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0406Y1 - 공뢰설치기 - Google Patents

공뢰설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0406Y1
KR200190406Y1 KR2020000004901U KR20000004901U KR200190406Y1 KR 200190406 Y1 KR200190406 Y1 KR 200190406Y1 KR 2020000004901 U KR2020000004901 U KR 2020000004901U KR 20000004901 U KR20000004901 U KR 20000004901U KR 200190406 Y1 KR200190406 Y1 KR 2001904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ne
sky
belt
mines
miss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9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용진
Original Assignee
전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용진 filed Critical 전용진
Priority to KR20200000049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04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04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04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F41H11/02Anti-aircraft or anti-guided missile or anti-torpedo defence installation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0Projectiles or missi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mmunition class or type, e.g. by the launching apparatus or weapon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 본 고안은 1991년 9월 28일 본인의 출원서<공뢰미사일>와 본인의 출원서 2000년 2월 7일의 출원서<공뢰 (하늘의 지뢰)>를 참고 하십시오
본 고안은 공뢰 즉 하늘의 지뢰를 담아 하늘로 운반하여 하늘에 지뢰를 설치해주는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공뢰(1)를 공뢰설치기 (2)에 내장 시켰다가 유사시 적기가 날아오는 하늘에 설치하여 적기를 격추시키는 방어 무기의 일종으로 공뢰 설치기이다.

Description

공뢰설치기{.}
본 고안은 공뢰를 하늘에 설치하는 기계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공뢰가 내장되어 있어 안전하고 신속하게 공뢰를 하늘에 설치하는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늘의 지뢰라는 것이 없으며 따라서 공뢰 설치기 또한 없었다.
굳이 있다고해야 본인의 출원서 1991년 9월 28일자의 '공뢰미사일'이라는 출원서에 기술된 내용밖에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런데 그 기술사항은 원시적이고 불안전하며 일관성이 없고 실용성이 없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공뢰 즉 하늘의 지뢰를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하늘에 설치해 주는 효과를 제공 하기 위해서이다.
※ 본인의 출원서 1991년 9월 28일자 공뢰미사일의 도면 제3도∼제16도까지의 도면과는 전혀 다른 구조이며 본인의 출원서 2000년 2월 7일자 도면과는 전혀 다른 구조이며 본인의 출원서 2000년 2월 7일자 공뢰(하늘의 지뢰) 또한 1991년 9월 28일자의 공뢰와는 다른 구조의 공뢰 이므로 본 고안의 공뢰 설치기는 2000년 2월 7일자 공뢰에 맞는 공뢰설치기 이니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도1은 공뢰설치기에 공뢰가 장착된 단면도
도2는 벨트의 설명도
도3은 공뢰설치기의 밑부분의 평면도
도4는 모터축전지 전파장치의 설명도
도5는 벨트와 공뢰의 배치 단면도
도6∼7은 벨트 보조대의 설명도
도8은 밑바닥판의 구조도
도9는 공뢰설치기가 하늘에 공뢰를 설치하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공뢰 3. 미사일
4. 회전축 5. 모터회전축
6. 날개 8. 벨트
11. 공뢰자리 14. 모터
16. 동체 17. 축전지
18. 자동장치 20. 21. 기둥
22. 25. 베어링바퀴 28. 구멍
29. 완성도
본 고안에 따르면 공뢰를 설치하는 공뢰 설치기안 (12)에 공뢰(도 1(1))가 콘베어(5)의 벨트(8)가 공뢰 (1)를 양쪽에서 감쌈채 채곡채곡 일정하게 장착하여 기체(2)를 하늘에 띄워 양쪽의 벨트(8)를 돌려 공뢰를 하나씩 하나씩 하늘에 설치하는 기계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공뢰(1)를 기체(2)에 한줄로만 장착한 단면도이다.
콘베어 모터 (5)와 위쪽바퀴 (4)가 벨트(8)를 돌려 아래구멍(28)으로 공뢰를 하나씩 장착하고 설치할때도 하나씩 하나씩 차례대로 빼내 하늘에 설치하는 것이다.
그 추진력은 미사일 (3)의 추진력으로하며 기체(2)의 맨앞쪽은 (7)뾰죽하며 뒤쪽에는 기체의 날개(6)가 있다.
도 2는 공뢰와 벨트(8)의 설명도이다.
벨트는 공뢰(1)를 감싸고 있어 기체의 이동시 공뢰가 벨트를 이탈하지 않도록 잡아주는 공뢰자리(11)가 움푹 들어가 있고 공뢰자리와 자리사이의 벨트의 두꺼운 부분(9)은 어느 정도 도면(9)과 같이 갈라 놓아 바퀴(5)를 감아돌때 틈이 벌어저 (10)잘 돌아가도록 갈라 놓은 것이며 윗공뢰와 아래공뢰가 떨어져 닿지 않게 도면과 같이 장착하며 공뢰(1)의 폭약(13)등의 부착물은 벨트에 짖눌리지 안게 도면과 같이 장착한다.
도 3은 공뢰설치기의 밑부분의 평면도이다.
동체 (16)에 모터 (14)가 부착 막대(15)로 부착되어 있고 미사일(3) 날개(6)도 동체 (16)에 부착되어 있다.
그러니까 모터 (14)를 돌리면 바퀴(5)가 돌고 벨트(8)가 돌아 공뢰(1)를 기체안에 넣고 기체 밖으로 빼낼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전파를 수신 받은 자동장치 (18)가 축전지(17)의 전기를 모터에 연결시켜 모터를 작동시키는 작동기기이다.
자동장치(18)는 리모콘의 지시를 받는 텔레비wus의 스위치와 같은 논리로 도면을 생략한다.
도 5의 내용은 하나의 동체(16)안에 공뢰(1)를 여러줄로 장착한 평면도 이다.
도1의 도면은 설명도이나 도 5의 내용은 실제로 장착된 예시 평면도 인셈이다.
공뢰(1)를 안쪽 벨트(19)가 감싸고 있다. 그 벨트(19)(8)들이 흔들려 장착된 공뢰가 이탈하지 못하게 벨트를 잡아 주는 베아링 바퀴(도6(22)(25))의 고정 역할을 하는기둥(20) (21)이 있다.
(도 6(20) (21) 참고)
도 5와 같이 장착하면 보다 많이 장착할수 있다.
도 6은 공뢰쪽의 벨트 (19)와 바깥쪽의 벨트(8)를 잡아주어 공뢰의 이탈을 막는 베아링 바퀴(22)(25)의 설명도이다.
그 베아링 바퀴(22) (25)들은 연결막대(23)(24)로 동체(16)와 연결되어 있다.
기둥 (20)(21) 공간(12). 공뢰(1).베아링 바퀴연결막대26)
도 6은 공뢰를 한줄 한줄의 구조가 이와 같이 되어 있다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벨트가 공뢰를 장착한 옆 단면도이다.
기둥 (20)은 한 개만 그렸지만 그 기둥 (20)에 연결되어 흔들리지 않고 벨트(8)를 안정되게 잡아준다는 설명도이다.
베아링 바퀴는 적당히 드믄드믄 설치해도 되며 벨트를 사이에 두고 본 도면의 (도 7) (22) (26)이나 (27) (22) 처럼 양쪽에서 잡아주면 더욱 좋다.
도 6과 도 7은 벨트를 잡아주는 구조의 설명도이다.
일종의 콘베아인 셈이다.
도 8은 기체의 밑바닥 판이다.
공뢰를 넣어 장착하고 빼내는 구멍 (28)인 것이다.
공뢰 한줄에 구멍 하나씩이다.
밑바닥판 (29)에 모터 (14)도 설치하고 축전지(17)그리고 자동장치(18)도 설치하고 기둥 (20) (21)도 세워 부착시킨다.
기체 내부의 위쪽 천장판은 없어도 되며 설치하더라도 구멍 (28)이 없어도 되므로 도면은 생략한다.
단 천장판과 기체 앞쪽 (7)에 작은구멍을 뚫어 놓아 비행시 기체안으로 바람이 웬만큼 들어와 설치하기 위하여 공뢰를 빼낼 때 공뢰가 잘 빠져나가도록 하면 좋다
여러줄로 공뢰를 장착하고 하늘을 비행할시 한줄씩 한줄씩 차례대로 공뢰를 빼내도록 전파장치의 센서를 모두 연결하여 순서대로 콘베어가 작동하도록 한다.
기체의 비행시 운전방향은 미사일(3)이 한다.
미사일의 분사량을 조절하여 운전을 하며 전파로 지시를 하거나 컴퓨터를 내장하여 방해전파시 알아서 운전설치를 자동으로 하도록 한다.
구멍(28)과 미사일(3)의 거리는 멀리 제작할수록 좋다
그래야 공뢰가 미사일의 불기둥에 타지 않기 때문이다.
공뢰를 설치할 때 방해전파 가루를 함께 뿌리면 더 효과적이다.
도 9는 완성도이다.
완성된 공뢰 설치기(30)가 하늘을 비행하며 하늘에 공뢰(1)를 설치하는 예시도인 것이다.
이와같이 제작하여 본 고안인 공뢰 설치기로 하늘에 공뢰를 아주 드믄드믄 설치하면 그 어떤 적기도 오지 못한다.
그리하여 국토방위를 완수하고 세계평화를 실현하는데 큰 공헌을 할 것이다.

Claims (1)

  1. 기체 (2)안에 콘베어(5)의 벨트(8)가 양쪽에서 공뢰(1)를 내장하고 미사일(3)의 추진력으로 하늘을 비행하며 하늘에 공뢰(1)를 콘베어의 원리로 빼내 공뢰 (1)를 하늘에 띄워 설치하는 공뢰설치기
KR2020000004901U 2000-02-22 2000-02-22 공뢰설치기 KR2001904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901U KR200190406Y1 (ko) 2000-02-22 2000-02-22 공뢰설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901U KR200190406Y1 (ko) 2000-02-22 2000-02-22 공뢰설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0406Y1 true KR200190406Y1 (ko) 2000-08-01

Family

ID=19643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901U KR200190406Y1 (ko) 2000-02-22 2000-02-22 공뢰설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040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0089B2 (en) Weight-shifting coaxial helicopter
CN109641664B (zh) 具备气囊装置的小型飞行体
US9074858B2 (en) Projectile-deployed countermeasure system
US10814968B2 (en) Hinge mechanism for a weight-shifting coaxial helicopter
US8375837B2 (en) Catch and snare system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US8919702B2 (en) Space debris removal using upper atmosphere
KR101260370B1 (ko) 회전익 비행체 로봇 보호용 복합 구조
CN103646444A (zh) 一种水上漂浮飞行参数记录器
KR20190133120A (ko) 인공위성 발사체
FI65200B (fi) Anordning foer transport och loesgoering av ett flertal laddningar som aer faesta vid ett transportmedel med tillhjaelp avngreppet mellan ett oera hos transportmedlet och upphaen igngsanordningar hos laddningar
US8960092B2 (en) Device for setting off an avalanche
KR200190406Y1 (ko) 공뢰설치기
US3495532A (en) Antitank land mine
US2992793A (en) Aircraft provided with a device for hurling a location signal emitter in cases of accidents
US3282539A (en) Recovery system
JPH03176298A (ja) パラシユートの開傘時間を短縮する方法と装置
RU11646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рушения крупногабаритных космических аппаратов
RU2497715C1 (ru) Система мягкой посадки многоразовой ракетной ступени
CN103471472A (zh) 一种发射微型火箭推进特种弹的空中反恐装置
CN108583883A (zh) 带有信号中继机构的无人机
RU150809U1 (ru) Модульный беспилотный летательный аппарат для подводных лодок
CN110857146B (zh) 搭载多架旋翼无人机的运载系统
CN205872483U (zh) 一种小型无人机载荷翻转收放机构
JP2007118916A (ja) 流星現象を発生させる宇宙機
KR20220028413A (ko) 연소탄 사출식 인공강우용 로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