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382Y1 - 정수기용 안전 콕크밸브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안전 콕크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382Y1
KR200188382Y1 KR2020000003637U KR20000003637U KR200188382Y1 KR 200188382 Y1 KR200188382 Y1 KR 200188382Y1 KR 2020000003637 U KR2020000003637 U KR 2020000003637U KR 20000003637 U KR20000003637 U KR 20000003637U KR 200188382 Y1 KR200188382 Y1 KR 2001883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ock valve
water purifier
hot wat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36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돈
Original Assignee
주원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봉 filed Critical 주원봉
Priority to KR20200000036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3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3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3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74Safety or war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67D3/047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with a closing element having a rotational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특히 어린아이가 고온의 정수기 온수를 취출할 때에 익숙치못한 손놀림에 따라 손에 화상을 입게되는 불상사로부터 어린이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제안된 정수기용 안전 콕크밸브에 관한 것인바,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콕크밸브 본체에 설치된 밀폐 샤프트의 상단과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된 후 토출구 하단에서 탄력적인 전/후 이동을 통해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레버를 갖는 정수기용 콕크밸브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단에 접촉된 채 레버 이동시 지렛대의 역할 기능이 가능할 수 있도록 전면하단에 반원형 요홈부를 형성하여 레버와 일체화된 좌/우 한 쌍의 지지축; 및 상기 양 지지축 사이에 축 결합되어 탄력적 회동이 가능토록 스프링이 감착되고, 그 하단에는 요홈부에 끼워질 수 있는 환봉과, 상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잠금버튼이 구비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수기용 안전 콕크밸브{COCK-VALVE}
본 고안은 냉온 정수기에 적용되는 콕크밸브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린아이가 고온의 정수기 온수를 취출할 때에 익숙치못한 손놀림에 따라 손에 화상을 입게되는 불상사로부터 어린이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제안된 정수기용 안전 콕크밸브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급속하게 그 사용량이 늘고 있는 각종 냉온 정수기는 보다 청정하고도 위생적인 물을 원하는 대다수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점차 증가일로에 있다.
즉, 업무용 사무실을 포함하여 은행, 병원 등 각종 공공건물은 물론이고 일반 가정에서도 그 도입량이 늘고 있음이 현 실정이다.
주지하다시피, 대게의 정수기는 전기식 냉온시스템을 채택하고 있으며, 소정의 여과과정을 거친 청정한 물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냉각시키거나 혹은 고온으로 급속하게 올려주어 필요한 용도에 적절히 활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정수기의 콕크밸브 작동구조는 그 대부분이 레버에 컵을 밀착시킨 후 레버를 뒤로 밀어주게 되면 지렛대의 원리로 레버가 밀려진 거리만큼 내부에서 스프링에 의해 하향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밀폐 샤프트가 위로 당겨지게 됨으로 관로가 개방되어 비로소 냉온수 등이 적절히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때, 어른들의 사용과는 달리 어린아이가 콕크밸브를 사용할 때에는 그 손놀림이 익숙하지 않거나 혹은 레버를 밀어주는 힘이 부족하여 다른 손을 이용하여 레버를 밀어주는 경우가 발생하거나 혹은 두손을 이용하여 레버를 조작하게 됨으로서 특히 고온의 온수를 취출할 경우에는 매우 위험한 상황이 예견되는 것이다.
즉, 고온의 물이 손에 직접적으로 마주 닿게 됨으로서 손에 심각한 화상을 입게될 우려가 매우 큰 것이고 또 현실적으로 이러한 사례가 급증하고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대책의 수립이 절실해진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온수용 콕크밸브에 별도의 잠금버튼구조를 부설하여 상기 잠금버튼을 해제하지 아니하고는 레버를 뒤로 밀어도 온수가 취출될 수 없도록 하여 사용자의 주위 환기와 보다 안전한 사용을 보장하기 위한 것인데, 만일 레버를 역지 동작으로 앞으로 당길 경우에는 위 잠금버튼의 해제여부와 무관하게 취출될 수 있으며, 이 경우는 레버를 파지하고 있는 손이 토출구와 적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어 부상우려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음에 기인한 것으로 간편한 사용과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그 유용성이 큰 정수기용 안전 콕크밸브를 제공함에 안출된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콕크밸브의 전체적인 외형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콕크밸브에 있어, 레버의 작동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내부 구성 상태를 도시해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있어, 레버의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a : 토출구
2 : 레버 3 : 밀폐 샤프트
4,6 : 스프링 5 : 지지축
5a : 요홈부 7 : 잠금버튼
7a : 환봉 7b : 걸림턱
7c : 손잡이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콕크밸브 본체에 설치된 밀폐 샤프트의 상단과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된 후 토출구 하단에서 탄력적인 전/후 이동을 통해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레버를 갖는 정수기용 콕크밸브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단에 접촉된 채 레버 이동시 지렛대의 역할 기능이 가능할 수 있도록 전면하단에 반원형 요홈부를 형성하여 레버와 일체화된 좌/우 한 쌍의 지지축; 및 상기 양 지지축 사이에 축 결합되어 탄력적 회동이 가능토록 스프링이 감착되고, 그 하단에는 요홈부에 끼워질 수 있는 환봉과, 상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잠금버튼이 구비되어 있음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 콕크밸브의 전체적 외형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인바,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성이 향상된 본 고안의 콕크밸브(10)는 냉온 정수기(도시되지 아니함)의 전면 패널에 고정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연장되어 본체(1) 하단의 토출구(1a) 하단에서 탄력적인 전/후 이동이 자유로운 레버(2)로 구분된다.
상기 본체(1)는 첨부된 도 3의 일부 절개 사시도에서와 같이 그 내부의 중앙에서 수직으로 설치된 밀폐 샤프트(3)가 탄력 스프링(4)에 의해 지지되어 평소 하향된 상태의 밀폐 샤프트(3)에 의해 취출수 관로가 긴밀하게 밀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레버(2)는 본체(1)의 상단 중앙으로 돌출된 이러한 상기 밀폐 샤프트(3) 상단에서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된 후 전술한 토출구(1a)의 하단으로 연장되어 컵 등에 의해 탄력적으로 뒤로 밀려지거나 혹은 앞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연관 구성되어 있다.
이때, 레버(2)의 탄력적인 전/후 이동에 따라 결국 밀폐 샤프트(3)가 상측으로 당겨지게 됨으로 밀폐된 상태의 취출수 관로가 개방되어 냉온수가 토출구(1a)를 통해 적절히 배출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밀폐 샤프트(3)가 감착된 탄력 스프링(4) 고유의 탄성력을 극복하고서 상/하 작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본체(1)의 상단과 이 상단에 접촉될 수 있도록 밀폐 샤프트(3)의 상단이 축 결합되어 있는 레버(2)의 좌/우측 후육부를 하향 연장시켜 본체(1)상단의 접촉지점을 기준으로 지렛대로의 역할 기능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지지축(5)을 구성하는데, 레버(2)의 밀려지거나 당겨지는 정도의 여부에 따라 그 개폐정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본체(1)의 상단에서 레버(2)의 운동방향을 따라 일자 방향으로 보다 큰 접촉면적을 갖도록 배려하며, 이러한 작동관계는 첨부된 도 2의 사시도에서 이해되는바와 같다.
한편, 상기 지지축(5)의 전면 하단으로는 그 중앙부를 기점으로 하여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요홈부(5a)를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반원형 요홈부(5a)로 인해 레버(2)를 뒤로 밀어줄 경우에는 반원형 요홈부(5a)가 그대로 본체(1)의 상단에 접촉하게 됨으로 전혀 지지축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여 밀폐 샤프트(3)를 작동시키지 못한 채 레버(2)만의 운동에 그치고 만다.
따라서, 지지축(5)으로의 기능 부여를 위해서는 상기 반원형 요홈부(5a)가 본체(1)의 상단과 충분히 접촉할 수 있도록 배려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 양 지지축(5)의 사이에 축 결합되어 탄력적인 회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스프링(6)이 감착된 잠금버튼(7)이 구비되는바, 이 잠금버튼(7)의 하단으로는 전술한 반원형 요홈부(5a)에 끼워질 수 있는 수평상태의 환봉(7a)과, 그 상단으로는 스톱퍼 기능의 걸림턱(7b)이 형성된 손잡이부(7c)를 일체로 포함하는 구성을 갖추어 평상시에는 환봉(7a)이 반원형 요홈부(5a)에서 빠져있는 상태로 대기되어 있다가 정수기를 사용할 때 잠금버튼(7)의 손잡이부(7c)를 밖으로 밀어주게 되면 이와 일체로 형성된 환봉(7a)이 스프링(6)의 탄성력을 극복하고서 뒤로 후퇴하여(밀폐 샤프트 쪽으로) 요홈부(5a)에 끼워짐으로 비로소 지렛대 역할이 가능해 진다는 것인데, 이러한 작동을 통해 지지축(5)의 상단에 끼워진 상태로 대기중이던 걸림턱(7b)이 빠지게 되어 작동의 원활함을 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레버(2)를 조작하여도 정수기 물(특히, 고온의 온수)이 토출구(1a)를 통해 배출되지 아니하여 특히 어린이의 무분별한 사용에 따른 부상방지의 효과가 있는 것이며, 정수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잠금버튼(7)을 사용하여 지렛대의 기능을 지지축(5)에 부여함으로서 정수기의 콕크밸브 사용이 자유롭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4는 본 고안 콕크밸브의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2)를 뒤로 밀어주지 아니하고 앞으로 당겨줄 경우에는 지지축(5)의 후단을 통해 밀폐 샤프트(3)가 당겨지게 됨으로 뒤로 밀 때와는 달리 잠금버튼(7)이 불필요하게 되는데, 이 경우는 레버(2)를 앞으로 당기게 되면 토출구(1a)와 사용자의 손이 이격되어 고온의 온수에 손이 접촉될 우려가 없다는 데 기인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레버(2)상단의 잠금버튼(7)만을 조작함으로서 정수기 물의 취출에 따른 제어가 가능하게 되어 손놀림이 익숙하지 못한 어린이의 사용이나 혹은 일반인의 무분별한 사용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시 잠금버튼(7)을 조작해야 함으로서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게된다는 것인데, 그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고 조작이 용이하여 결국 본 고안은 호환적용과 높은 신뢰도를 유지하는 실시적 가치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콕크밸브 본체에 설치된 밀폐 샤프트의 상단과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된 후 토출구 하단에서 탄력적인 전/후 이동을 통해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레버를 갖는 정수기용 콕크밸브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단에 접촉된 채 레버 이동시 지렛대의 역할 기능이 가능할 수 있도록 전면하단에 반원형 요홈부를 형성하여 레버와 일체화된 좌/우 한 쌍의 지지축; 및 상기 양 지지축 사이에 축 결합되어 탄력적 회동이 가능토록 스프링이 감착되고, 그 하단에는 요홈부에 끼워질 수 있는 환봉과, 상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잠금버튼이 구비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안전 콕크밸브.
KR2020000003637U 2000-02-11 2000-02-11 정수기용 안전 콕크밸브 KR2001883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637U KR200188382Y1 (ko) 2000-02-11 2000-02-11 정수기용 안전 콕크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637U KR200188382Y1 (ko) 2000-02-11 2000-02-11 정수기용 안전 콕크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8382Y1 true KR200188382Y1 (ko) 2000-07-15

Family

ID=19641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3637U KR200188382Y1 (ko) 2000-02-11 2000-02-11 정수기용 안전 콕크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838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025B1 (ko) * 2000-11-23 2002-10-19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밸브조립체
KR100436858B1 (ko) * 2001-07-18 2004-06-25 제인공업주식회사 냉,온 정수기용 급수밸브 안전장치
KR100588600B1 (ko) 2004-07-19 2006-06-14 주식회사 크로버 안전 코크
KR100742312B1 (ko) 2006-05-30 2007-07-24 (주)원봉 냉온수의 연속 공급을 차단하는 밸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025B1 (ko) * 2000-11-23 2002-10-19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밸브조립체
KR100436858B1 (ko) * 2001-07-18 2004-06-25 제인공업주식회사 냉,온 정수기용 급수밸브 안전장치
KR100588600B1 (ko) 2004-07-19 2006-06-14 주식회사 크로버 안전 코크
KR100742312B1 (ko) 2006-05-30 2007-07-24 (주)원봉 냉온수의 연속 공급을 차단하는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01181B (zh) 防烫水龙头及饮水机
KR200188382Y1 (ko) 정수기용 안전 콕크밸브
CN101749457A (zh) 自动节水龙头
US6135762A (en) Automatic security gas holding device fitted in an igniter
CN201351744Y (zh) 自动节水龙头
CN201022633Y (zh) 防烫水龙头
KR101252238B1 (ko) 정수기용 온수밸브
JP6005240B1 (ja) 鍵付きウォーターサーバー
EP1188619A3 (en) A vehicle
CN102313045A (zh) 自动节水龙头
CN211154988U (zh) 饮水杯盖开关按钮防误按限位机构
KR200311251Y1 (ko) 정수기용 안전취수장치
EP1013999A3 (en) A cigarette lighter
KR200271814Y1 (ko) 냉온정수기의 취수밸브 안전장치
CN110652157B (zh) 一种带有两用杯盖的保温杯
KR20080102101A (ko) 정수기용 온수 코크 밸브
KR100842187B1 (ko) 안전용 개폐장치
WO2009054573A1 (en) The safety device for a system to supply the drinking water
CN203446992U (zh) 保温杯盖
KR200145026Y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자동닫힘 물꼭지
KR200278993Y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온음료 공급기용 토출구
KR200229410Y1 (ko) 정수기용 온수취수방지구조
CN2495583Y (zh) 一种饮水机水龙头
KR102101782B1 (ko) 온수 공급용 안전 코크
JP4370617B2 (ja) 水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