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2674Y1 - 유체분사직기의위사파지장치 - Google Patents

유체분사직기의위사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2674Y1
KR200192674Y1 KR2019980000898U KR19980000898U KR200192674Y1 KR 200192674 Y1 KR200192674 Y1 KR 200192674Y1 KR 2019980000898 U KR2019980000898 U KR 2019980000898U KR 19980000898 U KR19980000898 U KR 19980000898U KR 200192674 Y1 KR200192674 Y1 KR 2001926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gripping
weaving
plate
gri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08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4532U (ko
Inventor
정원기
Original Assignee
정원기
젯트기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원기, 젯트기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원기
Priority to KR20199800008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2674Y1/ko
Publication of KR199900345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5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26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26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24Mechanisms for inserting shuttle in shed
    • D03D49/50Miscellaneous devices or arrangements concerning insertion of weft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4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we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체 분사직기에 있어서, 유체의 고압분사에 의해 위입된 위사의 선단부를 흔들림없이 파지고정한 상태에서 제직이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장력불균일로 인한 불량없이 원활한 제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통상의 유체 분사직기에 있어서 캣치코드사 고정판(14) 일측에 파지고정판(28)과 파지가동판(30)으로 구성된 파지구(20)를 고정설치하여 위입된 위사(24)가 바디(26)에 의해 전진하면서 위사(24)의 선단부가 파지구(20)에 파지고정된 상태에서 제직이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체 분사직기의 위사파지장치.
본 고안은 유체 분사직기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직하고자 할 때, 위입된 위사의 선단부를 별도의 파지수단에 의해 흔들림없이 파지한 상태에서 바디침이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원활한 제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 분사직기로서 직물을 제직하는 경우 위입수단이 유체의 고압분사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고, 따라서 개구된 경사 사이를 통과한 위사의 선단부분은 심하게 흔들리게 되며, 이러한 상태로 바디침이 이루어지게 되면 제직된 직물의 일측, 즉 위사의 선단부가 위치하는 쪽의 직물은 위사장력이 균일하지 못하여 제직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단 단점을 시정하고자 유체 분사직기를 이용한 직물의 제직시 유체의 고압분사에 의해 위입된 위사의 선단부분을 별도의 파지수단에 의해 파지한 상태에서 바디침이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원활한 제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유체 분사직기에 구성된 캣치코드사 일측에 위사파지구를 고정설치하여 위입된 위사의 선단부가 끼워져 고정되게 하되, 상기 위사파지구는 파지고정판과 파지가동판으로 구성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도 1 : 본 고안의 평면구성도.
도 2 : 본 고안의 측면구성도로서 바디가 후진한 상태.
도 3 : 본 고안의 측면구성도로서 바디가 전진한 상태.
도 4 : 본 고안 파지구의 측면구성도.
도 5 : 본 고안 파지구의 분해구성도.
도 6 : 본 고안 파지구의 정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유체 분사직기 (4)--절단기
(6)(8)--고저압탐지구 (10)--캣치코드사
(12)--캣치코드사 꼬임기 (14)--캣치코드사 고정판
(20)--파지구 (22)--경사
(24)--위사 (26)--바디
(28)--파지고정판 (30)--파지가동판
(32)--돌출부 (34)(36)--측판
(38)--축핀 (40)--간격유지편
(42)--요홈 (44)(46)--경사안내면
(48)--걸림편 (50)--관통공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 장치가 설치된 유체 분사직기(2)의 평면구성도로서 유체 분사직기(2)의 우측 변사부에 절단기(4)와 고저압탐지구(6)(8), 캣치코드사(10) 및 캣치코드사 꼬임기(12)를 설치하여서된 제직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캣치코드사(10)가 끼워 설치된 캣치코드사 고정판(14) 일측에 위사파지구(20)를 고정설치하여 개구된 경사(22) 사이로 위입된 위사(24)가 바디(26)에 의해 전진하게 되면 위사(24)의 선단부가 위사파지구(20)에 파지되어 흔들림이 제어되게 한다.
이때 파지구(2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파지고정판(28)과 파지가동판(30)으로 분리구성하되, 파지고정판(28)의 돌출부(32) 상에 파지가동판(30)의 측판(34)(36)이 끼워지게 한 다음 축핀(38)으로 유동가능케 설치하고, 상기 파지가동판(30)은 좌우측판(34)(36) 사이에 간격유지편(40)이 끼워지게 하므로서 저면에는 요홈(42)이 형성되게 하고, 요홈(42)에는 파지고정판(28)의 상단부가 끼워지게 구성한다.
파지고정판(28)과 파지가동판(30)의 선단부에는 경사안내면(44)(46)을 구성하고, 파지가동판(30)의 아랫쪽 내측에는 걸림턱(48)을 구성하고, 파지구(20) 전면에 위치하는 바디(26)에는 관통공(50)을 뚫어 바디(26)가 전진할 때 파지구(20)가 관통공(50)에 끼워지게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미 설명부호 (60)는 템플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2에서와 같이 개구된 경사(22) 사이로 유체의 고압분사에 의해 위사(24)가 위입되면 바디(26)가 전진하게 되고, 바디(26)가 전진하면 위사(24)는 도3에서와 같이 파지구(20)의 파지고정판(28)과 파지가동판(30) 사이로 밀어 넣어지게 되면서 위사(24)는 그 사이에 끼워져 파지고정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바디침이 완료되면 바디(26)는 후진하게 되나, 위사는 파지구(20)에 의해 파지고정되어 있으므로 위사의 선단부는 흔들림없이 항상 적절한 긴장력을 유지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제직이 진행되므로 종래와 같이 직물의 일측 변부에 위사의 장력불균일로 인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파지구(20)에 위사(24)가 진입하게 되면 위사는 파지고정판(28)과 파지가동판(30)의 선단부에 형성된 경사안내면(44)(46)에 안내되어 용이하게 삽입파지되며, 파지가동판(30)은 자중으로 위사(24)를 누르게 되므로 위사(24)의 파지가 더욱 완전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파지수단으로서 파지가동판(30)의 자중에 의해 파지되게 할 수도 있으나 스프링의 탄지력을 이용하여 파지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바디(26)가 위사(24)를 끌고 전진하게 될때 돌출된 파지구(20)는 바디(26)에 뚫린 관통공(50)에 진입하게 되므로 파지구(20)의 작동에 장애가 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유체의 고압분사에 의해 위입된 위사의 선단부를 파지구에 의해 파지고정하여 긴장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바디침이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직물의 일측 변부가 장력불균일로 인한 불량없이 원활한 제직이 이루어지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유체 분사직기에 있어서, 캣치코드사 고정판(14) 일측에 파지고정판(30)으로 구성된 파지구(20)를 고정설치하여 위입된 위사(24)의 선단부가 바디(26)에 의해 전진하면서 파지구(20)에 파지고정되어 긴장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제직이 진행되게 하여서 된 유체 분사직기의 위사 파지장치.
KR2019980000898U 1998-01-16 1998-01-16 유체분사직기의위사파지장치 KR2001926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898U KR200192674Y1 (ko) 1998-01-16 1998-01-16 유체분사직기의위사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898U KR200192674Y1 (ko) 1998-01-16 1998-01-16 유체분사직기의위사파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532U KR19990034532U (ko) 1999-08-25
KR200192674Y1 true KR200192674Y1 (ko) 2000-09-01

Family

ID=19531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0898U KR200192674Y1 (ko) 1998-01-16 1998-01-16 유체분사직기의위사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26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111B1 (ko) 2008-10-08 2011-02-25 젯트기연 주식회사 워터젯트직기의 무개구 위사절단사 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295Y1 (ko) * 2000-02-25 2000-07-15 젯트기연주식회사 유체분사직기용 위사절단사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111B1 (ko) 2008-10-08 2011-02-25 젯트기연 주식회사 워터젯트직기의 무개구 위사절단사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532U (ko) 1999-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2674Y1 (ko) 유체분사직기의위사파지장치
EP1803843A1 (en) Drawing gripper for weaving looms with improved performance for the transport of double weft yarns
JPS58104247A (ja) 流体噴射式織機における不良緯糸処理方法
KR102047283B1 (ko) 직기용 위사 공급 장치
KR940007773Y1 (ko) 워터제트직기의 위사탐지장치
TR199701205T1 (xx) Dokuma makinas�.
KR100337599B1 (ko) 유체분사직기용 위사절단사 처리장치
JPH10130999A (ja) 流体噴射式織機における緯糸把持緊張装置
KR920003182Y1 (ko) 역직기에 있어 콥이없는 북의 구조
KR100435507B1 (ko) 레피어 직기용 그리퍼 테이프 안내구
KR950010470Y1 (ko) 외부에서 위사를 공급하여 사용하는 콥이 없는 셔틀(shuttle)
SU991956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окладывани уточной нити на бесчелночном ткацком станке
KR200167201Y1 (ko) 종광을 이용한 경사 절단 감지장치
US3683971A (en) Filling withdrawing carrier for weaving machine
KR800000220Y1 (ko) 세폭직기용변사 구동장치
WO2020056899A1 (zh) 用于剑杆织机的纬纱张力控制装置
KR200266387Y1 (ko) 워터제트직기의 클램퍼 디스크
KR950006369Y1 (ko) 워터제트직기(water Jet loom)용 위사감지장치
KR900007887Y1 (ko) 레피어직기 위사공급감지기의 통사안내부
KR19980011589U (ko) 워터제트(water jet) 직기용 캣치코드사 절단방지장치
ITMI942202A1 (it) Pista guidanastri per telai di tessitura a pinze
JPH0139723Y2 (ko)
KR950000291Y1 (ko) 레피어 직기의 크리퍼 해드 집게장치
US3444901A (en) Weaving shuttle
JPH042646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