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278Y1 - 높이조절이 가능한 붙박이형 장농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가능한 붙박이형 장농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278Y1
KR200187278Y1 KR2020000001337U KR20000001337U KR200187278Y1 KR 200187278 Y1 KR200187278 Y1 KR 200187278Y1 KR 2020000001337 U KR2020000001337 U KR 2020000001337U KR 20000001337 U KR20000001337 U KR 20000001337U KR 200187278 Y1 KR200187278 Y1 KR 2001872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plate
length
front plate
height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13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렬
Original Assignee
김동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렬 filed Critical 김동렬
Priority to KR20200000013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2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2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2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enlarging in height, length, or depth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붙박이형 장농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구조상 각기 다른 천정의 높이에 맞출 수 있게 장농의 높이를 조절하며 하부장농의 하단부의 사방을 개방하여 습기방지 및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붙박이형 장농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정길이로 정면이 개방된 수납부를 형성하며 상기 수납부 정면에는 개폐문이 형성된 상부장과, 상기 상부장보다는 짧은 길이로 형성하며 상부에는 상면판을 형성하고 상기 상면판의 저면에는 상면판을 지지하는 4개의 다리를 형성하되 상기 다리의 배면과 양측면에는 보강대를 형성하고 정면에는 정면판을 착탈가능하도록 형성한 하부장과, 상기 하부장의 다리 하단부의 중앙에는 나선이 형성된 높이조절홈을 형성하고 상기 높이조절홈에는 높이조절볼트를 고정하여 높이조절볼트의 회전시 하부장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수단과, 상기 높이조절수단의 높이에 상응하도록 상기 정면판의 하단부에 정면판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상하길이조절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높이조절이 가능한 붙박이형 장농{Height adjustable fixture-type wardrobe}
본 고안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붙박이형 장농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구조상 각기 다른 천정의 높이에 맞출 수 있게 장농의 높이를 조절하며 하부장농의 하단부의 사방을 개방하여 습기방지 및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붙박이형 장농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농은 의류나 침구류를 수납할 수 있는 서랍 등의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의류를 수납하는 것은 옷장에, 침구류를 수납하는 것은 이불장으로 나누어 수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장농은 경대의 기능을 갖는 커즈메틱장과, 오디오 및 비디오를 설치할 수 있는 A/V장이나 실내의 구조에 맞게 형성된 모서리장등 현대생활의 변화에 맞추어 다양한 기능을 갖춘 기능성 가구들이 개발되어지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실내의 구조에 맞게 설치하는 붙박이장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붙박이장은 바닥과 천정의 높이에 맞는 문짝, 측판 및 상판 등을 분리하여 제작하여 실내의 공간에 맞도록 설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장농의 전형적인 일예가 도1에 도시되어 있다.
도1에서 부재번호 1은 수납공간, 2는 몸체, 3은 개폐문을 각각 가리킨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장농은 의류나 침구류를 수납할 수 있도록 전방이 개방된 수납공간(1)이 형성된 몸체(2)와 상기 몸체(2)의 개방부분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문(3)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장농은 사방이 밀폐된 박스형태로 되어 있어 장마철과 같이 습기가 높은 상태에서는 수납된 의류 및 침구류등에 곰팡이나 기타 좀벌레등이 발생하였으며, 장농의 대부분이 습기에 약한 나무로 형성되어 습기로 인한 장농의 뒤틀림 현상이나 곰팡이의 번식으로 장농이 부패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였음은 물론, 한번 설치된 장농은 장농의 밑부분에 쌓이는 먼지를 청소하기가 불가능하여 청결하지 못한 위생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장농의 분리나 높이조절이 불가능하여 장농과 천정과의 공간이 발생함으로써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여 미관이 저하되었으며, 제작된 장농의 운반시 실내공간보다 낮게 형성된 출입문이나 엘리베이터 때문에 별도의 기중기나 특수목적의 차량인 대차 유도레일차량을 이용하여 베란다 난간창문을 통하여 운반 및 설치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장농을 반제품 형태로 제작하여 현장에서 고정하는 붙박이형 장농을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의 붙박이형 장농은 실내공간에 고정 설치함으로써 이사로 인한 이동이 불편하였으며, 장농의 문짝높이도 조절이 불가능하여 바닥과 천정의 높이가 다른 건축물에는 호환성이 없어 이사후 장농이 건축물의 높이보다 클 경우 사용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장농을 상, 하부장으로 분리 형성하고 사방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 하부장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바닥과 천정의 높이에 장농의 높이를 ??출 수 있고, 통풍성을 향상시켜 곰팡이를 방지하고, 청소를 용이하게 하며 장농을 손쉽게 운반할 수 있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붙박이형 장농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정길이로 정면이 개방된 수납부를 형성하며 상기 수납부 정면에는 개폐문이 형성된 상부장과, 상기 상부장보다는 짧은 길이로 형성하며 상부에는 상면판을 형성하고 상기 상면판 저면에는 상면판을 지지하는 4개의 다리를 형성하되 상기 다리의 배면과 양측면에는 보강대를 형성하고 정면에는 정면판을 착탈가능하도록 형성한 하부장과, 상기 하부장의 다리 하단부의 중앙에는 나선이 형성된 높이조절홈을 형성하고 상기 높이조절홈에는 높이조절볼트를 고정하여 높이조절볼트의 회전시 하부장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수단과, 상기 높이조절수단의 높이에 상응하도록 상기 정면판의 하단부에 정면판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상하 길이조절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붙박이형 장농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붙박이형 장농의 정면판 배면에 서랍을 형성하고 서랍 양측면에는 레일을 형성하며 하부장의 다리 양측에 고정된 보강대의 내측에는 다수의 바퀴가 레일에 슬라이딩되어 서랍이 인출 또는 삽입되도록 형성하며 정면판의 상하 길이조절수단은 상부판과 하부판으로 분리 형성하되 상기 상부판의 저면에는 상부판의 폭 방향으로 요홈을 형성하고 하부판의 상측면에는 삽입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삽입돌기가 요홈에서 삽입 또는 인출되어 정면판의 길이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며 하부판은 정면판의 배면에서 나사고정하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정면판의 배면에 상기 정면판보다 하측으로 길게 형성된 배면판을 고정하고 상기 배면판 하단에 길이조절판을 상, 하측으로 이동하여 길이조절을 한 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붙박이형 장농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습기로 인한 가구 및 의류나 침구류의 파손을 방지하고, 어느 건물이나 천정의 높이에 꼭 들어맞도록 설치하여 제품의 호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1은 종래 장농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붙박이형 장농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붙박이형 장농 정면판의 상하 길이조절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붙박이형 장농 다리의 높이조절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붙박이형 장농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붙박이형 장농 정면판 길이조절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붙박이형 장농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상부장 11:수납부 12:개폐문
20:하부장 21:상면판 22:다리
23:배면보강대 23':측면보강대 24:정면판
30:높이조절수단 31:높이조절홈 32:높이조절볼트
40:상하 길이조절수단 41:상부판 42:하부판
43:요홈 44:삽입돌기 45:고정나사
46:배면판 47:길이조절판 50:서랍
51:양측면 52:바퀴 53:레일
이에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붙박이형 장농은 상부장(10)을 종래의 장농과 동일한 구조로 정면이 개방된 수납부(11)를 형성하며 상기 수납부(11)의 정면에는 개폐문(12)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상부장(10)보다는 짧은 길이로 하부장(20)을 형성하되, 상기 하부장(20)의 상부에는 상면판(21)을 형성하고 상기 상면판(21)의 저면에는 상면판(21)을 지지하는 4개의 다리(22)를 형성하되 상기 다리(22)의 배면에는 배면보강대(23)와 양측면에는 측면보강대(23')를 형성하고 정면에는 정면판(24)을 착탈가능하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기 하부장(20)의 다리(22) 하단부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수단(30)을 형성하되, 상기 높이조절수단(30)은 다리(22)의 중앙에 나선이 형성된 높이조절홈(31)을 형성하고 상기 높이조절홈(31)에는 높이조절볼트(32)를 고정하여 높이조절볼트(32)의 회전시 하부장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며 상기 높이조절수단(30)의 조절된 높이에 상응하도록 상기 정면판(24)의 하단부에는 도3의 도시와 같이 상하 길이조절수단(40)을 형성하되 상기 상하 길이조절수단(40)은 정면판(24)을 상부판(41)과 하부판(42)으로 분리 형성하되 상기 상부판(41)의 저면에는 상부판(41)의 폭 방향으로 요홈(43)을 형성하고 하부판(42)의 상측면에는 삽입돌기(44)를 형성하여 상기 삽입돌기(44)가 요홈(43)에서 삽입 또는 인출되어 정면판(24)의 길이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며 하부판(42)은 상부판(41)의 배면에서 고정나사(45)에 의해서 고정하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상하 길이조절수단(40)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6의 도시와 같이 상기 정면판(24)의 배면에 상기 정면판(24)보다 하측으로 길게 형성된 배면판(46)을 고정하고 상기 배면판(46)의 하단에 길이조절판(47)을 상, 하측으로 이동하여 길이조절을 한 후 고정나사(45)로 고정하도록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정면판(24)의 배면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50)을 형성하고 서랍(50)의 양측면(51)에는 레일(53)을 형성하며 하부장(20)의 다리(22) 양측에 고정된 측면보강대(23')의 내측에는 다수의 바퀴(52)가 레일(53)에 슬라이딩되어 서랍(50)이 인출 또는 삽입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7의 사용상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의 높이를 측정한 다음 상부장(10)의 높이를 제외한 나머지의 높이를 하부장(20)의 높이조절수단(30)으로 조절하여 하부장(20)의 높이를 조절한다.
상기한 하부장(20)의 높이조절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수단(30)의 높이조절볼트(32)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높이조절볼트(32)를 높이조절홈(31)에서 인출 및 삽입시켜 조절한다.
이와 같이 높이가 조절된 하부장(20)의 상면판(21)에 상부장(10)을 올려 놓으면 바닥과 천정의 높이와 장농의 높이가 일치하여 붙박이장의 효과를 볼 수 있다.
이때 하부장(20)의 높이변화로 정면판(24)의 길이가 하부장(20)의 변화된 높이만큼 늘어나야 하는데, 이러한 정면판(24)의 길이조절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판(24)의 고정나사(45)를 풀어 상부판(41)의 요홈(43)에서 하부판(42)의 삽입돌기(44)를 삽입 또는 인출시켜 정면판(24)의 길이를 조절한다.
상기의 상하 길이조절수단(40)은 도6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정면판(24)의 배면에 배면판(46)을 고정시킨 후 길이조절판(47)의 높낮이를 결정하여 고정하여서 정면판(24)의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높이와 길이조절이 되는 하부장(20)의 정면판(24)의 배면에는 서랍(50)을 형성하여 수납공간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정면판(24)의 상부판(41), 하부판(42), 삽입돌기(44) 또는 길이조절판(47)의 칼라를 각기 다르게 도장을 하면 가구의 단순함을 벗어나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다.
또한, 하부장(20)의 배면과 양측면에는 배면보강대(23)와 측면보강대(23')만이 형성되어 있어 통풍이 잘되며 정면판(24)이나 서랍(50)을 분리하였을 때에는 장농의 저면을 청소할 수 있어 청결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부장(10)과 하부장(20)의 분리로 장농의 운반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장농의 호환성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장농을 상부장과 하부장으로 분리하여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며, 천정의 높이에 따라 장농의 높이도 유동적으로 조절하여 붙박이장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하부장의 통풍효과로 수납된 물건과 장농의 수명을 연장하며 장농 저면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실내위생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일정길이로 정면이 개방된 수납부를 형성하며 상기 수납부 정면에는 개폐문이 형성된 상부장과,
    상기 상부장보다는 짧은 길이로 형성하며 상부에는 상면판을 형성하고 상기 상면판 저면에는 상면판을 지지하는 4개의 다리를 형성하되 상기 다리의 배면과 양측면에는 보강대를 형성하고 정면에는 정면판을 착탈가능하도록 형성한 하부장과,
    상기 하부장의 다리 하단부의 중앙에는 나선이 형성된 높이조절홈을 형성하고 상기 높이조절홈에는 높이조절볼트를 고정하여 높이조절볼트의 회전시 하부장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수단과,
    상기 높이조절수단의 높이에 상응하도록 상기 정면판의 하단부에 정면판의 상하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상하 길이조절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붙박이형 장농.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판의 배면에는 서랍을 형성하고 서랍 양측면에는 레일을 형성하며 하부장의 다리 양측에 고정된 보강대의 내측에는 다수의 바퀴가 레일에 슬라이딩되어 서랍이 인출 또는 삽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붙박이형 장농.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판의 상하 길이조절수단은 상부판과 하부판으로 분리 형성하되, 상기 상부판의 저면에는 상부판의 폭 방향으로 요홈을 형성하고 하부판의 상측면에는 삽입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삽입돌기가 요홈에서 삽입 또는 인출되어 정면판의 길이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며 하부판은 정면판의 배면에서 나사고정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붙박이형 장농.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판의 상하 길이조절수단은 정면판의 배면에 상기 정면판보다 하측으로 길게 형성된 배면판을 고정하고 상기 배면판 하단에 길이조절판을 상, 하측으로 이동하여 길이조절을 한 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붙박이형 장농.
KR2020000001337U 2000-01-18 2000-01-18 높이조절이 가능한 붙박이형 장농 KR2001872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337U KR200187278Y1 (ko) 2000-01-18 2000-01-18 높이조절이 가능한 붙박이형 장농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337U KR200187278Y1 (ko) 2000-01-18 2000-01-18 높이조절이 가능한 붙박이형 장농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7278Y1 true KR200187278Y1 (ko) 2000-07-01

Family

ID=19638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337U KR200187278Y1 (ko) 2000-01-18 2000-01-18 높이조절이 가능한 붙박이형 장농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727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884B1 (ko) * 2013-08-07 2014-02-12 주식회사 효인산업 다기능 테이블
KR101562945B1 (ko) 2014-09-22 2015-10-23 주식회사 나드리가구 시공성이 향상된 하부레일을 구비한 장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884B1 (ko) * 2013-08-07 2014-02-12 주식회사 효인산업 다기능 테이블
KR101562945B1 (ko) 2014-09-22 2015-10-23 주식회사 나드리가구 시공성이 향상된 하부레일을 구비한 장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14607B (zh) 拆装式衣柜
CA2064995C (en) Support panel base cover
US8733865B1 (en) Undermount slide for pull-out drawer
US20050099101A1 (en) Vanity cabinet with drawers
KR200187278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붙박이형 장농
US20110088332A1 (en) Modular Closet Unit
CN102772045A (zh) 具有至少一个滑动门的家具
KR20220051603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붙박이
CN209031468U (zh) 一种组合式铝合金衣柜
KR20170127609A (ko) 양방향 인출이 가능한 서랍부재를 구비한 다목적 거실장
KR102590219B1 (ko) 다용도 신발장
CN211130222U (zh) 一种组合式防潮防虫衣柜
CN211408114U (zh) 一种便于调节的衣柜
CN218219561U (zh) 具有通风防潮功能的衣柜
CN210539929U (zh) 一种智能储物柜
CN219270449U (zh) 一种多功能伸缩衣柜
US7216412B2 (en) Method for constructing and installing an armoire in an existing closet space
CN219962261U (zh) 一种通风效果好的衣柜
JP2608523B2 (ja) 食器洗い機を収納した台所用出窓
US4581858A (en) Hutch divider
KR102552100B1 (ko) 빌트인 수납장
CN217285137U (zh) 一种家用柜体防潮底座
CN219147110U (zh) 一种多用型全屋定制集成家具
CN216944138U (zh) 一种应用于建筑材料销售的木地板保存装置
CN220024488U (zh) 内部隔断可调式家用衣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