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346Y1 - 무정전 전원공급 장치의 배터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무정전 전원공급 장치의 배터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346Y1
KR200193346Y1 KR20000007668U KR20000007668U KR200193346Y1 KR 200193346 Y1 KR200193346 Y1 KR 200193346Y1 KR 20000007668 U KR20000007668 U KR 20000007668U KR 20000007668 U KR20000007668 U KR 20000007668U KR 200193346 Y1 KR200193346 Y1 KR 2001933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ower supply
batteries
presen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000076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세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에이치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에이치피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에이치피에스
Priority to KR200000076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3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3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3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Y02E60/12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정전 전원장치(UPS)의 밧데리를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컴퓨터는 전원이 일시적으로 차단될 경우 부품에 손상이 갈 뿐만 아니라 중요한 자료의 손실을 초래할 우려가 있어 안정된 전원공급을 위하여 무정전 전원장치(UPS)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무정전 전원장치의 내부에는 전원을 저장할 수 있는 밧데리가 다수개 설치되어 기기에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안정하게 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의 장치에서는 전원저장용 밧데리의 설치시 본체 케이스내에 다수의 밧데리를 배치하고 이를 별도의 고정장치인 패널등을 부착하여 나사로 직접 고정하므로서 다수의 중량으로 매우 무거운 밧데리를 각각 분해하여 설치해야 하므로 장치의 조립이 매우 번거로워 이로 인해 작업에 있어서 능률 저하를 가져오고, 또한 밧데리의 교환이나 장치의 수리시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에서는 본체 케이스(20)내에 다수의 무거운 밧데리(10)를 내장하는 전원공급장치의 밧데리 장착수단으로서 상기본체 케이스(20)하부 밑면에 나란히 고정된 가이드레일(21)과 상기 가이드레일(21)을 따라 슬라이드되어 탈착되도록 하고, 그 윗면에 다수의 밧데리(10)를 설치하도록 밧데리안치부(31)를 갖는 밧데리안치대(30)로 구성되며, 상기 밧데리안치대(30)의 인입출이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조립시 배면판(22)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어 충격을 예방하도록 하는 손잡이용 고정부재(32)가 상기 밧데리안치대(30)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간편한 조작에 의해 내부의 밧데리를 외부로 이탈 또는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장비 관리의 능률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본 고안의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무정전 전원공급 장치의 배터리 고정장치{Uninterrupted Power Supply}
본 고안은 무정전 전원장치(UPS)의 밧데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종래의 장치에서는 전원저장용 밧데리는 설치시 본체 케이스내에 직접 고정해서 제작되고 있는 실정인 바 다수의 밧데리를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하고 이를 별도의 고정장치인 패널등을 부착하여 나사로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다수의 중량이 매우 무거운 밧데리를 각각 분해하여 설치하고 내부에서 배선연결을 해야만 하고 이로 인하여 장치의 조립시 매우 번거로워 작업 능률이 저하되며, 또한 장치의 수리나 밧데리의 교환시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전원을 필요로 하는 대부분의 기기는 전원의 공급에 의해 동작하는 것이며, 균일한 전원공급은 기기내 부품의 수명과 사용시 안정성을 보장하고 특히 컴퓨터와 같은 기기는 전원공급이 불안정할 경우 부품의 훼손될 뿐 만아니라 중요한 자료의 손상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
예를 들면, 컴퓨터의 램(RAM)과 같은 보조 기억장치는 기억된 자료가 전원공급의 중단과 함께 손상되므로 컴퓨터에 있어서 규칙적이고 일정한 전원공급은 필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터의 경우 안정된 전원공급을 위하여 무정전 전원장치(UPS)를 설치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무정전 전원장치의 내부에 전원을 저장할 수 있는 밧데리가 다수개 설치되어 있어, 평소에는 충전하였다가 일시적인 정전시 즉시 전원공급상태로 전환되어 기기에 대용전원을 공급해 줌으로써 안정하게 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에서는 간편한 조작에 의해 내부의 밧데리를 외부로 인출 또는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장비의 수리 및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무정전 전원장치(UPS)의 밧데리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본체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본체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
a) 정단면도 b)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밧데리 20:본체케이스 30:밧데리 안치대
21:가이드 레일 22:배면판 23:제어기판 24:전면판
32:밧데리 안치부 32:손잡이용 고정부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본체 케이스(20)내에 다수의 무거운 밧데리(10)를 내장하고 있는 전원공급장치의 밧데리 탈착기법으로서
상기 본체 케이스(20) 하부 밑면에 나란히 고정 설치된 가이드레일(21)과 상기 가이드레일(21)을 따라 슬라이드되어 장착되도록 하며, 상면에 다수의 밧데리(10)를 설치하도록 밧데리 안치부(31)를 갖는 밧데리 안치대(30)로 구성되며, 상기 밧데리안치대(30)의 선단부에는 상기 밧데리안치대(30)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조립시 배면판(22)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어 요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손잡이용 고정부재(32)가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배면 사시도이다.
내부에 다수의 밧데리(10)를 포함한 다수의 부품이 내장된 본체케이스(20)와 상기 본체케이스(20)의 전면에는 제어기판(23)을 포함하는 전면판(24)이 설치되고, 배면에는 배면판(22)이 설치되어 내부 부품을 보호하도록 하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요지를 보여주는 주요 부분 분리 사시도로서 배면판(22)을 떼어내고 본 고안 밧데리안치대(30)를 이탈시킨 상태이고, 도 4는 본체 케이스(20) 내부에 밧데리 장착방법에 의해 밧데리(10)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위와 같은 밧데리 장착수단은 본 발명의 본체 케이스(20) 하부 밑면에 나란히 장착된 가이드레일(21)과 상기 가이드레일(21)을 따라 슬라이드되어 장착되도록 하며, 윗면에 다수의 밧데리(10)를 설치하도록 밧데리안치부(31)를 갖는 밧데리안치대(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밧데리안치대(30)의 선단부에는 상기 밧데리안치대(30)의 착탈이 용이하게 하고 조립시 배면판(22)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흔들림을 예방하도록 하는 손잡이용 고정부재(32)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밧데리안치대(30)를 가이드레일(21)을 따라 용이하게 안치, 이탈되도록 함으로서 중량이 무거운 밧데리(10)를 용이하게 다룰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 밧데리 장착수단에 의해 밧데리를 용이하게 탈착하도록 함으로서 조립, 수리작업을 매우 쉽게 하며, 특히 배면판만을 제거해도 내부의 부품을 용이하게 탈착시켜 수리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면판에 의한 밧데리 장착이 견고하고 이로 인해 밧데리의 흔들림을 예방하여 심각한 충격에도 부품의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기기의 안정성에 기여하는 매우 유용한 기술인 것이다.

Claims (2)

  1. 본체 케이스(20)내에 다수의 무거운 밧데리(10)를 내장하는 종래 전원공급장치의 밧데리 장착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밧데리 장착기법은 본 발명의 본체 케이스(20) 하부 밑면에 나란히 고정 설치된 가이드레일(21)과 본 발명의 가이드레일(21)을 따라 슬라이드되어 장착되도록 하며, 가이드레일상에 다수의 밧데리(10)를 설치할 수 있도록 밧데리안치부(31)를 갖는 밧데리안치대(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장치(UPS)의 밧데리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밧데리안치대(30)의 선단부에는 상기 밧데리안치대(30)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며 조립시 배면판(22)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어 충격에 대한 부품 훼손을 예방하도록 하는 손잡이용 고정부재(32)가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장치(UPS)의 밧데리 고정장치.
KR20000007668U 2000-03-17 2000-03-17 무정전 전원공급 장치의 배터리 고정장치 KR2001933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07668U KR200193346Y1 (ko) 2000-03-17 2000-03-17 무정전 전원공급 장치의 배터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07668U KR200193346Y1 (ko) 2000-03-17 2000-03-17 무정전 전원공급 장치의 배터리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3346Y1 true KR200193346Y1 (ko) 2000-08-16

Family

ID=19647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00007668U KR200193346Y1 (ko) 2000-03-17 2000-03-17 무정전 전원공급 장치의 배터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3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8159A3 (ko) * 2011-04-25 2013-03-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력 저장용 배터리 모듈의 랙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8159A3 (ko) * 2011-04-25 2013-03-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력 저장용 배터리 모듈의 랙 시스템
KR101278506B1 (ko) 2011-04-25 2013-07-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력 저장용 배터리 모듈의 랙 시스템
US9173307B2 (en) 2011-04-25 2015-10-27 Lg Chem, Ltd. Rack system for power storage battery modu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5078B1 (en) Server radiator
US5768097A (en) Reconfigurable modular computer assembly having a main chassis with a removably attached face plate and at least one spacer removably attached to the face plate
CN103838324A (zh) 一种硬盘托架及硬盘框
KR200193346Y1 (ko) 무정전 전원공급 장치의 배터리 고정장치
CN112034972B (zh) 一种计算机的紧急断电保护装置
KR100245200B1 (ko) 보조기억장치의 도난방지장치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US5642257A (en) Attaching/detaching structure for a keyboard module in a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US7123469B2 (en) Computer power supply mounting apparatus
KR19980065811U (ko) 무정전 전원장치(ups)의 밧데리 고정장치
KR102054323B1 (ko)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를 구비한 웹서버장치
US6611433B1 (en) Motherboard module
JP2005018665A (ja) 電源ユニット
CN220252507U (zh) 电子设备及电子系统
JP2003068263A (ja) バッテリ着脱機構
CN219226467U (zh) 一种电池保护板组件
CN220067982U (zh) 一种电力电子元器件用存放设备
CN219779361U (zh) 一种移动式插座
CN217721759U (zh) 一种便于组装的显示器驱动电路板
CN218868476U (zh) 一体化工控机电子报工设备
CN213026325U (zh) 电池安装结构
CN219590752U (zh) 一种便于安装的计算机主板用支架
CN220312186U (zh) 一种焊接设备一体机
CN211210119U (zh) 一种便于拆卸防尘网的通讯机柜
CN217981994U (zh) 一种显微镜握把结构及其显微镜主体
CN220672487U (zh) 一种便于快速安装的断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