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636Y1 - 보일러 및 난로 기능을 갖는 폐유 소각기 - Google Patents
보일러 및 난로 기능을 갖는 폐유 소각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93636Y1 KR200193636Y1 KR2020000006973U KR20000006973U KR200193636Y1 KR 200193636 Y1 KR200193636 Y1 KR 200193636Y1 KR 2020000006973 U KR2020000006973 U KR 2020000006973U KR 20000006973 U KR20000006973 U KR 20000006973U KR 200193636 Y1 KR200193636 Y1 KR 20019363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bustion
- waste oil
- boiler
- unit
- ai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5—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o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8—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 F23G5/1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 F23G5/16—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in a separate combustion chamb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6—Recuperation of hea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6/00—Waste heat recuperation
- F23G2206/20—Waste heat recuperation using the heat in association with another installation
- F23G2206/203—Waste heat recuperation using the heat in association with another installation with a power/heat generating instal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9/00—Specific waste
- F23G2209/10—Liquid waste
- F23G2209/102—Waste oi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2—Heat utilisation in combustion or incineration of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일러 및 난로 기능을 갖는 폐유 소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매연이나 기타 공해 물질을 방출하지 않도록 연속적으로 3차의 연소 과정을 거치며 폐유의 완전연소를 하고 또한 그 크기의 변형을 통해 난로 및/또는 보일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가정용으로도 사용하기에 편리한 보일러 및 난로 기능을 갖는 폐유 소각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보일러 및 난로 기능을 갖는 폐유 소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매연이나 기타 공해 물질을 방출하지 않도록 3차 연소 과정을 거치며 폐유의 완전연소를 하고 또한 그 크기의 변형을 통해 난로 및/또는 보일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가정용으로도 사용하기에 편리한 보일러 및 난로 기능을 갖는 폐유 소각기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과 함께 발생되는 폐기물은 언제나 사회의 문제 거리로 남아 있고 특히 폐유의 처리는 공해의 문제와 더불어 항상 어려움을 안고 있었다. 따라서 폐유를 소각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왔고 또한 많은 발전이 있었지만 연소에 대한 문제를 여전히 갖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로는 1998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16058 호에 기재된 내용과 같이 중앙 연소실이 구비되고 그 상부에 수조가 감싸는 형태의 가열실이 설치되어 폐유를 소각하는 열로 보일러 기능을 할 수 있는 폐유 소각 보일러를 소개하고 있으나 여기서 사용되는 장치는 단순히 폐유를 연소하고 그에 따라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보일러 기능을 갖도록 한 것 이여서 상기 폐유를 소각하기 위한 소각기는 폐유를 완전히 연소하기 어렵고 또한 인체에 유해한 폐가스가 분출되는 문제점을 여전히 안고 있다.
그리고 이와 유사한 목적을 가지고 이루어진 다른 연구의 실례로는 1999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15274 호에 기재된 내용과 같이 가스실이 구비되고 이 가스실의 내부에 긴 원통형의 연소관이 하부로 삽입되며 이 연소관의 하부에 1차 연소부가 설치되고 상기 가스실의 상부 일측면에 연장된 2차 연소부가 설치되어 폐유를 소각하기 위한 폐유 연소기가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소기에 있어서도 연속적인 소각 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가스실 내부에 위치된 연소관에서 폐유가 1차로 소각되고 2차 소각을 위해 2차 연소부로 미연소 가스가 이동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하기 때문에 물론 이전의 소각기에 비하여는 보다 더 연소를 잘 수행할 수 있다고 볼 수는 있지만 2차 연소부에서 완전한 연소를 하기에는 여전히 어렵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그리고 또한 유사한 목적을 갖는 다른 선행 연구의 실시예인 1991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17544 호에 있어는 연소실과 유량조절 탱크가 구비되고 연소실의 내측 하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지관과 연소실의 내측 상부에서 하부로 길게 늘어뜨려져 연소실 내부 전체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송풍관을 구비하여 연소실 내에서 폐유가 전체적으로 충분히 연소될 수 있도록 하는 폐유의 연소장치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연소를 위하여 공기의 혼합비 정도가 매우 중요하며 완전연소를 위한 가장 핵심이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러한 폐유 연소장치에서와 같이 단순히 공기의 공급 정도만으로 충분한 완전연소를 이루기란 매우 어렵다는 것 또한 사실이다. 연소과정에 있어서 환경이나 그 상황에 따라 발생되는 문제에 의해 종종 불완전한 연소가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상황을 단순히 1차 연소만으로는 극복할 수 없기에 모든 폐유를 완전히 연소할 수 없다는 문제를 여전히 안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매연이나 기타 공해 물질이 방출되지 않도록 연속적으로 3차의 연소 과정을 거치며 폐유의 완전연소를 수행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폐유를 소각할 때 발생되는 열을 산업용 또는 가정용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그 연소장치 크기의 변형을 통해 난로 및/또는 보일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특징은 폐유를 소각하기 위해 몸체와 폐유를 저장하는 탱크 및 연소를 위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 구성된 폐유 소각기에 있어서, 몸체는 상부에 개방구를 갖는 원통형의 몸체; 몸체에 폐유를 공급하기 위해 저장하는 탱크; 몸체에 연소를 위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 팬; 몸체의 내측 상부에 폐유의 1차 연소를 위해 장치되며, 바닥부분인 하부가 개방된 밥그릇을 엎어놓은 형상으로 내부에는 연소실이 형성되고, 중앙 상부에는 연소가스 배출구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접시 형태의 하부 덮개가 다수개의 결합 다리에 의해 결합되어 구성되는 연소용 돔으로 구성된 1차 연소부; 몸체의 상부 개방구와 상응하는 구멍형성 되고,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구멍과 상응하도록 외측 면에 결합되며, 연소부가 결합되도록 상부에 결합턱이 형성된 연소부 지지대; 연소부 지지대의 결합턱에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결합되어 2차 및 3차 연소를 위한 2차 연소부 및 3차 연소부를 갖는 연소부; 및 일 측이 몸체의 측면에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연소를 위한 공기를 몸체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해 공기 공급 팬에 연결되며, 연소를 위한 폐유를 몸체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해 중간 부분이 탱크와 연결되는 폐유 공급부로 구성되는 보일러 및 난로 기능을 갖는 폐유 소각기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폐유 소각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폐유 소각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이고,
도 3a는 일차 연소부의 일 구성요소의 일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 이고,
도 3b는 일차 연소부의 일 구성요소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 이고,
도 4는 2차 및 3차 연소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폐유 소각기의 내부로 적정량의 폐유를 공급하기 위한 일 요소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상기 도 5의 일 요소가 본 고안의 폐유 소각기의 몸체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일 요소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상기 도 5와 도 6의 요소를 통해 본 고안의 폐유 소각기 내부로 폐유를 공급하기 위한 조절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폐유 소각기의 내부로 폐유를 공급하기 위한 일 구성요소를 이루는 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폐유 소각기의 몸체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폐유 소각기 101 ... 폭발 방지용 마개
110 ... 몸체 120 ... 모터
121 ... 회전축 122 ... 회전날개
130 ... 폐유 공급부 131 ... 공기 및 폐유 공급관
132 ... 구멍 133 ... 지지관
134 ... 폐유 공급관 135 ... 공기 공급관
140 ... 공기 공급 팬 150 ... 연료 공급 제어기
151 ... 온도 센서 152 ... 유량조절 스위치
153 ... 선 160 ... 탱크
200 ... 연소부 201 ... 폐유
210 ... 1차 연소부 211,215 ... 연소용 돔
212 ... 연소가스 유입구 213,218 ... 연소실
214,219,224,252,263 ... 연소가스 배출구
216 ... 하부 덮개 217 ... 결합 다리
220 ... 2차 연소부 221 ... 연소가스 유입 홈
222 ... 연소가스 유입구 223 ... 연소실
230 ... 3차 연소부 231 ... 공기 유입구
250 ... 바닥부 251 ... 연소부 외관
260 ... 연소부 지지대 261 ... 결합턱
262 ... 공기 유입구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폐유 소각기(100)의 외부 모양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와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우선 본 고안에 따른 폐유 소각기(100)는 몸체(110)와 그 상부에 위치되는 연소부(200)가 구비되고, 측면으로 폐유와 공기를 함께 공급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관(131,133,134,135)으로 구성된 폐유 공급부(130)가 구비되며, 그 하부에는 연소되는 폐유(201)에서 발생되는 슬래그를 청소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된다.
원통형으로 형성된 상기 몸체(110)는 그 외측 상부에 이하 설명되는 연소부 지지대(260)가 결합되고, 그 내측 상부에는 이하 설명되는 연소용 돔(211 또는 215)이 장착되며, 그리고 그 하부에는 연소시 발생되는 슬래그를 청소하기 위해 외측에 위치된 모터(120)로부터 상기 몸체(110)의 하부 면을 관통하여 내부로 연장된 회전축(121)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날개(122)가 장착된다. 그리고 또한 상기 몸체(110)의 측면에는 소각을 위한 폐유 및 연소를 위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관들(131,134,135)을 삽입하여 결합하기 위한 유도관(133)이 내부로 관통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어느 일 측면에는 과열로 인해 몸체(110)가 폭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101)가 장착되고, 몸체(110)의 일 측 하부에는 몸체(110)의 내부로 유입된 폐유(201)의 온도 또는 양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151)가 부착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온도센서(151)가 사용되었으며 이 센서(151)는 이하 설명되는 연료 공급 제어기(150)에 선(153)을 통해 연결되어 설정되는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 폐유(201)는 도 2에 도시된 탱크(160)로부터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로 구성된 폐유 공급부(130)를 통해 공기와 함께 상기 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몸체(110)의 일 측면에는 비스듬하게 유도관(133)이 상기 측면을 관통하거나 또는 측면에서 외부로 연장되게 결합되며, 이러한 유도관을 통해 이하 설명되는 공급관(131)이 삽입되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선으로 상기 몸체(110)의 내부를 가로지르게 위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및 폐유 공급관(131)은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 관으로 길이방향의 상기 몸체(110)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의 둘레 면을 따라 다수개의 구멍(132)이 형성되어 있고, 이렇게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132)은 연소를 위한 공기의 공급을 몸체(110)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며, 또한 연소시 공급되는 폐유(201)의 예비 가열을 원활하게 연소를 최적화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유도관(133)의 외측 단부에는 도 8에 도시된 공기 공급관(135)의 일 측 단부가 연결되고, 이 공기 공급관(135)의 다른 일 측 단부에는 공기 공급 팬(140)이 연결된다. 그리고 유량조절 스위치(152)는 공기 공급관(135)의 일 측 단부, 상기 유도관(133)에 연결된 부분의 근방에는 위치되고, 이 유량조절 스위치(152)의 상, 하방 측으로 관이 연장되어 상방 측의 관은 폐유(201)가 저장된 탱크(160)의 하부 연결되며 하방 측의 관은 상기 공기 공급관(135)을 관통하여 폐유(201)를 공급하기 위한 폐유 공급관(134)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폐유 공급관(134)은 상기 공기 및 폐유 공급관(131)의 일 단부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상기 탱크(160)에 연결된 유량조절 스위치(152)는 상기 연료 공급 제어기(150)와 선(153)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어기(150)에 의해 폐유의 공급 및 차단을 조절한다. 이때 제어기(150)는 상기 설명된 몸체(110)의 하부에 부착된 센서(151)의 신호에 의해 폐유를 공급할지 중단할지를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내측 상부에 결합되어 1차 연소부(210)를 이루는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각 연소용 돔(211,215)은 도 3a와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각 돔(211,215)의 작용은 일 측 방향으로 유입되는 연소가스 및 화염이 돔의 내부 공간에서 연소를 수행하고 미연소된 연소가스와 화염이 다시 2차 및 3차 연소를 위해 다른 일 측 방향으로 방출되도록 작용을 한다.
상기 각 돔(211,215) 중 어느 일 돔(211)의 형상은 밥그릇을 엎어놓은 형상을 하고, 하부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하부를 덮는 바닥 부가 그 돔(211)의 내부로 돌출 되도록 형성되며, 그 중앙에는 연소가스 유입구(2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돔(211)의 상부 중앙에는 돔(211)의 내부 연소실(213)로 유입된 화염 및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214)가 형성되어 있고, 여기서 상기 유입구(212)의 직경은 이하 설명되는 2차 연소부(220)의 연소가스 유입구(222)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거의 같은 직경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연소용 돔(211)은 상기 연소가스 유입구(212)를 통해 연소실(213)로 유입된 화염과 연소가스가 적절한 연소를 계속 수행하며 온도에 따른 팽압에 의해 상기 연소가스 배출구(214)로 2차 연소를 위해 배출된다.
또 다른 연소용 돔(215)의 구성 형태에 있어서 연소가스 배출구(219)와 연소실(218)은 상기 일 실시형태와 동일하나 상기 돔(215)의 바닥부분은 개방된 상태에서 접시 형태의 하부 덮개(216)가 돔(215)의 하부에 결합되는 형태를 갖는다. 상기 돔(215)의 하부와 하부 덮개(216)는 연소가스 및 화염이 내부 연소실(218)로 유입되게 적절한 공간을 유지하도록 다수개의 결합 다리(217)를 갖는다. 이러한 형태의 연소용 돔(215)은 상기 설명된 다른 연소용 돔(211)과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연소용 돔(211,215)의 연소가스 배출구(214,219)를 통해 배출되는 화염 및 연소가스는 2차 및 3차 연소를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연소부(200)로 유입된다. 이러한 연소부(200)는 중앙에 상기 연소가스 배출구(214,219)의 직경과 상응하는 직경을 갖는 연소가스 배출구(252)가 형성된 바닥부(250)와 그 바닥부(250)에 직립으로 세워지게 결합된 연소부 외관(251)로 구성되고, 상기 연소부 외관(251)의 내부에 바닥부(250)에서 일정 거리를 갖도록 2차 연소부(220)가 설치되며, 그 바로 위에 3차 연소부(230)가 설치된다.
상기 2차 연소부(220)는 상기 연소용 돔(211)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즉 상부 중앙에는 연소가스 배출구(224)가 형성되고, 그 내부가 연소실(223)이 되도록 바닥부분을 가지며, 상기 바닥부분의 중앙에는 연소가스 유입구(222)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222)의 주변이 상기 연소실(223)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1차 연소부(210)의 연소가스 배출구(214)로부터 배출되는 화염과 연소가스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코어 형상의 연소가스 유입 홈(221)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1차 연소부(210)의 연소가스 배출구(214,219)의 직경 및 상기 2차 연소부(220)의 연소가스 유입 홈(221)의 외주 직경, 연소가스 유입구(222)의 직경 그리고 연소가스 배출구(224)의 직경은 매우 유기적인 관계를 갖게 되며, 상기 1차 연소부(210)의 연소가스 배출구(214,219)와 상기 2차 연소부(220)의 연소가스 유입 홈(221)까지의 거리도 또한 폐유의 완전연소를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러한 각 부분들의 직경과 거리는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과 연소되는 가스(폐유)의 양에 의해 좌우되며, 이러한 각 요소들의 직경과 거리의 조절이 적절하지 못한 경우에는 완전연소에 차질이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폐유 3리터의 연소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1차 연소부(210)의 배출구(214,219) 직경을 약 40밀리미터로 하였고, 상기 2차 연소부(220)의 연소가스 유입 홈(221)의 직경은 약 60밀리미터로 하였으며, 상기 2차 연소부(220)의 연소가스 유입구(222)와 연소가스 배출구(224)의 직경은 각각 약 40밀리미터 및 약 42밀리미터로 하였다. 그리고 상기 1차 연소부(210)의 연소가스 배출구(214,219)와 상기 2차 연소부(220)의 연소가스 유입 홈(221)까지의 거리는 약 55밀리미터로 하였다.
그리고 상기 2차 연소부(220)의 상부에는 3차 연소부(230)가 장착되며, 이러한 3차 연소부(230)는 상부가 폐쇄된 원통형으로 측면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공기 유입구(2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3차 연소부(230)는 1차 및 2차 연소를 거치며 때때로 발생될 수 있는 불완전 연소에 의해 미연소된 가스를 완전히 연소할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2차 및 3차 연소를 수행하는 연소부(200)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인해 사고의 발생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는 이러한 연소부(200)에 안전망(미도시)을 설치할 수도 있고 커버를 씌워 가릴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안전망 등을 설치할 경우 부족하게 될 수 있는 상기 연소부(200)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로 연소부 지지대(260)를 변형할 수도 있다. 이러한 플랜지 형상을 갖는 연소부 지지대(260)는 상기 연소부(200)의 바닥부(25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턱(26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 등을 씌웠을 때 판의 외부 측면에서 판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연소부(200)가 장착되는 중앙 방향으로 다수개의 공기 유입구(262)가 상기 판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탱크(160)와 공기 공급 팬(140)에서 폐유 공급부(130)를 통해 폐유 소각기(100)의 몸체(110) 내부로 폐유와 함께 공기가 공급되어 연소를 시작하며, 1차, 2차 및 3차 연소부(210,220,230)를 통해 연소를 수행하게 된다.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연소부(200) 주위에 일반적인 보일러의 순환관(미도시)을 설치하여 폐유(201) 소각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보일러의 순환관을 가열하도록 하여 가정 또는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보일러의 기능을 겸할 수 있게 변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명된 본 고안은 1차 연소부에 의해 폐유의 연소를 수행하고, 연소부의 2차 연소를 통해 1차 연소부에서 미연소된 연소가스를 연소하며, 때때로 발생할 수 있는 불완전 연소를 3차 연소를 통해 완전히 연소할 수 있게 하여 폐유의 연소시 발생되는 유해가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폐유 소각기 크기의 변형이 가능하므로 소형 또는 중형으로 제작하여 일반 가정 또는 정비소 등에서 저질유를 사용하는 난로의 기능을 겸할 수도 있으며,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연소부에 보일러의 순환관을 설치하여 보일러의 기능을 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 폐유를 소각하기 위해 몸체와 폐유를 저장하는 탱크 및 연소를 위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 구성된 폐유 소각기에 있어서,상기 몸체는 상부에 개방구를 갖는 원통형의 몸체(110);상기 몸체(110)에 폐유(201)를 공급하기 위해 저장하는 탱크(160);상기 몸체(110)에 연소를 위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 팬(140);상기 몸체(110)의 내측 상부에 폐유(201)의 1차 연소를 위해 장치되며, 바닥부분인 하부가 개방된 밥그릇을 엎어놓은 형상으로 내부에는 연소실(218)이 형성되고, 중앙 상부에는 연소가스 배출구(219)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접시 형태의 하부 덮개(216)가 다수개의 결합 다리(217)에 의해 결합되어 구성되는 연소용 돔(215)으로 구성된 1차 연소부(210);상기 몸체(110)의 상부 개방구와 상응하는 구멍형성 되고, 몸체(110)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구멍과 상응하도록 외측 면에 결합되며, 연소부(200)가 결합되도록 상부에 결합턱(261)이 형성된 연소부 지지대(260);상기 연소부 지지대(260)의 결합턱(261)에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결합되어 2차 및 3차 연소를 위한 2차 연소부(220) 및 3차 연소부(230)를 갖는 연소부(200); 및일 측이 상기 몸체(110)의 측면에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연소를 위한 공기를 상기 몸체(110)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공기 공급 팬(140)에 연결되며, 연소를 위한 폐유(201)를 상기 몸체(110)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해 중간 부분이 상기 탱크(160)와 연결되는 폐유 공급부(130)로 구성되는 보일러 및 난로 기능을 갖는 폐유 소각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하부 일 측면에 몸체(110)의 내부로 유입된 폐유(201)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151)가 장착되고, 상기 몸체(110)의 어느 일 측면에는 상기 센서(151)의 고장 또는 오작동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폭발 방지용 마개(101)를 갖지며, 상기 폐유 공급부(130)와 연결되는 탱크(160)의 관에 유량조절 스위치(152)가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센서(151)와 유량조절 스위치(152)는 선(153)에 의해 연료 공급 제어기(150)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110)의 내부로 적절한 폐유(201)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및 난로 기능을 갖는 폐유 소각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연소부(210)는 하부가 폐쇄된 상태의 밥그릇을 엎어놓은 형상으로 내부에는 연소실(213)이 형성되고, 중앙 상부에는 연소가스 배출구(214)가 형성되며, 폐쇄된 하부 바닥부분은 연소실(213) 방향으로 돌출되어 그 중앙에는 연소가스 유입구(2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및 난로 기능을 갖는 폐유 소각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유 공급부(130)는 상기 몸체(110)의 일 측면에 외부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도록 결합된 유도관(133);상기 몸체(110)의 내부로 상기 유도관(133)을 통해 삽입되며 몸체(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에 다수개의 구멍(132)이 형성된 긴 원통형의 관으로 형성된 공기 및 폐유 공급관(131);일 측이 상기 유도관(133)에 연결되고 다른 일 측이 공기 공급 팬(140)에 연결되는 공기 공급관(135); 및상기 공기 공급관(135)에서 상기 공기 및 폐유 공급관(131)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는 길이를 가지며 탱크(160)와 연결되는 폐유 공급관(13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및 난로 기능을 갖는 폐유 소각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200)는 연소부 지지대(260)에 결합되는 중앙에 연소가스 배출구(252)가 형성된 바닥부(250)와 그 바닥부(250)에 직립으로 세워지게 결합된 연소부 외관(251)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소부 외관(251)의 내부에는 바닥부를 갖는 돔 형상으로 내부에 연소실(223)이 형성되고, 중앙 상부에 연소가스 배출구(224)가 형성되며, 상기 돔 형상의 바닥 부분에는 연소가스 유입구(222)가 형성된 2차 연소부(220)가 바닥부(250)에서 일정 거리를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2차 연소부(220)의 상부에는 상부가 폐쇄된 원통형으로 측면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공기 유입구(231)가 형성된 3차 연소부(230)가 2차 연수보(220)와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및 난로 기능을 갖는 폐유 소각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는 연소시 발생되는 슬래그를 청소하기 위해 몸체(110)의 하부 바닥 면에 바닥의 외측에 위치된 모터(120); 상기 모터(120)로부터 상기 몸체(110)의 하부 면을 관통하여 내부로 연장된 회전축(121); 및 상기 회전축(121)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날개(122)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및 난로 기능을 갖는 폐유 소각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 지지대(260)는 외부 측면에서 연소부 지지대(260)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연소부(200)가 장착되는 중앙 방향으로 다수개의 공기 유입구(262)가 상기 판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및 난로 기능을 갖는 폐유 소각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06973U KR200193636Y1 (ko) | 2000-03-13 | 2000-03-13 | 보일러 및 난로 기능을 갖는 폐유 소각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06973U KR200193636Y1 (ko) | 2000-03-13 | 2000-03-13 | 보일러 및 난로 기능을 갖는 폐유 소각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93636Y1 true KR200193636Y1 (ko) | 2000-08-16 |
Family
ID=19646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06973U KR200193636Y1 (ko) | 2000-03-13 | 2000-03-13 | 보일러 및 난로 기능을 갖는 폐유 소각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93636Y1 (ko) |
-
2000
- 2000-03-13 KR KR2020000006973U patent/KR20019363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193636Y1 (ko) | 보일러 및 난로 기능을 갖는 폐유 소각기 | |
KR20110066258A (ko) | 펠릿 보일러용 펠릿 연소기 | |
KR200231928Y1 (ko) | 건류가스 완전연소장치 | |
KR200394941Y1 (ko) | 열풍기용 버너 | |
KR100295252B1 (ko) | 폐유소각방법 | |
KR200157672Y1 (ko) | 소각기 | |
KR200350538Y1 (ko) | 소각로 겸용 개탄보일러 | |
JP4032148B2 (ja) | 廃油燃焼装置及び廃油燃焼式ボイラー装置 | |
JP3025967B1 (ja) | 回転燃焼廃油焼却スト―ブ | |
JPH0749223Y2 (ja) | 廃油及び排気ガス燃焼器 | |
JP3605087B2 (ja) | 焼却炉 | |
KR200315932Y1 (ko) | 가스레인지용 버너 | |
KR100304423B1 (ko) | 폐유연소보일러 | |
KR200218488Y1 (ko) | 폐고무재 소각장치를 이용한 건류가스 버너 | |
JPS621167B2 (ko) | ||
KR100430725B1 (ko) | 건류식 소각로와 결합하여 건류가스로 가열되는 온수보일러 | |
JP3318748B2 (ja) | 石油製品回転燃焼ストーブ | |
KR100511509B1 (ko) |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조리기기 | |
KR200210604Y1 (ko) | 다단계 연소실을 통해서 연료를 완전 연소시키는 연소장치 | |
KR200259502Y1 (ko) | 폐유를 이용한 열풍발생장치 | |
KR20180074312A (ko) | 직접착화식 화덕장치용 버너조립체 | |
KR100313444B1 (ko) | 건류식 폐열 보일러 | |
KR200249709Y1 (ko) | 건류식 소각로와 결합하여 건류가스로 가열되는 온수보일러 | |
KR0139048Y1 (ko) | 소각을 위한 점화와 운반이 용이한 소각보일러의 구조 | |
KR19990036186U (ko) | 온수보일러겸용 화덕보일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10310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