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766Y1 -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 Google Patents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766Y1
KR200187766Y1 KR2020000004504U KR20000004504U KR200187766Y1 KR 200187766 Y1 KR200187766 Y1 KR 200187766Y1 KR 2020000004504 U KR2020000004504 U KR 2020000004504U KR 20000004504 U KR20000004504 U KR 20000004504U KR 200187766 Y1 KR200187766 Y1 KR 2001877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ol
urine
saving device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5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석
Original Assignee
백승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석 filed Critical 백승석
Priority to KR20200000045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7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7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7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12Flushing device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9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 E03D5/09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the flushing element, e.g. siphon bell, being actuated through a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원 고안은 대소변통의 하단부에 대소변 배출구를 형성하여 대변의 양이 적거나 또는 소변 용무만을 볼 때에는 대소변통에 형성하고 있는 대소변 배출구를 개방하여 대소변통안에 있는 대소변을 배출하고 이와 동시에 절수콕크를 사용하여 소량의 물만 대소변통으로 유입하도록 함으로서 물을 절약하도록 하는 절수장치를 제공 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WATER SAVING DEVICE OF WATER CLOSET}
본 고안은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세식변기는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 본체 1 에 대변이나 소변을 받기 위한 대소변통 2를 움푹하게 형성하고 이 대소변통 2 에 담긴 대소변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배출관 3을 형성하되, 대소변통 1 과 배출관 2 사이의 경계벽을 일정높이만큼 높게 형성하여, 대소변통 2 에는 항상 상당량의 물이 담겨 있도록 함으로서, 대변이 대소변통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며, 용변을 본 후에 저수탱크의 조절콕크를 조작하면 저수탱크 안의 물이 변기본체 1 로 흘러들면서 대소변통 2 안에 있는 물과 대소변을 함께 배출관 3을 통하여 변기외부로 배출하고, 대소변통 2 안에는 깨끗한 물이 새롭게 차 있도록 하여, 변기본체 1 안에는 조금의 대소변도 남아 있지 못하도록 함으로서 변기에서 악취가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변기가 항상 깨끗하고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대변이든 소변이든 어느 한쪽 용무를 마친 다음에는 반드시 조절콕크를 조작하여 저수탱크 안에 있는 물을 전부 배수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많은 물을 소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수세식변기에 사용하는 물은 수돗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수돗물은 그 가공처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것이며 최근에는 머지 않아 수자원의 고갈상태를 염려하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상황에 이르게 된 상태이므로 고가인 수돗물을 절약하여야 할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그리하여 물을 아낀다는 생각으로 어떤 가정에서는 저수탱크안에 몇 장의 벽돌을 집어넣는 경우도 있었으나, 이렇게 저수탱크 안에 벽돌을 넣어 두는 경우에는 저수탱크안의 물의 저장량을 줄일 수 있어 배출되는 물의 양을 줄일 수는 있으나, 이렇게 항상 배수량이 적게 조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대변이 완전히 배출되지 아니하고 대소변통 2 에 잔류하는 일이 발생하여 다시 한번 저수탱크 안에 물을 받은 다음 이 물을 또 한번 배수하여야 하기 때문에 오히려 물의 낭비를 가져오는 사례도 있는 것이다.
본원 고안은 대소변통의 하단부에 대소변 배출구를 형성하여 대변의 양이 적거나 또는 소변 용무만을 볼 때에는 대소변통에 형성하고 있는 대소변 배출구를 개방하여 대소변통안에 있는 대소변을 배출하고 이와 동시에 절수콕크를 사용하여 소량의 물만 대소변통으로 유입하도록 함으로서 물을 절약하도록 하는 절수장치를 제공 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원 고안에 따른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를 장착한 측면도임.
도 2 는 본원 고안에 따른 절수장치의 단면도임.
도 3 은 본원 고안에 따른 저수탱크의 단면도임.
도 4 는 종래의 수세식변기의 단면도임.
제 2 도에는 변기에 본원 고안에 따른 절수장치를 장착하고 있는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제 3 도에는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원 고안에 따른 절수장치는, 변기의 대소변통 5 의 하부에 대소변을 직접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 5B 를 가공하며, 배출관 6 에는 대소변 유입구 6B 를 가공하여, 상기 대소변통 6 의 배출구 5B 와 배출관 6 의 유입구 6B 의 사이를 유입관 7 로 연결하며 이 유입관 8 의 안에는 유입관 8 의 통로를 완전히 닫고 또 열 수 있도록 차단변 8B 를 장착한다.
그리고 차단변 8B 를 작동하기 위하여 차단변 8B 에 회전핀 8C 의 한쪽을 고정하고 회전핀 8C 의 다른 한쪽은 회동간 8D 에 고정하며, 이 회동간 8D 는 고정봉 8E 에 회동이 가능하게 조립한다.
회전간 8D 의 한쪽에는 롤러 8R 을 개재하여 당김줄 8H 의 한쪽 끝을 연결하며 당김줄 8H 의 다른 한쪽 끝은 조작봉 8K 에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조작봉 8K 는 회전핀 8P를 개재하여 저수탱크 9 의 벽면에 회전이 가능하게 조립한다.
그리고 회전간 8D 의 다른 한쪽에는 복귀스프링 8S 를 연결한다.
도 4 에는 본원 고안에 따른 절수장치에 있어 탱크의 물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저수탱크 9B 안에는 저장 수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저수량변 9E 와 고수량변 9G 를 변좌 9H 에 장착하고 상기 저수량변 9E 와 고수량변 9G 는 각각 당김줄 9K 에 각각 연결하고 당김줄 9K 는 조절간 9P 에 연결하고 이 조절간 9P 는 조절봉 9M을 개재하여 조절콕크 9S 에 연결하여 조절콕크 9S 의 좌우 회전조작에 따라 조절간 9P 도 좌우 회동이 가능하게 하고 있다.
미설명 부호 9W 는 부구이며 A 선 B 선 C 선은 물이 차올라 오는 수위선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절수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원고안에 따른 절수장치는 보통의 사용상태 도 3 에서는 차단변 8B 가 유입관 7 을 막은 상태로, 이 상태는 대소변통 5 안에 있는 내용물은 절대로 유입관 7 을 통하여 배출관 6 로 들어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보통의 대변용무를 마칠 때에는 보통 상용 상태와 같이 조절콕크 9S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수량변 9G 가 열리면서 C 수위선에 차있던 많은 물이 변기본체 1 로 흘러들어 가면서 대소변통 5 안에 있는 모든 대소변은 물과 함께 경계벽 4 를 경유하여 배출관 6 로 전부 배출하며 동시에 깨끗한 물이 대소변통 5 의 경계벽 4 까지 차 오르게 된다.
대변량이 적거나 또는 소변 용무만 마칠때에는 조작봉 8K 를 누르면 당김줄 8H 가 회전간 8D 를 회동시키며 회전간 8D 는 다시 차단변 8B 를 회전시켜 지금까지 차단변 8B 에 의해 닫혀 있던 유입관 7 의 통로를 열어주므로 대소변통 5 안에 있던 대소변은 곧 바로 유입관 7 을 통하여 배출관 6 으로 흘러들어 가는 것이며, 대소변통 5 안의 대소변이 전부 배출된 다음, 잡고 있던 조작봉 8K 를 눌으면, 스프링 8S 의 작동으로 회전간 8D 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차단변 8B 도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유입관 7 을 막아 닫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유입관 7 이 막아지면 조절콕크 9S 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번에는 B 수위선에 있던 물이 흘러 내려와 대소변통 5 에 채워지도록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소변이나 또는 적은 대변 용무를 마칠 때에는 절수장치의 차단변을 열어 줌으로서 대소변이 유입관 7 을 거쳐 배출관 6 으로 직접 배출시키고 적은 양의 물만 다시 대소변통으로 들어가게 함으로서 물의 소비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변기에 있어서, 대소변통에는 배출구를, 배출관에는 유입구를 각각 가공하여, 상기 배출구와 유입구 사이에는 유입관을 연결하며, 이 유입관 안에 유입관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차단변을 형성하고 이 차단변은 조작봉의 조작과 스프링의 복귀력에 의해 유입관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된 절수장치.
KR2020000004504U 2000-02-18 2000-02-18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KR2001877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504U KR200187766Y1 (ko) 2000-02-18 2000-02-18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504U KR200187766Y1 (ko) 2000-02-18 2000-02-18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7766Y1 true KR200187766Y1 (ko) 2000-07-15

Family

ID=19642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504U KR200187766Y1 (ko) 2000-02-18 2000-02-18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776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1438B2 (en) Water saver fill valve and assembly
CA1196451A (en) Diverter valve
JP7012753B2 (ja) 可変式節水型洋式便器の汚水排出装置
JP2006500496A (ja) 節水型洋風便器
KR100408076B1 (ko) 절수용 변기
GB2263710A (en) Toilet flushing device which supplies high pressure water to the rim flushing conduit of a toilet bowl
US5745928A (en) Toilet bowl dispensing system
KR200187766Y1 (ko)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US3969775A (en) Water closet flushing device
US5761749A (en) Structure of toilet bowl
CA2150414A1 (en) A refilling preventing system for a toilet tank
US5603128A (en) Dual-flush control apparatus
KR200277574Y1 (ko) 초 절수형 양변기
KR100315980B1 (ko) 양변기 저수조의 배수량 조절장치
JP3049695U (ja) 直通式節水便器
KR102189021B1 (ko) 절수 및 저소음 양변기
JP2018529035A (ja) 節水便器
KR100384388B1 (ko) 절수형 양변기
KR101906976B1 (ko) 절수형 양변기
JP2011074686A (ja) 排水弁装置
KR200271612Y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176999Y1 (ko) 절수형 양변기
KR20230015812A (ko) 절수변기 배수구의 밸브형식 개폐구조
KR200301128Y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198086Y1 (ko) 양변기용 절수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