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4721Y1 - 파이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4721Y1
KR200194721Y1 KR2020000008107U KR20000008107U KR200194721Y1 KR 200194721 Y1 KR200194721 Y1 KR 200194721Y1 KR 2020000008107 U KR2020000008107 U KR 2020000008107U KR 20000008107 U KR20000008107 U KR 20000008107U KR 200194721 Y1 KR200194721 Y1 KR 2001947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member
pipe
joint
protruding
protrud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81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정기
Original Assignee
곽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19990011510U external-priority patent/KR19990040575U/ko
Application filed by 곽정기 filed Critical 곽정기
Priority to KR20200000081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47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7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721Y1/ko
Priority to PCT/KR2001/000442 priority patent/WO2001071233A1/en
Priority to AU42837/01A priority patent/AU4283701A/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4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a swivel nut or collar engag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일측내부에 돌출링부가 형성되어 이음공간과 유체통로로 나누어진 제1이음부재(11)와, 상기 돌출링부(17)의 외면에 밀착되는 수지재 파이프(13)의 단부를 압착하도록 상기 이음공간에 경사면으로 타고 결합되는 수지재의 제2이음부재(15)로 이루어지되, 상기 돌출링부의 외면에는 제2이음부재가 조여짐에 따라 상기 파이프가 구부려져 걸리는 요입홈(17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이음부재(15)의 단부에는 이 제2이음부재(15)가 조여짐에 따라 외경이 용이하게 축소되도록 원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슬릿홈(15d)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수지재 파이프의 연결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견고하며 파이프를 분리시킨 후에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장치{pipe joint}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지재 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파이프 연결장치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이음부재(1)의 내부에 파이프(3)가 삽입되고, 상기 파이프(3)의 외측에는 너트식으로 된 제2이음부재(5)가 나사결합되어, 파이프(3)가 이음부재(1)의 내부면에 압착하여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이음부재(1)의 단부 외주면에는 경사면(1a)이 형성되고, 상기 제2이음부재(5)의 내부에는 상기 경사면(1a)을 타고 미끄러지는 대향경사면(5a)이 형성되어, 상기 제2이음부재(5)를 조임에 따라 상기 경사면(1a)이 형성된 부위가 변형하여 파이프(3)를 강하게 압착하게 되어 파이프(3)가 빠지지 않게 된다.
그런데, 상기 도1에 도시한 파이프 연결장치는 금속재등으로 된 파이프의 연결에 적합한데, 한번 연결된 파이프와 제1이음부재의 경사면 부위가 변형되므로, 연결장치를 재차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종래 수지재로 된 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수지재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종래의 연결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연결력이 강하지 못하여 40mm 이상의 대구경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지재 파이프의 연결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견고하며 파이프를 분리시킨 후에 재사용이 가능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 파이프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분리단면도,
도3 및 도4는 도2의 파이프 연결장치에 의해 파이프가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5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분리단면도,
도6은 도5의 파이프 연결장치에 의해 파이프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분리단면도,
도8는 도7의 파이프 연결장치에 의해 파이프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21, 31 : 제1이음부재 13 : 수지재 파이프
15, 25, 35 : 제2이음부재 15d, 25d, 35d : 슬릿홈
17, 27, 37 : 돌출링부 17a, 27a, 37a : 요입홈
19, 39 : 패킹부재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는 그 일측 내부에 돌출링부가 형성되어 이음공간과 유체통로로 나누어진 제1이음부재와, 상기 돌출링부의 외면에 밀착되는 수지재 파이프의 단부를 압착하도록 상기 이음공간에 경사면으로 타고 결합되는 삽입부를 가진 수지재의 제2이음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돌출링부의 외면에는 제2이음부재가 조여짐에 따라 상기 파이프가 구부려져 걸리는 요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이음부재의 삽입부에는 이 제1이음부재가 조여짐에 따라 외경이 용이하게 축소되도록 원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슬릿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이음부재의 이음공간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제2이음부재의 삽입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에 결합되는 숫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제2이음부재의 머리부에는 상기 제1이음부재측으로 돌출된 돌출테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이음부재의 외주면에는 숫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제2이음부재의 머리부에는 상기 제1이음부재측으로 돌출된 돌출테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테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이음부재의 숫나사에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돌출링부는 별도의 링부재가 압착하여 끼워지거나 나사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소켓형상으로 된 제1이음부재(11)의 내부에 수지재 파이프(13)의 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수지재 파이프(13)의 외면에서 상기 제1이음부재(11)의 내부에 수지재로 된 제2이음부재(15)가 나사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제1이음부재(11)는, 금속재로 되어 있으나, 수지재로 이루어 질 수도 있으며, 그 일측 내부에 돌출링부(17)가 형성되어 이음공간(S)과 유체통로(P)로 나누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이음부재(11)의 이음공간(S)측 내면에는 상기 제2이음부재(15)가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1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음공간의 반대측 외면(도2에서 좌측 외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체결부에 체결되도록 숫나사(11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음공간(S)의 암나사(11a)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작아지는 경사면(11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면(11c)의 좌측단부는 소정거리(약 2mm)의 평탄면(11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숫나사(11b)의 우측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오링이 끼워지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홈(11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링부(17)는 별도의 링부재가 압착하여 끼워지거나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기 돌출링부(17)의 외면에는 제2이음부재(15)가 조여짐에 따라 상기 수지재 파이프(13)가 구부려져 걸리는 요입홈(17a)이 상기 이음공간(S)의 내부 깊숙한 곳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지재 파이프(13)는, 상기 돌출링부(17)의 외면에 그 내면이 밀착되고, 그 외면에는 상기 제2이음부재(15)의 내면이 밀착하게 된다.
상기 제2이음부재(15)는 상기 이음공간(S)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공구를 끼우는 머리부로 나누어져 있으며, 수지재로 되어 있다.
즉, 스패너등으로 조우기가 용이하도록 그 우측단(도면상으로 볼때)에 각형(사각, 육각)의 외주면을 가진 플랜지(15a)로 된 머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머리부의 좌측에 형성된 삽입부는 그 좌측단에 챔퍼(chamfer)(c)가 형성되고 상기 제1이음부재(11)의 경사면(11c)에 밀착하면서 구부려지는 평탄면(15b)과 이 평탄면의 우측으로 상기 암나사(11a)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15c)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챔퍼(c)는 상기 제1이음부재의 경사면(11c)를 타고 용이하게 미끄러 지게 한다.
그리고, 상기 평탄면(15b)에는 상기 제2이음부재(15)가 제1이음부재(11)에 조여짐에 따라 상기 경사면(11c)을 따라 이동하면서 그 내경이 축소되도록 원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로 슬릿홈(15d)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에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이음부재(15)의 숫나사를 제1이음부재(11)의 암나사에 약간 나사결합한 상태에서, 수지재 파이프(13)를 상기 돌출링부(17)의 외면과 상기 제2이음부재(15)의 내면 사이에 끼운 다음, 제2이음부재(15)의 플랜지(15a)에 스패너등을 끼워 돌려 조우면, 제2이음부재의 평탄면(15b)이 제1이음부재의 경사면(11c)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그 직경이 축소되어 수지재 파이프(13)의 단부가 상기 요입홈(17a)에 압착되어 걸리게 한다.
이때, 수지재 파이프의 단부와 제2이음부재의 단부는 지름이 줄어 들면서 변형되어 파이프가 견고히 결합되는데, 상기 제2이음부재(15)는 그 슬릿홈(15d)에 의해 직경이 용이하게 줄어 들어 수지재 파이프를 압착한다. 상기 제2이음부재(15)의 좌측단부는 상기 평탄면(11d)의 시작점까지 들어가면 수지재 파이프의 단부는 완전히 압착된다.
그리고, 제2이음부재(15)를 풀게 되면, 파이프 및 제2이음부재가 수지재로서 탄력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원상태로 그 형상을 복원하게 된다. 따라서, 재차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5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파이프 연결장치의 수지재 파이프(13)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이음부재(21)는, 금속재나 수지재로 이루어져 있고, 일측 내부에 돌출링부(27)가 형성되어 이음공간(S)과 유체통로(P)로 나누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이음부재(21)의 이음공간(S)측 내면에는 후술하는 제2이음부재(25)가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2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음공간의 반대측 외면(도2에서 좌측 외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체결부에 체결되도록 숫나사(21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음공간(S)의 암나사(21a)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작아지는 경사면(21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이음부재(21)의 머리부는 2단으로 되어 있다. 이때, 머리부의 우측단 외면(21d)은 원주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외면(21d)의 좌측에 형성된 외면(21e)은 스패너등의 공구를 용이하게 끼우도록 각형(사각, 육각)으로 되어 있다.
상기 경사면(21c)의 좌측단부는 소정거리(약 2mm)의 평탄면(21f)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숫나사(21b)의 우측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오링이 끼워지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홈(21g)이 형성되어 있다.
제1이음부재(21)에 결합되는 제2이음부재(25)는 상기 이음공간(S)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공구를 끼우는 머리부로 나누어져 있으며 수지재로 되어 있다.
상기 머리부는 스패너등으로 조우기가 용이하도록 그 우측단(도면상으로 볼때)에 각형(사각, 육각)의 외주면을 가진 플랜지로서, 상기 제1이음부재측으로 돌출된 돌출테부(25a)를 구비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돌출테부(25a)는 조립시 상기 제1이음부재(25)의 머리부 외면에 밀착하게 된다.
상기 플랜지의 좌측에 형성된 삽입부는 그 좌측단에 챔퍼(chamfer)(c)가 형성되고 상기 제1이음부재(21)의 경사면(21c)에 밀착하면서 구부려지는 평탄면(25b)과 이 평탄면의 우측으로 상기 암나사(21a)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25c)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챔퍼(c)는 상기 제1이음부재의 경사면(21c)를 타고 용이하게 미끄러 지게 한다.
그리고, 상기 평탄면(25b)에는 상기 제2이음부재(25)가 제1이음부재(21)에 조여짐에 따라 상기 경사면(21c)을 따라 이동하면서 그 내경이 축소되도록 원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로 슬릿홈(25d)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에 의해 파이프가 조립된 상태가 도6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테부(25a)에 의해 제2이음부재(25)의 변형에 대한 강성이 크질 뿐만 아니라, 제2이음부재(25)의 삽입부의 단부가 상기 제1이음부재(21)의 경사면(21c)에 밀착하면서 끼워질 시에 돌출테부(25a)가 제1이음부재(21)의 머리부의 우측단 외면(21d)을 구속하게 되어 제1이음부재(21)가 벌어지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제2이음부재(25)를 제1이음부재(21)에 체결할 시에는 상기 외면(21d)의 좌측에 형성된 외면(21e)을 스패너로 잡아 제1이음부재(21)가 회전하지 않게 한다.
도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1이음부재(31)의 외면에 숫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숫나사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가 제2이음부재(35)의 후술하는 돌출테부 내면에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1이음부재(31)는, 금속재 또는 수지재로 이루어 있고, 그 일측 내부에 돌출링부(37)가 형성되어 이음공간(S)과 유체통로(P)로 나누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이음부재(31)의 머리부의 외면에는 숫나사(3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이음부재(31)의 이음공간(S)측 내면에는 상기 제2이음부재(35)가 밀착하면서 변형되도록 경사면(3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음공간의 반대측 외면(도8에서 좌측 외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체결부에 체결되도록 숫나사(31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숫나사(31a)의 좌측에 형성된 외면(31d)은 상기 제2이음부재(35)가 체결될 시에 제1이음부재(31)가 회전되지 않게 스패너등을 끼우도록 각형(사각, 육각)으로 되어 있다.
상기 경사면(31b)의 좌측단부는 소정거리(약 2mm)의 평탄면(31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숫나사(31c)의 우측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오링이 끼워지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홈(11f)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링부(37)는 별도의 링부재가 압착하여 끼워지거나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기 돌출링부(37)의 외면에는 제2이음부재(35)가 조여짐에 따라 수지재 파이프(13)가 구부려져 걸리는 요입홈(37a)이 형성되어 있다.
제1이음부재(31)에 결합되는 제2이음부재(35)는 상기 이음공간(S)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공구를 끼우는 머리부로 나누어져 있으며 수지재로 되어 있다.
상기 머리부는 스패너등으로 조우기가 용이하도록 그 우측단(도면상으로 볼때)에 각형(사각, 육각)의 외주면을 가진 플랜지로서, 상기 제1이음부재측으로 돌출된 돌출테부(35a)를 구비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테부(35a)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이음부재(31)의 숫나사(31a)에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35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의 내측에 형성된 삽입부는 그 좌측단에 챔퍼(chamfer)(c)가 형성되고 상기 제1이음부재(31)의 경사면(31b)에 밀착하면서 구부려지는 평탄면(35c)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챔퍼(c)는 상기 제1이음부재의 경사면(31b)를 타고 용이하게 미끄러 지게 한다.
그리고, 상기 평탄면(35c)에는 상기 제2이음부재(35)가 제1이음부재(31)에 조여짐에 따라 상기 경사면(31b)을 따라 이동하면서 그 내경이 축소되도록 원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로 슬릿홈(35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테부(35a)의 좌측단부와 상기 삽입부의 좌측단부는 서로 대체로 동일한 선상에 정렬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에 의해 파이프가 조립된 상태가 도8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2이음부재(35)가 그 돌출테부(35a)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에 의해 제1이음부재(31)에 결합되므로, 삽입부의 길이가 짧아도 된다. 따라서, 삽입부의 길이가 짧은 만큼 제1이음부재(31)의 길이가 짧아도 되므로, 재료비 및 가공비가 절약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이음공간(S)의 바닥면에 패킹부재가 끼워져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패킹부재는 상기 돌출링부를 통한 유체의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다. 즉, 제1이음부재 및 제2이음부재는 본 고안의 기능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에 의하면, 제1, 제2이음부재를 먼저 결합한 상태에서 수지재 파이프를 끼워 결합하므로 배관시에 수지재 파이프의 연결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음이 견고하며, 파이프를 분리시킨 후에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그 일측내부에 돌출링부가 형성되어 이음공간과 유체통로로 나누어진 제1이음부재와, 상기 돌출링부의 외면에 밀착되는 수지재 파이프의 단부를 압착하도록 상기 이음공간에 경사면으로 타고 결합되는 삽입부를 가진 수지재의 제2이음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돌출링부의 외면에는 제2이음부재가 조여짐에 따라 상기 파이프가 구부려져 걸리는 요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이음부재의 삽입부에는 이 제1이음부재가 조여짐에 따라 외경이 용이하게 축소되도록 원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슬릿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음부재의 이음공간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제2이음부재의 삽입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에 결합되는 숫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제2이음부재의 머리부에는 상기 제1이음부재의 머리부 외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제1이음부재측으로 돌출된 돌출테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음부재의 외주면에는 숫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제2이음부재의 머리부에는 상기 제1이음부재측으로 돌출된 돌출테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테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이음부재의 숫나사에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KR2020000008107U 1999-06-25 2000-03-22 파이프 연결장치 KR2001947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107U KR200194721Y1 (ko) 1999-06-25 2000-03-22 파이프 연결장치
PCT/KR2001/000442 WO2001071233A1 (en) 2000-03-22 2001-03-21 Pipe joint
AU42837/01A AU4283701A (en) 2000-03-22 2001-03-21 Pipe joi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1510 1999-06-25
KR2019990011510U KR19990040575U (ko) 1999-06-25 1999-06-25 파이프연결장치
KR2020000008107U KR200194721Y1 (ko) 1999-06-25 2000-03-22 파이프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4721Y1 true KR200194721Y1 (ko) 2000-09-01

Family

ID=26634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8107U KR200194721Y1 (ko) 1999-06-25 2000-03-22 파이프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472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6261A (en) Pipe joint with a gasket retainer
US7878555B2 (en) Coupling device for circular pipes
US9151419B1 (en) Pipe coupling with seal pressing device
CN105276307A (zh) 管接头
EP1046853A1 (en) Resin pipe joint
CA2618331A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hoses
US20070284878A1 (en) Sealing fitting for stainless steel tubing
US20070013189A1 (en) Sealing fitting for stainless steel tubing
US7699357B2 (en) Coupling for tubes
US4238132A (en) Connector
KR200194721Y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0239292Y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0269757Y1 (ko) 원터치식 관 연결장치
EP0638752A1 (en) Pipe connector
EP1031493A1 (en) A steering device for vehicles
KR19990040575U (ko) 파이프연결장치
WO1994013994A1 (en) Improved hose fitting
JP2000193157A (ja) 管継手
KR200322158Y1 (ko) 압륜을 갖는 오수관 연결 구조
KR0117149Y1 (ko) 원터치 삽입식 관연결구
KR200164118Y1 (ko) 호스 연결장치
CN211371527U (zh) 新型水管接头
KR200275028Y1 (ko) 원터치식 파형관 연결장치
KR200213663Y1 (ko) 배관 연결구
JPH035503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