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9260Y1 - 유체 이송장치에 부착되는 라이너 - Google Patents

유체 이송장치에 부착되는 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9260Y1
KR200189260Y1 KR2020000004409U KR20000004409U KR200189260Y1 KR 200189260 Y1 KR200189260 Y1 KR 200189260Y1 KR 2020000004409 U KR2020000004409 U KR 2020000004409U KR 20000004409 U KR20000004409 U KR 20000004409U KR 200189260 Y1 KR200189260 Y1 KR 2001892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r
unit
present
square mesh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4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범
Original Assignee
김기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범 filed Critical 김기범
Priority to KR20200000044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92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92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92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1/00Pla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arrangement of the jet pipe or nozzle; Jet pipes or nozzles peculiar thereto
    • F02K1/06Varying effective area of jet pipe or nozzle
    • F02K1/12Varying effective area of jet pipe or nozzle by means of pivoted fl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materials for flexible l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각 메쉬메트 상에 육각형의 단위라이너를 일정하게 부착하여 이를 물질을 수송하는 파이프 또는 호퍼등에 부착하여 물질수송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부식 및 마모에 오래 견딜 수 있도록 하는 유체 이송장치에 부착되는 라이너에 관한 것으로, 이는 사각 매쉬메트와, 상기 사각 매쉬메트에 단위라이너를 접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단위라이너가 다수개로 밀집 배열되어 유체의 유동방향과 상기 단위라이너의 접합이음부가 나라하지 않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또한, 상기 단위라이너가 육각형의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유체 이송장치에 부착되는 라이너{A LINER ATTACHED A FLUID TRANSFER DEVICE}
본 고안은 유체 이송장치에 부착되는 라이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각 메쉬메트 상에 육각형의 단위라이너를 일정하게 부착하여 이를 물질을 수송하는 파이프 또는 호퍼등에 부착하여 물질수송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부식 및 마모에 오래 견딜 수 있도록 하는 유체 이송장치에 부착되는 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 발전소, 광산, 시멘트, 유리공장 등에서 가스, 액체 또는 고체 물질을 이송하는 시설에서는 이송되는 물질의 특성상 파이프나 호퍼등의 내부가 부식, 마모, 오염되어 이를 보호할 목적으로 금속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중에서도 파이프나 호퍼 내부에 별도의 라이너를 부착하여 마모된 라이너을 교체함으로서 파이프나 호퍼 등을 부식, 마모, 오염 등으로 부터 보호하고 있다.
첨부도면 도 1에서는 종래의 라이너의 일예를 들어 설명한 도면으로서, 이는 파이프나 호퍼등에 직사각형의 단위라이너(2)를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하여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라이너(1)는 파이프나 호퍼(도면상 미도시) 등에 각각의 단위라이너(2)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부착하여 설치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위라이너(2)가 직사각형태로 이루어져 곡관 등에는 부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접착된 단위라이너(2) 사이에서 마모가 심하게 이루어져 자주 라이너(1)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접착된 단위라이너(2) 사이와 미분이나 슬러지의 유동방향이 일치함으로서,상대적으로 접착이음부(3)가 미분이나 슬러지에 의해 마모가 심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도면상 화살표 방향이 유체의 유동방향임)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접착된 단위라이너 사이와 미분이나 스러지의 유동방향이 일치하지 않도록 하는 라이너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곡관등에 손쉽게 부착할 수 있는 라이너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사각 메쉬메트 표면에 다수의 세라믹라이너를 부착하여 이를 관 또는 호퍼 등에 부착함으로서 설치가 손쉽을 뿐만 아니라 설치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라이너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라이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라이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라이너가 직선관에 적용된 것을 나타낸 일부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라이너가 곡관에 적용된 것을 나타낸 일부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라이너가 호퍼에 적용된 것을 나타낸 일부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라이너 10: 사각 매쉬메트
20: 단위라이너 21:접합이음부
이러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각 매쉬메트와, 상기 사각 매쉬메트에 단위라이너를 접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단위라이너가 다수개로 밀집 배열되어 유체의 유동방향과 상기 단위라이너의 접합이음부가 나라하지 않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단위라이너가 육각형의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의 도 2에서는 본 고안의 단위라이너가 사각 매쉬메트에 부착된 상태를 상세히 나타내고 있으며, 이의 도면에서 부호 100은 본 고안에 따른 라이너를 표시하고 있다.
라이너(100)는 사각 메쉬메트(10)와, 이의 표면에 부착되는 단위라이너(20)로 크게 구성되어져 있다.
사각 메쉬메트(10)는 섬유질로 이루어지는게 본 고안에서는 보다 바람직하다.
단위라이너(10)는 내마모성이 우수한 세라믹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형태는 육각형으로 이루어지는게 보다 바람직하다.
즉, 단위라이너(10)를 육각형으로 형성함으로서, 유체의 유동방향과 육각형의 한변이 직각 상태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단위라이너(20)의 접합이음부(21)에는 유체의 흐름에 어떠한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또한, 육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단위라이너(20)를 일정한 간격으로 사각 메쉬메트(10) 상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단위세라믹(20)을 육각형으로 이루어 지는게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오각,칠각,팔각 어떠한 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접합이음부 (21)와 유체의 유동방향이 나란하지 않으면 되는 것이다.(도면상 화살표 방향이 유체의 유동방향임)
첨부도면 도 3에서는 본 고안이 직선관(30)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로서, 이는 관 내측에 단위라이너(20)가 부착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첨부도면 도 4에서는 본 고안이 곡관(40)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로서, 이는 엘보우 등의 유체의 흐름이 변경되는 곡관(40) 등에 본 고안이 적용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본 고안의 라이너(100)는 곡면 등에도 쉽게 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첨부도면 도 5에서는 본 고안이 호퍼(50)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로서, 이는 호퍼(5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진 것을 나타내고 있다.
계속해서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섬유질로 이루어진 사각 매쉬메트(10)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육각형의 단위라이너(20)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한다.
그리고, 이를 부식 또는 마모가 심하게 발생하는 관(30)(40) 또는 호퍼(50) 등의 내측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부착하면 되는 것이다.
즉, 섬유질의 사각메쉬메트(10) 이면이 쉽게 관(30)(40) 또는 호퍼(50) 등에 접착이 이루어져 설치시간이 단축되는 것이다.
이렇게 부착된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직선관(30), 곡관(40) 및 호퍼(50) 등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미분이나 스러지 등이 유동되더라도 첨부도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체의 유동방향과 단위라이너 (20)의 접착이음부(21)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접착이음부(21)에서는 마모가 이루어 지지 않는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라이너는 사각 메쉬메트 표면에 다수의 세라믹라이너를 부착하여 이를 관 또는 호퍼 등에 부착함으로서 설치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유체의 유동방향과 단위세라믹의 접착이음부가 일치하지 않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육각형의 단위 라이너를 다수개 부착함으로서, 곡관 등에도 손쉽게 부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사각 매쉬메트(10);
    상기 사각 매쉬메트(10)의 표면에 단위라이너(20)를 접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송장치에 부착되는 라이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라이너(20)를 상기 사각 매쉬메트(10)에 다수개로 밀집 배열하되, 유체의 유동방향과 상기 단위라이너(20)의 접합이음부(21)가 나란하지 않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송장치에 부착되는 라이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라이너(20)가 육각형의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송장치에 부착되는 라이너.
KR2020000004409U 2000-02-18 2000-02-18 유체 이송장치에 부착되는 라이너 KR2001892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409U KR200189260Y1 (ko) 2000-02-18 2000-02-18 유체 이송장치에 부착되는 라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409U KR200189260Y1 (ko) 2000-02-18 2000-02-18 유체 이송장치에 부착되는 라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9260Y1 true KR200189260Y1 (ko) 2000-07-15

Family

ID=19642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409U KR200189260Y1 (ko) 2000-02-18 2000-02-18 유체 이송장치에 부착되는 라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92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2445A (en) Pipe section, especially for abrasive and/or corrosive material pipelines
US4684155A (en) Pipe elbow with abrasion resistant composite inner liner and method for forming
AU2004205186B2 (en) Cyclone with in-situ replaceable liner system and method for accomplishing same
US9885448B2 (en) Rubber polyurethane liner
US5388317A (en) Method for reinforcing and repairing equipment parts and components subjected to heavy abrasive wear
US20090084457A1 (en) Transfer pipe of dried concentrate and breakage detecting method of transfer pipe
GB2023763A (en) Ceramic lined conduit
KR200189260Y1 (ko) 유체 이송장치에 부착되는 라이너
US4617822A (en) Tell-tale wear monitor for pipes having wear resistant inner linings
JP3139532B2 (ja) 固形物の空気輸送管路の摩耗部補修方法および補修用複合体
DE19859733B9 (de) Vorrichtung für den Transport von Feststoffpartikel aufweisenden Medien, die zum Schutz vor Abrasion zumindest einen auf zumindest einen Tragkörper aufgeklebten Schleißkörper aufweist
GB2166120A (en) Linings
US10883646B2 (en) Pipe for pipeline infrastructures
GB1563784A (en) Pipes and pipe elbows
NZ240092A (en) Reinforcing and repairing pipe journals, joints and bends subjected to
JPS6354235A (ja) 耐摩耗管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76989Y1 (ko) 엘보우관의 보강구조
DE59508789D1 (de) Verfahren zur Verhinderung der raschen Rissausbreitung bei Kunststoffrohren und nach dem Verfahren hergestellte Kunststoffrohre
SU168112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осстановлени трубопроводного соединени
KR100725219B1 (ko) 연결용슬리브를 가지는 바잘트관
JPH05272666A (ja) 二重配管およびその継手部
EP1970331A1 (en) Antiwear protection system using antiwear inserts
Buchholtz Pipe-jacking using stoneware pipe for underground service pipes
CZ7268U1 (cs) Otčruvzdorný potrubní ohyb
JPS61175387A (ja) 弾性伸縮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