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9703Y1 - 밀짚모자 - Google Patents

밀짚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9703Y1
KR200189703Y1 KR2020000004710U KR20000004710U KR200189703Y1 KR 200189703 Y1 KR200189703 Y1 KR 200189703Y1 KR 2020000004710 U KR2020000004710 U KR 2020000004710U KR 20000004710 U KR20000004710 U KR 20000004710U KR 200189703 Y1 KR200189703 Y1 KR 2001897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hat
direct sunlight
straw
ha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7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효우
정흥원
Original Assignee
유효우
정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효우, 정흥원 filed Critical 유효우
Priority to KR20200000047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97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97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97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45Eye-shades or visors; Shields beside, between or below the e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밀짚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외 활동시 직사광선을 차단하기 위하여 머리에 쓰는 밀짚모자의 후면에 직사광선 차단 천을 일체로 형성하여 직사광선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밀짚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밀짚모자의 반을 길이 방향으로 절취한 후 절취부에 직사광선 차단 천을 덧대어 직사광선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밀짚모자의 하단부에는 사용자의 두상에 맞게 조절 가능한 조절구가 체결된 조절끈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후면부에는 고무밴드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두상과 밀짚모자를 밀착되도록 하여 밀짚모자가 바람 등에 의하여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밀짚모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밀짚모자{ Straw hat}
본 고안은 밀짚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외 활동시 직사광선을 차단하기 위하여 머리에 쓰는 밀짚모자의 후면에 직사광선 차단 천을 일체로 형성하여 직사광선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밀짚모자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밀짚을 여러 갈래로 엮어 재단한 밀짚모자는 원주형으로 차양이 형성되고, 차양의 테두리는 직물지를 덧대어 형성된 것으로 무더운 날씨에 야외에서 많은 활동 및 일을 하는 사람 특히 시골에서 논이나 밭일을 하는 농부들이나 야외에서 일하는 일꾼들이 직사광선을 차단하기 위하여 주로 많이 쓰고 일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밀짚모자는 차양 크기의 한계가 있어 직사광선을 막아 주는 데에 한계가 있어 얼굴이나 목 등이 외부로 장시간 노출되는 관계로 직사광선에 의하여 화상을 입게되고 장시간 직사광선을 쏘이게 되면 일사병에 걸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직사광선을 차단하기 위하여 밀짚모자를 쓰기 전에 먼저 수건 등의 천을 머리의 위쪽에 댄 후 모자를 쓰므로 노출되어 있는 피부를 보호하여 화상 등을 방지하였으나 이는 수건과 모자를 별도로 휴대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수건 등을 머리에 댄 후 모자를 쓰므로 공기가 잘 통하지 않아 땀이 차게 되어 각종 질병에 걸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밀짚모자의 반을 길이 방향으로 절취한 후 절취부에 직사광선 차단 천을 덧대어 직사광선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밀짚모자의 하단부에는 사용자의 두상에 맞게 조절 가능한 조절구가 체결된 조절끈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후면부에는 고무밴드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두상과 밀짚모자를 밀착되도록 하여 밀짚모자가 바람 등에 의하여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밀짚모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밀짚모자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밀짚모자의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밀짚모자를 착용한 상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밀짚모자 2: 차양 3: 천 4: 조절끈
5: 조절구 6: 고무밴드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밀짚모자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밀짚모자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밀짚모자(1)는 밀짚으로 여러 갈래로 엮어 재단하여 차양(2)이 형성된 밀짚모자(1)를 구성함에 있어 밀짚모자(1)의 전면부 ½ 정도를 차양(2)으로 구성하며, 그 후면에 직사광선 차단 천(3)을 덧대어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절취부 양 끝단부에 조절구(5)가 끼워진 조절끈(4)을 길게 구비하여 사용자의 두상에 맞게 조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절취부 후면 안쪽으로 고무밴드(6)를 형성하여 밀짚모자(1)가 사용자의 두상과 밀착 고정되도록 하여 바람 등에 의하여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밀짚모자는 도 3에서와 같이 밀짚모자(1)의 ½ 정도가 직사광선을 차단하는 천(3)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밀짚모자(1)를 썼을 때 직사광선 차단 천(3)이 사용자의 어깨와 노출되어 있는 피부를 감싸게 위치하게 되어 피부를 직사광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밀짚모자(1)를 착용시 조절끈(4)을 사용자의 두상에 맞게 조절한 후 조절구(5)로 사용자의 턱에 걸리도록 고정을 시키고, 상기 고무밴드(6)로 머리 뒤쪽을 받쳐 주어 밀짚모자(1)가 바람 등에 의하여 벗겨짐 없이 착용할 수 있으며, 밀짚모자(1)와 직사광선 차단 천(3)을 일체로 형성하여 착용하므로 별도의 천을 준비할 필요가 없고, 공기가 잘 통하는 얇은 천을 덧대므로 노출된 피부를 보호함과 모자의 내부로 공기의 통풍이 잘되어 착용하여 활동을 할 때 발생되는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여 땀 등에 의하여 발생되는 각종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밀짚모자와 직사광선 차단 천을 일체로 형성하므로 휴대에 편리하고 얇은 천을 사용하므로 모자의 내부로 공기가 잘 통하여 땀이 차는 것이 방지되므로 방지하여 땀에 의하여 발생되는 각종 질병을 예방 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다수의 밀짚을 반 밀짚모자(1) 형상의 차양(2)으로 엮어 전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차양(2)의 후면에 직사광선 차단 천(3)을 덧대어 상기 차양(2)과 일체로 후면부를 형성하며, 상기 차양(2) 후단의 양단부에 조절구(5)가 끼워진 조절끈(4)을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차양(2) 후단의 양단부 사이의 적소에 머리 뒤쪽을 지지하는 고무밴드(6)를 형성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짚모자.
KR2020000004710U 2000-02-21 2000-02-21 밀짚모자 KR2001897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710U KR200189703Y1 (ko) 2000-02-21 2000-02-21 밀짚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710U KR200189703Y1 (ko) 2000-02-21 2000-02-21 밀짚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9703Y1 true KR200189703Y1 (ko) 2000-07-15

Family

ID=19643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710U KR200189703Y1 (ko) 2000-02-21 2000-02-21 밀짚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97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0012B2 (en) Hat and face mask with ear warmer
US8769723B1 (en) Hat with ear warmer
US5875488A (en) Headgear with ponytail pull-through
US7971278B2 (en) Hat cover and frame
US7055179B2 (en) Headwear with integrated elasticized sweatband
KR100866347B1 (ko) 모자에 장착하는 햇빛 차단용 얼굴가리개
US6079052A (en) Headgear with removable forwardly extending side flaps
US5930842A (en) Protective ear covering
US20220330643A1 (en) Topless Bucket Hat
US20120047628A1 (en) Protective ear shades
US6748606B1 (en) Size adjustable hat including a removable sweatband
JP3219279U (ja) 日除け帽子
KR200399093Y1 (ko)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
KR200189703Y1 (ko) 밀짚모자
KR200471010Y1 (ko)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모자
KR200399101Y1 (ko) 차양보조구
KR200457080Y1 (ko) 모자용 햇빛 가리개
KR100280152B1 (ko) 차양모와수건으로구성된햇빛가리개
KR200366134Y1 (ko) 위생모자
KR200282400Y1 (ko) 모자
KR101626963B1 (ko) 모자 결합형 타월
US8819868B2 (en) Protective ear shades
KR200363377Y1 (ko) 차양모자
US11832673B2 (en) Protective headgear device
KR200194379Y1 (ko) 바람에 의한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