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2081Y1 - 농작물 지주 - Google Patents

농작물 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2081Y1
KR200192081Y1 KR2020000007429U KR20000007429U KR200192081Y1 KR 200192081 Y1 KR200192081 Y1 KR 200192081Y1 KR 2020000007429 U KR2020000007429 U KR 2020000007429U KR 20000007429 U KR20000007429 U KR 20000007429U KR 200192081 Y1 KR200192081 Y1 KR 2001920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p
support
crops
present
incr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74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기
Original Assignee
이재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기 filed Critical 이재기
Priority to KR20200000074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20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20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20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2Stak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작물 지주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강한 비, 바람과 농작물의 무게 등에 견고히 견딜 수 있도록 제품의 강도를 증가시켜 농작물의 성장을 돕고, 보다 많은 수확을 올릴 수 있도록 하는 농작물 지주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농작물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지주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외주연에 보강돌기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농작물을 지지하는 지주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외주연에 보강돌기를 형성하여 강도를 증가시킨 것으로, 태풍과 같은 강한 비, 바람과 농작물의 성장에 따른 하중의 증가에 견고히 견디며 농작물을 지지하여 보다 많은 수확을 올릴 수 잇도록 하고, 수회에 걸쳐 재 사용하여도 변형이 없어 농가의 소득 증대와 비용 절감에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농작물 지주{Crops supporter}
본 고안은 농작물 지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농작물의 성장에 따라 증가되는 농작물의 하중과 비, 바람 등에 견고히 견디는 농작물 지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추, 가지 등과 같이 비, 바람에 쉽게 쓰러지는 식물과, 오이, 토마토 등 넝쿨식물을 경작할 때에는 상기 식물의 성장을 돕고 보다 많은 수확을 올리기 위해 지주를 사용한다.
이러한 지주는 통상 나무 가지를 꺽어 사용하였으나, 근래에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된 농작물용 지주를 주로 사용하며, 상기 식물이 심어져 경작되는 경작지에 지주를 설치하는데, 상기 식물의 바로 옆에 지주의 일측을 깊숙이 박아 비, 바람에 흔들리지 않도록 설치한 후, 끈으로 농작물을 상기 지주에 묶으면 농작물은 비, 바람 등에 쓰러지거나 꺽이지 않고 성장하여 많은 과실을 맺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지주는 약한 비, 바람에는 잘 버텨 농작물을 견고히 지지하나, 태풍과 같이 강한 비, 바람에는 버티지 못하고 부러지고, 농작물이 성장함에 따라 상기 농작물의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고 부러지는 등의 문제가 있어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강한 비, 바람과 농작물의 무게 등에 견고히 견딜 수 있도록 제품의 강도를 증가시켜 농작물의 성장을 돕고, 보다 많은 수확을 올릴 수 있도록 하는 농작물 지주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농작물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지주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외주연에 보강돌기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농작물 지주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농작물 지주의 설치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농작물 지주 11 : 보강돌기 12 : 농작물
13 : 경작지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농작물 지주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농작물 지주의 설치 상태도 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농작물(12)이 경작지(13)에 심어져 경작되는 도중 외부적 요인이나 자체 하중에 의해 쓰러지거나 그 줄기가 꺽이지 않고 성장할 수 있도록, 상기 농작물(12)을 지지하는 농작물 지주(10)를 형성함에 있어서, 그 형태는 봉 또는 기둥 형태로 형성하며 외주연에 보강돌기(11)를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의 첨부 도면에서는 농작물 지주(10)를 삼각기둥의 형태로 도시하였는데, 이외에 봉 형태, 사각기둥 형태, 육각기둥 형태 등 다양하게 할 수 있으며, 지주(10)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주(10)의 외주연 각 면에 돌출 형성시킨 보강돌기(11)도 외측 또는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추, 가지 등과 같이 그 줄기가 약하여 비, 바람 등의 외부적 요인이나 성장에 따른 자체 하중을 이기지 못하고 쓰러지거나 그 줄기가 꺽이는 농작물(12)을 경작할 때, 상기 농작물(12)이 쓰러지거나 꺽이지 않고 성장하여 보다 많은 수확을 낼 수 있도록 본 고안에 의한 지주(10)를 사용하는데, 먼저 본 고안에 의한 지주(10)를 상기 농작물(12)이 심어진 경작지(13)로 가져간 다음, 상기 경작지(13)에 심어진 각 농작물(12)의 옆에 지주(10)를 설치하고, 이 지주(10)에 상기 농작물(12)을 끈으로 묶어 놓으면 농작물(12)은 지주(10)에 지지되며 성장하게 된다.
즉, 농작물 지주(10)가 상기 농작물(12)의 옆에 세워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지주(10)의 일측을 경작지(13)에 매립시키면 지주(10)는 농작물(12)의 옆에 세워져 고정되고, 이 상태에서 농작물(12)을 지주(10)에 기대 놓은 후, 끈으로 농작물(12)과 지주(10)를 묶으면 농작물(12)은 비, 바람 또는 자체 하중 등에 의해 쓰러지거나 꺽어지지 않고 성장하여 많은 과실을 맺게 된다.
또한, 오이, 토마토 등과 같이 넝쿨식물을 재배할 때에도 본 고안에 의한 지주(10)를 사용하는데, 그 사용 방법은 지주(10)의 일측을 경작지(13)에 매설하는 것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나, 2개의 지주(10)를 1조로 하여 일정 간격으로 매설하고, 매설되지 않는 타측 선단은 서로 겹치도록 묶어 'A' 형태가 되도록 하되, 종방향으로 연속으로 설치하여 'A' 형태의 터널 형상을 만들고, 이와 같이 설치된 각 지주(10)에 상기 넝쿨식물이 지지되며 성장하여 많은 과실을 맺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 있어서, 지주(10)는 외주연에 보강돌기(11)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강도가 증가되어 태풍과 같은 강한 비, 바람에 견딜 수 있으며, 농작물(12)의 성장에 따라 상기 농작물(12)의 하중이 증가해도 그 하중을 견고히 견디며 농작물(12)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농작물(12)의 수확이 끝나면 경작지(13)에서 수확이 끝난 농작물(12)을 뽑아 제거하는데, 이때 본 고안에 의한 농작물 지주(10)는 강도가 우수하여 수확이 끝난 후에도 변형이 없을 뿐만 아니라 수회에 걸쳐 재 사용하여도 변형이 없으므로, 상기 지주(10)를 경작지(13)에서 뽑아 깨끗이 청소한 다음 보관하였다가 다음해에 재 사용하거나, 지주(10)가 필요한 다른 농작물(12)의 재배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지주(10)는 1회 또는 2회 사용으로 그 수명을 다하는 종래의 지주와 달리 농가의 경작에 따른 소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농작물을 지지하는 지주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외주연에 보강돌기를 형성하여 강도를 증가시킨 것으로, 태풍과 같은 강한 비, 바람과 농작물의 성장에 따른 하중의 증가에 견고히 견디며 농작물을 지지하여 보다 많은 수확을 올릴 수 있도록 하고, 수회에 걸쳐 재 사용하여도 변형이 없어 농가의 소득 증대와 비용 절감에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Claims (1)

  1. 농작물(12)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지주(10)에 있어서,
    상기 지주(10)의 외주연에 보강돌기(11)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주.
KR2020000007429U 2000-03-16 2000-03-16 농작물 지주 KR2001920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429U KR200192081Y1 (ko) 2000-03-16 2000-03-16 농작물 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429U KR200192081Y1 (ko) 2000-03-16 2000-03-16 농작물 지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2081Y1 true KR200192081Y1 (ko) 2000-08-16

Family

ID=19647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7429U KR200192081Y1 (ko) 2000-03-16 2000-03-16 농작물 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20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348B1 (ko) * 2013-05-09 2014-10-27 김한철 작물지지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348B1 (ko) * 2013-05-09 2014-10-27 김한철 작물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9467B1 (en) Plant support system
US4791754A (en) Plant assisting device
US4096662A (en) Plant stake including basket
CN107750839B (zh) 一种百香果与布福娜套种的方法
CN104855230A (zh) 一种火龙果a型管架式矮化密植栽培的方法
CN104686280B (zh) 一种套种小麦等粮食作物的葡萄种植方法
JP2009011296A (ja) ぶどう棚及びぶどう棚を使用したぶどうの栽培方法
KR100489434B1 (ko) 자동 개폐식 과수 비가림 하우스
KR200192081Y1 (ko) 농작물 지주
KR20040063223A (ko) 개심 자연형 복숭아 수형의 가지 지지부재
US3139701A (en) Method of cultivating plant seedlings
CN210630321U (zh) 一种用于柑橘种植的装置
CN106258445A (zh) 一种防台风豇豆田间栽培方法及其防台风栽培架
KR200464256Y1 (ko) 농작물 재배용 지주
KR200410894Y1 (ko) 오이 지주대
KR20200000106U (ko) 인삼밭 차광 구조물
KR200224333Y1 (ko) 작물용 지주
CN203467319U (zh) 一种易搭易拆的标准化农业用棚
KR200398976Y1 (ko) 농작물용 지주
KR20190003193U (ko) 농작물용 다기능 지주대
KR200251433Y1 (ko) 농작물 지지용 끈
CN217088843U (zh) 一种大棚
KR20090000407U (ko) 농작물 지지 결합구조
CN108633560B (zh) 一种低成本果蔬大棚连作种植方法
CN209845833U (zh) 一种园林果树果实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