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5203Y1 - 위생 젓가락 - Google Patents

위생 젓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5203Y1
KR200195203Y1 KR2020000005230U KR20000005230U KR200195203Y1 KR 200195203 Y1 KR200195203 Y1 KR 200195203Y1 KR 2020000005230 U KR2020000005230 U KR 2020000005230U KR 20000005230 U KR20000005230 U KR 20000005230U KR 200195203 Y1 KR200195203 Y1 KR 2001952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s
pedestal
present
sanitary
cut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52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신
Original Assignee
김주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신 filed Critical 김주신
Priority to KR20200000052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52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52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52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위생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위생적인 젓가락 사용을 위하여 분리되어 사용 가능한 받침대를 구비함으로써, 종래의 위생적이지 못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안착면이 형성된 받침대를 갖는 위생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위생 젓가락{A sanitary chopstick}
본 고안은 위생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위생적인 젓가락 사용을 위하여 분리되어 사용 가능한 받침대를 구비함으로써, 종래의 위생적이지 못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안착면이 형성된 받침대를 갖는 위생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젓가락은 식탁용구의 일종으로서 음식물을 집어서 먹기위한 도구이므로 음식물 및 인체의 구강과 직접 접촉하는 도구이며 이에따라 위생적인 처리가 요구되고 있다.
젓가락은 사용 중 식탁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나 이는 식탁을 통하여 세균에 감염될 우려가 항시 잠재하게 된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음식점과 같은 곳에서는 앞서 식사한 자리를 행주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닦고 나서 음식을 차리게 되나 이와 같이 행주로 닦음으로 해서 식탁의 상면에 수분이 깔리게 되고 이 수분은 행주가 함유하고 있던 수분으로서 청결무후하다고 믿을 수 없으며 특히 국물이 넘치거나 엎질러 졌을 경우 이러한 물질이 식탁에 잔존하고 있다가 후에 식사하는 사람의 수저 등에 묻어 옮기게 되므로 청결하게 식사하고자 하는 기분을 상하게 하고 위생적으로도 식탁에 존재하는 세균에 감염될 염려가 있다.
이와 같이 식탁을 통하여 감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서는 청결한 식탁을 유지하는 방안과 젓가락과 같은 식사 용구가 식탁과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으나 어느 하나 만족할 만한 수단을 강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음식점과 같이 여러사람이 이용하는 접객 업소에서 사용하는 젓가락의 끝단 즉, 음식물 및 구강과 직접 접촉하는 부위가 식탁과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받침대를 제공함으로서 젓가락의 끝단이 식탁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일측 끝단에 절단부가 구비되며 이 절단부로 안착면이 형성된 받침대가 결합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젓가락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젓가락의 받침대가 분리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젓가락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젓가락 11 : 절개부
12 : 절단부 20 : 받침대
21 : 안착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젓가락의 사시도이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크게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일정부분 절개부(11)가 형성된 한쌍의 젓가락(10)과 상기 젓가락(10) 일측 끝단에 절단부(12)가 구비되며 이 절단부(12)로 안착면(21)이 형성된 받침대(20)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젓가락의 받침대가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 첨부 도면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측 끝단으로 형성된 절단부(12)와 안착면(21)이 형성된 받침대(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젓가락을 잡고 받침대(20)를 일측으로 젖히면 상기 절단부(12)가 절단 되며 젓가락과 분리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 과정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젓가락의 사용상태도로서 한쌍의 젓가락을 절개부(11)를 따라 절개하고 일측 끝단에 형성된 절단부(12)와 안착면(21)이 형성된 받침대(20)를 젓가락에서 분리하여 평면위에 받침대(20)를 놓고 상기 안착면(21)에 상기 젓가락을 올려놓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위생 젓가락에 상술한 바와 같이 음식물 및 구강과 직접 접촉하는 부위가 식탁과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받침대를 제공함으로서 젓가락의 끝단이 식탁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1)

  1.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일정부분 절개부(11)가 형성된 한쌍의 젓가락(10)에 있어서,
    상기 일측 끝단에 절단부(12)가 구비되며 이 절단부(12)로 안착면(21)이 형성된 받침대(20)가 결합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젓가락
KR2020000005230U 2000-02-25 2000-02-25 위생 젓가락 KR2001952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230U KR200195203Y1 (ko) 2000-02-25 2000-02-25 위생 젓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230U KR200195203Y1 (ko) 2000-02-25 2000-02-25 위생 젓가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5203Y1 true KR200195203Y1 (ko) 2000-09-01

Family

ID=19643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230U KR200195203Y1 (ko) 2000-02-25 2000-02-25 위생 젓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52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5203Y1 (ko) 위생 젓가락
GB2350778A (en) Dual purpose disposable cutlery
KR200181207Y1 (ko) 위생수저
KR200317777Y1 (ko) 지지대가 형성된 식사도구
CN201393865Y (zh) 一种卫生筷
KR200334779Y1 (ko) 수저 받침접시
KR200240977Y1 (ko) 숟가락.젓가락.칼.포크의 1 회용 받침대
KR20190139100A (ko) 탈착 가능한 받침대가 결합된 일체형 숟가락
JP5408594B1 (ja) 表裏に梃子支点を有する両面衛生洋食具
KR20140002574A (ko) 수저 고정홈을 구비한 밥 그릇
CN212165526U (zh) 一种可旋转的公用餐具搁放装置
KR200220846Y1 (ko) 음식물 뜨는부분이 식탁에 닿지 않는 식탁용구
KR200488582Y1 (ko) 상차림 키트에 포함되는 취식도구안치부가 구비된 밥공기
KR200377364Y1 (ko) 위생 양면 도마
KR200399404Y1 (ko) 위생 수저
KR200287246Y1 (ko) 위생 수저 받침대
KR20110136010A (ko) 취식구
JP3088129U (ja) 箸置き具備の割り箸構造
KR200394596Y1 (ko) 위생 젓가락
KR200404810Y1 (ko) 위생 젓가락
KR200208813Y1 (ko) 식탁판이 없는 식탁
JP3061219U (ja) 食 器
KR200214245Y1 (ko) 위생 젓가락
KR20230159976A (ko) 받침대가 구성된 수저,젓가락,포크
KR200405657Y1 (ko) 바닥에 닿지 않는 위생 젓가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