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4019Y1 -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4019Y1
KR200194019Y1 KR2020000007534U KR20000007534U KR200194019Y1 KR 200194019 Y1 KR200194019 Y1 KR 200194019Y1 KR 2020000007534 U KR2020000007534 U KR 2020000007534U KR 20000007534 U KR20000007534 U KR 20000007534U KR 200194019 Y1 KR200194019 Y1 KR 2001940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rite core
pressure bobbin
core
flow
low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75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75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40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0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0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42Flyback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01F27/263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01F27/266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 H04N3/185Maintaining dc voltage const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42Flyback transformers
    • H01F2038/426Flyback transformers with gap in transformer c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고정구조는, 고압보빈과 결합되는 저압보빈의 코아 삽입홈의 좌,우 측면으로 소정의 탄성을 갖는 유동방지용 돌기를 돌출 형성시키고, 상기 저압보빈으로 삽설되는 페라이트 코아의 중심 외측면에 상기 유동방지용 돌기가 소정의 탄성력을 전달하여 그 유동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동방지용 돌기는 코아 삽입홈의 좌,우 측면에서 일정 경사를 가지고 코아 삽입방향으로 하향 돌출되어 소정의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저압보빈에 결합되는 상부 페라이트 코아의 측면 부분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저압보빈의 코아 삽입홈 양측면으로 일정 탄성력을 갖는 유동방지용 돌기를 형성시켜 주어 하부 페라이트 코아에 일정 탄성력을 주면서 그 유동을 방지하여 안정된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인덕턴스를 얻을 수 있으며, 그 출력전압의 편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함에 있다.

Description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고정구조{Fixing structure for ferrite core of Fly Back Transformer}
본 고안은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고정구조에 있어서, 특히 저압보빈에 결합되는 페라이트 코아의 상,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페라이트 코아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Fly Back Trans Former)는 영상 표시기기(TV, 모니터 등)에 22KV ~ 30KV의 고압 및 회로 기판에 여러 전압을 인가해 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1차 코일 및 3차 코일이 감겨진 저압보빈(11)과, 2차 코일(고압출력)이 감겨지는 고압보빈(12)과, 상기 저압보빈(11) 및 고압보빈(12)을 보호하는 FBT 케이스(13)와, 브라운관의 포커스 및 스크린에 필요한 전압을 공급하는 포커스 팩(14)과, 상기 저압보빈(11)의 내경에 일단이 삽설되는 상,하부 페라이트 코아(15, 15')와, 상기 상,하부 페라이트 코아(15,15') 사이에 간격유지를 위해 끼워지는 코아 갭(16)과, 상기 상,하부 페라이트 코아(15, 15')를 고정시켜 주기 위해 일정 탄성력을 갖는 코아 밴드(16)를 포함한 구성이다.
이러한,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동작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FBT케이스(13)의 내부에서 저압보빈(11)이 고압보빈(12)에 결합되고, 상기 저압보빈(11)의 1차 코일로 인가되는 입력전류는 고압보빈(12)의 2차 코일(고압코일)과의 권선 턴비에 의해 결정된 고압으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그리고, 저압보빈(11)의 3차 코일에는 회로기판으로 인가되는 전압이 유기되어 출력된다.
상기 FBT케이스(13)의 일측으로 결합되는 포커스 팩(14)은 상기 고압보빈(12)의 2차 코일에 연결되어 브라운관의 포커스 및 스크린에 필요한 전압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하부 페라이트 코아(15,15')는 상호 유도작용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저압보빈(11)의 중심 내경으로 그 일단이 삽입되고,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인덕턴스 값을 조절하기 위해 코아 갭(16)이 상,하부 페라이트 코아(15,15') 사이에 놓이게 된다. 또한, 상기 상,하부 페라이트 코아(15,15')와 코아 갭(16)은 코아 밴드(17)에 의해 고정되어 진다.
그러나, 저압보빈(11)에 삽설되는 한 쌍의 페라이트 코아의 치수(L)는 인덕턴스를 조절하는 코아 갭(16)의 치수에 따라 달라지게 되고, 이러한 상,하부 페라이트 코아(15,15')가 일정한 위치에 고정이 되지 않고 유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페라이트 코아(15)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저압보빈(11)의 코아 삽입홈(11a)의 좌,우 측면으로 유동방지용 돌기(11b)를 형성시켜 준 구조이다.
이러한, 종래의 페라이트 코아 고정 구조에서는, 저압보빈(11)의 코아 삽입홈(11a)으로 하부 페라이트 코아(15)의 중심부가 끼워지게 되면, 상기 코아 삽입홈(11a)의 외측면에 다수개가 돌출 형성된 유동방지용 돌기(11b)가 하부 페라이트 코아(15)의 중심부 양측면에 걸리게 되어, 저압보빈(11)으로 하부 페라이트 코아(15)가 억지 끼움 형태로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다.
그러나, 하부 페라이트 코아(15) 및 유동방지용 돌기(11b)의 치수 공차에 따라 하부 페라이트 코아(15)를 삽입하는데 있어 힘의 무리가 가기도 하고, 또 유동방지용 돌기(11b)가 억지 끼움으로 인해 마모되며 그 마모된 상태에서 외부의 힘에 의해 상,하부 페라이트 코아(15,15')가 유동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인덕턴스(Inductance) 값을 안정되게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출력전압 편차가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저압보빈의 코아 삽입홈 양측면으로 일정 탄성을 갖는 유동방지용 돌기를 형성시켜 주어 하부 페라이트 코아에 일정 탄성력을 주면서 그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고정구조로서, (A)는 저압보빈의 평면도이고, (B)는 저압보빈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고정구조로서, (A)는 저압보빈의 평면도이고, (B)는 저압보빈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고정구조로서, 저압보빈과 하부 페라이트 코아의 부분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1...저압보빈 12....고압보빈
13...FBT케이스 14...포커스 팩
15,22...하부 페라이트 코아 15'...상부 페라이트 코아
16...코아 갭 17...코아 밴드
11a,21a...코아 삽입홈 11b,21b...유동방지용 돌기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고정구조는,
고압보빈과 결합되는 저압보빈의 코아 삽입홈의 좌, 우 측면으로 소정의 탄성을 갖는 유동방지용 돌기를 각각 돌출시키고, 상기 저압보빈으로 삽설되는 페라이트 코아의 중심부 외측면에 상기 유동방지용 돌기가 소정의 탄성력을 전달하여 그 유동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동방지용 돌기는 코아 삽입홈의 좌,우 측면에서 일정 경사로 이격되어 코아 삽입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고정구조를 보이기 위한 저압보빈의 평면도 및 그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페라이트 코아구조를 보이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고압보빈과 결합되는 저압보빈(21)의 코아 삽입홈(21a) 양측면으로 일정 탄성을 갖는 유동방지용 돌기(21b)를 돌출시켜 주어, 상기 코아 삽입홈(21a)에 결합되는 페라이트 코아의 중심 외측면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전달하여 그 유동을 방지토록 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유동방지용 돌기(21b)는 코아 삽입홈(21a)의 좌,우 측면으로 일정 경사를 가지고 코아 삽입방향으로 하향 돌출되어 소정의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고정구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저압보빈(21) 하부에는 하부 페라이트 코아(22)의 중심 측면이 결합되도록 코아 삽입홈(21a)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코아 삽입홈(21a)의 좌,우 측면으로 일정 경사를 가지고 하향 돌출된 유동방지용 돌기(21b)가 각각 돌설된다.
이러한, 저압보빈(21)으로 상,하부 페라이트 코아를 결합하게 되면, 상, 하부 페라이트 코아의 일단은 저압보빈(21)에 삽설된다. 이때 하부 페라이트 코아(22)는 코아 삽입홈(21a)의 좌,우 측면에 형성된 유동방지용 돌기(21b)의 탄성에 의한 반발력으로 억지 끼움 형태로 끼워지며, 그 유동방지용 돌기(21b)는 코아 삽입홈(21a)으로 삽입되는 하부 페라이트 코아(22)의 중심 측면에 소정의 탄성을 전달하여 밀착 고정시켜 준다.
이러한, 저압보빈(21)의 유동방지용 돌기(21b)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기 때문에 마모될 염려는 없으며, 또 하부 페라이트 코아(22)가 결합되었을 때 페라이트 코아(22)와 유동방지용 돌기(21b) 부분의 치수 공차에 관계없이 페라이트 코아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게 됨으로써, 하부 페라이트 코아(22)를 지지 및 고정시켜 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고정구조는, 페라이트 코아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저압보빈에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유동방지용 돌기를 돌출시킴으로써, 페라이트 코아가 결합되었을 때 페라이트 코아와 돌기 부분의 치수 공차에 관계없이 유동방지용 돌기 부위에서 페라이트 코아 쪽으로 힘이 가해져 페라이트 코아를 고정하고, 안정된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인덕턴스 값을 얻을 수 있어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출력전압의 편차를 줄 일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고압보빈과 결합되는 저압보빈의 코아 삽입홈의 좌,우 측면으로 소정의 탄성을 갖는 유동방지용 돌기를 돌출 형성시키고, 상기 저압보빈으로 삽설되는 페라이트 코아의 중심부 외측면에 상기 유동방지용 돌기가 소정의 탄성력을 전달하여 그 유동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고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용 돌기는 코아 삽입홈의 좌,우 측면에서 일정 경사를 가지고 코아 삽입방향으로 하향 돌출되어 소정의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고정구조.
KR2020000007534U 2000-03-16 2000-03-16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고정구조 KR2001940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534U KR200194019Y1 (ko) 2000-03-16 2000-03-16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534U KR200194019Y1 (ko) 2000-03-16 2000-03-16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4019Y1 true KR200194019Y1 (ko) 2000-09-01

Family

ID=19647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7534U KR200194019Y1 (ko) 2000-03-16 2000-03-16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401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4019Y1 (ko)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고정구조
KR200194020Y1 (ko)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고정구조
KR100373170B1 (ko)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고정구조
JP3469464B2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
JPH10208949A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
US6433663B1 (en) High voltage transformer arrangement
KR100415573B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블리더 저항 및 그 결합장치
JP2006108389A (ja) トランスコア及びこれを用いたリーケージトランス
KR200193781Y1 (ko)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갭 구조
KR200153888Y1 (ko) 플라이백트랜스포머의 페라이트코아 고정구조
KR100340419B1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JP4846420B2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および放電灯駆動回路
KR200234421Y1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
KR0121514Y1 (ko)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결합구조
KR100311806B1 (ko) 플라이백트랜스포머의멀티및섹션타입고압보빈의일체화구조
KR100352486B1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결합장치
JP2006108390A (ja) トランスコア及びこれを用いたリーケージトランス
JP2006108391A (ja) トランスコア及びこれを用いたリーケージトランス
KR200188834Y1 (ko) 인버터 트랜스
KR100262481B1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페라이트코아 고정장치
KR20000002043U (ko) 텔레비젼의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 페라이트 코아 결합장치
KR200234413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터미널 단자부
KR100344627B1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방열장치
KR200152075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코어 고정 구조
KR950002607Y1 (ko) 플라이 백 트랜스 포머(fly back trans former)의 인덕턴스 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