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247Y1 - 직렬포트를 이용한 노래방용 반주기의 리모콘 신호범용수신장치 - Google Patents

직렬포트를 이용한 노래방용 반주기의 리모콘 신호범용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247Y1
KR200187247Y1 KR2020000000940U KR20000000940U KR200187247Y1 KR 200187247 Y1 KR200187247 Y1 KR 200187247Y1 KR 2020000000940 U KR2020000000940 U KR 2020000000940U KR 20000000940 U KR20000000940 U KR 20000000940U KR 200187247 Y1 KR200187247 Y1 KR 2001872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mote control
cycle
karaoke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09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영국
Original Assignee
왕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영국 filed Critical 왕영국
Priority to KR20200000009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247Y1/ko
Priority to KR1020000021562A priority patent/KR1003355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2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2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6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with means for modifying or correcting the external signal, e.g. pitch correction, reverberation, changing a singer's vo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01Physical layer or hardware aspects of transmission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e.g. voltage levels, bit streams, code words or symbols over a physical link connecting network nodes or instruments
    • G10H2240/211Wireless transmission, e.g. of music parameters or control data by radio, infrared or ultrasoun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01Physical layer or hardware aspects of transmission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e.g. voltage levels, bit streams, code words or symbols over a physical link connecting network nodes or instruments
    • G10H2240/275Musical interface to a personal computer PCI bus, "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b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노래방 반주기의 리모콘 신호 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노래방 반주기용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연결된 PC에서 해당명령을 수행하도록 자동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한 직렬포트를 이용한 노래방용 반주기의 리모콘 신호 범용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해독하여 특정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리모콘 신호 수신장치에 있어서,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캐리어신호를 제거하여 해당 명령코드신호만을 복조하는 제어신호수신부(100)와, 상기 제어신호수신부(100)로부터 입력되는 복조신호에 따라서 리모콘모델에 따른 기능키를 분석하여 해당 명령신호를 출력하고 전체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제어부(200)와, 상기 제어부(2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외부 PC와 데이터전송이 가능하도록 변조하여 출력하는 인터페이스(400)와, 리모콘을 통하여 입력되는 명령신호에 따른 작동상태를 제어부(2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서 표시하기 위한 LCD표시부(300)와, 장치의 각 부분에 필요한 전원(Vcc)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DC레귤레이터(50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직렬포트를 이용한 노래방용 반주기의 리모콘 신호 범용수신장치{Universal remocon signal receiver for Karaoke using serial port}
본 고안은 노래방 반주기의 리모콘 신호 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노래방 반주기용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연결된 PC에서 해당명령을 수행하도록 자동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한 직렬포트를 이용한 노래방용 반주기의 리모콘 신호 범용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최신곡을 부를 수 있도록 노래방에서 사용되는 노래 반주기에는 대부분 원격제어가 가능한 리모콘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사용되는 것으로 동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10)가 연결된 노래방 반주기(20)와, 이것을 원격조정하기 위한 리모콘(40)과, 음악이 출력되는 스피커(30)로 구성된 종래 노래반주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40)은 노래방 반주기(20)로부터 일정거리, 약 5m이내 떨어진 거리에서 노래방 반주기(20)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서도 노래선택, 음량조절, 음색조절등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에게 매우 편리한 장치이다.
사용자는 리모콘(40)의 표면에 구비된 기능키들을 조작하여서 노래방 반주기(20)에 소정명령을 입력시킨다. 리모콘(40)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는 명령수신창을 통하여 입력된 후에 해당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노래방 반주기(20)의 모니터(10) 화면상에는 동영상과, 리모콘(40)으로부터의 명령에 따른 동작에 대한 데이터가 문자로 표시된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는 노래방용 리모콘은, 각각의 노래방 반주기(20) 제조사마다 리모콘제어신호의 코드가 상이하기 때문에 리모콘간에 호환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노래방 반주기(20) 제조사마다 각각 명령에 필요한 신호(주로 펄스파형신호)를 다르게 설정하기 때문에 제조사가 다른 리모콘(40)을 사용하면 노래방 반주기(20)를 작동시키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리모콘(40)이 파손으로 인하여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면, 여분의 리모콘이 있는 경우에는 즉시 사용이 가능하지만, 없는 경우에는 노래방 반주기(20) 제조사에서 공급하는 전용 리모콘을 구입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것은 영업에 지장을 초래하며 고객 서비스면에서 나쁜 영향을 초래하였다.
또한 종래 노래방 반주기 시스템은 모니터(10), 노래방 반주기(20), 스피커(30)로 구성되어 있어서, 확장성이 없으며 이에 따라서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노래방 반주기용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연결된 PC에서 해당명령을 수행하도록 자동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한 직렬포트를 이용한 노래방용 반주기의 리모콘 신호 범용수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PC와 같은 외부장치를 리모콘을 이용하여 제어함으로써 종래 반주기에 연결된 모니터에서 출력되는 동영상 이외에도 PC에서 수행 가능한 다양한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직렬포트를 이용한 노래방용 반주기의리모콘 신호 범용수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노래방 반주기에서 사용 가능한 동일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서 리모콘의 종류에 관계없이 노래방 반주기를 제어할 수 있는 직렬포트를 이용한 노래방용 반주기의 리모콘 신호 범용수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노래방용 반주기의 리모콘 신호 범용수신장치는,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해독하여 특정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리모콘 신호 수신장치에 있어서,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캐리어신호를 제거하여 해당 명령코드신호만을 복조하는 제어신호수신부와, 상기 제어신호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복조신호에 따라서 리모콘모델에 따른 기능키를 분석하여 해당 명령신호를 출력하고 전체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외부 PC와 데이터전송이 가능하도록 변조하여 출력하는 인터페이스와, 리모콘을 통하여 입력되는 명령 신호에 따른 작동상태를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서 표시하기 위한 LCD표시부와, 장치의 각 부분에 필요한 전원(Vcc)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DC레귤레이터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사용되는 노래방용 반주기와 리모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반주기의 통합 리모콘신호수신장치의 블럭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리모콘 신호 수신장치의 일실시예의 상세회로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모니터 20 : 노래방 반주기
30 : 스피커 40 : 리모콘
100 : 제어신호수신부 200 : 제어부
300 : LCD표시부 400 : 인터페이스
500 : DC레귤레이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노래방용 반주기의 리모콘 신호 범용수신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리모콘을 통하여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변조하여 외부 PC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변조하여 출력하는 기능과, 국내에 유통되는 모든 노래방용 반주기의리모콘 코드를 수신하여 본 장치가 장착된 PC와 노래방 반주기가 연동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이다.
즉, 본 고안은 다수의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역시 제조사별로 서로 다른 기종의 노래방 반주기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리모콘과 반주기처럼 제조사에 따른 1 대 1 대응관계가 아니라, 다수(의 리모콘) 대 다수(의 노래반주기) 대응관계를 가지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PC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이것을 변조하여 직렬포트를 통하여 출력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직렬포트를 이용한 노래방용 반주기의 리모콘 신호 범용수신장치의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캐리어신호를 제거하여 해당 명령코드신호만을 복조하는 제어신호수신부(100)와, 상기 제어신호수신부(100)로부터 입력되는 복조신호에 따라서 리모콘모델에 따른 기능키를 분석하여 해당 명령신호를 출력하고 전체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제어부(200)와, 상기 제어부(2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외부 PC와 데이터전송이 가능하도록 변조하여 출력하는 인터페이스(400)와, 리모콘을 통하여 입력되는 명령신호에 따른 작동상태를 제어부(2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서 표시하기 위한 LCD표시부(300)와, 장치의 각 부분에 필요한 전원(Vcc)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DC레귤레이터(500)로 구성된다.
제어신호수신부(100)는, 리모콘(40)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중에 포함된 캐리어신호를 제거하여 해당 명령코드만을 복조하는 역할을 한다. 리모콘(40)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는 통상 적외선신호(infrared signal)가 된다.
상기 제어신호수신부(100)로부터 입력되는 복조신호에 따라서 제어부(200)에서는 리모콘 모델에 따른 기능키를 분석하여 해당 반주기에 적합한 명령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서, 리모콘(40)이 A사의 제품이라고 하고 노래방 반주기(20)가 B사의 제품이라고 가정한다. 만일 리모콘(40)으로부터 '노래시작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00)에서는 현재 입력되는 리모콘(40)이 A사 제품임을 인식하고, A사 제품에 따른 명령신호를 인식한다.
만일 '노래시작명령'이 코드 '0011'의 펄스파형태로 A사 제품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노래방 반주기(20)가 B사의 제품이면, '노래시작명령'인 '0011'코드를 노래방 반주기(20)에 입력하여도 서로의 명령코드체계가 상이하기 때문에 리모콘(40)으로부터의 명령을 인식하지 못하고 노래방 반주기에서의 '노래시작명령'의 수행이 불가능하다.
제어부(200)에서는 상기와 같이 A사 제품인 리모콘(40)으로부터 입력된 명령이 '노래시작명령'으로 인식하면, 이것을 B사 노래방 반주기(20)에서 동일한 명령을 수행하는 코드로 변조한다. 예를 들어서 B사의 노래방 반주기(20)의 '노래시작명령'이 코드 '1010'이면, 제어부(200)는 코드 '0011'을 '1010'으로 변조하여 출력함으로써 수신장치가 부착된 노래방 반주기(20)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어부(200)에는 국내에서 사용되는 모든 리모콘(40)의 명령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으며, 노래방 반주기(20)에 대한 명령신호도 또한 입력되어 있으며, 상호간에 변환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는 것이다. 제어부(200)에는 또한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제어부(200)에는 또한 인터페이스(400)가 연결된다. 상기 인터페이스(400)는 노래방 반주기(20)에 연결되어서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또한 PC와 같은 외부장치와 데이터통신을 하는데 사용된다. PC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400)의 예를 들면 RS232 형식의 9핀 커넥터등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400)를 통하여 출력되는 신호는 리모콘(40)을 통하여 입력된 신호로서, 이것도 역시 제어부(200)에 의하여 변조되어서 출력된다.
제어부(200)에 연결된 LCD표시부(300)는 리모콘(40)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의 입력상태 및 제어상태에 따른 결과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장치이다.
또한 DC레귤레이터(500)는 각 장치 전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정전압원이다. 이것은 외부 어댑터(노래방 반주기에 설치됨)로부터 입력되는 직류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노래방용 반주기의 통합 리모콘 신호 수신장치의 작동상태를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임의의 노래방 리모콘(40)을 이용하여 명령신호를 본 고안의 제어신호수신부(100)에 입력시키면, 제어신호수신부(100)는 적외선 리모콘 코드를 검출하여 제어부(200)로 입력시킨다.
제어부(200)는 제어신호수신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적외선 리모콘 코드를 복조한 후에, 이 복조된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리모콘의 모델을 식별하고, 이 식별된 상태에 따라서 노래방 반주기를 동작시키도록 명령신호를 변환한다. 이 때 각 반주기 제조사별, 또는 각 반주기별 모델로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제어부(200)에 프로그램으로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200)는 리모콘(40)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인식하여 노래방 반주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노래방 반주기를 작동시킨다.
또한 리모콘(40)으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PC 제어용 신호이면 제어부(200)는 이 신호를 변조하여 인터페이스(400)를 통하여 PC로 출력한다. PC로 출력된 제어신호는 PC에서 수행되어서 제어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도 4에 도시된 것은 본 고안에 의한 노래방용 반주기의 통합 리모콘 신호 수신장치의 일실시예의 상세회로도이다.
이것을 설명하면, 회로도의 IR-484는 적외선 수신모듈로서 리모콘(40)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중에서 캐리어신호성분(38KHz)을 제거하고, 명령을 의미하는 특정코드(code)만을 복조한다. 복조된 명령코드신호는 마이컴(U1)에 입력된다. 상기 마이컴(U1)은 도 2의 제어부(200)에 대응된다.
복조신호는 마이컴(U1)에 입력되고, 마이컴(U1)은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코드를 각각의 리모콘 모델별로 기능키를 분석한 후 출력단자를 통하여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신호는 통일된 규격인 RS-232 통신방식으로 RC6/TX/CK 단자(U1의 25번 핀)로 출력된다.
복조신호는 소정크기를 가진 펄스파형으로서, 펄스파형의 크기 또는 주기에 따라서 특정한 리모콘모델임을 인식하고 그것에 해당되는 리모콘명령을 판독하게 된다. 이것은 펄스파형을 인식한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수행된다. 집적회로(U2)는 마이컴(U1)에서 출력된 신호를 외부기기(PC)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전압레벨을 변조하여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변조된 신호는 T1출력단자(14번 핀)를 통하여 출력된다. 집적회로(U2)에 연결된 잭은 PC와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DSUB-9 잭을 사용하여 구성한다.
또한 도면에서 S1은 딥스위치들로서 기능설정시에 사용자가 설정하여 특정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하부에 도시된 회로는 정전압회로로서, 네모형태의 박스로 표시된 트랜지스터, 콘덴서들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정전압회로는 외부 어댑터로부터 입력된 직류전압을 5V로 일정하게 유지하여 각부분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공급되는 전압(Vcc)은 회로도에 표시된 것과 같이 공급된다.
또한 단자 JP1, JP4는 외부의 표시장치, 예를 들면 LCD, 또는 LED등과 같은 표시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단자이며, 리모콘(40)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 수신상태를 단자들에 연결된 표시장치에 표시한다. 단자(JP4)에 연결된 가변저항은 LCD장치의 밝기를 조정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단자(JP2)는 노래방 반주기(20)와 연결하기 위한 단자이며, 노래방 반주기의 연주가 시작됨과 끝남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다수의 리모콘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하나의 제조사별 노래방 반주기에서 명령을 수행하는 것의 예를 들었으나, 제어부(200)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변경하여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리모콘장치를 사용할 때 다수의 제조사별, 또는 제조사모델별 노래방 반주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즉,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리모콘모델을 구분하고, 노래방반주기에 연결된 통신선을 통하여 노래방 반주기 제조사 또는 제조모델별로 구분한 후에, 명령을 상호 변환하는 것이다. 이것도 역시 프로그램적으로 구현된다.
노래방 반주기의 제조사구분을 딥스위치(S1)를 이용하여 설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딥스위치의 스위치 온/오프상태에 따라서 특정 제조사를 인식하도록 하고, 수신장치를 노래방 반주기에 설치할 때 해당 제조사를 딥스위치를 사용하여 지정하는 것이다. 물론 딥스위치 설정에 따른 설정상태 데이터들은 리모콘 신호 수신장치의 설계시에 결정되어서 제어부(200)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다.
딥스위치를 이용하는 것 이외에도 프로그램적으로 제조사별로 노래방용 반주기를 인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종래 노래방용 반주기 제조사에 대한 데이터를 취합하여 이것을 제어부(200)에 저장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것의 예를 들면, 노래방용 반주기를 제조하는 회사가 다수인 경우에 교체하는 경우에는 (1. 아리랑주식회사, 2. 신나라노래반주기, 3. 가나다노래반주기,...) 등과 같이 제조사가 나열된 메뉴화면을 출력하고, 이 중에서 해당 노래방용 반주기를 선택하게 된다. 이러한 선택은 본질적으로 딥스위치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상기와 같이 제조사별로 노래방용 반주기가 설정되면, 제어부(200)에서 효율적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시 말하면,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을 인식하고 그것과 동일한 명령신호를 이미 설정된 제조사명령코드로 간단히 변환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명령이 처리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외부 PC를 노래방 반주기 장치와 연결하여 제어할 수 있으므로 부가적인 기능을 용이하게 추가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형식의 코드신호를 이용하여 노래방용 반주기를 원격 조정하는 어떠한 리모콘의 코드를 수신하더라도 리모콘으로부터의 명령에 의한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4)

  1.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해독하여 노래방 반주기가 특정기능을 수행하도록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리모콘 신호 수신장치에 있어서,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캐리어신호를 제거하여 해당 명령코드신호만을 복조하는 제어신호수신부(100)와, 상기 제어신호수신부(100)로부터 입력되는 복조신호에 따라서 리모콘모델에 따른 기능키를 분석하여 해당 명령신호를 출력하고 전체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제어부(200)와, 상기 제어부(2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외부 PC와 데이터전송이 가능하도록 변조하여 출력하는 인터페이스(400)와, 리모콘을 통하여 입력되는 명령신호에 따른 작동상태를 제어부(2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서 표시하기 위한 LCD표시부(300)와, 장치의 각 부분에 필요한 전원(Vcc)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DC레귤레이터(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포트를 이용한 노래방용 반주기의 리모콘 신호 범용수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0)가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리모콘모델을 인식하고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신호를 판단하며, 노래방용 반주기 리모콘신호 범용수신장치에 연결된 노래방용 반주기에서 입력된 명령에 따른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명령신호를 출력하여 노래방용 반주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포트를 이용한 노래방용 반주기의 리모콘 신호 범용수신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한 리모콘모델의 구분이 리모콘 신호에 포함된 명령신호의 펄스폭, 크기 등을 이용하여 판단하며, 상기 노래방용 반주기를 다른 제조사에 의하여 제조된 노래방용 반주기로 교체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00)에 연결된 딥스위치의 온/오프상태를 변경하거나, 또는 프로그램에 의한 메뉴형태에서 제조사를 선택하여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포트를 이용한 노래방용 반주기의 리모콘 신호 범용수신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400)가 제어부(20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PC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전압레벨을 변조하여 출력하는 집적회로(U2)와, 상기 집적회로(U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PC와 연결하기 위한 DSUB-9 잭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포트를 이용한 노래방용 반주기의 리모콘 신호 범용수신장치.
KR2020000000940U 2000-01-08 2000-01-08 직렬포트를 이용한 노래방용 반주기의 리모콘 신호범용수신장치 KR2001872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940U KR200187247Y1 (ko) 2000-01-08 2000-01-08 직렬포트를 이용한 노래방용 반주기의 리모콘 신호범용수신장치
KR1020000021562A KR100335544B1 (ko) 2000-01-08 2000-04-24 노래방용 반주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940U KR200187247Y1 (ko) 2000-01-08 2000-01-08 직렬포트를 이용한 노래방용 반주기의 리모콘 신호범용수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7247Y1 true KR200187247Y1 (ko) 2000-07-01

Family

ID=19637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940U KR200187247Y1 (ko) 2000-01-08 2000-01-08 직렬포트를 이용한 노래방용 반주기의 리모콘 신호범용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72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61064A (zh) * 2023-02-20 2023-06-13 山西科达自控股份有限公司 一种采煤机远程5g无线控制装置及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61064A (zh) * 2023-02-20 2023-06-13 山西科达自控股份有限公司 一种采煤机远程5g无线控制装置及方法
CN116261064B (zh) * 2023-02-20 2024-01-05 山西科达自控股份有限公司 一种采煤机远程5g无线控制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55945B (zh) 用于校准智能ac输出口的方法和装置
US619840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ical appliances by remote control transmitters
US6583719B2 (en) Setting apparatus and setting method each for setting setting information in electric power line carrier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KR100530873B1 (ko) 만능 리모콘 및 그것의 코드 설정방법
JPH06319177A (ja) 適応遠隔制御システム
US20030127990A1 (en) Remote-control device of lamp series control box
CN101276508A (zh) 基于Zigbee技术的电器遥控器及其遥控方法
KR200187247Y1 (ko) 직렬포트를 이용한 노래방용 반주기의 리모콘 신호범용수신장치
JP2010097390A (ja) データ書換システム
KR20010113231A (ko) 복수 가전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 및 이를 위한 전력선통신 장치
KR19980047715A (ko) 통합 리모콘
KR100335544B1 (ko) 노래방용 반주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CN214846290U (zh) 一种智能晾衣机控制器
WO1991008533A1 (en) Terminal, data processor, switching unit, interface, and keyboard the latter three connected to the former two
KR20010096649A (ko) 자동인식 리모트컨트롤 시스템 및 그것의 방법
KR100693596B1 (ko) 핸즈프리 식별 장치 및 방법
JPH1132381A (ja) テレビ受像機リモコン送受信装置
KR200371261Y1 (ko) 만능리모콘장치 및 그 업그레이드 시스템
RU2746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для блока управления гирляндой ламп
KR20090125379A (ko) 적외선 리모컨 데이터코드변환 장치와 통합 적외선 리모컨
JP3086844U (ja) ツリーライトコントロールボックス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980007812A (ko) 복수개의 세트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H08171687A (ja) アドレス設定器
KR200358147Y1 (ko) 일반 리모콘을 이용한 부하의 온/오프 제어장치
CN112118561A (zh) 背景音乐控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