(52)를 회전시키면, 위에서 아래로 다수개 설치된 고정블록(54)상의 수평바아(58)가 회전하여 그 단부에 하방으로 고정된 접촉슈(60)를 트롤리바(20)상에 밀착 위치시킨다.That is, in order to use the first check means 50, first, when the operator rotates the resin bar 52 installed in the frame vertical portion 34, the horizontal bar on the fixed block 54 installed a plurality from top to bottom 58 is rotated so as to closely contact the contact shoe 60 fixed downward at the end thereof on the trolley bar 20.

따라서, 상술한 이동작동으로 프레임(30)이 이동하면 상기 트롤리바(20)에 밀착되면서 일체로 이동하는 접촉슈(60)가 트롤리바(20)의 이음매부분에서 발생될 수 있는 단차들을 점검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frame 30 is moved by the above-described movement operation, the contact shoe 60 moving intimately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trolley bar 20 checks the steps that may be generated at the joint portion of the trolley bar 20. will be.

즉, 이동장치의 이동중에 트롤리바(20)에서 단차가 발생되면, 상기 수평바아 (58)의 접촉슈(60)가 튀거나 또는 들리거나 심한 경우에는, 뒤집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a step occurs in the trolley bar 20 dur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device, the contact shoe 60 of the horizontal bar 58 is flipped or lifted, or in case of severe, it is turned over.

따라서, 프레임(30)의 하측 받침대(31)상에 있는 작업자는 상술한 브레이크수단(90)의 조정핸들(94)을 당기어 드럼방식으로 구동모터(48)의 구동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트롤리바(20)의 단차부분을 점검 및 보수하는데, 이때 상기 수평바아 (58)는 2중구조로 설치하여 유동발생에 따른 설비파손을 방지하고, 동시에 스프링 (56)을 설치하여 수평바아(58)의 탄성작동을 가능하게 하고, 항상 트롤리바(20)를 누르는 상태를 유지시킬 수도 있다.Therefore, the operator on the lower pedestal 31 of the frame 30 pulls the above-mentioned adjustment handle 94 of the brake means 90 to stop the driving of the drive motor 48 in a drum manner. Check and repair the stepped portion of the bar 20, wherein the horizontal bar 58 is installed in a double structure to prevent damage to the equipment caused by the flow, and at the same time by installing a spring 56 of the horizontal bar 58 It is possible to enable the elastic operation, and always keep the trolley bar 20 pressed.

더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트롤리바(20)의 구배상태를 점검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점검수단(70)을 이용하는데, 제 1 점검수단(50)과 마찬가지로 프레임 수직부(34)에 설치된 수직바아(72)를 회전 시키면, 상기 수직바아(72)상에 순차로 설치된 이동링(75)에 고정된 수평바아(76)의 접촉롤(78)이 상기 트롤리바(20)상에 안착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checking the gradient state of the trolley bar 20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inspection means 70 is used, similar to the first inspection means 50, the vertical installed in the frame vertical portion 34. When the bar 72 is rotated, the contact roll 78 of the horizontal bar 76 fixed to the movable ring 75 sequentially installed on the vertical bar 72 is seated on the trolley bar 20.

따라서, 프레임을 이동시키면, 상기 접촉롤(78)이 트롤리바(20)를 따라 일착된 상태로 이동하는데, 먼저 트롤리바(20)가 상하측 방향으로 구배가 있다면, 상기 접촉롤(78)을 위로 또는 아래로 유동하게 되고, 결국 상기 이동링(75)이 위 또는 아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수평바아(76)의 일단부에 설치된 지시침(80)이 그 일측으로 수직 설치된 제 1 눈금(82)에서 일정수치를 나타내고, 결국 작업자는 상기 수치를 기준으로 트롤리바(20)의 상하방향 구배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frame is moved, the contact roll 78 is moved along the trolley bar 20 in a state where the trolley bar 20 is first tilted, if there is a gradi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ntact roll 78 is moved. The first ring 82 is vertically installed to one side of the indicator needle 80 installed at one end of the horizontal bar 76 so that the movable ring 75 moves upward or downward. In Figure 6), the operator can check the up and down gradient state of the trolley bar 20 on the basis of the value.

반대로, 트롤리바(20)가 좌우측으로 구배가 형성되었다면, 상기 수평바아 (76)는 2중으로 설치되어 있고 스프링(74)이 탄설되어 있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와 같은 이동양은 상기 수평바아(76)에 설치된 제 2 눈금(84)으로 알수 있고, 결국 작업자는 트롤리바(20)의 좌우측 구배상태를 알수 있는 것이다.On the contrary, if the trolley bar 20 has a gradient form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horizontal bar 76 is installed in double and the spring 74 is piled up to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uch a movement amount is the horizontal bar 76 It can be seen by the second graduation (84) installed in the), after all the operator can know the left and right gradient state of the trolley bar (20).

이에 따라서, 본 고안인 이동장치(1)를 이용하면, 작업자가 이동장치(1)의 받침대(31)에 안전하게 올라탄 상태에서 자체 이동하면서 제 1, 2 점검수단 (50)(70)을 이용하여 트롤리바(20)에서 발생되는 불량요인들을 신속하고 정밀하게 점검하여 천정 크레인의 급속한 작동중단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mobil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first and second inspection means 50 and 70 are used while the worker moves on the pedestal 31 of the mobile device 1 by itself. By checking the defects generated in the trolley bar 20 quickly and precise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apid operation of the ceiling crane.

이와 같이 본 고안인 크레인의 트롤리바 보선용 이동장치에 의하면, 천정 크레인의 전원을 공급하는 트롤리바를 따라 이동토록 설치된 별도의 이동작업대로서 트롤리바, 애자부분 및 접촉슈의 점검작업을 극히 정밀하면서도 신속하게 수행하게 되는 잇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oving device for maintenance of the trolley bar of the c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eparate mobile work platform installed to move along the trolley bar supplying power of the ceiling crane, the inspection work of the trolley bar, insulator part and contact shoe is extremely precise and quick. There is an advantage to doing this.

더하여, 정밀한 트롤리바 및 애자부분의 점검작업을 수행하여 갑작스런 크레인의 전원공급중단을 미연에 방지하여, 크레인의 급속한 작동중단에 따른 부하물의 설비파손 및 낙하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키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udden power failure of the crane by inspecting the precise trolley bar and the insulator part, and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s such as damage to the load of the load caused by the rapid operation of the crane and to prevent the accident. There is.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While the subject innova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subject innovation as provided by the following claims. I would like to clarify that knowledge is easy to know.

Claims (5)

크레인의 전원공급을 위한 트롤리바에 있어서,In the trolley bar for power supply of the crane, 크레인 주행레일(10)이 설치된 베이스 가이드(12)와 그 측부의 트롤리바(20)를 따라 이동토록 설치된 프레임(30)과,A frame 30 installed to move along the trolley bar 20 of the base guide 12 and the side of which the crane traveling rail 10 is installed, 상기 프레임(30)의 수평부(32) 하측으로 설치되어 프레임(30)을 이동토록 하는 구동수단(40)과,A driving means 40 installed below the horizontal portion 32 of the frame 30 to move the frame 30; 상기 프레임(30)의 수직부(34) 일측으로 트롤리바(20)와 접촉하여 슈접촉상태를 점검토록 설치되는 제 1 점검수단(50) 및,First inspection means (50) installed to check the shoe contact state by contacting the trolley bar (20) to one side of the vertical portion (34) of the frame (30); 상기 프레임(30)의 수직부 타측에 설치되어 트롤리바(20)의 구배상태를 점검토록 설치되는 제 2 점검수단(7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트롤리바 보선용 이동장치Trolley bar maintenance moving device of the cra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portion of the frame 30 is installed to check the gradient state of the trolley bar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0)의 수직부(34) 중앙으로 트롤리바 점검중 이동장치의 정지를 위하여 설치되는 이동수단(50)의 고정휠(97)에 감기는 드럼(96) 방식의 브레이크수단(90)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트롤리바 보선용 이동장치The drum (96)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rum (96) is wound around the fixing wheel (97) of the moving means (50) which is installed to stop the moving device in the center of the vertical part (34) of the frame (30). Trolley bar maintenance device for a cran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rake means (90) 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40)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rive means 40, 상기 베이스 가이드(10)상에 설치된 주행레일(12)을 따라 이동하는 제 1 구동휠(42)과,A first driving wheel 42 moving along the running rail 12 installed on the base guide 10; 그 반대측으로 상,하측에 설치된 가이드레일(44)을 따라 이동토록 상,하측에 설치된 제 2 구동휠(46a)(46b) 및,Second driving wheels 46a and 46b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so as to move along the guide rails 44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to the opposite side thereof, 상기 프레임(30)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모터(48)와 기어박스와 커플링을 개재하여 각 구동휠과 연결된 구동축(4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트롤리바 보선용 이동장치Moving device for maintenance trolley bar of a cra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ive shaft (49) connected to each drive wheel via a drive motor 48 and a gearbox and a coupling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3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점검수단(50)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inspection means 50, 상기 프레임 수직부(34)의 일측으로 회전토록 설치된 수직바아(52)와,A vertical bar 52 installed to rotate to one side of the frame vertical part 34; 상기 수직바아(52)를 따라 순차로 고정된 고정블록(54)에 수평하게 탄설된 스프링(56)으로서 탄성토록 연결되는 수평바아(58) 및,A horizontal bar 58 elastically connected as a spring 56 horizontally installed on a fixed block 54 sequentially fixed along the vertical bar 52; 상기 수평바아(56)의 단부 하측에 설치되어 트롤리바(20)에 밀착 이동하는 접촉슈(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트롤리바 보선용 이동장치It is installed on the lower end of the horizontal bar 56, the trolley bar maintenance device of the cra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act shoe 60 that moves in close contact with the trolley bar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점검수단(70)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inspection means 70, 상기 프레임(30) 수직부(34)의 타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바아 (72)와,Vertical bar 72 is rotatably installed to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portion 34 of the frame 30, 상기 수직바아(72)를 수평하게 설치되며 탄설된 스프링(74)으로서 이중작동토록 설치된 수평바아(76)와,The horizontal bar 76 is installed horizontally to the vertical bar 72 and installed as a double working spring 74, and the horizontal bar 76, 상기 수평바아(76)의 일단 및 타단에 트롤리바(20)를 따라 이동하며 트롤리바(20)의 구배상태를 지시토록 설치된 접촉롤(78)과 지시침(80) 및,A contact roll 78 and an indicator needle 80 moving along the trolley bar 20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bar 76 and indicating a gradient state of the trolley bar 20; 상기 수평바아(76)의 중앙 및 수직바아(76)의 일측으로 설치되어 트롤리바 (20)의 좌우 및 상하측 구배를 나타내는 제 1,2 눈금(82)(8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트롤리바 보선용 이동장치The first and second scales 82 and 84 are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bar 76 and one side of the vertical bar 76 to indicate left and right and top and bottom gradients of the trolley bar 20. Trolley bar maintenance shifter of crane
KR2020000008221U 2000-03-23 2000-03-23 A moving apparatus for repairing a trolley of the crane KR20019545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221U KR200195453Y1 (en) 2000-03-23 2000-03-23 A moving apparatus for repairing a trolley of the cra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221U KR200195453Y1 (en) 2000-03-23 2000-03-23 A moving apparatus for repairing a trolley of the cra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5453Y1 true KR200195453Y1 (en) 2000-09-01

Family

ID=19648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8221U KR200195453Y1 (en) 2000-03-23 2000-03-23 A moving apparatus for repairing a trolley of the cra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5453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054B1 (en) * 2013-04-18 2014-11-07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maintenance of trolley bar
KR20150076012A (en) * 2013-12-26 2015-07-06 현대제철 주식회사 Repairing device for trolley bar
KR101766885B1 (en) * 2015-09-01 2017-08-14 주식회사 장원엔지니어링 Position adjustable trolley bar copper string automatic removal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054B1 (en) * 2013-04-18 2014-11-07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maintenance of trolley bar
KR20150076012A (en) * 2013-12-26 2015-07-06 현대제철 주식회사 Repairing device for trolley bar
KR101581511B1 (en) * 2013-12-26 2015-12-30 현대제철 주식회사 Repairing device for trolley bar
KR101766885B1 (en) * 2015-09-01 2017-08-14 주식회사 장원엔지니어링 Position adjustable trolley bar copper string automatic removal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086718Y (en) Movable electric car lifting jack
KR100987297B1 (en) Repair and inspection apparatus of bridge
KR100991190B1 (en) The bridge inspection and the repair method for which a circular travelling rail mobile bridge inspection car and this were used
US4121746A (en) Apparatus for forming a circumferential weld
CN2923648Y (en) Dust-proof moveable four-column lifter
KR200195453Y1 (en) A moving apparatus for repairing a trolley of the crane
KR20160109079A (en) Carriage for Bridge
KR20160109080A (en) Carriage for Bridge
CN112141874B (en) Installation method of dust hood in limited space
CN201436095U (en) A guidance plate device
KR102359238B1 (en) Deck and work method
KR100422786B1 (en) Repair worktable of bevel gear box for rolling mill
KR100679129B1 (en) Jib pin exchange apparatus of reclaimer
CN202201650U (en) Four-supporting-column combined hoisting device for ultra-high voltage serial compensation platform
KR100887145B1 (en)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tension weight in belt conveyor
KR200185482Y1 (en) Inner bow repair device for continuous casting machine
KR20160141621A (en) Reinforcement and transfer deck for complement work of overhead crane girder
CN220449614U (en) Side box culvert lifting equipment
KR200337843Y1 (en) Driving apparatus for the bridge inspection equipment
KR200153303Y1 (en) Inspection device for overhead crane
CN217025109U (en) Maintenance platform of pallet truck
CN214087386U (en) Online visual monitoring equipment of tower machine wire rope
KR0129416Y1 (en) Apparatus for inspecting bridge
CN215854716U (en) Lifting device and system for track area
KR970002034Y1 (en) Movement platform device for boom mending of cr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