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2688Y1 - 핸드셋의 하우징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핸드셋의 하우징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2688Y1
KR200192688Y1 KR2019980013648U KR19980013648U KR200192688Y1 KR 200192688 Y1 KR200192688 Y1 KR 200192688Y1 KR 2019980013648 U KR2019980013648 U KR 2019980013648U KR 19980013648 U KR19980013648 U KR 19980013648U KR 200192688 Y1 KR200192688 Y1 KR 2001926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ower housing
handset
upper housing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36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3466U (ko
Inventor
강형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136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2688Y1/ko
Publication of KR200000034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4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26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26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으로 구성되는 전화기의 핸드셋에 관한것으로서,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측면에는 테두리를 따라 삽입구멍이 형성된 다수개의 보스를 등간격으로 각각 형성하고,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상기 보스의 삽입구멍에 삽입될 수 있는 고정돌기를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상, 하부하우징 사출시, 가공오차를 최대한 줄일 수 있으며, 조립후에도 비틀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핸드셋의 하우징 결합구조
본 고안은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으로 구성되는 전화기의 핸드셋에 관한것으로서, 특히 조립후 발생될 수 있는 상기 하우징의 비틀림현상등을 방지할 수 있는 핸드셋의 하우징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화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컬코드로 연결된 핸드셋으로 구성된다. 상기 핸드셋은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하우징의 양단에는 상대방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는 수화부와 상대방에게 음성을 전달할 수 있는 송화부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수화부에는 스피커(Speaker)가 설치되고, 상기 송화부에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이 설치되며, 그후, 커버역할을 하는 상부하우징이 상기 하부하우징과 맞물려 결합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하우징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고, 도 2는 하부하우징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며, 도 3은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종래 핸드셋의 상, 하부하우징의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하우징 110상에는 테두리를 따라 내측으로 단이진 안착턱 1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하우징 120에는 테두리를 따라 상기 안착턱 111에 안착될 수 있는 돌출리브 1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 110의 내측면에는 테두리를 따라 상기 안착턱 111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리브 112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리브 112는 등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핸드셋의 상부하우징 110과 하부하우징 120은 상호 결합하게 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하우징 120의 돌출리브 121은 상부하우징 110의 안착턱 111에 안착되며, 상기 고정리브 112는 상기 하부하우징 120의 돌출리브 121과 접하면서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안착턱과 돌출리브 및 고정리브를 사용하여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을 결합하는 구조는 사출시, 상기 고정리브의 단부에 구배가 생기게 되며, 상기 안착턱과 돌출리브에 가공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조립후, 상기 핸드셋에 비틀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후에 비틀림이 발생되지 않는 핸드셋의 하우징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핸드셋의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을 사출할 때, 가공오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핸드셋의 하우징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으로 구성되는 핸드셋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측면에는 테두리를 따라 삽입구멍이 형성된 다수개의 보스가 등간격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상기 보스의 삽입구멍에 삽입될 수 있는 고정돌기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하우징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하우징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하우징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하우징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부하우징 11: 보스
20: 하부하우징 21: 고정돌기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하우징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고, 도 5는 하부하우징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며, 도 6은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의 구성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하우징 10상의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보스 11이 형성된다. 상기 보스 11은 상기 상부하우징 10의 테두리를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스 10은 상기 상부하우징 10의 테두리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각 보스에는 일정 깊이의 삽입구멍 11a가 형성된다.
그후, 상기 하부하우징 20상의 내측면에는 상기 보스 11의 삽입구멍 11a에 삽입될 수 있는 고정돌기 21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 21은 상기 상부하우징 10의 테두리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다수개의 고정돌기 21은 상기 상부하우징 10상의 각각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보스 11과 상응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상부하우징 10과 하부하우징 20을 결합하게 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하우징 10의 보스 11에 형성된 삽입구멍 11a에 하부하우징 20상에 형성된 고정돌기 21이 각각 일시에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상부하우징 10은 하부하우징 20상에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스의 삽입구멍상에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 상, 하부하우징은 사출시 가공오차를 최대한 줄일 수 있으며, 조립후에도 비틀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으로 구성되는 핸드셋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측면에는 테두리를 따라 삽입구멍이 형성된 다수개의 보스가 등간격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상기 보스의 삽입구멍에 삽입될 수 있는 고정돌기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셋의 하우징 결합 구조.
KR2019980013648U 1998-07-24 1998-07-24 핸드셋의 하우징 결합구조 KR2001926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648U KR200192688Y1 (ko) 1998-07-24 1998-07-24 핸드셋의 하우징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648U KR200192688Y1 (ko) 1998-07-24 1998-07-24 핸드셋의 하우징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466U KR20000003466U (ko) 2000-02-15
KR200192688Y1 true KR200192688Y1 (ko) 2000-09-01

Family

ID=19536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3648U KR200192688Y1 (ko) 1998-07-24 1998-07-24 핸드셋의 하우징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268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974B1 (ko) * 2002-07-13 2005-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의체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466U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6062A (en) Waterproof connector
KR200192688Y1 (ko) 핸드셋의 하우징 결합구조
JP2004072876A (ja) 防水ボックス
JP7265426B2 (ja) 集合型防水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KR100639382B1 (ko) 케이스
US6003207A (en) Clip structure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GB2344219A (en) Mounting structure of a key pressing device
JPH05275868A (ja) 電気装置用筐体
KR100617803B1 (ko) 무선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 커버
KR100238520B1 (ko) 무선전화기의 본체 벽면부착장치
KR200212963Y1 (ko) 단일체 케이싱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용 잭
JPH05166563A (ja) 防水コネクタ
KR200223868Y1 (ko) 핸드셋의 컬코드 고정홀더
JPH0132438Y2 (ko)
KR100355427B1 (ko) 보호기반
KR100235726B1 (ko) 자동차용 안테나 잭과 플러그 간의 체결 구조
KR200317235Y1 (ko) 휴대폰 밧데리의 단자 설치구조
KR200257572Y1 (ko) 이동전화단말기용엘이디램프의조립구조
JP2861748B2 (ja) 防水コネクタ
KR10103358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9990037840U (ko) 무선단말기의 크레이들 구조
JPH11144795A (ja) グロメット付きコネクタ
KR200176619Y1 (ko)
KR100587981B1 (ko) 전화기의 송수신기
KR20000044248A (ko) 전화기 핸드셋의 하우징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