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823Y1 - 휠체어 리프트 레일 종단부 비접촉 전자식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휠체어 리프트 레일 종단부 비접촉 전자식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823Y1
KR200186823Y1 KR2019990027333U KR19990027333U KR200186823Y1 KR 200186823 Y1 KR200186823 Y1 KR 200186823Y1 KR 2019990027333 U KR2019990027333 U KR 2019990027333U KR 19990027333 U KR19990027333 U KR 19990027333U KR 200186823 Y1 KR200186823 Y1 KR 2001868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car
wheelchair lift
boarding car
boa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3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운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송산특수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송산특수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송산특수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20199900273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8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8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8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Abstract

본 고안의 휠체어 리프트는 중량의 탑승물이 탑승되는 탑승카, 탑승카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된 안내레일, 안내레일의 내부에 장착되어 탑승카와 결합된 케이블, 케이블과 탑승카의 결합부분의 진행을 위하여 안내레일에 형성된 절개부를 구비하고, 안내레일에는 절개부에 외부의 이물질이 진입한 것을 감지하는 비접촉 전자식 센서가 장착된 것이다. 그리고 안내레일의 절개부의 끝단부에는 비접촉 전자식 센서가 내부에 장착되는 센서 하우징이 결합 설치된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는 안내레일의 절개부에 끼워져 안내레일을 따라 탑승카가 구동할 때 절개부 내부로 외부의 이물질이나 보행자의 손이 유입되는 것을 감지하여 탑승카의 즉각적인 작동중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행자에 대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탑승카의 구동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휠체어 리프트 레일 종단부 비접촉 전자식 안전장치{A wheelchair lift having noncontact electronic safety device in a rail end-portion}
본 고안은 장애인, 노약자. 환자, 임산부 등이 탑승하는 휠체어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프트의 운행중 보행자에 대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리프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애인, 노약자 등이 탑승하는 휠체어를 계단 상에서 운반하기 위한 종래의 휠체어 리프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계단의 구석부위에 포스트(11)가 각각 입설되고, 포스트(11)에는 상, 하부 안내레일(12)(13)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 하부 안내레일(12)(13)의 내부에는 케이블이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블은 구동장치에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케이블에 탑승카(10)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휠체어 리프트는 상, 하부 안내레일(12)(13)의 서로 상대하는 방향으로 절개되어 안내레일(12)(13)에 의한 탑승카(10)의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절개부는 계단을 오르내리는 보행자가 잡을 경우 보행자의 손이 끼워질 수 도 있다.
따라서 만약 탑승카(10)가 진행하고 있는 동안 계단을 보행하는 보행자가 안내레일(12)(13)을 손으로 잡고 보행하고 있는 경우 탑승카(10)의 계속된 진행으로 안내레일(12)(13)의 상하 종단부에 보행자의 손이 끼워져 이에 따른 안전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다른 이물질이 안내레일(12)(13)의 절개부에 끼워졌을 경우 탑승카(10)의 진행을 방해하거나 고장이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탑승카의 진행을 안내하는 안내레일에 형성된 절개부로 외부의 이물질이나, 보행자의 손이 끼워질 경우 이를 즉각 감지하여 탑승카의 구동이 자동으로 정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보행자에 대한 안전사고나 이물질에 의한 고장과 구동장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휠체어 리프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휠체어 리프트의 설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의 설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의 안전장치가 설치된 부분중 상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의 안전장치가 설치된 부분중 하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 - 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계단
30...탑승카
40...포스트
50, 60...안내레일
51...절개부
52...케이블
54...비접촉 전자식 센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휠체어 리프트는 중량의 탑승물이 탑승되는 탑승카, 탑승카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된 안내레일, 안내레일의 내부에 장착되어 탑승카와 결합된 케이블, 케이블과 탑승카의 결합부분의 진행을 위하여 안내레일에 형성된 절개부를 구비하고, 안내레일에는 절개부에 외부의 이물질이 진입한 것을 감지하는 비접촉 전자식 센서가 장착된 것이다. 그리고 안내레일의 절개부의 끝단부에는 비접촉 전자식 센서가 내부에 장착되는 센서 하우징이 결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층 사이에 마련되어 보행자가 층간의 이동을 위하여 마련된 각 계단(20)에 설치된 것으로, 리프트의 설치를 위하여 계단(20)의 일측의 구석부위에 계단(20)을 따라 다수의 포스트(40)가 입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 포스트(40)에는 상, 하부 안내레일(50)(60)이 포스트(40)의 상단과 하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부 안내레일(50)(60)의 내부에는 케이블(52)이 삽입 설치되어 있고, 케이블(52)은 구동장치(70)에 연결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블(52)에는 탑승카(30)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레일(50)(60) 내부에서의 케이블(52)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상부 케이블(52)에는 다수의 가이드 볼(53)이 거의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고, 하부 케이블(52)에는 다수의 쐐기 형상의 비상 멈춤 가이드(56)가 케이블(52)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한편, 계단(20)의 최상단에는 탑승카(30)의 이동을 위하여 케이블(52)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7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구동장치(70)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통상적인 모터와 이 모터를 구동시키는 풀리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풀리의 동력을 케이블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기어로 마련된다.
따라서 탑승카(30)의 구동은 모터로부터 케이블(52)에 동력이 전달됨에 따라 이 동력이 탑승카(30)에 전달되어 탑승카(30)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 하부 안내레일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는 케이블(52)과 탑승카(30)의 연결부분이 탑승카(30)의 이동시 원활히 안내되도록 하기 위한 절개부(5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탑승카(30)는 이 절개부(51)를 따라 케이블(52)과 함께 상하로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이 안내레일(50)(60)중의 상부 안내레일(50)에는 다수의 비접촉 전자식 센서(54)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 비접촉 전자식 센서(54)로는 감지영역사이로 물체의 유입시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포토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와 같은 것들이 채용되어 사용되어 질 수 있다.
이 비접촉 전자식 센서(54)는 도 3과 도 4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안내레일(50)의 절개부(51)를 따라 그 상, 하 최 끝단에 각각 장착되는데. 그 장착상태의 견고한 유지를 위하여 별도의 센서 하우징(55)을 안내레일(50)에 고정 장착하고, 그 내부로 이러한 비접촉 전자식 센서(54)를 각각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비접촉 전자식 센서(54)들은 절개부(51) 내로 외부의 물질이 유입될 경우 동작중인 탑승카(10)의 구동을 즉시 중지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비접촉식 전자식 센서(54)는 하부 안내레일(60)에도 설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휠체어 리프트의 탑승카를 사용하려는 사용자는 먼저 작동스위치를 작동시킨 후 탑승카(30)에 탑승한 다음 승강 또는 하강스위치를 작동시켜 탑승카(30)가 승, 하강하도록 조작한다. 이때 비접촉 전자식 센서(54)는 탑승카(30)의 구동직전부터 온 상태로 있게 된다.
이러한 탑승카(30)의 구동 중 만약 절개부(51)의 일측으로 보행자의 손이나 그 외 이물질이 감지되면 비접촉 전자식 센서(54)는 이를 즉각 감지하여 도시되지 않은 통상적인 메인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송신하게 되고, 이 송신신호를 수신받은 메인 제어부는 즉각 구동장치(70)로 신호를 송신하여 구동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키거나, 또는 별도로 설치된 브레이크 장치를 통하여 탑승카(30)를 정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후 감지된 물체가 절개부(51)로부터 이탈하거나 제거되게 되면 비접촉 감지센서(54)는 해제 신호를 다시 메인 제어부로 송신하게 되고, 이 메인 제어부는 이 신호를 수신받은 즉시 최초의 작동상태로 탑승카(30)가 구동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 또는 브레이크 장치로 신호를 송신하여 탑승카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휠체어 리프트는 탑승카(30)의 구동중 탑승카(30)와 케이블(52)이 연결되어 탑승카(30)의 승하강이 안내되는 안내레일의 절개부로 외부의 이물질이나 보행자의 손이 유입될 경우 이를 즉각 감지하여 탑승카(30)의 구동을 멈추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탑승카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상태에 대한 실시예는 계단(20) 등에 장착되는 휠체어 리프트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나, 그 외의 다른 승하강 장치 등에도 적용하여 사용되어 질 수 있으며, 보다 다양하게 적용 실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는 안내레일의 절개부에 끼워져 안내레일을 따라 탑승카가 구동할 때 절개부 내부로 외부의 이물질이나 보행자의 손이 유입되는 것을 감지하여 탑승카의 즉각적인 작동중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행자에 대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탑승카의 구동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중량의 탑승물이 탑승되는 탑승카, 상기 탑승카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된 안내레일, 상기 안내레일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탑승카와 결합된 케이블, 상기 케이블과 탑승카의 결합부분의 진행을 위하여 상기 안내레일에 형성된 절개부를 구비한 휠체어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에는 상기 절개부에 외부의 이물질이 진입한 것을 감지하는 비접촉 전자식 센서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의 상기 절개부의 끝단부에는 상기 비접촉 전자식 센서가 내부에 장착되는 센서 하우징이 결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
KR2019990027333U 1999-12-07 1999-12-07 휠체어 리프트 레일 종단부 비접촉 전자식 안전장치 KR2001868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333U KR200186823Y1 (ko) 1999-12-07 1999-12-07 휠체어 리프트 레일 종단부 비접촉 전자식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333U KR200186823Y1 (ko) 1999-12-07 1999-12-07 휠체어 리프트 레일 종단부 비접촉 전자식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6823Y1 true KR200186823Y1 (ko) 2000-06-15

Family

ID=19600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333U KR200186823Y1 (ko) 1999-12-07 1999-12-07 휠체어 리프트 레일 종단부 비접촉 전자식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82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51957C (zh) 电梯门的安全装置及其运行方法
CN203112322U (zh) 一种扶手电梯
JP3920528B2 (ja) エレベータの位置検出装置
KR200186823Y1 (ko) 휠체어 리프트 레일 종단부 비접촉 전자식 안전장치
ES2907860T3 (es) Control del movimiento de una cabina de ascensor de un sistema de ascensor
US6538574B2 (en) Device for signaling the position of an elevator car in the case of passenger evacuation
KR100638176B1 (ko) 탑승체 추락방지용 전동식 안전바를 갖는 휠체어 리프트
JP2006193258A (ja) 乗客コンベア
JP2004099266A (ja) 乗客コンベア
JPH07237838A (ja) エレベータの重り接近警報装置
KR200294519Y1 (ko) 경사형 엘리베이터와 경사 안내부 및 경사형 엘리베이터시스템
JPH06199488A (ja) 歩行補助装置
KR20140140459A (ko) 교통약자용 탑승 시설이 구비된 페리 보트
EP0931754A3 (de) Sicherheitseinrichtung für Fahrtreppe
KR200378544Y1 (ko) 탑승체 추락방지용 전동식 스토퍼를 갖는 휠체어 리프트
CN210176249U (zh) 一种无轿门电梯轿厢保护装置
KR102461967B1 (ko) 노약자를 위한 계단 리프트 장치
JP2000198656A (ja) 乗客コンベアの運転装置
JPH0873160A (ja) エレベータ
KR100454007B1 (ko) 휠체어 리프트장치
KR200489413Y1 (ko) 승강장의 안전발판
CN210103220U (zh) 一种具有逃生机构的电梯
JPS6122940Y2 (ko)
KR100351290B1 (ko) 에스컬레이터의 제동거리측정장치
KR19990027980A (ko) 이동보도의 아동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