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2906Y1 - 저장기능을 갖는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저장기능을 갖는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2906Y1
KR200192906Y1 KR2020000002590U KR20000002590U KR200192906Y1 KR 200192906 Y1 KR200192906 Y1 KR 200192906Y1 KR 2020000002590 U KR2020000002590 U KR 2020000002590U KR 20000002590 U KR20000002590 U KR 20000002590U KR 200192906 Y1 KR200192906 Y1 KR 2001929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tainer body
ozone
pipe
wa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25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국필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6567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00025317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국필립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국필립
Priority to KR20200000025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29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29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29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4Diffusers or nozzles for ozo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장기능을 갖는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입되는 물이 용기본체내에서 공급된 오존 희석에 의해 정화됨과 동시에 숯, 맥반석, 게르마늄등의 정화물질에 의해 육각수로 변환되어 토출될 수 있도록 하여 필요시 깨끗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밀폐공간(11)을 갖는 중공체로 지면에 고정되며, 상하측단에는 물공급파이프(13)와 노폐물 드레인파이프(14)가 각각 구비되고, 중간부의 외주면 일측에는 정화수 토출파이프(15)가 구비되는 용기본체(10)와; 용기본체(10)의 공간(11) 내부에 동일축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용기본체(10)내에 저장된 물을 정화시켜 상기 토출파이프(15)를 통해 공급시키는 파이프형의 필터체(20)와; 용기본체(10)내의 하측부로부터 소정간격 상향의 위치에 상향으로 개방공간을 가지며 구비되는 반구형의 기포발생판(30)과; 기포발생판(30)의 개방공간에 외부 오존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오존을 공급시킬 수 있도록 된 오존공급파이프(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장기능을 갖는 정화장치{A PURIFIER HAVING STORE-ROOM}
본 고안은 저장기능을 갖는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입되는 물이 용기본체내에서 공급된 오존 희석에 의해 정화됨과 동시에 숯, 맥반석, 게르마늄등의 정화물질에 의해 육각수로 변환되어 토출될 수 있도록 하여 필요시 깨끗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 저장기능을 갖는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존(O3)은, 산소의 불안정한 동소체로 3개의 산소원자가 결합되어 있는 매우 불안정한 구조이며 산소보다 높은 에너지 상태를 가지고 있고, 또한 산화력이 매우 강한 미청색의 기체로서 공기 중에 흡입된 산소에 고압 에너지를 가하면 산소원자들이 다시 결합하여 오존을 생성하게 된다.
상기한 오존은, 또한 잘 알려진 바와같이 강력한 산화, 살균력을 가지고 있어 정수, 정화, 소독, 탈취 등에 사용되며, 공기 중이나 지상에 퍼져 있는 박테리아를 파괴하고 바이러스와 같은 각종 세균들을 살균시키는 역할을 하게 됨은 물론 박테리아, 바이러스까지 빠르게 사멸시키며 대장균의 경우 염소의 살균보다 빠르게 또는 염소가 살균하지 못하는 바이러스까지 살균하고 동시에 트리할로메탄 등 발암성물질의 발생을 억제시킨다.
또한, 수중에서는 다른 분자와 결합하여 냄새를 제거하고, 수중의 탁도를 맑게 하여 소포작용을 하며, 공장 및 산업폐수나 세탁, 세제등에서 나오는 유해유기물질이나 시안 및 페놀과 같은 독성물질들을 분해하여 무해화 하는 가 하면 수은, 철, 망간과 같은 중금속들을 산화시켜 제거하기 쉽게 한다.
그리고, 사용된 후에는 오존이 다시 산소로 돌아가 BOD,COD를 크게 개선시키며, 2차 유해물질을 전혀 만들지 않는 장점이 있어 상수 처리시 최선의 방법으로 알려져 현재 유럽등 일부 선진국에서는 상수를 오존으로 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오존은 자연생태계에 있어 지대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이 속속 들어나고 있는 실정이나 오존의 특성상 산화력이 강해 적당한 양이 아니면 자연생태계를 오히려 파괴하는 기능을 하며 또한 물속에서 빠르게 희석되어야만 많은 양의 물을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최근 적당한 오존량으로 많은 양의 물을 고르게 정수 또는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한 장치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한 예로, 선 출원된 국내특허공보 제130727호로 등록된 바 있는 오존과 공기 혼합 공급의 폐수처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9)의 내부 하단부에 가열장치(2)가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폐수공급구(3)와 공기흡입구를 형성한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9)의 내측 상단부에는 오존발생장치(6)와 연결되는 공기흡입 이젝터(5)가 설치되고, 하단부에는 에어밸브(V)가 구비된 공기흡입 이젝터(7)가 설치되며, 상기 이젝터(7)는 본체(9)의 외부에 설치된 스러지 여과장치(8)의 입구측과 연결되되, 상기 스러지 여과장치(8)의 출구단은 상기 본체(9)의 하측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이루어져, 상기 본체(9)내로 폐수가 공급되면 가열장치(2)에 의해 가열되어 증발열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때, 오존발생장치(6)로부터 오존이 공기와 함께 본체(9)내로 유입되어 증발 증기내의 유기성 증기는 오존과 화학변화를 일으켜 증발폐수가 정화되게 된다. 이후 정화된 증발증기는 응축수로 변해 깨끗한 상태를 가지며 외부로 배출되게 되고, 농축폐수는 여과장치(8)를 반복해서 통과되면서 여과 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오존을 이용한 폐수 정화장치 또는 현재 다수 출원되어 있는 오존 정화장치는 단순히 오존을 이용하여 폐수를 정화시키고 동시에 외부로 정화된 물을 배출시키는 구조로만 되어 있어 정화수의 물분자 변형 및 정화수를 오랜시간 정화시킨 상태에서 저장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공급되는 물이 오존 희석에 의해 정화됨과 동시에 외부로 토출시 정화물질에 의해 물분자가 육각수로 변환되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유입된 물이 일정 수위로 저장기능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물분자를 육각수로 변환시켜 필요시 공급 또는 정화수를 이용해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오존을 이용해 폐수를 처리하는 정화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정화장치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용기본체 11: 공간
12: 다리부재 13: 물공급파이프
14: 노폐물 드레인 파이프 15: 토출파이프
16,17: 밸브 20: 필터체
21: 구멍 22: 수평파이프
30: 기포발생판 31: 다리부재
40: 오존공급파이프 50: 수위감지수단
51: 저수위뭉치 52: 고수위뭉치
53: 와이어줄 60: 펌프
70: 정화물질 80: 제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밀폐공간을 갖는 중공체로 그 저면부가 복수개의 다리부재에 의해 지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하측단에는 외부와 연통되게 물공급파이프와 노폐물 드레인파이프가 각각 구비되고, 중간부의 외주면 일측에는 외부의 펌프와 연결된 정화수 토출파이프가 구비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공간 내부에 동일축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용기본체내에 저장된 물을 정화시켜 상기 토출파이프를 통해 공급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정화물질이 저장되도록 하고 그 외주면에 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구멍이 타공된 파이프형의 필터체와; 상기 용기본체내의 하측부로부터 소정간격 상향의 위치에 복수개의 다리부재에 의해 고정되며, 상면에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향으로 개방공간을 갖는 반구형의 기포발생판과; 상기 기포발생판의 개방공간에 외부 오존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오존을 공급시킬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오존발생기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기포발생판의 내측으로 연통 설치되는 오존공급파이프와; 상기 용기본체내의 상하측에 구비되며 물 수위를 조절하게 되는 수위감지수단; 및 상기 수위감지수단의 입력된 신호값으로 상기 물공급파이프의 펌프와 상기 토출파이프의 물펌프 및 외부의 오존발생기를 각각 제어하게 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위감지수단은, 상기 용기본체내의 중간부 상하위치에 일정구간 이격된 상태로 각기 위치되며, 상측 내벽으로부터 연장되며 서로 스위칭 접촉시 상기 제어부로 입력되는 신호값을 전달하게 되는 한 쌍의 와어어줄 단부에 각기 고정되게 되는 저수위 뭉치 및 고수위 뭉치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저장기능을 갖는 정화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정화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은, 밀폐공간을 갖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내에 구비되며 내부에 저장되는 물분자를 육각수로 변환시키는 필터체(20)와, 기포상태로 오존을 발포하게 되는 기포발생판(30)과, 상기 기포발생판(30)으로 오존을 공급하게 되는 오존공급파이프(40)와, 상기 용기본체(10)내에 저장된 물의 저장량을 자동으로 감지 또는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위감지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용기본체(10)는, 중공상태의 파이프형으로 내부가 공간(11)을 갖도록 상하단이 폐쇄되며, 그 저면부가 복수개의 다리부재(12)에 의해 지면에 세로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부에는 외부와 연통되어 정화될 물이 공급되는 물공급파이프(13)의 일단이 고정되고, 하부면에는 내부 공간에 침전되는 노폐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노폐물 드레인파이프(14)의 일단이 고정된다.
상기 물공급파이프(13)의 라인상에는 상기 용기본체(10)내로 공급되는 물을 제어할 수 있도록 물조절 밸브(16)가 구비되며, 상기 밸브(16)은 전원인가에 따라 본고안에 따른 정화장치를 제어하게 되는 제어부(8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0)의 중간 외주면 일측에는 외부의 펌프(60)와 연결된 정화수 토출파이프(15)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체(20)는, 소정길이를 갖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기본체(10)의 공간(11) 내부에 동일축방향으로 중앙에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내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구멍(21)이 타공된다. 또한 상기 필터체(20)의 상단부는 상기 용기본체(10)내에 저장된 물을 정화시켜 상기 토출파이프(15)를 통해 공급시킬 수 있도록 수평파이프(22)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필터체(20)의 내부에는 물분자를 육각수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정화물질(70)이 저장되는데, 상기 정화물질(70)은 숯, 맥반석, 게르마늄성분이 함유된 재료로 이용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기포발생판(30)은, 상기 용기본체(10)내의 하측부로부터 소정간격 상향의 위치에 복수개의 다리부재(31)에 의해 고정되고, 상면에는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향으로 개방된 개방공간을 가지며, 상기 기포발생판(30)은 씨줄과 날줄이 서로 조밀하게 직조된 망사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존공급파이프(40)는, 상기 기포발생판(30)의 개방공간에 외부 오존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오존을 공급시킬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오존발생기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기포발생판(30)의 내측으로 연통되게 설치된다.
상기 수위감지수단(50)은, 상기 용기본체(10)내의 하측에서 저수위를 감지하게 되는 저수위 뭉치(51)와 상기 용기본체(10)내의 상측에서 고수위를 감지하게 되는 고수위 뭉치(52)로 이루어지며, 이들 뭉치(51)(52)는 상기 용기본체(10)의 상측 내부에 일단이 고정되는 와이어줄(53)의 하단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줄(53)은 각기 제어부(80)와 연결된다.
이는, 상기 저수위 뭉치(51) 및 고수위 뭉치(52)가 각기 상기 용기본체(10)내의 상측부와 하측부에 각기 와이어줄(53)로서 각각 위치 고정되어져 용기본체(10)내에 저장되는 물수위가 상기 고수위 뭉치(52)에 닫게되면 물에 의해 서로 스위칭되어 그 신호값을 제어부(80)로 출력하고 이때 제어부(80)는 신호값을 입력받아 밸브(16)를 차단시켜 물공급파이프(13)를 폐쇄시키게 된다. 또한 사용량에 따라 용기본체(10)내의 물이 고수위 뭉치(52)보다 낮게 되면 스위칭 오프상태로 되고 이때의 신호값을 입력받은 제어부(80)가 물부족을 판단하여 상기 밸브(16)를 개방시켜 용기본체(10)내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용기본체(10)내에 항상 적정량의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뭉치(51)(52)는, 녹슬음 또는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순금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도면부호 17은 밸브로서, 노폐물 드레인파이프(14)의 라인상에 구비되며 필요시 제어부(80)를 통해 개방시켜 용기본체(10)내에 침전된 노폐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저장기능을 갖는 정화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80)를 통해 밸브(16)를 개방시켜 용기본체(10)의 공간(11)으로 물이 적정량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다음 오존공급파이프(40)를 통해 적정량의 오존을 공급시키게 되면, 오존이 물속으로 서서히 희석되어져 물속의 세균등을 박멸시켜 정화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오존희석에 의해 침전되는 노폐물이 기포발생판(30)의 공간 또는 바닥으로 침전되게 되면 기포발생판(30)의 오존에 의해 다시 정화되어져 2차 정화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80)에 의해 물펌프(60)가 작동되게 되면, 용기본체(10)내의 물은 필터체(20)의 정화물질(70)을 통과하게 되면서 화학적 변화로 물분자는 육각수로 변화된 상태로 수평파이프(22) 및 토출파이프(15)를 통해 필요장소로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오존희석에 따라 침전되는 노폐물이 용기본체(10)의 바닥면으로 완전히 침전되면 밸브(17)를 개방시켜 드레인 파이프(14)를 통해 노폐물을 배출 시키면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저장기능을 갖는 정화장치는, 용기본체내로 공급되는 물이 오존 희석에 의해 정화됨과 동시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외부로 토출시 정화물질에 의해 물분자가 육각수로 변환되어 필요장소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사용자가 필요시에만 정화된 육각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한편, 유입된 물이 수위저장수단에 의해 항상 적정량으로 저장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오존의 안정된 희석이 이루어지게 된다.

Claims (4)

  1. 밀폐공간(11)을 갖는 중공체로 그 저면부가 복수개의 다리부재(12)에 의해 지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하측단에는 외부와 연통되게 물공급파이프(13)와 노폐물 드레인파이프(14)가 각각 구비되고, 중간부의 외주면 일측에는 외부의 펌프(60)와 연결된 정화수 토출파이프(15)가 구비되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공간(11) 내부에 동일축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용기본체(10)내에 저장된 물을 정화시켜 상기 토출파이프(15)를 통해 공급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정화물질(70)이 저장되도록 하고 그 외주면에 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구멍(21)이 타공된 파이프형의 필터체(20)와;
    상기 용기본체(10)내의 하측부로부터 소정간격 상향의 위치에 복수개의 다리부재(31)에 의해 고정되며, 상면에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향으로 개방공간을 갖는 반구형의 기포발생판(30)과;
    상기 기포발생판(30)의 개방공간에 외부 오존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오존을 공급시킬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오존발생기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기포발생판(30)의 내측으로 연통 설치되는 오존공급파이프(40)와;
    상기 용기본체(10)내의 상하측에 구비되며 물 수위를 조절하게 되는 수위감지수단(50); 및
    상기 수위감지수단(50)의 입력된 신호값으로 상기 물공급파이프(13)의 펌프와 상기 토출파이프(15)의 물펌프(60) 및 외부의 오존발생기를 각각 제어하게 되는 제어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기능을 갖는 정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발생판(30)은 씨줄과 날줄 형태로 조밀하게 직조된 망사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기능을 갖는 정화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수단(50)은, 상기 용기본체(10)내의 중간부 상하위치에 일정구간 이격된 상태로 각기 위치되며, 상측 내벽으로부터 연장되며 서로 스위칭 접촉시 상기 제어부(80)로 입력되는 신호값을 전달하게 되는 한 쌍의 와어어줄(53) 단부에 각기 고정되게 되는 저수위 뭉치(51) 및 고수위 뭉치(5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기능을 갖는 정화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위 및 고수위 뭉치(51)(52)가 순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기능을 갖는 정화장치.
KR2020000002590U 1999-12-30 2000-01-31 저장기능을 갖는 정화장치 KR2001929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590U KR200192906Y1 (ko) 1999-12-30 2000-01-31 저장기능을 갖는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670A KR20000025317A (ko) 1999-12-30 1999-12-30 저장기능을 갖는 정화장치
KR2020000002590U KR200192906Y1 (ko) 1999-12-30 2000-01-31 저장기능을 갖는 정화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5670A Division KR20000025317A (ko) 1999-12-30 1999-12-30 저장기능을 갖는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2906Y1 true KR200192906Y1 (ko) 2000-08-16

Family

ID=26636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590U KR200192906Y1 (ko) 1999-12-30 2000-01-31 저장기능을 갖는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290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85845A (en) Water purifying system
KR101162406B1 (ko) 산수소기체의 제조 및 이용을 통한 폐기물 흐름의 처리
US4902411A (en) Drinking water purifier
US8540943B2 (en) Portable ozonation apparatus for storing and purifying liquid
US20140110338A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US6312588B1 (en) Water purifier
US6824693B1 (en) Ozone generator and germicidal device using an ultraviolet lamp
US20030209502A1 (en) Ozone water treatment system
KR101800379B1 (ko) 물과 공기 겸용 플라즈마 처리장치
KR100945457B1 (ko) 산화지와 생물 활성탄 여과지를 이용한 강변여과수의 처리장치
CN209428352U (zh) 一种医院污水处理设备
US20030209477A1 (en) Transportable water treatment apparatus
CN114892374A (zh) 洗涤系统
Fiessinger et al. Alternative methods for chlorination
KR200192906Y1 (ko) 저장기능을 갖는 정화장치
KR20000025317A (ko) 저장기능을 갖는 정화장치
CN209307099U (zh) 一种医疗污水处理系统
KR100389724B1 (ko) 정수기의 정수 시스템
KR20000053986A (ko) 안개식 오존을 이용한 정화장치
KR200416967Y1 (ko) 상수도관의 오염 및 부식 방지장치
US20200216342A1 (en) Portable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ozone
RU2257355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в плавательном бассейне
Nazar et al. Using Ultraviolet Technique for Well Water Disinfection
KR100913500B1 (ko) 광촉매와 오존을 이용한 친환경 수질정화 고도처리 살균장치
Thombre Oxidation in Water and Used Water Pur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