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2857Y1 - 중통찌 - Google Patents

중통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2857Y1
KR200192857Y1 KR2019950004396U KR19950004396U KR200192857Y1 KR 200192857 Y1 KR200192857 Y1 KR 200192857Y1 KR 2019950004396 U KR2019950004396 U KR 2019950004396U KR 19950004396 U KR19950004396 U KR 19950004396U KR 200192857 Y1 KR200192857 Y1 KR 2001928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guide hole
cap
center
bo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43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1859U (ko
Inventor
에이이치 다나카
Original Assignee
에이이치 다나카
가부시키가이샤 츠리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이치 다나카, 가부시키가이샤 츠리겡 filed Critical 에이이치 다나카
Publication of KR9500318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18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28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28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채비 등이 장착되어 있는 낚시줄을 절단하지 않고 중통찌의 결합, 분리가 가능한 중통찌에 관한 것으로, 이 중통찌는 중앙에 가이드공(11)이 형성되고, 측부로 부터 상기 가이드공(11)에 연통하는 절개부(14)가 형성된 찌본체(12)의 상하에, 중앙에 관통공(19)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공(11)의 내경보다 조금 큰 외경의 삽입부(20)를 구비하고, 외단에는 플랜지부(21)를 구비하고, 가장자리 면의 일측에 그 길이 방향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상기 관통공(19)에 연통하는 절개부(19a)N가 형성된 잠금핀(13)을 각각 장착하고 있다.

Description

중통찌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관한 중통찌의 설명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관한 중통찌의 분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5 : 중통찌 11,17,26,27 : 가이드공
12,29 : 찌본체 13,30 : 잠금핀
14,18,19a,31a,34,38,42,43a : 절개부 15,31 : 봉돌
16 : 수납부 19,43 : 관통공
20,44 : 삽입부 21,45 : 플랜지부
22 : 낚시줄 28 : 캡
32 : 하부중공체 33,37 : 통부
35 : 삽입공 36,41 : 벽판부
39 : 반사판 40 : 삽입공
46 : 요부 47,48 : 홈
본 고안은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 중통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통찌라고 함은, 전체적인 외형은 계란형상을 하고 있고,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낚시찌를 말한다. 따라서 상기 관통공에 낚시줄이 삽입되므로서, 낚시줄과 중통찌가 결합되어 낚시에 사용되는 것이다.
종래기술에 의한 중통찌를 낚시줄에 장착하는 경우에 낚시바늘과 같은 채비 등을 결합하기 전에 중통찌의 관통공에 낚시줄을 삽입시켜서 결합해야 했다. 그러므로, 조류의 흐름이나 낚고자 하는 물고기에 대응해서 중통찌를 교환하는 경우에는, 채비등이 장착되어 있는 낚시줄을 일단 절단해서 중통찌를 교체한 후, 다시 낚시바늘 등의 채비를 결합하였다.
즉, 종래의 중통찌는 낚시줄과 중통찌를 결합한 후에 채비 등을 장착하기 때문에, 중통찌를 교환할 때마다 낚시줄을 절단해서 중통찌를 교환한 후, 다시 채비 등을 결합해야 하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채비 등이 결합되어 있는 낚시줄을 절단하지 않고 중통찌를 낚시줄에 결합하거나,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중통찌는, 중앙에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측부로부터 상기 가이드공에 연통하는 절개부가 형성된 찌본체의 상하에; 중앙에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공의 내경보다 조금 큰 외경의 삽입부를 갖고, 외단에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가장자리면의 일측에 그 길이 방향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상기 관통공에 연통하는 절개부가 형성된 잠금핀을 각각 장착하여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중통찌는 상기 찌본체 상부에 투광성 유색 플라스틱으로 된 캡이 장착되어서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캡의 하부에는 반사판이 장착되어 구성하고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중통찌의 작용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찌본체의 중앙에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측부로 부터 상기 가이드공에 연통하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개부로 낚시줄을 삽입해서 중앙의 가이드공에 낚시줄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잠금핀은 중앙에 관통공을 구비하고, 가장자리면의 일측에 그 길이 방향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상기 관통공과 연통하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개부으로부터 낚시줄을 삽입시켜서 관통공에 들어가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잠금핀은 상기 가이드공의 내경보다 조금 큰 외경의 삽입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찌본체의 가이드공에 삽입부를 삽입시켜도 이탈하기 어렵고, 또 외단에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잠금핀이 가이드공의 중앙으로 들어가버리는 것을 방지하며, 플랜지부에 손톱 등을 이용해서 상기 잠금핀을 찌본체에서 분리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서, 찌본체 상부에 투광성 유색 플라스틱으로 된 캡을 설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중동찌의 배후로 부터 태양빛이 닿아도 태양빛이 캡의 중심을 통해서 다시 외부로 빠져나간다. 따라서, 캡의 색이 명확하게 떠오르기 때문에, 먼거리에서도 충분히 찌의 상태가 잘 판명된다.
또, 상기 캡의 하부에 반사판을 장착시켜서, 투광성 유색 플라스틱의 캡을 통과해서 캡 내부에 들어온 내반사판에 닿는 빛은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기 때문에 빛의 세기가 증폭되어서 캡의 외부에 나간다. 따라서, 더욱 명확하게 캡의 색을 반영시키게 된다.
이하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관한 중통찌 설명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2실시예에 관한 중통찌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1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대한 중통찌(10)은, 중앙에 가이드공(11)이 형성된 찌본체(12)의 상하에 각각 잠금핀(1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중통찌(10)의 구조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찌본체(12)는, 가벼운 목재 또는 ABS 수지나 가벼운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되고, 측부로 부터 상기 가이드공(11)에 연통하는 1 mm 폭 정도의 절개부(14)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봉돌(15)이 장착되는 수납부(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봉돌(15)은 납으로 되고, 중앙에 상기 가이드공(11)과 동일 내경의 가이드공(17)이 형성되고, 측부로 부터 상기 가이드공(17)에 연통하고 상기 찌본체(12)의 절개부(14)와 같은 폭의 절개부(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봉돌(15)는 찌본체(12)의 수납부(16)에 찌본체(12)의 절개부(14)와 봉돌(15)의 절개부(18)를 맞춰서 장착하고, 그 경우 찌본체(12)의 가이드공(11)과 봉돌(15)의 가이드공(17)은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잠금핀(13)은 ABS 수지로 되어, 중앙에 관통공(19)를 구비하고, 상기 찌본체(12)의 가이드공(11) 내경보다 조금 큰 외경을 갖는 삽입부(20)와, 상기 삽입부(20)의 외단에 플랜지부(21)를 구비하고 있다. 더욱이, 가장자리 면의 일측에 그 길이 방향의 전길이에 걸쳐서 상기 관통공(19)에 연통하는 절개부(19a)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 구조에 의한 중통찌(10)를 낚시에 사용시 낚시줄로 결합하거나, 분리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낚시줄(22)을 중통찌(10)에 삽입하는 경우에는, 우선 선단에 채비 등이 장착되어 있는 낚시줄(22)을 잠금핀(13)의 절개부(19a)로 부터 관통공(19)에 삽입시키고, 플랜지부(21)를 서로의 외측으로 해서 2개의 잠금핀(13)을 마주하도록 맞춘 상태로 해놓고, 그 2개의 잠금핀(13) 사이에, 찌본체(12)의 절개부(14)를 통해서 낚시줄(22)이 가이드공(11)까지 들어가게 한다. 그리고, 찌본체(12)의 양측에서 가이드공(11)에 잠금핀(13)의 삽입부(20)를 플랜지부(21)의 하부가 찌본체(12)에 접속되기까지 끼운다. 이 경우, 삽입부(20)의 외경은 찌본체(12)의 가이드공(11)의 내경보다 조금 크기 때문에, 잠금핀(13)은 이탈되기 어렵다. 또, 잠금핀(13)을 상기 찌본체에 장착시킬 때 상기 찌본체(12)의 절개부(14)와 잠금핀(13)의 절개부(19a)가 일치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낚시줄(22)에 결합되어 있는 중통찌(10)를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양측 잠금핀(13)의 플랜지부(21)에 손톱 등을 이용하여 상기 잠금핀(13)을 찌본체(12)에서 떼어내고, 상기 잠금핀(13)에 결합된 낚시줄(22)을 관통공(19)로 부터 절개부(19a)를 통해서 빼낸다. 그리고 찌본체(12)에서도, 낚시줄(22)을 가이드공(11)으로 부터 절개부(14)를 통해서 빼낸다.
이와 같이 하여, 채비 등이 장착되어 있는 낚시줄(22)을 절단시키지 않고 중통찌(10)를 낚시줄과 결합하고,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에서와 같이 중통찌를 결합하기도 하고, 분리하기도 하는 때에 낚시줄을 절단해서 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간이 감소된다.
다음은 제2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관한 중통찌(25)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중통찌(25)는, 중앙에 가이드공(27)을 구비하고, 내측 저부에 봉돌(31)이 배치된 하부중공체(下部中空體)(32)의 상부에, 중앙에 가이드공(26)을 구비하는 투광성 유색 플라스틱으로 된 캡(28)을 장착한 찌본체(29)의 상하에, 각각 잠금핀(3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하부중공체(32)는 ABS 수지로 되고, 상부는 개구(開口)되고, 중앙에 가이드공(27)을 구비한 통부(33)을 구비하고, 측부로 부터 상기 가이드공(27)에 연통하는 1mm 폭 정도의 절개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봉돌(31)은 납으로 되고, 중앙에 상기 통부(33)의 외경보다도 큰 내경의 삽입공(35)이 형성되고, 측부로 부터 상기 삽입공(35)에 연통하고 상기 하부중공체(32)의 절개부(34)의 폭과 상기 절개부(34)의 양측의 벽판부(36)의 두께보다도 폭이 넓은 절개부(31a)가 형성되고, 하부중공체(32)의 내측 저부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캡(28)은, 투광성 유색 ABS 수지로 되고, 중앙에는 하부중공체(32)의 통부(33)와 동일 지름의 가이드공(26)을 구비하는 통부(37)가 형성되고, 하부중공체(32)의 가이드공(27)과 캡(28)의 가이드공(26)은 조립시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캡(28)에는 측부로 부터 상기 가이드공(26)에 연통하는 1mm 폭 정도의 절개부(3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캡(28)의 하부 내측에 두께가 2mm 정도의 원반형상의 반사판(39)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반사판(39)는 중앙에 캡(28)의 통부(37)의 외경보다도 큰 삽입공(40)을 구비하고, 측부로 부터 상기 삽입공(40)에 연통하고 캡(28)의 절개부(38)의 폭과 상기 절개부(38)의 양측의 벽판부(41)의 두께보다도 폭이 넓은 절개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핀(30)은 ABS 수지로 되고, 중앙에 관통공(43)을 구비하고, 상기 캡(28) 및 하부중공체(32)의 가이드공(26, 27)의 내경보다 조금 큰 외경을 구비하는 삽입부(44)와, 상기 삽입부(44)의 외단에 플랜지부(45)를 구비하고 있다. 더욱이, 가장자리면의 일측에 그 길이 방향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상기 관통공(43)에 연통하는 절개부(4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중통찌의 조립에서는, 하부중공체(32)의 통부(33)에 봉돌(31)의 삽입공(35)를 끼워서 하부중공체(32)의 저부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하고, 캡(28)의 통부(37)에 반사판(39)의 삽입공(40)을 통부(37)의 선단이 반사판(39)의 저면과 닿을 정도까지 삽입해서 장착하고, 상기 하부중공체(32)와 캡(28)을 접착제 등을 이용해서 고정시킨다.
상기 중통찌(25)를 낚시줄(22)에 결합하는 방법과 분리하는 방법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채비 등이 장착되어 있는 낚시줄(22)을 절단하지 않고 중통찌(25)의 결합, 문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종래와 같이 중통찌를 결합하기도 하고, 분리하기도 하는 때에 낚시줄을 절단해서 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간이 감소된다.
또, 찌본체(29)의 상부에 투광성 유색 플라스틱으로 된 캡(28)이 장착되고, 상기 상기 캡(28)의 하부에 반사판(39)을 장착하기 때문에, 태양빛이 캡(28)의 배후로 부터 닿으면 빛은 캡(28)을 통과해서 다시 외부로 나가게 되지만, 반사판(39)에 닿았던 빛도 반사판(39)에 의해 반사되어서 캡(28)의 외부로 나가기 때문에 캡(28)의 색이 한층 명확하게 떠올라서 먼거리에서도 중통찌(25)의 형태가 잘 볼 수 있게 된다.
또, 제2도에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핀(30)의 삽입부(44)의 외주에 요부(36)을 형성하고, 캡(28) 및 하부중공체(32)의 통부(37, 33)의 내측에 상기 요부(46)과 삽입하는 홈(47, 48)을 형성해서 잠금핀(30)이 빠짐을 어렵게 하여도 좋다. 이것은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에서는 찌본체나 잠금핀에 ABS 수지를 사용하였지만, 폴리스틸렌 등의 수지로도 사용할 수 있고, 또 봉돌은 납을 사용하였지만 놋쇠 등의 금속을 사용하여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중통찌는, 중앙에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측부에서 상기 가이드공에 연통하는 절개부가 형성된 찌본체의 상하에, 중앙에 관통공을 구비하고, 그 위에 가장자리 면의 일측에 그 길이 방향의 전길이에 걸쳐서 상기 관통공에 연통하는 절개부가 형성된 잠금핀의 삽입부를 삽입하고 있기 때문에, 하단에 채비가 장착되어 있는 낚시줄을 절단없이 중동찌를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중통찌를 교환하는 때에 낚시줄을 잘라서 부착시킬 필요없으므로, 시간을 감소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중통찌는, 찌본체 상부에 투광성 유색 플라스틱으로 된 캡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중통찌의 배후에서 태양빛이 닿는 것과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캡이 잘 판별된다. 따라서, 미약한 입질도 놓치지 않고 낚시를 즐기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캡의 하부에는 반사판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한층 명확하게 투영되어서 중통찌를 관찰할 수 있다.

Claims (3)

  1. 중앙에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측부에서 상기 가이드공에 연통하는 절개부가 형성된 찌본체의 상하에; 중앙에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공의 내경보다 조금 큰 외경의 삽입부를 구비하고, 외단에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가장자리면의 일측에 그 길이 방향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상기 관통공에 연통하는 절개부가 형성된 잠금핀을 각각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통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찌본체 상부에 투광성 유색 플라스틱으로 되는 캡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통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하부에는 반사판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통찌.
KR2019950004396U 1994-03-17 1995-03-14 중통찌 KR20019285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73986 1994-03-17
JP6073986A JPH07255340A (ja) 1994-03-17 1994-03-17 中通しうき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859U KR950031859U (ko) 1995-12-14
KR200192857Y1 true KR200192857Y1 (ko) 2000-09-01

Family

ID=13533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4396U KR200192857Y1 (ko) 1994-03-17 1995-03-14 중통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255340A (ko)
KR (1) KR20019285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46418A (ja) * 2005-06-24 2008-12-25 ドリーム ウォータ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元に戻せるように外れ可能で摺動可能な魚信インジケーター、その位置決めシステム、及びその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0080A (en) * 1977-09-28 1979-04-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Manufacturing of grooved decorative board
JPS5643835A (en) * 1979-09-17 1981-04-22 Mitsubishi Electric Corp Radio communication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255340A (ja) 1995-10-09
KR950031859U (ko) 1995-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7751A (en) Fishing tackle with a fiber optic light guide as the fishing line
US5063700A (en) Fish bait and lure illuminator
US20040025404A1 (en) Fishing rod holder
KR200192857Y1 (ko) 중통찌
US4528770A (en) Artificial fishing lure with weedless actuating hooks
US6694665B1 (en) Illuminatable fishing line system
JPH0739417Y2 (ja) 釣用うき
KR960007063Y1 (ko) 낚시찌의 봉형상의 발광체 부착구
KR940023353A (ko) 낚시줄 가이드가 결합된 낚시대
USD412732S (en) Fishing lure
KR19990022812U (ko) 케미라이트장착용중통낚시찌.
USD418898S (en) Fishing lure
US4228612A (en) Fishing equipment
KR200309623Y1 (ko) 낚시찌
KR200217429Y1 (ko) 구멍찌장착용 캐미라이트홀더
KR200344506Y1 (ko) 낚시찌용 찌보기
KR880002256Y1 (ko) 바다낚시용 야광찌
JP2574646Y2 (ja) トロ−リング用の擬餌
KR200260402Y1 (ko) 광섬유를 이용한 낚시찌
USD257618S (en) Entry pool for an amusement water slide
KR200344528Y1 (ko) 수초낚시용 찌
JP2504432Y2 (ja) 中通しうき
KR20000017111U (ko) 야간낚시 어신 식별을 위한 찌의 발광부재
USD448444S1 (en) Spool for a spinning fishing reel
USD277402S (en) Fishing pole with lure shoot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