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0432Y1 - 난방배관 설치용 온수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난방배관 설치용 온수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0432Y1
KR200190432Y1 KR2020000006115U KR20000006115U KR200190432Y1 KR 200190432 Y1 KR200190432 Y1 KR 200190432Y1 KR 2020000006115 U KR2020000006115 U KR 2020000006115U KR 20000006115 U KR20000006115 U KR 20000006115U KR 200190432 Y1 KR200190432 Y1 KR 2001904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heat exchange
heating
separator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61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재선
Original Assignee
오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재선 filed Critical 오재선
Priority to KR20200000061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04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04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04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48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incorporating heaters for domestic water
    • F24H1/52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incorporating heaters for domestic water incorporating heat exchangers for domestic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8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in combination with systems for domestic hot-water supply
    • F24D3/087Tap water heat exchang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9/004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F28D9/00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both heat-exchange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65/00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 F28F2265/18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for removing contaminants, e.g. for dega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6Fastening; Joining by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tails Of Fluid Hea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난방배관에 설치하는 온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교환통의 한쪽으로는 난방수가 순환하도록 하고 다른 한쪽으로는 온수로 사용될 물이 순환하도록 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면적을 최대한 크게하여 온수를 지속적으로 사용하여도 난방수 온도의 85%정도에 해당하는 온도까지 가열된 온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공급장치 내부에서 가열되어 준비중인 온수의 양이 많고, 분리판 중앙에 중앙분리판을 용접할 때 분리판의 좌측 막힌벽에서부터 중앙분리판의 좌측 끝까지의 간격을 분리판 높이의 0.5∼3.5배로함으로써 기포발생이 적은 난방배관 설치용 온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난방배관 설치용 온수공급장치{A hot water supply apparatus for heating}
본 고안은 보일러의 난방배관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온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용 보일러에는 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온수공급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는데 보일러에 구비되어 있는 온수공급장치는 공급할 수 있는 온수의 양이 적은 단점이 있어 도 7과 같이 난방중인 난방수의 열을 이용하되 공급장치 내부로 들어오는 찬 물을 순간적으로 가열하여 난방배관의 온도에 찬물의 온도가 근접되도록 가열시키기 위한 온수공급장치가 안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온수공급장치에 있어서는 공급장치 내부로 들어오는 찬 물을 분산시켜 가열하는 방법을 사용하므로 기포의 발생이 많고 공급장치 내부에서 이미 가열되어 준비중인 온수의 양이 적으며, 찬물이 공급장치 내부의 열교환판(22)을 통과하여 가열될 때 순간적으로 통과하게 되므로 찬물을 난방수 온도의 60% 정도의 온도, 즉 난방수의 온도가 100℃일때 열교환판(22)을 통과한 온수의 온도는 60℃로 밖에 가열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여 기포의 발생이 적고 공급장치 내부에서 가열되어 준비중인 온수의 양이 많으며 난방수 온도의 85%정도에 해당하는 온도 (난방수의 온도가 100℃일 경우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는 85℃)까지 가열된 온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열교환통의 한쪽으로는 난방수가 순환하도록 하고 다른 한쪽으로는 온수로 사용될 물이 순환하도록 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작은 온수공급장치의 크기 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면적을 최대한 크게하며, 기포의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분리판 중앙에 중앙분리판을 용접할 때 분리판의 좌측 막힌벽에서부터 중앙분리판의 좌측 끝부분 까지의 간격은 분리판 높이의 0.5∼3.5배로 하는데 특징이 있다.
도 1은 난방수 인입구, 온수 배출구, 난방수 배출구, 찬물 인입구가 전면에 형성된 본 고안의 온수공급장치가 난방배관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온수공급장치의 내부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열교환함의 사시도
도 5는 열교환함을 적층, 용접하고 상부분리함을 용접하여 열교환통을 제작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하부분리함을 용접하여 열교환통의 하부를 제작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열교환판이 여러개 적층되어 있어 인입된 찬물이 분산되어 순간적으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온수공급장치의 개략도
도 8은 종래의 온수공급장치에 사용되는 열교환판의 개략도
A: 정면도
B: B-B단면도
C: 배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열교환통 2. 단열재
3. 금속판 4. 열교환함
5. 측면용접판 6. 분리판
7. 중앙분리판 8. 좌측 막힌벽
9. 좌측 끝 10. 우측 터진부분
11. 우측 끝 12a, 12b. 분리벽
13. 난방수 인입구 14. 온수 배출구
15a, 15b. 기포배출장치 16. 상부분리함
17. 상부덮개판 18. 난방수 배출구
19. 찬물 인입구 20. 하부분리함
21a, 21b. 하부덮개판 22. 열교환판
23. 패킹 24a, 24b. 난방배관
본 고안의 온수공급장치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열교환통(1)의 외부를 단열재(2)가 감싸고 단열재(2)의 외부를 다시 금속판(3)이 감싸고 있으며 상기 열교환통(1)은 동이나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재질이고 다수 개의 열교환함(4)과 다수 개의 측면용접판(5)의 조립체이며, 열교환함(1)은 한면이 터진 상자형태의 분리판(6) 중앙에 중앙분리판(7)이 용접된 형태인데 기포의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분리판(6) 중앙에 중앙분리판(7)을 용접할 때 분리판(6)의 좌측 막힌벽(8)에서 부터 중앙분리판(7)의 좌측 끝(9) 까지의 간격은 분리판(6) 높이의 0.5∼3.5배로 하고, 열교환함(4)을 적층할 때는 열교환함(4)에 용접된 중앙분리판(7)의 우측 끝(11)이 좌측과 우측을 번갈아가면서 향하게 적층될 수 있도록 하여 그 접촉부분을 용접한 후 적층된 열교환함(4)의 좌, 우측 부분에 측면용접판(5)을 용접하되 열교환통(1)의 상부에는 분리벽(12a)과 난방수 인입구(13)와 온수 배출구(14)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분리함(16)을 용접한 후 기포배출장치(15a, 15b)가 부착된 상부덮개판(17)을 용접하며 하부에는 분리벽(12b)과 난방수 배출구(18)와 찬물 인입구(19)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분리함(20)을 용접한 후 하부덮개판(21a, 21b)를 용접한다.
또한 난방수 인입구(13)와 온수 배출구(14)는 도 1에서와 같이 온수공급장치의 전면에 형성할 수도 있지만 온수공급장치의 측면이나 배면 또는 상부에 형성할 수도 있으며, 난방수 배출구(18)와 찬물 인입구(19)는 온수공급장치의 측면이나 배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온수공급장치를 설치할 때는 난방배관을 절단하여 난방배관의 절단 부분을 온수 공급장치의 난방수 인입구(13)와 난방수 배출구(18)에 각각 연결하되 열교환통(1)의 상부에 형성된 난방수 인입구(13)를 통하여 인입된 난방수가 열교환통(1)의 하부에 형성된 난방수 배출구(18)를 통하여 배출된 후 보일러에서 재 가열되도록 하고 찬물은 열교환통(1)의 하부에 형성된 찬물 인입구(19)로 인입되어 상부로 올라가는 과정에서 가열되어 상부의 온수 배출구(14)로 배출되도록 한다.
미설명 부호 23은 종래기술에 사용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패킹이고, 24a는 공급장치를 통해 나가는 난방수를 보일러로 보내는 난방배관이며 24b는 공급장치로 난방수를 공급하는 난방배관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면적을 최대한 크게함으로써 온수를 계속해서 사용하더라도 난방배관 온도의 85%정도에 해당하는 온도까지 가열된 온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공급장치 내부에서 가열되어 준비중인 온수의 양이 많고, 분리판 중앙에 중앙분리판을 용접할 때 분리판의 좌측 막힌벽에서부터 중앙분리판의 좌측 끝부분까지의 간격은 분리판 높이의 0.5∼3.5배로 함으로써 기포발생이 적은 난방배관 설치용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난방배관에 연결하여 온수를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열교환통(1)의 외부를 단열재(2)가 감싸고 단열재(2)의 외부를 다시 금속판(3)이 감싸고 있으며 상기 열교환통(1)은 동이나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질이고 다수 개의 열교환함(4)과 다수 개의 측면용접판(5)의 조립체이며, 열교환함(1)은 한면이 터진 상자형태의 분리판(6) 중앙에 중앙분리판(7)이 용접된 형태인데 분리판(6) 중앙에 중앙분리판(7)을 용접할 때 분리판(6)의 좌측 막힌벽(8)에서 부터 중앙분리판(7)의 좌측 끝(9) 까지의 간격은 분리판(6) 높이의 0.5∼3.5배로하고, 열교환함(4)을 적층할 때는 열교환함(4)에 용접된 중앙분리판(7)의 우측 끝(11)이 좌측과 우측을 번갈아가면서 향하게 적층하여 그 접촉부분을 용접한 후 적층된 열교환함(4)의 좌, 우측 부분에 측면용접판(5)을 용접하되 열교환통(1)의 상부에는 분리벽(12a)과 난방수 인입구(13)와 온수 배출구(14)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분리함(16)을 용접한 후 기포배출장치(15a, 15b)가 부착된 상부덮개판(17)을 용접하며 하부에는 분리벽(12b)과 난방수 배출구(18)와 찬물 인입구(19)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분리함(20)을 용접한 후 하부덮개판(21a, 21b)를 용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배관 설치용 온수공급장치.
KR2020000006115U 2000-03-06 2000-03-06 난방배관 설치용 온수공급장치 KR2001904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115U KR200190432Y1 (ko) 2000-03-06 2000-03-06 난방배관 설치용 온수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115U KR200190432Y1 (ko) 2000-03-06 2000-03-06 난방배관 설치용 온수공급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6061A Division KR100432624B1 (ko) 2001-05-14 2001-05-14 난방배관 설치용 온수공급장치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0432Y1 true KR200190432Y1 (ko) 2000-08-01

Family

ID=19645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115U KR200190432Y1 (ko) 2000-03-06 2000-03-06 난방배관 설치용 온수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04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9690A (zh) * 2018-08-28 2019-01-18 南京金龙客车制造有限公司 一种车身内外饰标识加热工装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9690A (zh) * 2018-08-28 2019-01-18 南京金龙客车制造有限公司 一种车身内外饰标识加热工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3640A (en) Panel adapted for coolant through flow, and an article incorporating such panels
CN103994675B (zh) 热交换器
KR101357666B1 (ko) 두 개의 1차 다발과 하나의 2차 다발을 포함하는 응축열교환기
EP2766685B1 (en) Combined gas-water tube hybrid heat exchanger
CN103261827B (zh) 热交换器
WO2014072274A1 (en) Heat exchange device for exchanging heat between fluids
KR200190432Y1 (ko) 난방배관 설치용 온수공급장치
JP5890136B2 (ja) 給湯器
CN107830755A (zh) 一种高温汽化器
CN103650260B (zh) 具有热交换器的气体激光器
KR100432624B1 (ko) 난방배관 설치용 온수공급장치와 그 제조방법
JPH10111086A (ja) 熱交換器
CN210326050U (zh) 一种用于电动汽车动力电池的集流式液冷板
JPH109776A (ja) 熱交換器
CN207350927U (zh) 一种新型高效平板太阳能集热器
CN220852093U (zh) 立式蒸汽发生器
JPS61202085A (ja) 熱交換器
CN2720383Y (zh) 集束型热管散热器
CN216106598U (zh) 一种气帘分隔装置及熔窑
CN218973299U (zh) 一种甲醛产线换热装置
CN218210916U (zh) 热管式换热装置
CN210772735U (zh) 电磁加热器
JP2005042992A (ja) 熱交換器
CA1309746C (en) Panel adapted for coolant through flow, and an article incorporating such panels
JP2004028470A (ja) 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