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9845Y1 - 전기 계량기용 접속 슬리브단자 - Google Patents

전기 계량기용 접속 슬리브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9845Y1
KR200189845Y1 KR2020000001993U KR20000001993U KR200189845Y1 KR 200189845 Y1 KR200189845 Y1 KR 200189845Y1 KR 2020000001993 U KR2020000001993 U KR 2020000001993U KR 20000001993 U KR20000001993 U KR 20000001993U KR 200189845 Y1 KR200189845 Y1 KR 2001898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hamber
partition
sidewall
side wal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19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기종
Original Assignee
손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기종 filed Critical 손기종
Priority to KR20200000019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98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98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98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1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crew or screws

Landscapes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수납실을 전, 후로 배치함으로써, 계량기 박스 내에서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전기 계량기용 접속 슬리브단자가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접속 슬리브단자는 제 1 측벽, 제 2 측벽 및 제 1 측벽과 제 2 측벽의 상단과 하단에는 제 1 상부면 및 제 1 하부면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 1 격벽 및 제 2 격벽이 형성되며 제 1 측벽과 제 1 격벽사이 및 제 2 측벽과 제 2 격벽사이에는 제 1 수납실 및 제 2 수납실이 형성된 제 1 몸체를 구비하고,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에 대응하는 제 3 측벽, 제 4 측벽이 형성되고 제 3 측벽, 제 4 측벽의 상단과 하단에는 제 2 상부면 및 제 2 하부면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제 3 격벽 및 제 4 격벽을 구비하고 제 3 측벽의 내측 중앙부분에서 제 3 격벽 및 제 4 격벽을 지나서 제 4 측벽의 내측 중앙부분까지 연장되는 구획판에 의해서 배면부와 전면부으로 분할되는 제 2 몸체를 구비하며 그리고 제 3 측벽 및 제 4 측벽에 대응하는 제 5 측벽, 제 6 측벽 및 제 5 측벽 및 제 6 측벽의 상단과 하단에는 제 3 상부면 및 제 3 하부면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 5 격벽 및 제 6 격벽을 구비하며 제 5 측벽과 제 5 격벽사이, 제 5 격벽과 제 6 격벽사이 및 제 6 격벽과 제 6 측벽사이에는 제 8 수납실, 제 9 수납실 및 제 10 수납실이 형성된 제 3 몸체를 포함하는 접속 슬리브단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 계량기용 접속 슬리브단자{Connecting sleeve terminal for an electric meter}
본 고안은 전기 계량기용 접속 슬리브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 1 몸체와 제 2 몸체 및 제 2 몸체와 제 3 몸체에 다수의 본선과 다수의 접속선이 수납되는 수납실을 전, 후로 배치함으로써, 안전하고 간편하게 본선과 접속선을 연결할 수 있고, 한정된 계량기 박스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전기 계량기용 접속 슬리브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계량기는 전력의 사용량을 표시하는 것으로써, 전력을 사용하는 공간에는 필수적으로 장착된다. 전기 계량기 내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전선(본선)에 계량기에 연결된 접속선을 연결함으로써 전력사용량을 계량기에 표시하게된다. 이러한, 본선과 접속선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접속 슬리브단자가 사용된다.
접속 슬리브단자는 몸체 내에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접속실을 구비하고 각각의 접속실의 하단측에서 유입되는 본선과 상단측에서 유입되는 접속선을 판형의 접속판을 이용하여 나사결합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접속 슬리브단자는 접속단자에 연결하기 위해서 다수의 절단작업과 연결작업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선과 접속선을 접촉판에 고정할 때 본선과 접속선의 외경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외경이 작은 접속선이 고정되지 않아 단락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제 1 몸체와 제 2 몸체 및 제 2 몸체와 제 3 몸체에 다수의 본선과 다수의 접속선이 수납되는 수납실을 전, 후로 배치함으로써, 안전하고 간편하게 본선과 접속선을 연결할 수 있고, 한정된 계량기 박스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전기 계량기용 접속 슬리브단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 계량기용 접속 슬리브단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2 몸체의 전면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접속 슬리브단자가 계량기 박스에서 전선들과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슬리브단자 110 : 제 1 몸체
121 : 제 1 수납실 122 : 제 2 수납실
130 : 제 2 몸체 142 : 제 3 수납실
143 : 제 4 수납실 150 : 제 5 수납실
151 : 제 6 수납실 152 : 제 7 수납실
160 : 제 3 몸체 171 : 제 8 수납실
172 : 제 9 수납실 173 : 제 10 수납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제 1 측벽, 제 2 측벽를 구비하고 제 1 측벽과 제 2 측벽의 상단과 하단에는 제 1 상부면 및 제 1 하부면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제 1 격벽 및 제 2 격벽이 형성되며, 제 1 측벽과 제 1 격벽사이 및 제 2 측벽과 제 2 격벽사이에는 제 1 수납실 및 제 2 수납실이 형성된 제 1 몸체;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제 3 측벽과 제 4 측벽을 구비하고, 제 3 측벽과 제 4 측벽의 상단과 하단에는 제 2 상부면 및 제 2 하부면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제 3 격벽 및 제 4 격벽을 구비하고, 제 3 측벽의 내측 중앙부분에서 제 3 격벽 및 제 4 격벽을 지나서 제 4 측벽의 내측 중앙부분까지 연장되는 구획판에 의해서 배면부와 전면부으로 분할되는 제 2 몸체, 그리고
제 3 측벽 및 제 4 측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제 5 측벽과 제 6 측벽을 구비하고, 제 5 측벽 및 제 6 측벽의 상단과 하단에는 제 3 상부면 및 제 3 하부면형성되고, 내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제 5 격벽 및 제 6 격벽을 구비하며, 제 5 측벽과 제 5 격벽사이, 제 5 격벽과 제 6 격벽사이 및 제 6 격벽과 제 6 측벽사이에는 제 8 수납실, 제 9 수납실 및 제 10 수납실이 형성된 제 3 몸체를 포함하는 전기 계량기용 접속 슬리브단자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제 1 몸체와 제 2 몸체 및 제 2 몸체와 제 3 몸체에 다수의 본선과 다수의 접속선이 수납되는 수납실을 전, 후로 배치함으로써, 안전하고 간편하게 본선과 접속선을 연결할 수 있고, 한정된 계량기 박스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계량기용 접속 슬리브단자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 계량기용 접속 슬리브단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2 몸체의 전면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접속 슬리브단자(100)는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 1 몸체(110), 제 2 몸체 및 제 3 몸체를 구비한다.
제 1 몸체(110)는 제 1 측벽(111), 제 2 측벽(112) 및 제 1 측벽(111)의 상단과 하단에서부터 제 2 측벽(112)의 상단과 하단까지 연장되는 제 1 상부면(113) 및 제 1 하부면(114)에 의해서 감싸지면서 전면이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제 1 몸체(110)의 내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제 1 격벽(115) 및 제 2 격벽(116)이 형성된다.
제 1 측벽(111)과 제 2 측벽(112)의 중앙부분에는 사각형상의 제 1 결합공(117) 및 제 2 결합공(118)이 형성된다. 제 1 격벽(115) 및 제 2 격벽(116)에는 제 1 관통공(119) 및 제 2 관통공(120)이 형성된다. 제 1 관통공(119) 및 제 2 관통공(120)은 제 1 격벽(111) 및 제 2 격벽(116)의 일측에서 제 1 몸체(110)를 관통하여 배면까지 연장된다.
제 1 측벽(111)과 제 1 격벽(115)사이 및 제 2 측벽(112)과 제 2 격벽(116)사이에는 제 1 수납실(121) 및 제 2 수납실(122)이 형성된다. 제 1 수납실(121) 및 제 2 수납실(122)의 상단에는 반원형의 제 1 인입홈(123) 및 제 2 인입홈(124)이 제 1 상부면(113)에서 제 1 수납실(121) 및 제 2 수납실(122)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제 1 수납실(121) 및 제 2 수납실(122)의 하단에는 반원형의 제 1 인출홈(125) 및 제 2 인출홈(126)이 제 1 하부면(114)에서 제 1 수납실(121) 및 제 2 수납실(122)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 2 몸체(130)는 제 1 측벽(111) 및 제 2 측벽(112)에 대응하는 제 3 측벽(131), 제 4 측벽(132) 및 제 3 측벽(131)의 상단과 하단에서부터 제 4 측벽(132)의 상단과 하단까지 연장되는 제 2 상부면(133) 및 제 2 하부면(134)에 의해서 감싸진다. 제 2 몸체(130)는 내부에는 제 1 격벽(115) 및 제 2 격벽(116)에 대응하는 제 3 격벽(135) 및 제 4 격벽(136)을 구비한다. 한편, 제 2 몸체(130)는 제 3 측벽(131)의 내측 중앙부분에서 제 3 격벽(135) 및 제 4 격벽(136)을 지나서 제 4 측벽(132)의 내측 중앙부분까지 연장되는 구획판(137)에 의해서 배면부(130a)와 전면부(130b)으로 분할된다.
제 2 몸체(130)의 배면부(130a)는 제 1 몸체(110)의 전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제 3 측벽(131) 일측부(131a) 및 제 4 측벽(132) 일측부(132a)는 제 1 결합공(117) 및 제 2 결합공(118)에 끼워지는 제 1 결합돌기(138) 및 제 2 결합돌기(139)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 3 격벽(135) 및 제 4 격벽(136)에는 제 1 관통공(119) 및 제 2 관통공(120)에 대응하는 제 3 관통공(140) 및 제 4 관통공(141)이 형성된다. 제 3 관통공(140) 및 제 4 관통공(141)은 제 3 격벽(135) 및 제 4 격벽(136)의 일측에서 제 2 몸체(130)를 관통하여 전면부(130b)까지 연장된다.
제 3 측벽(131) 일측부(131a)와 제 3 격벽(135) 일측부(135a)사이 및 제 4 측벽(132) 일측부(132a)와 제 4 격벽(136) 일측부(136a)사이에는 제 1 수납실(121) 및 제 2 수납실(122)에 대응하는 제 3 수납실(142) 및 제 4 수납실(143)이 형성된다. 제 3 수납실(142) 및 제 4 수납실(143)의 상단에는 제 1 인입홈(123) 및 제 2 인입홈(124)에 대응하는 반원형의 제 3 인입홈(144) 및 제 4 인입홈(145)이 제 2 상부면(133)에서 제 3 수납실(142) 및 제 4 수납실(143)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제 3 수납실(142) 및 제 4 수납실(143)의 하단에는 제 1 인출홈(125) 및 제 2 인출홈(126)에 대응하는 제 3 인출홈(146) 및 제 4 인출홈(147)이 제 2 하부면(134)에서 제 3 수납실(142) 및 제 4 수납실(143)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도 2에는 제 2 몸체(130)의 전면부(130b)가 도시되어 있다. 제 2 몸체(130)의 전면부(130b)는 배면부(130a)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제 3 측벽(131) 타측부(131b) 및 제 4 측벽(132) 타측부(132b)에는 제 1 결합돌기(138)와 제 2 결합돌기(139)에 대응하는 제 3 결합돌기(148) 및 제 4 결합돌기(149)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 3 측벽(131) 타측부(131b)와 제 3 격벽(135) 타측부(135b)사이, 제 3 격벽(135) 타측부(135b)와 제 4 격벽(136) 타측부(136b)사이 및 제 4 격벽(136) 타측부(136b)와 제 4 측벽(132) 타측부(132b)사이에는 제 5 수납실(150), 제 6 수납실(151) 및 제 7 수납실(152)이 형성된다.
제 5 수납실(150), 제 6 수납실(151) 및 제 7 수납실(152)의 상단에는 반원형의 제 5 인입홈(153), 제 6 인입홈(154) 및 제 7 인입홈(155)이 제 2 상부면(133)에서 제 5 수납실(150), 제 6 수납실(151) 및 제 7 수납실(152)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제 5 수납실(150), 제 6 수납실(151) 및 제 7 수납실(152)의 하단에는 제 5 인출홈(156), 제 6 인출홈(157) 및 제 7 인출홈(158)이 제 2 하부면(134)에서 제 5 수납실(150), 제 6 수납실(151) 및 제 7 수납실(152)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 3 몸체(160)는 제 3 측벽(131) 및 제 4 측벽(132)에 대응하는 제 5 측벽(161), 제 6 측벽(162) 및 제 5 측벽(161)의 상단과 하단에서부터 제 6 측벽(162)의 상단과 하단까지 연장되는 제 3 상부면(163) 및 제 3 하부면(164)에 의해서 감싸진다. 제 3 몸체(160)는 내부에는 제 3 격벽(135) 및 제 4 격벽(136)에 대응하는 제 5 격벽(165) 및 제 6 격벽(166)을 구비한다.
제 5 측벽(161) 및 제 6 측벽(162) 일측에는 제 3 결합돌기(148) 및 제 4 결합돌기(149)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사각형상의 제 3 결합공(167) 및 제 4 결합공(168)이 형성된다. 제 5 격벽(165) 및 제 6 격벽(166)에는 제 3 관통공(140) 및 제 4 관통공(141)에 대응하는 제 5 관통공(169) 및 제 6 관통공(170)이 형성된다. 제 5 관통공(169) 및 제 6 관통공(170)은 제 5 격벽(165) 및 제 6 격벽(166)의 일측에서 제 3 몸체(160)를 관통하여 타측까지 연장된다.
한편, 제 5 측벽(161)과 제 5 격벽(165)사이, 제 5 격벽(165)과 제 6 격벽(166)사이 및 제 6 격벽(166)과 제 6 측벽(162)사이에는 제 8 수납실(171), 제 9 수납실(172) 및 제 10 수납실(173)이 형성된다. 제 8 수납실(171), 제 9 수납실(172) 및 제 10 수납실(173)의 상단에는 제 5 인입홈(156), 제 6 인입홈(157) 및 제 7 인입홈(158)에 대응하는 제 8 인입홈(174), 제 9 인입홈(175) 및 제 10 인입홈(176)이 제 3 상부면(163)에서 제 8 수납실(171), 제 9 수납실(172) 및 제 10 수납실(173)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제 8 수납실(171), 제 9 수납실(172) 및 제 10 수납실(173)의 하단에는 제 5 인출홈(156), 제 6 인출홈(157) 및 제 7 인출홈(158)에 대응하는 제 8 인출홈(177), 제 9 인출홈(178) 및 제 10 인출홈(179)이 제 3 하부면(164)에서 제 8 수납실(177), 제 9 수납실(178) 및 제 10 수납실(179)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접속 슬리브단자가 계량기 박스에서 전선들과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접속 슬리브단자(100)는 복수의 계량기(도시되지 않음), 차단기(도시되지 않음) 및 다수의 본선(10)이 통과하는 계량기 박스(12)내에 장착된다. 먼저, 제 1 몸체(110)의 전방으로 노출된 제 1 수납실(121) 및 제 2 수납실(122)에는 각각의 본선(10)이 배치된다. 각각의 본선(10)은 제 1 인입홈(123) 및 제 2 인입홈(124)을 관통하여 제 1 인출홈(125) 및 제 2 인출홈(126)을 지나 외부로 연장된다. 이때, 제 1 수납실(121) 및 제 2 수납실(122)을 지나는 각각의 본선(10)에 피복물을 제거하고 계량기에서 인출된 각각의 접속선(14)을 피복물이 제거된 본선(10)에 밀착시킨 후에 접속구(16)등을 이용하여 압착시킨다.
이와같은 작업이 끝나면 제 2 몸체(130)의 배면부(130a)를 제 1 몸체(110)에 결합시킨다. 이때, 제 2 몸체(130)에 형성된 제 1 결합돌기(138) 및 제 2 결합돌기(139)는 제 1 몸체(110)에 형성된 제 1 결합공(117) 및 제 2 결합공(118)에 삽입된다. 이렇게, 제 2 몸체(130)의 배면부(130a)가 제 1 몸체(110)에 밀착결합되면 제 3 수납실(142) 및 제 4 수납실(143)은 각각 제 1 수납실(121) 및 제 2 수납실(122)에 밀착된다. 이때, 제 1 인입홈(123) 및 제 2 인입홈(124)을 지나는 각각의 본선(10)은 제 3 인입홈(144) 및 제 4 인입홈(145)에 의해서 밀착되고, 제 1 수납실(121) 및 제 2 수납실(122)에서 각각의 접속선(14)과 연결된 연결부위는 제 3 수납실(142) 및 제 4 수납실(143)에 의해서 보호된다. 또한, 제 1 인출홈(146) 및 제 2 인출홈(147)을 지나는 각각의 본선(10)은 제 3 인출홈(146) 및 제 4 인출홈(147)에 의해서 밀착된다.
한편, 제 2 몸체(130)의 전면부(130b)에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다수의 본선(10)과 다수의 접속선(14)을 각각의 수납실(150, 151, 152)내에서 연결시킨다. 이때, 각각의 수납실(150, 151, 152)을 지나는 본선(10) 중 어느하나에는 접지선(T)을 연결시킨다. 이와같이 다수의 본선(10)에 다수의 접속선(14)이 연결되면 제 3 몸체(160)를 결합시킨다. 제 3 몸체(160)는 제 3 결합공(167) 및 제 4 결합공(168)을 제 2 몸체(130)의 전면부(130b)에 형성된 제 3 결합돌기(148) 및 제 4 결합돌기(149)에 삽입시킨다. 이때, 제 2 몸체(130)의 전면부(130b)로 노출된 각각의 본선(10), 각각의 접속선(140) 및 접지선(T)은 제 3 몸체(160)에 의해서 보호 및 밀착된다.
이렇게, 밀착결합된 제 1 몸체(110), 제 2 몸체(130) 및 제 3 몸체(160)는 제 3 몸체(160)의 전면부에서 제 5 관통공(169) 및 제 6 관통공(170)을 관통하여 제 2 몸체(130)의 제 3 관통공(140) 및 제 4 관통공(141)을 지나 제 1 몸체(110)의 제 1 관통공(119) 및 제 2 관통공(120)에 체결되는 복수의 나사(180)에 의해서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전기 계량기용 접속 슬리브단자(100)는 제 1 몸체(110), 제 2 몸체(130) 및 제 3 몸체(160)에 다수의 수납실(121, 122, 142, 143, 150, 151, 152, 171, 172, 173)내에서 본선(10)과 접속선(14)을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공정을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선(10) 및 접속선(14)을 전후로 배치하여 슬리브단자(100)의 길이를 작게 형성함으로써, 수납공간이 적은 계량기 박스(12)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제 1 측벽(111)과 제 2 측벽(112)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측벽(111)과 상기 제 2 측벽(112)의 상단과 하단에는 제 1 상부면(113) 및 제 1 하부면(114)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제 1 격벽(115) 및 제 2 격벽(116)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측벽(111)과 상기 제 1 격벽(115)사이 및 상기 제 2 측벽(112)과 상기 제 2 격벽(116)사이에는 제 1 수납실(121) 및 제 2 수납실(122)이 형성된 제 1 몸체(110);
    상기 제 1 측벽(111) 및 상기 제 2 측벽(112)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제 3 측벽(131)과 제 4 측벽(132)을 구비하고, 상기 제 3 측벽(131)과 상기 제 4 측벽(132)의 상단과 하단에는 제 2 상부면(133) 및 제 2 하부면(134)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제 3 격벽(135) 및 제 4 격벽(136)을 구비하고, 상기 제 3 측벽(131)의 내측 중앙부분에서 상기 제 3 격벽(135) 및 상기 제 4 격벽(136)을 지나서 상기 제 4 측벽(132)의 내측 중앙부분까지 연장되는 구획판(137)에 의해서 배면부(130a)와 전면부(130b)으로 분할되는 제 2 몸체(130); 그리고
    상기 제 3 측벽(131) 및 상기 제 4 측벽(132)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제 5 측벽(161)과 제 6 측벽(162)을 구비하고, 상기 제 5 측벽(161) 및 상기 제 6 측벽(162)의 상단과 하단에는 제 3 상부면(163) 및 제 3 하부면(164)형성되고, 내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제 5 격벽(165) 및 제 6 격벽(166)을 구비하며, 상기 제 5 측벽(161)과 상기 제 5 격벽(165)사이, 상기 제 5 격벽(165)과 상기 제 6 격벽(166)사이 및 상기 제 6 격벽(166)과 상기 제 6 측벽(162)사이에는 제 8 수납실(171), 제 9 수납실(172) 및 제 10 수납실(173)이 형성된 제 3 몸체(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계량기용 접속 슬리브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부(130a)에서 상기 제 3 측벽(131) 일측부(131a)와 상기 제 3 격벽(135) 일측부(135a)사이 및 상기 제 4 측벽(132) 일측부(132a)와 상기 제 4 격벽(136) 일측부(136a)사이에는 상기 제 1 수납실(121) 및 상기 제 2 수납실(122)에 대응하는 제 3 수납실(142) 및 제 4 수납실(14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130b)에서 상기 상기 제 3 측벽(131) 타측부(131b)와 상기 제 3 격벽(135) 타측부(135b)사이, 상기 제 3 격벽(135) 타측부(135b)와 상기 제 4 격벽(136) 타측부(136b) 및 상기 제 4 측벽(132) 타측부(132b)와 상기 제 4 격벽(136) 타측부(136b)사이에는 제 5 수납실(150), 제 6 수납실(151) 및 제 7 수납실(152)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계량기용 접속 슬리브단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벽(111) 및 상기 제 2 측벽(112)의 중앙부분에는 사각형상의 제 1 결합공(117) 및 제 2 결합공(118)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측벽(131) 상기 일측부(131a) 및 상기 제 4 측벽(132) 상기 일측부(132b)에는 상기 제 1 결합공(117) 및 상기 제 2 결합공(118)에 끼워지는 제 1 결합돌기(138) 및 제 2 결합돌기(139)가 형성되며, 상기 제 3 측벽(131)의 상기 타측부(131b) 및 상기 제 4 측벽(132)의 상기 타측부(132b)에는 상기 제 1 결합돌기(138) 및 상기 제 2 결합돌기(139)에 대응하는 제 3 결합돌기(148) 및 제 4 결합돌기(149)가 형성되고, 상기 제 5 측벽(161) 및 상기 제 6 측벽(162)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제 3 결합돌기(148) 및 상기 제 4 결합돌기(149)가 끼워지는 제 3 결합공(167) 및 제 4 결합공(16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계량기용 접속 슬리브단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격벽(115) 및 상기 제 2 격벽(116)에는 상기 제 1 격벽(111) 및 상기 제 2 격벽(116)의 일측에서 상기 제 1 몸체(110)를 관통하여된 복수의 제 1 관통공(119) 및 제 2 관통공(120)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격벽(135) 및 상기 제 4 격벽(136)에는 상기 제 1 관통공(119)과 상기 제 2 관통공(120)과 연통되는 제 3 관통공(140) 및 제 4 관통공(141)이 상기 배면부(130a)에서 상기 제 2 몸체(130)를 관통하여 상기 전면부(130b)까지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 5 격벽(165) 및 상기 제 6 격벽에는 상기 제 3 관통공(140) 및 상기 제 4 관통공(141)과 연통되는 제 5 관통공(169) 및 제 6 관통공(170)이 상기 제 3 몸체(160)의 일측에서 상기 제 3 몸체(160)를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계량기용 접속 슬리브단자.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납실(121) 및 상기 제 2 수납실(122)의 상단에는 반원형의 제 1 인입홈(123) 및 제 2 인입홈(124)이 상기 제 1 상부면(113)에서 상기 제 1 수납실(121) 및 상기 제 2 수납실(122)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수납실(121) 및 상기 제 2 수납실(122)의 하단에는 반원형의 제 1 인출홈(125) 및 제 2 인출홈(126)이 상기 제 1 하부면(114)에서 상기 제 1 수납실(121) 및 상기 제 2 수납실(122)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 3 수납실(142) 및 상기 제 4 수납실(143)의 상단에는 상기 제 1 인입홈(123) 및 상기 제 2 인입홈(124)에 대응하는 제 3 인입홈(144) 및 제 4 인입홈(145)이 상기 제 2 상부면(133)에서 상기 제 3 수납부(142) 및 상기 제 4 수납부(143)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 3 수납부(142) 및 상기 제 4 수납부(143)의 하단에는 상기 제 1 인출홈(125) 및 상기 제 2 인출홈(126)에 대응하는 제 3 인출홈(146) 및 제 4 인출홈(147)이 상기 제 2 하부면(134)에서 상기 제 3 수납실(142) 및 상기 제 4 수납실(143)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계량기용 접속 슬리브단자.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수납실(150), 상기 제 6 수납실(151) 및 상기 제 7 수납실(152)의 상단에는 반원형의 제 5 인입홈(153), 제 6 인입홈(154) 및 제 7 인입홈(155)이 상기 제 2 상부면(133)에서 상기 제 5 수납실(150), 상기 제 6 수납실(151) 및 상기 제 7 수납실(152)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 5 수납실(150), 상기 제 6 수납실(151) 및 상기 제 7 수납실(152)의 하단면에는 반원형의 제 5 인출홈(156), 제 6 인출홈(157) 및 제 7 인출홈(158)이 상기 제 2 하부면(134)에서 상기 제 5 수납실(150), 상기 제 6 수납실(151) 및 상기 제 7 수납실(152)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 8 수납실(171), 상기 제 9 수납실(172) 및 상기 제 10 수납실(173)의 상단에는 상기 제 5 인입홈(153), 상기 제 6 인입홈(154) 및 상기 제 7 인입홈(155)에 대응하는 제 8 인입홈(174), 제 9 인입홈(175) 및 제 10 인입홈(176)이 상기 제 3 상부면(163)에서 상기 제 8 수납실(171), 상기 제 9 수납실(172) 및 상기 제 10 수납실(173)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기 제 8 수납실(171), 상기 제 9 수납실(172) 및 상기 제 10 수납실(173)의 하단에는 상기 제 5 인출홈(156), 제 6 인출홈(157) 및 제 7 인출홈(158)에 대응하는 제 8 인출홈(177), 제 9 인출홈(178) 및 제 10 인출홈(179)이 상기 제 8 수납실(171), 상기 제 9 수납실(172) 및 상기 제 10 수납실(173)관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계량기용 접속 슬리브단자.
KR2020000001993U 2000-01-25 2000-01-25 전기 계량기용 접속 슬리브단자 KR2001898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993U KR200189845Y1 (ko) 2000-01-25 2000-01-25 전기 계량기용 접속 슬리브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993U KR200189845Y1 (ko) 2000-01-25 2000-01-25 전기 계량기용 접속 슬리브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9845Y1 true KR200189845Y1 (ko) 2000-07-15

Family

ID=19639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993U KR200189845Y1 (ko) 2000-01-25 2000-01-25 전기 계량기용 접속 슬리브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984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421B1 (ko) 2010-10-14 2011-12-26 박선준 슬리브 단자대
WO2013181146A1 (en) * 2012-05-31 2013-12-05 Emerson Network Power Connectivity Solutions, Inc. Modular rf connector system
KR101457113B1 (ko) * 2013-06-13 2014-10-31 주식회사 현대이에스지 전력계량기 접속분기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421B1 (ko) 2010-10-14 2011-12-26 박선준 슬리브 단자대
WO2013181146A1 (en) * 2012-05-31 2013-12-05 Emerson Network Power Connectivity Solutions, Inc. Modular rf connector system
US8888519B2 (en) 2012-05-31 2014-11-18 Cinch Connectivity Solutions, Inc. Modular RF connector system
CN104350648A (zh) * 2012-05-31 2015-02-11 艾默生网络能源连接解决方案股份有限公司 模块化射频连接器系统
US9190786B1 (en) 2012-05-31 2015-11-17 Cinch Connectivity Solutions Inc. Modular RF connector system
CN104350648B (zh) * 2012-05-31 2016-10-26 Cinch连接解决方案股份有限公司 模块化射频连接器系统
KR101457113B1 (ko) * 2013-06-13 2014-10-31 주식회사 현대이에스지 전력계량기 접속분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7730A (en) Electric connector
KR100659184B1 (ko) 조인트 커넥터
RU2000107795A (ru) Чемодан для инструментов, содержащий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ин кабельный барабан
KR200189845Y1 (ko) 전기 계량기용 접속 슬리브단자
KR200263495Y1 (ko) 전선 수용 공간이 구비된 멀티 콘센트
JPS61133978U (ko)
CN109786991B (zh) 一种电缆转接接头
KR101098421B1 (ko) 슬리브 단자대
CN202616418U (zh) 插槽式墙壁电源装置
CN210468222U (zh) 一种便于安装的插座
CN210193100U (zh) 一种收线盒
CN102651513B (zh) 插槽式墙壁电源装置
KR200186275Y1 (ko) 파티션용 배선홀더
CN210693346U (zh) 线槽接头
CN219554314U (zh) 壁挂式电源箱及其箱体
CN212587772U (zh) 一种紧凑型插座
KR0129093Y1 (ko) 전선분기용 터미널 블록
CN216354580U (zh) 一种车载冰箱的双电池供电结构
KR200198504Y1 (ko) 소켓이 겸비된 전기 플러그
CN210224335U (zh) 一种连接座及应用其的适配器电路组件
CN206271574U (zh) 可串接开关盒座
KR200343293Y1 (ko) 광분배함을 포함하는 세대단자함의 구조
CN201937064U (zh) 一种一字型通用插头
KR20090106426A (ko) 박스형 멀티탭
JP2948792B2 (ja) 端子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1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