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750Y1 - 유아용 보호싸개 - Google Patents

유아용 보호싸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750Y1
KR200193750Y1 KR2020000006154U KR20000006154U KR200193750Y1 KR 200193750 Y1 KR200193750 Y1 KR 200193750Y1 KR 2020000006154 U KR2020000006154 U KR 2020000006154U KR 20000006154 U KR20000006154 U KR 20000006154U KR 200193750 Y1 KR200193750 Y1 KR 2001937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suspenders
button
protective
w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61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미
김희선
Original Assignee
김경미
김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미, 김희선 filed Critical 김경미
Priority to KR20200000061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7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7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7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의 외출시 예기치 않은 기상상태의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유아를 간편하게 걸어멜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멜빵에 착탈식으로 간편하게 부착시켜 외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유아를 보호하는 싸개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필요시에는 이불이나 돗자리의 용도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보호싸개에 관한 것으로, 이는 유아를 걸어멜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멜빵(100)의 멜빵근(110)에 유아를 감싸기 위한 보호싸개(200)를 착탈가능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보호싸개(200)는 대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면서 그 상부에는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멜빵끈(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연결띠(210)가 구비되고 보호싸개(200)의 각 둘레면을 따라서는 단추와 단추구멍, 그리고 단추고리등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각각 부착되어 이들을 상호 결합시킴으로서 유아를 적절하게 감싸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아용 보호싸개{Baby cover}
본 고안은 유아용 보호싸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의 외출시 예기치 않은 기상상태의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유아를 간편하게 걸어멜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멜빵에 착탈식으로 신속하게 부착시켜 외투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유아를 보호하는 싸개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필요시에는 이불이나 돗자리의 용도로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보호싸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주부들이 유아를 데리고 외출하는 경우에는 포대기를 이용하거나 혹은 유아를 간편하게 걸어멜 수 있도록 하는 멜빵을 이용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 들어서는 상기 멜빵을 주로 이용하게 되는데, 이는 보호자의 가슴부분에서 유아를 걸어멜 수 있기 때문에 보호자가 유아의 상태를 수시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멜빵은 단순히 유아를 간편하게 걸어멜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에만 국한된 것이어서, 예컨데 날씨가 추운 경우에는 별도의 겉옷이나 싸개등을 이용하여 유아를 덮어주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외출시 예기치 않은 기상의 변화로 눈이나 비가오는 경우에는 보호자의 입장에서는 매우 당황할 수 밖에 없다.
특히, 유아를 멜빵에 걸어 멘 상태에서 비가오는 경우에는 유아를 덮어주기 위해 보호자의 외투등을 벗어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걸어 멘 멜빵에 의해 외투를 벗을 수가 없으므로 멜빵을 풀어헤진 상태에서 외투를 벗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유아의 외출시 예기치 않은 기상상태의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유아를 간편하게 걸어멜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멜빵에 착탈식으로 신속하게 부착시켜 별도의 외투등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유아를 보호하는 싸개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필요시에는 이불이나 돗자리의 용도로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보호싸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싸개는, 유아를 걸어멜 수 있도록 하는 멜빵의 멜빵근에 유아를 감싸기 위한 보호싸개를 착탈가능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보호싸개는 대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면서 그 상부에는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상기 멜빵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연결띠가 구비되고 보호싸개의 각 둘레면을 따라서는 단추와 단추구멍, 그리고 단추고리등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선택적으로 부착되어 이들을 상호 결합시킴으로서 유아를 적절하게 감싸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싸개의 정면도,
도 2 -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싸개와 결합되어지는 멜빵의 정면도,
도 3 -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싸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멜빵 102: 멜빵끈 단추
110: 멜빵끈단추 120: 싸개주머니
200: 보호싸개 210: 연결띠
211: 제1단추구멍 212: 제2단추구멍
213: 제3단추구멍 214: 제4단추구멍
215: 제5단추구멍 216: 제6단추구멍
217: 제7단추구멍 220: 제1단추고리
221: 제2단추고리 230: 연결띠 결합단추
231: 제1단추 232: 제2단추
233: 제3단추 234: 제4단추
235: 제5단추 236: 제6단추
237: 제7단추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싸개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싸개의 정면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싸개와 결합되어지는 유아용 멜빵의 정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유아를 걸어멜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멜빵(100)의 멜빵근(110)에 멜빵끈단추(102)를 부착하여 이 멜빨끈단추(102)에 유아를 감싸기 위한 보호싸개(200)를 착탈가능하게 부착시켜 사용하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멜빵(100)의 전면에는 싸개주머니(120)를 형성하여 이 싸개주머니(120)내에 보호싸개(200)를 간편하게 수납시킬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보호싸개(200)는 그 안감재질이 면으로 구성되면서 겉감은 방수용원단이 적용되어진다.
그 형태는 대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면서 그 상부에는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멜빵끈(110)이 각각 결합되어져 있다.
상기 멜빵끈(110)은 그 상단에 제1단추구멍(211)이 형성되어 이 제1단추구멍(211)내에 멜빵끈(110)에 부착되어진 멜빵끈단추(102)가 결합되어지는 한편, 그 하방으로는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제2,제3단추구멍(212)(213)이 형성되어 보호싸개(200)의 상두면에 부착된 연결띠(230) 결합단추가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서 보호싸개(200)의 높낮이를 유아의 체형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보호싸개(200)의 각 둘레면을 따라서는 단추와 단추구멍, 그리고 단추고리등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각각 부착되어 있음으로서 이들을 상호 결합시킴으로서 유아를 적절하게 감싸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싸개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평상시에는 보호싸개(200)를 멜빵(100)에 구비되어진 싸개주머니(120)내에 넣어 보관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멜빵(100)을 이용하여 유아를 걸어메고 외출하는 도중에 비가오는등의 상황이 발생되면 상기 멜빵끈(110)의 싸개주머니(120)내에 수납된 보호싸개(200)를 꺼내 이를 펼친다음 그 상부에 나란히 부착되어진 연결띠(210)의 제1단추구멍(211)내에 멜빵끈(110)에 부착되어진 멜빵끈단추(102)를 결합시켜 멜빵(100)의 전면에 보호싸개(200)가 덮혀지도록한다.
이와같이 멜빵(100)의 전면에 보호싸개(200)가 덮혀지게 되면 우선 보호싸개(200)의 일측에 부착되어진 제2단추(232), 제3단추(233), 제5단추(235), 제6단추(236)등을 이용하여 그 반대의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진 제6단추구멍(216) 및 제7단추구멍(217)에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유아의 체형에 맞게 상기 보호싸개를 내측으로 접게 된다.
또한, 유아의 키에 따라 보호싸개(200)의 밑부분에 각각 부착되어진 제1,제2단추고리(220)(221)를 이용하여 제3단추(233), 제6단추(236), 제4단추(234), 제7단추(217)에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상기 보호싸개(200)의 밑부분을 내측으로 접어주어 유아의 발부분을 덮어주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보호싸개(200)의 우측상단에 부착되어진 제1단추(231)는 그 반대측에 각각 형성되어진 제4,제5단추구멍(214)(215)내에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보호싸개(200)의 상면을 내측으로 감싸주어 첨부된 도면의 도 3 과 같이 최종적으로 멜빵(100)에 걸쳐 맨 유아를 효과적으로 감싸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유이를 감싸주게 된 보호싸개(200)는 그 겉감의 재질이 방수원단으로 구성되어 비, 눈, 바람등을 효과적으로 막아주게 되고 동시에 보온성과 안전성을 겸비 계절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아울러, 유아용 멜빵(100)의 싸개주머니(120)에 항상 휴대하고 다닐수 있으므로 외출하고 난 뒤 갑작스런 기상변화에도 당황하지 않고 아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이며, 아울러 사용하지 않고 상기 멜빵(100)의 싸개주머니(120)에 넣고 다닐 경우 유아의 허리를 한번더 받쳐주는 효과를 제공함으로 유아에게 안정감을 부여해 줄수가 있게 된다.
이밖에도 필요에 따라서는 싸게의 용도가 아닌 이불, 돗자리등과 같은 용도로도 사용될수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유아의 외출시 예기치 않은 기상상태의 변화가 발생하게 되면 유아를 간편하게 걸어멜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멜빵의 멜빵끈에 착탈식으로 신속하게 보호싸개를 부착시켜 사용 할 수 있어 외출시에 별도의 외투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유아를 보호하는 싸개의 용도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아울러 필요시에는 유아용 간이 이불이나 또는 간이 돗자리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1)

  1. 유아를 걸어멜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멜빵(100)의 멜빵근(110)에 유아를 감싸기 위한 보호싸개(200)를 착탈가능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보호싸개(200)는 대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면서 그 상부에는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멜빵끈(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연결띠(210)가 구비되고 보호싸개(200)의 각 둘레면을 따라서는 단추와 단추구멍, 그리고 단추고리등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각각 부착되어 이들을 상호 결합시킴으로서 유아를 적절하게 감싸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보호싸개.
KR2020000006154U 2000-03-06 2000-03-06 유아용 보호싸개 KR2001937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154U KR200193750Y1 (ko) 2000-03-06 2000-03-06 유아용 보호싸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154U KR200193750Y1 (ko) 2000-03-06 2000-03-06 유아용 보호싸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3750Y1 true KR200193750Y1 (ko) 2000-08-16

Family

ID=19645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154U KR200193750Y1 (ko) 2000-03-06 2000-03-06 유아용 보호싸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7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6805A (ko) * 2000-12-29 2002-07-10 전명화 영아 동반을 위한 성인용 외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6805A (ko) * 2000-12-29 2002-07-10 전명화 영아 동반을 위한 성인용 외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5442B1 (en) Infant wrap
US6332224B1 (en) Knee pads for infants
US5067179A (en) Convertible garment leg construction
US5038411A (en) Breast-feeding cover and shoulder clip
US8375486B2 (en) Swaddle accessory
US6266822B1 (en) Sleepwear and secured blanket-like member
US5084914A (en) Invalid garment
US6536047B1 (en) Infant holding garment
US20120066812A1 (en) Combination garment including hat, scarf and gloves
US6081923A (en) Apparel protector kit
CA2465983A1 (en) Swaddling blanket
US20030093852A1 (en) Hockey sock attachment device
WO2011017632A1 (en) Footed sleeper garment with extendable footie
US20030046763A1 (en) Bifurcated wrap-around covering
US20140298564A1 (en) Children's wrap
US20070220659A1 (en) Underpants
KR200193750Y1 (ko) 유아용 보호싸개
JP2011052327A (ja) 腕式被服、下肢式被服及び背面式被服
US20140352021A1 (en) Clothing protector
KR101373771B1 (ko) 다기능성 우의
KR200369838Y1 (ko) 아기 보호용 싸개
US6266821B1 (en) Baby blanket
GB2107172A (en) Waterproof pants
JP3115561U (ja) 乳幼児の抱っこ用又はおんぶ用覆い
JP2024042204A (ja) 和装用の着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