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682Y1 - 식품용기가 내장된 주류용기 - Google Patents

식품용기가 내장된 주류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682Y1
KR200187682Y1 KR2020000001729U KR20000001729U KR200187682Y1 KR 200187682 Y1 KR200187682 Y1 KR 200187682Y1 KR 2020000001729 U KR2020000001729 U KR 2020000001729U KR 20000001729 U KR20000001729 U KR 20000001729U KR 200187682 Y1 KR200187682 Y1 KR 2001876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ood container
opening
stopper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17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봉윤
Original Assignee
강봉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0275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344485B1/ko
Application filed by 강봉윤 filed Critical 강봉윤
Priority to KR20200000017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6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6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6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4Multi-cavity bo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술안주를 담은 식품용기를 내장한 주류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협하광하며 상부의 개방된 개구부를 가지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구부 외측으로 결합되어 내부를 밀봉시키는 마개로 이루어지는 주류용기에 있어서, 상기 마개의 내측면에는 상부면이 접하며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는 저면이 접하여 패킹 역할을 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중앙에 형성되는 개구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용기 내부로 수용되는 튜브 형상의 본체로 이루어지는 식품용기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식품용기의 개구부에 끼워지는 마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용기의 내부에 안주를 담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식품용기는 그 구조가 간단하며 플랜지가 주류용기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패킹역할을 하므로 기존의 병마개 패킹이 불필요하며, 본체의 형상을 다양화하여 상품의 가치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본체에 담겨진 건포, 땅콩, 햄, 치즈, 소시지 등의 술안주를 즉석에서 편리하게 꺼내어 먹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Description

식품용기가 내장된 주류용기{A ALCOHOLIC LIQUORS BOTTLE INCORPORATING A FOOD VESSEL}
본 고안은 각종 술을 담는 주류용기 내에 수용되는 식품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주류용기에 담겨진 내용물을 섭취할 때 필요한 안주들을 편리하게 꺼내어 먹을 수 있도록 한 식품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주, 맥주 및 양주 등의 주류 음료의 경우 술안주가 필요하게 되는데 현재는 주류 음료와 안주를 별개로 판매함으로써 소량의 주류 음료를 마시기 위하여 과다한 술안주를 구매하게 되므로 과소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한병의 주류를 마시기 위한 술안주의 구입비용이 부담스러워 주류만을 마시므로서 건강을 해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주류 음료용기의 개구부 내측에 내장된 식품용기에 건포, 땅콩, 햄, 치즈, 소시지 등을 담아서 내용물을 섭취할 때 술안주로 먹을 수 있도록 편리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주류에 따라 식품용기의 크기를 구분시키며, 식품용기로부터 술안주인 내용물을 편리하게 꺼내어 먹을 수 있는 식품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따른 목적은 주류용기에 내장되는 식품용기 자체 또는 별도의 지지부재로서 식품용기의 유동을 방지하여 내용물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품용기가 내장된 주류용기의 일부를 생략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식품용기의 개구부에 마개를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따른 실시예로서 식품용기의 외주면에 절취홈을 형성한 상태를 일부 절결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따른 실시예로서 식품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절취홈을 형성한 상태를 일부 절결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식품용기를 소형으로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식품용기의 저면에 지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일부 절결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개 2 : 식품용기
3 : 마개 4 : 지지부재
5 : 용기 21 : 플랜지
22 : 개구부 23 : 본체
24,25 : 절취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상협하광하며 상부의 개방된 개구부를 가지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구부 외측으로 결합되어 내부를 밀봉시키는 마개로 이루어지는 주류용기에 있어서, 상기 마개의 내측면에는 상부면이 접하며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는 저면이 접하여 패킹 역할을 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중앙에 형성되는 개구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용기 내부로 수용되는 튜브 형상의 본체로 이루어지는 식품용기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식품용기의 개구부에 끼워지는 마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용기의 내부에 안주를 담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본체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식품용기의 본체 저면을 내측으로 들어간 오목부로 형성하거나 식품용기의 저면에 결합되는 별도의 지지부재(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내용물을 편리하게 꺼내기 위한 식품용기의 본체 외주면 또는 길이방향에 절취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품용기가 내장된 주류용기의 분해사시도로서, 부호 5는 통상의 주류음료 등의 내용물을 개구부(51)로 주입 및 따를 수 있는 상협하광한 통상의 용기이며, 부호 1은 상기 용기(5)들의 개구부(51)에 결합되어 압착 방식에 의하여 밀봉되는 통상의 마개이고, 부호 2는 식품용기, 부호 3은 식품용기의 마개, 부호 4는 지지부재를 나타낸다.
본 고안의 식품용기(2)의 플랜지(21)은 도 1 및 2에서와 같이 상부면은 상기 마개(1)의 내측면에 접하게 되고 하부면은 상기 용기(5)의 개구부(51)에 접하여 마개(1)가 용기의 개구부(51)에 끼워져 압착되어 밀폐시킬 때에 패킹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지고, 본체(23)는 상기 플랜지(21)의 중앙에 형성되는 개구부(22)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용기(5) 내부로 수용되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식품용기(2)의 내부에 안주를 담게 된다.
상기 식품용기(2)는 인체에 무해한 소재인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사출성형(injection molding) 또는 블로우성형(blow molding)을 통해 일체로 형성하게 된다. 또한, 식품용기(2)는 용기(5)에 담겨진 주류의 내용물에 따라 소비자가 가장 선호하는 안주를 담게 되며, 안주가 도 2에서와 같이 햄, 치즈, 소시지와 같은 기다란 봉 형상의 경우 본체(23)의 저면은 용기(5)의 바닥면에 접하여 유동되지 않도록 길게 형성하게 되고, 안주가 건포, 땅콩, 해바라기 씨, 건포도, 호두, 잣 및 은행 등 작은 부피를 가지는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본체(23)를 작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식품용기(2)의 본체(23)는 도 1 및 도 5에서와 같이 원통형상 및 병(1)의 형상으로 만드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담는 안주의 내용물 및 소비자 층의 기호에 따라 그 형상을 다각형상 또는 동물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하여 상품적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식품용기(2)의 본체(23)가 병(5)의 내측 저면까지 연장되어 접하여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체(23)의 저면이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오목부(26)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오목부(26)는 마개(1)에 의하여 식품용기(2)가 고정될 때 압착되면서 용기(5)의 바닥면에 흡착되어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식품용기(2)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6a와 같이 식품용기(4)의 본체(23) 저면에 결합되며 3개의 지지발(41)이 하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지지부재(4)를 별도로 형성하여 도 6b에서와 같이 식품용기(2)의 본체(23)의 저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5)에 수용되면 상기 지지발(41)이 용기(5)의 바닥면에 접하면서 외측으로 벌어져 지지함으로써 본체(23)의 유동을 방지시키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식품용기(2)는 본체(23)내에 안주를 담은 후 플랜지(21)의 상부를 마개(1)의 내측면에 접합시켜 밀폐시키거나, 도 3에서와 같이 별도의 마개(3)를 사용하여 식품용기(2)의 개구부(22)를 밀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식품용기(2)에 담겨진 안주를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식품용기(2)의 본체(23) 외주면 또는 길이방향에 내용물을 꺼내기 위한 절취홈(24),(25)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23) 외주면에 형성되는 절취홈(24)은 상,중,하 또는 적정한 어느 한 곳에 형성되고, 본체(23) 길이방향에 형성되는 절취홈(25)은 본체(23)가 분할되어 잘벗겨지도록 2개소 이상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본 고안의 식품용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식품용기(2) 중 건포, 땅콩, 해바라기 씨, 건포도, 호두, 잣 및 은행 등을 담는 길이가 작은 용기는 도 5에서와 같이 안주가 담겨진 본체(23)를 주류가 담겨진 용기(5)에 수용시켜 개구부(51)에 플랜지(21)가 얹혀진 상태에서 마개(1)를 통상의 밀봉장치에서 압착하여 판매하거나, 먼저 안주가 담겨진 식품용기(2)의 플랜지(21)에 마개(1)를 접합시킨 후 식품용기(2)를 병(5)에 수용시킴과 동시에 마개(1)를 병(5)의 개구부(51)에 압착하여 판매하게 된다.
상기 판매된 병(5)은 소비자가 마개(1)를 열어서 마개(1)만 분리될 경우 재차 식품용기(2)를 꺼내어 안주를 섭취하게 되고, 마개(1)에 식품용기(2)의 플랜지(21)가 부착된 경우 마개(1)와 함께 꺼내진 식품용기(2)를 마개(1)로부터 분리시키거나, 외주면 또는 길이방향에 형성된 절취홈(24)을 이용하여 본체(23)를 절개하여 안주를 먹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식품용기(2) 중 햄, 치즈, 소시지(6)와 같이 길이가 긴 안주를 담는 용기는 상기 작은 용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안주를 담고 병(5)에 수용되며 꺼내어 안주를 섭취할 수 있으며, 다만 식품용기(2)의 본체(23)의 하단이 유동되지 않도록 저면이 용기(5)의 바닥면에 밀착시키게 된다. 상기 밀착수단으로는 본체(23)의 길이를 길게하여 마개(1)로 병(5)을 밀봉시킬 때에 밀착되는 방법과, 밀착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본체(2) 저면에 오목부(26)를 형성하는 방법 및 별도의 지지부재(4)를 본체(23) 저면에 부착하여 지지부재(4)의 지지발(41)이 벌어져 지지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주류 중 맥주의 경우 운반 및 마개(1)를 열 때에 흔들림을 방자하여 거품의 발생이 없도록 한다.
상기 식품용기(2)들은 식품용기(2)에 담겨지는 안주의 보존 기간을 더욱 효과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도 3에서와 같이 마개(3)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식품용기는 그 구조가 간단하며 플랜지가 주류용기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패킹역할을 하므로 기존의 병마개 패킹이 불필요하며, 본체의 형상을 다양화하여 상품의 가치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본체에 담겨진 건포, 땅콩, 소시지 등의 술안주를 즉석에서 편리하게 꺼내어 먹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5)

  1. 상협하광하며 상부의 개방된 개구부(51)를 가지는 용기(5)와, 상기 용기(5)의 개구부(51) 외측으로 결합되어 내부를 밀봉시키는 마개(1)로 이루어지는 주류용기에 있어서,
    상기 마개(1)의 내측면에는 상부면이 접하며 상기 용기(5)의 개구부(51)에는 저면이 접하여 패킹 역할을 하는 플랜지(21)와, 상기 플랜지(21)의 중앙에 형성되는 개구부(22)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용기(5) 내부로 수용되는 튜브 형상의 본체(23)로 이루어지는 식품용기(2)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식품용기(2)의 내부에 안주를 담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가 내장된 주류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용기(2)의 본체(23) 저면이 내측으로 들어간 오목부(2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가 내장된 주류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용기(2)의 개구부(22)에 끼워지는 마개(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가 내장된 주류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용기(2)의 본체(23) 외주면 또는 길이방향에 내용물을 꺼내기 위한 절취홈(24),(25)이 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가 내장된 주류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용기(4)의 본체(23) 저면에 결합되며 유동을 방지하는 지지발(41)이 하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지지부재(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가 내장된 주류용기.
KR2020000001729U 2000-01-20 2000-01-21 식품용기가 내장된 주류용기 KR2001876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729U KR200187682Y1 (ko) 2000-01-20 2000-01-21 식품용기가 내장된 주류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751A KR100344485B1 (ko) 2000-01-20 2000-01-20 식품용기가 내장된 주류용기
KR2020000001729U KR200187682Y1 (ko) 2000-01-20 2000-01-21 식품용기가 내장된 주류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751A Division KR100344485B1 (ko) 2000-01-20 2000-01-20 식품용기가 내장된 주류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7682Y1 true KR200187682Y1 (ko) 2000-07-15

Family

ID=26636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729U KR200187682Y1 (ko) 2000-01-20 2000-01-21 식품용기가 내장된 주류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768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7095B2 (en) Combined wine glass and wine bottle package
US4982854A (en) Beverage container with sipping tube
US5135116A (en) Package containers for liquid products
US4265363A (en) Container with drinking tube
US20180237186A1 (en) Individual beverage bottle accessory
KR200187682Y1 (ko) 식품용기가 내장된 주류용기
KR100344485B1 (ko) 식품용기가 내장된 주류용기
KR20090008895U (ko) 식품용기의 결합구조
JP3494364B2 (ja) 漏斗及び計量器の兼用具
KR200305916Y1 (ko) 용기
KR20200068520A (ko) 안주 결합수단을 갖는 술 케이스
KR20000012712A (ko) 식품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RU2276048C1 (ru) Упаковка для жидкого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KR200192087Y1 (ko) 주류 용기
KR20090008896U (ko) 식품용기의 결합구조
KR200244484Y1 (ko) 음료용 페트병 구조
JPH0320281Y2 (ko)
KR200221669Y1 (ko) 통체의 2중 분할 구조와 마개의 컵 겸용 구조를 갖는음료수 병
KR200182100Y1 (ko) 식품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JPS6025391Y2 (ja) 壜容器
KR200287434Y1 (ko) 다목적 용기 뚜껑 부착 장치
RU28862U1 (ru) Пластиковая бутылка со стаканчиком
WO2006054322A1 (en) Plastic bottles and containers with cups incorporated
JPH0511164Y2 (ko)
KR960006493Y1 (ko) 이종(異種)의 물질보관을 위한 용기를 내장하는 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