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189Y1 - 현수애자 인장기 - Google Patents

현수애자 인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189Y1
KR200193189Y1 KR2020000007553U KR20000007553U KR200193189Y1 KR 200193189 Y1 KR200193189 Y1 KR 200193189Y1 KR 2020000007553 U KR2020000007553 U KR 2020000007553U KR 20000007553 U KR20000007553 U KR 20000007553U KR 200193189 Y1 KR200193189 Y1 KR 2001931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suspension insulator
insulators
main body
tens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75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정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20200000075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1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1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1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송·배전선로, 전기철도 및 고압 가공 전선로에서 현수애자를 2개 이상 다수의 애자를 중첩 연결하여 수평으로 설치한 현수애자련 중 일부 애자를 교체하거나 점검할 때 사용하는 현수애자 인장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현수애자를 일부 교체하거나 점검·검사하는 경우 가공전선이나 애자련 전체를 철거하지 아니하고, 전선의 가선장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필요한 애자만을 발췌하여 교체하거나 점검 및 검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형구조의 본체(1)를 애자 금속캡 부분에 걸치게 하고 본체(1)와 연결된 와이어로프(7)에 장선기의 한쪽을 건 후 다른 쪽의 전선에 일정한 장력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그 사이의 현수애자 연결금구간에 장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여 가운데 부분의 현수애자류(교체 및 검사하고자 하는 애자)를 종전에 비하여 쉽고 편하게 철거·교체하거나 설치토록 한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현수애자 인장기{Tension device for Suspension Insulator}
본 고안은 현수애자 인장기에 관한 것으로서 여러개의 현수애자로 구성된 애자련 중 일부 애자를 교체하는 것은 애자의 자체중량이 크기 때문에 작업상 어려움이 많으며, 또한 많은 작업인원을 필요로 하고 장선기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인장로프와 애자 날개가 접촉되어 파손의 우려가 있고, 가공전선의 정확한 이도조정이 어렵다.
특히 전차선로 등의 경우에는 야간에 고소(높이 7미터 이상) 작업으로 시행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어 작업능률이 저하되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함.
일반적으로 고압 가공전선로에서 수평방향으로 현수애자련을 설치하는 경우는 송·배전선로 또는 전차선로의 인류지점이나 지지물간의 경간에서 전원을 구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현수애자를 삽입하는 것으로서 절연을 주목적으로 설치하게 되며, 불량애자가 발생시 교체작업을 하는 경우 중량 때문에 현수애자련 전체를 철거하거나 애자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임시 지지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장선기만을 사용하여 현수애자를 교체할 경우 장선기의 인장로프와 애자 날개부가 접촉되어 철거하거나 취부시에 전선의 정확한 이도 및 장력을 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음.
따라서 많은 작업인원이 필요하고, 현수애자 설치 후에도 전선에 대한 장력을 다시 조정해야 하는 중복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이 능률적이지 못하며, 특히 사고 장애 발생시는 복구시간이 지연으로 원활한 급전(전기공급)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어 민원을 야기하고 이에 따른 재산상의 손실을 초래하게 됨.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현수애자련의 일부애자 교체작업시 본 고안품을 사용하여 활용하므로서 안전사고 예방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작업 인원과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현수애자 인장기다.
도 1은 현수애자 인장기의 사시도
도 2는 현수애자 인장기의 제작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장착방법을 보여주는 작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보조강판
3. 앵커쇄클(AS-8) 4. 볼트너트
5. 리벳트볼트 6. 분할핀
7. 와이어로프 8. 와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체(1) 강판의 한 측을 반원형으로 제작한 후 반원 부분의 양쪽에 체결용 볼트구멍을 낸 다음, 강판 날개가 긴 쪽의 구부린 부분에는 인장강도를 강화하기 위하여 보조강판(2)을 양쪽으로 덧대어 용접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동일형의 강판을 추가로 제작한 후 이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맞물리도록 하여 중앙부위가 원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볼트(4)로 체결한 것이다.
또한 본체(1) 양 끝에는 구멍을 뚫어 도 1과 같이 앵커쇄클(3)을 리벳트볼트(5)로 체결 한 다음, 길이 약 1.7m의 와이어로프(7)의 양끝을 고리형으로 만들어 2개의 앵커쇄클(3) 고리에 사슬형식으로 연결된다.
와이어로프(7)의 양쪽 단말고리는 강한 인장력에도 풀리지 않도록 와이어 소선을 교차꼬임의 형태로 제작된 것을 사용한다.
리벳트볼트(5)의 꼬리부분 구멍에는 분할핀(6)을 삽입하여 앵커쇄클(3)의 자유로운 움직임에도 탈락되지 않도록 한다.
본체(1) 중앙부분의 원형 호의 내측에는 한쪽으로 반원형의 강판(2)을 용접하여 인장기를 장선기로 잡아당겼을 때 현수애자 금속캡 부분이 인장기 본체(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금속 캡이 작은 애자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현수애자 인장기 사용시 풀리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본체(1)의 볼트너트(4) 체결시에는 평형 및 스프링 와샤(8)를 삽입한다.
본체(1) 및 부속품은 모두 아연도금을 하거나 부식되지 않은 금속으로 제작 형성되며, 강판의 모서리부분은 애자와 접촉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라운딩 처리로 형성 한다.
이러한 현수애자 인장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재질만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며, 그 형상과 기능을 동일하게 하면서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진 특수합금 등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현수애자 인장기는 현수애자 교체 작업시에 본 고안의 인장기를 사용하므로서 도 3과 같이 작업인원 1명이 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인원을 감축할 수 있고, 정밀시공 및 안전작업이 가능하게 되며, 가공 송전선로 등과 같은 고소작업이나, 수도권 전철구간의 야간작업에는 작업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국민생활과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수도권의 전차선로 등과 같이 예비선로가 없는 특수한 전선로의 경우에는 사고발생이나 긴급 보수작업 발생시는 작업시간 단축이 곧바로 전철(지하철 포함) 운행과 직결되기 4때문에 분·초를 다투는 전철 운행선에서는 막대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본 고안인 현수애자 인장기는 구조가 간단하여 교체하고자 하는 애자류(현수애자)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분리작업을 할 수 있고, 일부 애자를 교체하더라도 기존의 가선장력을 유지하게 하므로서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Claims (4)

  1. 강판으로 제작하여 한 측을 반원 형상을 가지도록 하고 중앙부위가 원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한 본체(1)로 형성되며, 길이가 긴 쪽의 구부린 날개 부분에 인장강도를 강화하기 위한 보조강판(2)을 양쪽으로 덧대어 용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애자 인장기.
  2. 본체(1)의 반원부분 양쪽에 체결용 볼트너트(4)가 들어갈 구멍을 뚫었으며 본체(1)의 반원부분 긴 쪽 끝 부분에는 리벳트볼트(5)가 들어갈 구멍를 내어 본체(1) 2개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맛 물리도록 볼트너트(4)로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애자 인장기.
  3. 상기 2개로 구성된 본체(1)의 2개 리벳트볼트(5)에 앵커쇄클(3)이 각각 부착되며, 길이 1.7미터의 와이어로프(7) 양끝 단말고리는 강한 인장력에 견딜 수 있도록 와이어 소선을 교차꼬임 형태로 앵커쇄클(3) 고리에 사슬형식으로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애자 인장기.
  4. 상기 본체(1)는 강판으로 제작되며 본체(1) 2개를 서로 맛물리도록 하였을 때 원형 이루는 그 형상의 크기가 애자류의 금속캡 부분 형태에 알맞도록 하여 장선기에 의한 일정한 장력을 유지토록 하고, 교체할 애자류 탈·착이 자유롭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애자 인장기.
KR2020000007553U 2000-03-16 2000-03-16 현수애자 인장기 KR2001931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553U KR200193189Y1 (ko) 2000-03-16 2000-03-16 현수애자 인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553U KR200193189Y1 (ko) 2000-03-16 2000-03-16 현수애자 인장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3189Y1 true KR200193189Y1 (ko) 2000-08-16

Family

ID=19647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7553U KR200193189Y1 (ko) 2000-03-16 2000-03-16 현수애자 인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18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868A (ko) * 2002-10-30 2004-05-08 한국전력공사 송전선로의 불량애자 교체기
CN109038373A (zh) * 2018-07-18 2018-12-18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盘锦供电公司 过牵引器
CN114336405A (zh) * 2021-12-14 2022-04-12 国网河南省电力公司检修公司 一种用于绝缘子串作业的平衡踏板和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868A (ko) * 2002-10-30 2004-05-08 한국전력공사 송전선로의 불량애자 교체기
CN109038373A (zh) * 2018-07-18 2018-12-18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盘锦供电公司 过牵引器
CN114336405A (zh) * 2021-12-14 2022-04-12 国网河南省电力公司检修公司 一种用于绝缘子串作业的平衡踏板和方法
CN114336405B (zh) * 2021-12-14 2024-01-26 国网河南省电力公司超高压公司 一种用于绝缘子串作业的平衡踏板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799586U (zh) 输电线路钢管塔标识牌安装支架
KR200193189Y1 (ko) 현수애자 인장기
CN110611281B (zh) 碳纤维导线耐张备份成套装置
KR101831428B1 (ko) 송전전용 특고압 가공 전선의 철탑고정식 완철
CN210053173U (zh) 一种输电线路耐张引流串二次保护装置
CN106758883B (zh) 用于钢管桁架混凝土拱桥吊杆更换的钢丝绳临时兜吊装置及其用于吊杆更换的方法
CN110854734B (zh) 一种特高压直流输电线路耐张绝缘子串大联板更换方法
CN213584923U (zh) 一种耐张双串绝缘子更换辅助工具
CN212010567U (zh) 三挂点地线悬垂绝缘子串
CN213626902U (zh) 一种输电线路杆塔受力形变及导线舞动监控装置
CN212010568U (zh) 用于重要交叉跨越的三挂点地线耐张绝缘子串
CN209819386U (zh) 一种路灯的安装结构
CN107994501B (zh) 一种输电线路耐张塔更换横担主材用受力装置及使用方法
CN103058048A (zh) 一种h型钢梁专用吊具及利用该吊具的吊装方法
CN216904228U (zh) 一种电力输送铁塔的架空地线保护角
JP4863492B2 (ja) 可動ブラケット
CN105932602B (zh) 三相导线带电提升器及采用该提升器更换绝缘子的方法
CN212532015U (zh) 一种gis间隔整体起吊夹具
CN219208784U (zh) 一种gis设备安全带挂架
KR20160044920A (ko) 현수애자 작업용 사다리
CN211151338U (zh) 500kv直流线路横担端第一片绝缘子及金具更换工具
CN220287070U (zh) 一种稳定性能好的桥梁景观照明装置
CN208401405U (zh) 220kV四分裂导线V型绝缘子串更换工具
CN103441443B (zh) 架空地线防振锤跑位追回器
CN109205469A (zh) 一种电动葫芦与其电气控制系统的分体式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