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0971Y1 - 액위 및 유량 측정 게이지 - Google Patents

액위 및 유량 측정 게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0971Y1
KR200190971Y1 KR2020000004843U KR20000004843U KR200190971Y1 KR 200190971 Y1 KR200190971 Y1 KR 200190971Y1 KR 2020000004843 U KR2020000004843 U KR 2020000004843U KR 20000004843 U KR20000004843 U KR 20000004843U KR 200190971 Y1 KR200190971 Y1 KR 2001909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out
storage tank
guide
pressure gas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8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중섭
강기묵
Original Assignee
엄중섭
강기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중섭, 강기묵 filed Critical 엄중섭
Priority to KR20200000048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09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09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09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gauge glasses or other apparatus involving a window or transparent tube for directly observing the level to be measured or the level of a liquid column in free communication with the main body of th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48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3/00Component parts of indicators for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3/02Scales; D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5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6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using magnet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계절에 관계없이 저장된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의 잔류량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게이지를 간편하게 장착하여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저장되는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의 양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액위 및 유량 측정 게이지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에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가 저장되는 저장탱크(30)와, 상기 저장탱크(30)의 일측에 장착되고,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공(32)이 형성되며, 일측에 제 1절개부(36) 및 제 2절개부(38)가 다단으로 형성되고, 이 제 1절개부(36)의 양측면에 일측이 개방된 결합홈(40)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이 제 2절개부(38)의 일측면에 소정의 거리를 갖는 한쌍의 체결홈(4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수직가이드홈(44)이 형성된 가이드관체(34)와, 상기 저장탱크(30)에 저장된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의 잔류량에 따라 가이드관체(34)에 형성된 가이드공(32)에서 수직운동되고, 하단에 N극이 제 2절개부(38)로 위치되도록 제 1자석(48)이 부착된 부양체(46)와, 상기 제 2절개부(38)에 형성된 체결홈(42)에 삽입고정되고, 일측에 힌지공(52)이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판(50)과, 양측에 상기 가이드판(50)에 형성된 힌지공(52)에 회전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힌지핀(54)이 외측으로 돌출구성되고, 1면(56a) 및 2면(56b)에 같은 색깔이 도포되며, 3면(56c)과 4면(56d)에 다른 색깔이 도포되고, 내측에 N극이 제 2절개부(38)로 위치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제 2자석(58)이 내장된 표시부(56)와, 상기 제 1절개부(36)에 형성된결합홈(40)에 삽입고정되고, 외벽에 수개의 눈금(6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투명한 창(60)과, 체결볼트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관체(34)의 상단과 하단에 결합고정되는 플랜지(70)와, 일측이 상기 플랜지(70)의 상단과 하단에 연통되게 결합고정되고, 타측이 저장탱크(30)의 수용공간과 연통되도록 상단과 하단에 결합고정된 파이프(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액위 및 유량 측정 게이지{Water level or oil muasuring gauge}
본 고안은 액위 및 유량 측정 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절에 관계없이 저장된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의 잔류량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게이지를 간편하게 장착하여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저장되는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의 양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액위 및 유량 측정 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현장에는 소정의 용량을 갖는 저장탱크가 구비되어지고, 이 저장탱크에는 각각의 목적에 따라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 등이 저장되어진다. 이러한 저장탱크의 일측에는 저장탱크의 수용공간에 저장된 유체 및 가스 등의 잔류량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게이지가 장착되어진다. 통상, 잔류량에 관한 데이타를 얻기 위해서는 부기(Float)를 이용한 것이 대부분이며 이를 상세하게 세분하면, 유체의 표면에 부기를 뛰어 놓고 액체면의 높이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부기에서 지렛대를 이용하여 가변저항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방법과, 부기에 연결된 줄의 장력을 분석하여 일정한 장력이 되게끔 회전체를 운동시켜 회전량을 측정하는방법과, 내부에 압력계를 투입하여 압력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방법과, 유체 및 기체에 음파 또는 광속을 발사하여 되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잔류량에 대한 데이타를 제공받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게이지가 저장탱크의 일측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보인 요부 확대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게이지의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 측면도이다. 도면을 설명하면, 내측에 소정의 용량을 갖는 저장탱크(10)가 구비되어지고, 이 저장탱크(10)의 수용공간에는 목적에 따라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가 저장되어진다. 저장탱크(10)의 상단 일측에 제 1글러브 밸브(Glove Valve)(12)가 장착되어지고, 이 저장탱크(10)의 하단 일측에는 제 2글러브 밸브(Glove Valve)(14)가 장착되어진다. 일측이 제 1글로브 밸브(12)에 결합고정되어지고, 타측이 제 2글로브 밸브(14)에 결합고정되어지는 파이프(16)가 구비되어진다.
파이프(16)의 상단과 하단에는 저장탱크(10)의 수용공간에 저장된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볼 체크 밸브(Ball Check Valve)(18)가 장착되어진다. 볼 체크 밸브(18)와 볼 체크 밸브(18)의 사이에 투명의 게이지(20)가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장착되어지고, 이 게이지(20)의 외벽에는 복수개의 눈금(22)이 형성되어진다. 게이지(20)가 파이프(16)에 장착됨에 있어서는 파이프(16)를 기점으로 양측에 위치되도록 장착되어진다. 게이지(20)의 외벽에는 충격에 의하여 게이지(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게이지커버(24)가 복수개의 체결볼트(26)에 의하여 결합고정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게이지를 이용하여 저장탱크에 저장된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의 액위 및 유량을 감지할 수 있었지만, 이러한 게이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먼저, 이러한 게이지는 날씨가 추운 겨울철에는 저장탱크에 저장된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의 잔류량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즉, 날씨가 추운 겨울철에는 게이지내를 관통하는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와 외부의 온도차에 의하여 게이지의 외벽에 성에가 발생됨으로 날씨가 추운 겨울철에는 저장탱크에 저장된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의 잔류량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없음은 물론 심한 경우에는 온도차에 의하여 게이지가 동파(凍破)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또한, 이러한 게이지는 작업자가 게이지를 장착하기가 매우 불편하였다. 즉, 게이지를 장착하기 위하여는 글러브 밸브와 볼 체크 밸브를 파이프에 장착한 상태에서 복수개의 게이지와 게이지커버를 파이프에 결합고정하여야 함으로 게이지를 저장탱크의 일측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게이지는 저장탱크에 저장된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의 잔류량을 확인할 뿐 저장되는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저장되는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조절장치를 장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의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계절에 관계없이 저장된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의 잔류량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게이지를 간편하게 장착하여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저장되는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의 양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액위 및 유량 측정 게이지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게이지가 저장탱크의 일측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보인 요부 확대 정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게이지의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액위 및 유량 측정 게이지가 저장탱크의 일측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액위 및 유량 측정 게이지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액위 및 유량 측정 게이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저장탱크 32 : 가이드공
34 : 가이드관체 36 : 제 1절개부
38 : 제 2절개부 40 : 결합홈
42 : 체결홈 44 : 수직가이드홈
46 : 부양체 48 : 제 1자석
50 : 가이드판 52 : 힌지공
54 : 힌지핀 56 : 표시부
58 : 제 2자석 60 : 창
62 : 눈금 64 : 제 1스위칭부
66 : 제 2스위칭부 68 : 자석리밋스위치
70 : 플랜지 72 : 파이프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내측에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가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의 일측에 장착되고,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일측에 제 1절개부 및 제 2절개부가 다단으로 형성되고, 이 제 1절개부의 양측면에 일측이 개방된 결합홈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이 제 2절개부의 일측면에 소정의 거리를 갖는 한쌍의 체결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수직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관체와,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의 잔류량에 따라 가이드관체에 형성된 가이드공에서 수직운동되고, 하단에 N극이 제 2절개부로 위치되도록 제 1자석이 부착된 부양체와, 상기 제 2절개부에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고정되고, 일측에 힌지공이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판과, 양측에 상기 가이드판에 형성된 힌지공에 회전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힌지핀이 외측으로 돌출구성되고, 1면 및 2면에 같은 색깔이 도포되며, 3면과 4면에 다른 색깔이 도포되고, 내측에 N극이 제 2절개부로 위치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제 2자석이 내장된 표시부와, 상기 제 1절개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고정되고, 외벽에 수개의 눈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투명한 창과, 체결볼트 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관체의 상단과 하단에 결합고정되는 플랜지와, 일측이 상기 플랜지의 상단과 하단에 연통되게 결합고정되고, 타측이 저장탱크의 수용공간과 연통되도록 상단과 하단에 결합고정된 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위 및 유량 측정 게이지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액위 및 유량 측정 게이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액위 및 유량 측정 게이지가 저장탱크의 일측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액위 및 유량 측정 게이지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액위 및 유량 측정 게이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을 설명하면, 내측에 소정의 용량을 갖는 저장탱크(30)가 구비되고, 이 저장탱크(30)의 수용공간에는 목적에 따라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가 저장된다.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공(32)이 형성된 가이드관체(34)가 구비되고, 이 가이드관체(34)는 장방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가이드관체(34)의 일측에 제 1절개부(36) 및 제 2절개부(38)가 다단으로 형성되고, 제 1절개부(36)는 제 2절개부(38) 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 1절개부(36)의 양측면에 일측이 개방된 결합홈(40)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제 2절개부(38)의 일측면에는 소정의 거리를 갖는 한쌍의 체결홈(4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가이드관체(34)의 타측에는 수직가이드홈(44)이 형성된다.
저장탱크(30)에 저장된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의 잔류량에 따라 가이드관체(34)에 형성된 가이드공(32)에서 수직운동하는 부양체(Floating Body)(46)가구비되고, 이 부양체(46)의 하단에는 제 1자석(Magnet)(48)이 부착된다. 부양체(46)의 하단에 제 1자석(48)이 부착됨에 있어서는 N극이 제 2절개부(38)로 위치되도록 부양체(46)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제 2절개부(38)에 형성된 체결홈(42)에 삽입고정되는 한쌍의 가이드판(50)이 구비되고, 이 가이드판(50)의 일측에는 힌지공(52)이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양측에 가이드판(50)에 형성된 힌지공(52)에 회전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힌지핀(54)이 외측으로 돌출구성된 표시부(56)가 구비되고, 이 표시부(56)는 장방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표시부(56)의 1면(56a) 및 2면(56b)에는 같은 색깔이 도포되고, 이 표시부(56)의 3면(56c)과 4면(56d)에는 다른 색깔이 도포됨이 바람직하다. 표시부(56)에 도포된 색깔은 색대비가 용이한 색깔이 도포됨이 바람직하다. 표시부(56)의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제 2자석(Magnet)(58)이 내장되고, 이 제 2자석(58)은 N극이 제 2절개부(38)로 위치되도록 표시부(56)에 내장됨이 바람직하다.
제 1절개부(36)에 형성된 결합홈(40)에 삽입고정되는 투명한 창(60)이 구비되고, 이 창(60)의 외벽에는 수개의 눈금(6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가이드관체(34)의 타측에 형성된 수직가이드홈(44)에 선택적으로 결합고정되는 제 1스위칭부(64) 및 제 2스위칭부(66)가 구비되고, 이 스위칭부(64),(66)는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가 저장탱크(30)로 유입되는 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제 1스위칭부(64) 및 제 2스위칭부(66)의 내측에는 자석리밋스위치(68)가 구비된다. 체결볼트에 의하여 가이드관체(34)의 상단과 하단에 결합고정되는플랜지(70)가 구비된다. 일측이 플랜지(70)의 상단과 하단에 연통되게 결합고정되고, 타측이 저장탱크(30)의 수용공간과 연통되도록 상단과 하단에 결합고정된 파이프(72)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액위 및 유량 측정 게이지가 작동되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저장탱크(30)에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가 일정양 저장되면, 저장탱크(30)에 저장된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에 의하여 부양체(46)가 가이드관체(34)의 가이드공(32)에서 수직운동된다. 즉, 파이프(72)에 의하여 저장탱크(30)와 가이드관체(34)의 가이드공(32)이 연통되게 구성되어 있음으로 저장탱크(30)에 일정양의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가 저장되면, 저장된 양에 따라 부양체(46)가 가이드관체(34)에 형성된 가이드공(32)을 따라 상부로 이동된다. 이때, 부양체(46)의 하단에 부착된 제 1자석(48)과 동일선상에 위치된 표시부(56)는 일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갖는다. 즉, 부양체(46)의 하단에 N극이 제 2절개부(38)를 향하도록 제 1자석(48)이 부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N극이 제 2절개부(38)를 향하도록 제 2자석(58)이 내장된 표시부(56)가 가이드판(50)에 형성된 힌지공(5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고정되어 있음으로 부양체(46)의 하단에 부착된 제 1자석(48)과 동일선상에 위치된 표시부(56)는 자력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저장탱크(30)에 저장된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의 양에 따라 부양체(46)와 동일선상에 위치된 표시부(56)가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다른 색깔로 디스플레이됨으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저장탱크(30)에 저장된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 가스의 잔류량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일정양의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가 저장탱크(30)로 공급되도록 조절할 경우에는 가이드관체(34)의 타측에 형성된 수직가이드홈(44)에 제 1스위칭부(64) 및 제 2스칭부(66)를 소정의 거리를 갖도록 결합고정한다. 이때, 제 1스위칭부(64)가 결합고정된 위치가 저장되는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의 최대 잔류량이며, 제 2스위칭부(66)가 결합고정된 위치가 저장되는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의 최소 잔류량이다. 즉, 부양체(46)의 하단에 부착된 제 1자석(48)이 제 1스위칭부(64)에 내장된 자석리밋스위치(68)와 동일선상에 위치되면, 부양체(46)가 가이드공(32)의 상부로 이동됨을 자석리밋스위치(68)가 감지하여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가 저장탱크(3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부양체(46)의 하단에 부착된 제 1자석(48)이 제 2스위칭부(66)에 내장된 자석리밋스위치(68)와 동일선상에 위치되면, 부양체(46)가 가이드공(32)의 하부로 이동됨을 자석리밋스위치(68)가 감지하여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가 저장탱크(30)로 유입되도록 신호가 출력됨으로 선택적으로 저장탱크(30)로 유입되는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 잔류량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저장탱크(30)에 저장된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의 양에 따라 표시부(56)가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저장탱크(30)에 저장된 양을 색체로 표시함으로 작업자가 먼거리에서도 용이하게 잔류량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잔류량을 검출하여 표시하는 게이지가 금속재의 가이드관체(34)로 이루어져 있음으로 외부와의 온도차에 의하여 게이지가 동파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글러브 밸브와 볼 체크밸브 등과 같은 밸브가 필요 없음으로 작업자가 간편하게 게이지를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저장탱크(30)에 저장되는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 1스위칭부(64) 및 제 2스위칭부(66)가 가이드관체(34)의 타측에 결합고정되어 있음으로 용이하게 유입되는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의 양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액위 및 유량 측정 게이지는 저장탱크에 저장된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 양에 따라 표시부가 자력에 의하여 회전되어 잔류량을 색체로 표시됨으로 작업자가 계절에 관계 없이 저장탱크에 저장된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의 잔류량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게이지를 간편하게 장착하여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저장되는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의 양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

  1. 내측에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가 저장되는 저장탱크(30)와,
    상기 저장탱크(30)의 일측에 장착되고,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공(32)이 형성되며, 일측에 제 1절개부(36) 및 제 2절개부(38)가 다단으로 형성되고, 이 제 1절개부(36)의 양측면에 일측이 개방된 결합홈(40)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이 제 2절개부(38)의 일측면에 소정의 거리를 갖는 한쌍의 체결홈(4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수직가이드홈(44)이 형성된 가이드관체(34)와,
    상기 저장탱크(30)에 저장된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의 잔류량에 따라 가이드관체(34)에 형성된 가이드공(32)에서 수직운동되고, 하단에 N극이 제 2절개부(38)로 위치되도록 제 1자석(48)이 부착된 부양체(46)와,
    상기 제 2절개부(38)에 형성된 체결홈(42)에 삽입고정되고, 일측에 힌지공(52)이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판(50)과,
    양측에 상기 가이드판(50)에 형성된 힌지공(52)에 회전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힌지핀(54)이 외측으로 돌출구성되고, 1면(56a) 및 2면(56b)에 같은 색깔이 도포되며, 3면(56c)과 4면(56d)에 다른 색깔이 도포되고, 내측에 N극이 제 2절개부(38)로 위치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제 2자석(58)이 내장된 표시부(56)와,
    상기 제 1절개부(36)에 형성된 결합홈(40)에 삽입고정되고, 외벽에 수개의 눈금(6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투명한 창(60)과,
    체결볼트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관체(34)의 상단과 하단에 결합고정되는 플랜 지(70)와,
    일측이 상기 플랜지(70)의 상단과 하단에 연통되게 결합고정되고, 타측이 저장탱크(30)의 수용공간과 연통되도록 상단과 하단에 결합고정된 파이프(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위 및 유량 측정 게이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관체(34)의 타측에 형성된 수직가이드홈(44)에 선택적으로 결합고정되고, 내측에 부양체(46)의 하단에 부착된 제 1자석(48)이 동일선상에 위치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유체 및 액화상태의 고압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제어하는 자석리밋스위치(68)가 구비된 제 1스위칭부(64) 및 제 2스위칭부(6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위 및 유량 측정 게이지.
KR2020000004843U 2000-02-22 2000-02-22 액위 및 유량 측정 게이지 KR2001909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843U KR200190971Y1 (ko) 2000-02-22 2000-02-22 액위 및 유량 측정 게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843U KR200190971Y1 (ko) 2000-02-22 2000-02-22 액위 및 유량 측정 게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0971Y1 true KR200190971Y1 (ko) 2000-08-01

Family

ID=19643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843U KR200190971Y1 (ko) 2000-02-22 2000-02-22 액위 및 유량 측정 게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097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045B1 (ko) * 2007-09-21 2008-07-04 대지정공주식회사 액체 저장탱크용 수위표시장치
KR101096135B1 (ko) 2011-08-05 2011-12-20 강성선 레벨 지시계
KR102162448B1 (ko) * 2020-02-28 2020-10-06 주식회사 하이트롤 자석식 수위센싱유닛
KR102562084B1 (ko) * 2022-10-20 2023-07-31 신갑식 오일 레벨 게이지가 구비된 오일 탱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045B1 (ko) * 2007-09-21 2008-07-04 대지정공주식회사 액체 저장탱크용 수위표시장치
KR101096135B1 (ko) 2011-08-05 2011-12-20 강성선 레벨 지시계
KR102162448B1 (ko) * 2020-02-28 2020-10-06 주식회사 하이트롤 자석식 수위센싱유닛
KR102562084B1 (ko) * 2022-10-20 2023-07-31 신갑식 오일 레벨 게이지가 구비된 오일 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0971Y1 (ko) 액위 및 유량 측정 게이지
JPH02186102A (ja) ピストン型アキュムレータのピストン位置検知装置
US9567736B1 (en) Toilet fill valve auxiliary shutoff mechanism
US4739648A (en) Methods and system for determining leaks in underground liquid storage tanks and the like
US6820646B2 (en) Installation for measuring and displaying fluid volume and corresponding use for maintaining below frostline and accessible valving and metering equipment
US4126040A (en) Liquid level gauge
CN102252730A (zh) 软体罐液位测量仪及其测量方法
KR200396746Y1 (ko) 수위 및 수량표시 장치를 갖춘 물탱크 수위계
CN210953035U (zh) 一种胶囊储油柜油位测量装置
JP3962408B2 (ja) 液体貯蔵タンクの漏洩検査装置
US4785541A (en) Bow mounted range finder for tree stands
KR102162448B1 (ko) 자석식 수위센싱유닛
KR200197061Y1 (ko) 빙축열 탱크의 수위감지기
US6148854A (en) System for leak detection from underground and aboveground fuel storage tanks
KR960009207Y1 (ko) 세탁기용 수압 스위치용 측정장치
KR200237925Y1 (ko) 저유량 측정용 계량기
JP3726192B2 (ja) フロート形液面計
KR100235871B1 (ko) 오일게이지
KR101512299B1 (ko) 선박 밸러스트 탱크 수위 조절용 밸브 개폐상태 원격 확인장치
JP2002039430A (ja) 弁体開閉装置
JP2002090204A (ja) メータボックスと水道設備
GB2480885A (en) Flood defence method and apparatus for a sewer pipe
CN114923538A (zh) 一种具有防冲击结构的液位计及防护方法
KR970006903Y1 (ko) 부동액 자동혼합 및 주입장치
KR200290502Y1 (ko)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