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0966Y1 - 쇼케이스용 스윙타입 도어의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쇼케이스용 스윙타입 도어의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0966Y1
KR200190966Y1 KR2020000000173U KR20000000173U KR200190966Y1 KR 200190966 Y1 KR200190966 Y1 KR 200190966Y1 KR 2020000000173 U KR2020000000173 U KR 2020000000173U KR 20000000173 U KR20000000173 U KR 20000000173U KR 200190966 Y1 KR200190966 Y1 KR 2001909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howcase
twist bar
connector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01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영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롯데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롯데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롯데기공
Priority to KR20200000001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09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09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09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 E05F1/04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for wings which lift during movement, operated by their own weight
    • E05F1/06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the weight of the wing
    • E05F1/061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the weight of the wing with cams or helical tracks
    • E05F1/066Helical grooves, slots, thread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04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 A47F3/0426Details
    • A47F3/043Doors,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 E05Y2900/20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for display cabinets, e.g. for refrigerated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방된 상태의 도어가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구성하여 쇼케이스 내부에 진열된 물건이 흐트러지거나 무너지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사용상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쇼케이스용 스윙타입 도어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상하측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본체의 전면 일측에 상하로 한쌍의 상ㆍ하힌지용 브라케트가 설치되고, 도어가 상ㆍ하힌지용 브라케트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된 쇼케이스용 스윙타입 도어의 개폐구조에 있어서, 도어를 상측, 하측, 좌측, 우측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여 사각 형상이 되도록 하되, 상측, 하측, 좌측, 우측 프레임의 각 연결부분에 수평부와 수직부로된 'ㄱ'자 형상의 연결구를 매개로 연결하고, 본체의 전면 일측에 대응되는 좌,우측 프레임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측부 및 연결구를 상하로 관통하여 트위스트바를 설치하며, 트위트스바의 상단을 상힌지용 브라케트에 고정 설치하며, 트위스트바의 하단을 하힌지용 브라케트에 고정 설치하여 도어를 닫을때 트위스바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쇼케이스용 스윙타입 도어의 개폐구조{OPEN STRUCTURE OF SWING-TYPE DOOR IN SHOWCASE}
본 고안은 쇼케이스용 스윙타입 도어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방된 상태의 도어가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구성하여 쇼케이스 내부에 진열된 물건이 흐트러지거나 무너지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사용상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쇼케이스용 스윙타입 도어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쇼케이스는 음료수 또는 채소나 과일 등의 물건을 냉동 또는 냉장 저장상태로 판매하기 위하여 전열하는 전기기기로서, 이는 다양한 형태의 것이 제조 판매되고 있으며, 음료수가 담겨있는 캔, 페트병, 또는 유리병 등을 저장하기 위하여 그 일례로 리치인 형태의 쇼케이스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쇼케이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쇼케이스 전방부에는 물건을 반입, 반출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스윙 타입의 도어(100)가 구비되어 있고, 쇼케이스 내상 본체의 둘레와 하측에는 냉동 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는 냉각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쇼케이스 양측벽으로 둘러싸인 내부, 즉 본체내에는 식품이나 물건을 진열, 보관할 수 있는 진열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진열된 상품을 소비자가 쉽게 볼수 있도록 도어(100)는 유리(110)와, 이 유리(110)의 둘레를 지지하고 있는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120)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100)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의 상측과 하측의 모서리 부분에 대하여 본체의 전면 일측에는 'ㄴ'자 형상의 상,하부 힌지 브라켓트(130)가 쇼케이스 전방 표면에 설치되고, 작은 봉형으로 도어 상하측면에 구성된 힌지축(140)이 상기 상,하부 힌지 브라케트(130)에 삽입되어 도어(100)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상, 하부 힌지 브라케트(130)는 도어(100)를 지지함과 아울러 개폐할때 회전 중심부의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도어(100)는 힌지 브라케트(130)에 의해 단순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도어(100)를 열고 난후에 자동적으로 닫히지 않고, 사용자가 직접 쇼케이스 본체쪽으로 힘을 가하여 닫아야 한다.
또한, 사용자가 도어(100)를 열은 후에 다시 닫을때 무심코 힘껏 닫아서 쇼케이스 내부에 진열된 물건이 흐트러지거나 무너지는 경우도 종종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개방된 상태의 도어가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구성하여 쇼케이스 내부에 진열된 물건이 흐트러지거나 무너지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사용상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쇼케이스용 스윙타입 도어의 개폐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쇼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도어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연결구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지시선 'A-A'선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사용된 하부 힌지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도어 110:유리
120:프레임 130:브라켓트
140:힌지축 200:도어
210:상측 프레임 220:하측 프레임
230:좌측 프레임 240:우측 프레임
250:연결구 300:트위스트바
310:상부 보조구 315:삽입홈
320:하부 보조구 325:삽입홈
400:하부힌지 410:삽입홈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쇼케이스용 스윙타입 도어의 개폐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도어(200)는 첨부된 도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양단부측에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의 삽입홈을 구비한 상측, 하측, 좌측, 우측 프레임(210,220,230,240)을 상호 연결하여 사각 형상이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측ㆍ하측ㆍ좌측ㆍ우측 프레임(210,220,230,240)의 각 단부는 별도의 연결구(250)에 의해 연결되는 데, 이 연결구(250)는 상기 삽입홈에 대응되게 형성된 수평부와 수직부의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의 단면은 바람직하게 삽입홈의 단면과 동일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전면 일측에 대응되는 좌,우측 프레임(230,240)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측부와 이의 상하단부에 연결되는 상,하측 프레임(210,220)의 일단측부 및 연결구(250)를 상하로 관통하여 트위스트바(300)가 설치되며, 이 트위트스바(300)의 상단은 연결구(250)에 삽입되는 상부 보조구에 고정 설치되며, 트위스트바(300)의 하단은 하부힌지(400)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의 트위스트바(300)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원형의 단면을 가지되, 상단과 하단의 단면은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트위스트바(300)의 상단이 삽입되는 상부 보조구(310)는 첨부된 도면 도 3 (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위스트바(300)의 상단의 형상과 같은 다각형으로 삽입홈(31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삽입홈(315)의 형상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은 트위스트바(300)의 상단이 도어(20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트위스트바(300)의 하단이 관통되어 삽입되는 하부 보조구(320)는 첨부된 도면 도 3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위스트바(300)의 하단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곳의 단면의 형상과 같은 원형으로 삽입홈(32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삽입홈(325)의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은 트위스트바(300)의 하단이 도어(200)에 고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트위스트바(300)의 하단이 삽입되는 하부힌지(400)의 형상은 첨부된 도면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위스트바(300)의 하단의 형상과 같은 다각형으로 삽입홈(4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삽입홈(410)의 형상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은 트위스트바(300)의 하단이 쇼케이스의 본체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 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소정 길이를 갖는 상측ㆍ하측ㆍ좌측ㆍ우측 프레임(210,220,230,240)을 각각 일정 길이로 절단하되, 각각의 양단부를 45°방향으로 절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되면, 상측ㆍ하측ㆍ좌측ㆍ우측 프레임(210,220,230,240)은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조립될 수 있는 기초가 된다.
이후, 연결구(250)를 이용하여 상측 프레임(210)의 좌측단부와 좌측 프레임(230)의 상단부를, 상측 프레임(210)의 우측단부와 우측 프레임(240)의 상단부를, 하측 프레임(220)의 좌측단부와 좌측 프레임(230)의 하단부를, 하측프레임(220)의 우측단부와 우측 프레임(240)의 하단부를 순서적으로 연결하여 사각 형상을 갖는 도어(200)의 조립을 완료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구(250)의 수평부는 상측ㆍ하측 프레임(210,220)의 좌우측 단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고, 수직부는 좌측ㆍ우측 프레임(230,240)의 상하측 단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는 것이다.
이후, 연결구(250)와 상측ㆍ하측ㆍ좌측ㆍ우측 프레임(210,220,230,240)과의 조립이 완료되면, 별도의 볼트부재를 이용하여 더욱 조립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부언하면, 연결구(250)의 수평부와 수직부가 각각 상측ㆍ하측ㆍ좌측ㆍ우측 프레임(210,220,230,240)과 연결되도록 볼트부재로 체결한다.
이후, 트위스트바(300)를 상측, 우측, 하측 프레임(210,240,220)을 통해 삽입한 후에, 그 돌출된 상단을 상부 보조구(310)에 고정하고, 하단을 하부 보조구를 관통하여 하부힌지(400)에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조립 작업의 수순에 따라 도어(200)의 조립 및 트위스트바(300) 및 도어(200)를 본체에 장착하는 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도어의 분해는 조립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되는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조립 작업의 수순에 따라 완료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200)를 일정 각도로 개방하게 되면, 트위스트바(300)의 상하단이각각 상부 보조구(310)와 하부힌지(400)에 각각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트위스트바(300)는 소정치 비틀려진 상태가 된다.
여기서, 도어(200)의 개방 각도가 클수록 트위스트바(300)의 비틀려진 상태도 증가하게 된다.
지금까지의 설명은 폐쇄 상태의 도어(200)에서 개방 상태로 전환된 상태를 설명한 것이다.
한편, 일정 각도 개방된 상태의 도어(200)를 닫고자 할 경우에는 손으로 취부하고 있는 도어(200)를 놓게되면, 도어(200)는 그 자중에 의해 스스로 닫히게 되는 데, 이렇게 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개방된 상태의 도어(200)에 가해진 취부력이 제거되면, 도어(200)는 비틀림 상태에 있던 트위스트바(300)의 복원력에 의해 개방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어, 결국에는 트위스트바(300)의 복원력이 소멸될때까지 회동된다.
여기서, 트위스트바(300)의 복원력이 소멸되는 시점은 도어(200)가 완전히 닫힌 상태이다.
따라서, 도어를 닫을때 상기 트위스바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개방된 상태의 도어가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구성하여 쇼케이스 내부에 진열된 물건이 흐트러지거나 무너지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사용상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된다.
또한, 도어 및 유리의 처짐을 최소화하고 조립공정을 간소화하여 도어의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도어의 상하측 모서리에 대응되는 본체의 전면일측에 상하로 한쌍의 상ㆍ하힌지용 브라케트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가 상ㆍ하힌지용 브라케트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된 쇼케이스용 스윙타입 도어의 개폐구조에 있어서;
    상기 브라케트에 대응되는 도어의 일측부 프레임 상하부에는 각각 'ㄱ'자 형상의 연결구가 구성된 상태에서 상하 길이방향으로 트위스트바가 삽입 설치되되,상기 트위스트바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동시에 상단과 하단은 다각형상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그 상단이 상기 상부 연결구에 위치하고 하단은 상기 하부 연결구를 관통하여 다각형상의 삽입홈을 갖는 상기 하힌지용 브라케트에 결합 고정되며;
    상기 상부 연결구에는 상기 트위스트바의 상단을 고정시키기 위해 동일한 다각형상의 삽입홈을 갖는 상부 보조구가 결합되고;
    상기 하부 연결구에는 관통되는 트위스트바와 동일한 원형형상의 하부 보조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용 스윙타입 도어의 개폐구조.
KR2020000000173U 2000-01-05 2000-01-05 쇼케이스용 스윙타입 도어의 개폐구조 KR2001909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173U KR200190966Y1 (ko) 2000-01-05 2000-01-05 쇼케이스용 스윙타입 도어의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173U KR200190966Y1 (ko) 2000-01-05 2000-01-05 쇼케이스용 스윙타입 도어의 개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0966Y1 true KR200190966Y1 (ko) 2000-08-01

Family

ID=19636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173U KR200190966Y1 (ko) 2000-01-05 2000-01-05 쇼케이스용 스윙타입 도어의 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09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611B1 (ko) * 2015-01-21 2015-09-11 주식회사 크리콤 쇼케이스용 슬림베젤 다중유리 도어 및 이를 구비한 쇼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611B1 (ko) * 2015-01-21 2015-09-11 주식회사 크리콤 쇼케이스용 슬림베젤 다중유리 도어 및 이를 구비한 쇼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61672A (ko) 냉장고
JP4222733B2 (ja) 冷却貯蔵庫
KR20100037764A (ko) 냉장고
KR200190966Y1 (ko) 쇼케이스용 스윙타입 도어의 개폐구조
KR100478458B1 (ko) 냉장고
KR200184276Y1 (ko) 쇼케이스용 스윙타입 도어의 개폐구조
US9986853B2 (en) Merchandise display system
EP1787553A1 (en) Display case for food products
KR200165778Y1 (ko) 냉장고용 홈바도어의 구조
US11454057B2 (en) Hinge and cabinet provided with a hinge
JP3139730U (ja) ショーケース用ガラスドアのヒンジ構造
KR100621113B1 (ko) 냉장고
KR200388267Y1 (ko) 이동식 가판대
US9451837B2 (en) Temperature controlled display cabinet, in particular a freezer island, comprising a door
KR200267216Y1 (ko) 홈바용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의 도어
KR200291318Y1 (ko) 진열장 도어 개폐장치
EP3272980B1 (en) Museum showcase with quadrilateral hinge having a hook for holding the door in a closed position
KR19990031102U (ko) 냉장고의 홈바
KR101143655B1 (ko)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KR200267215Y1 (ko) 냉장고용 접이식 간이 선반
KR0133562Y1 (ko) 배선처리가 용이한 쇼케이스 하부힌지 조립체
KR920001031Y1 (ko) 쇼우케이스의 보조 선반
KR19990031103U (ko) 냉장고의 홈바
WO1999008576A1 (fr) Meuble-presentoir avec vitrine refrigeree, modulable et transformable
KR200235379Y1 (ko) 냉장고의가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