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748Y1 - 장어잡이용 통발 - Google Patents

장어잡이용 통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748Y1
KR200186748Y1 KR2020000002513U KR20000002513U KR200186748Y1 KR 200186748 Y1 KR200186748 Y1 KR 200186748Y1 KR 2020000002513 U KR2020000002513 U KR 2020000002513U KR 20000002513 U KR20000002513 U KR 20000002513U KR 200186748 Y1 KR200186748 Y1 KR 2001867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eel
circumferential surface
cap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25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석
Original Assignee
김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석 filed Critical 김광석
Priority to KR20200000025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7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7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7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01K69/08Rigid traps, e.g. lobster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발의 형상을 상광하협식으로 하고 그 상단면에는 회전캡의 좌/우 작동에 따라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블레이드를 조립하고 그 하단면에는 원뿔식 타입의 유통날개들을 부착하여 장어들이 통발의 양측단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구성한 장어 통발을 제안한다.

Description

장어잡이용 통발{A WEIR FOR BROILED CATCH}
본 고안은 장어잡이용 통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발의 개구부에 조립된 원추형 유통구를 최단시간 내에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장어잡이용 통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바다 또는 민물에서 어류 특히 장어를 잡는 방법에 있어서는 통발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통발을 이용한 작업을 간략히 설명하면, 기다란 로프에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다수개의 통발을 설치한 다음 상기 통발이 설치된 로프를 바다속에 풀어두고,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로프를 끌어올리면서 로프에 설치된 통발을 분리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작업을 위한 장어잡이용 통발은 통상 원통형의 몸체와 장어를 잡기 위한 원추형 타입의 유통구로 구성되며, 이러한 통발 구조는 이미 널리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장어잡이용 통발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 89-8218 호(나선 개폐식 장어통발) 및 공개번호 제 90-11279 호(장어잡이 통발)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공고번호 제 90-7192 호(장어 통발)에도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다수개의 통수공을 뚫은 통발몸체를 상하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하고 일측 내부에 끼워놓는 유통구는 끈으로 결속하여 착탈되도록 구성한 것이므로 통발들이 서로 포개어지지 않아 출어시에 많은 량을 선적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보관시에도 많은 장소를 차지하는 등 취급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위 선행기술은 통발몸체 내에 미끼를 넣거나 포획한 장어를 통발로부터 빼낼 때마다 작업자로 하여금 일일이 끈을 풀거나 묶어야만 하기 때문에 과다한 노동력과 시간을 요하게 되고, 또한 신속하게 유통구를 빼낼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통발의외형을 상광하협식으로 형성하여 다수개의 통발을 한꺼번에 적층시킬 수 있는 장어잡이용 통발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통발의 개구부에 조립된 원추형 유통구를 신속하게 개폐시킬 수 있는 장어잡이용 통발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원추형 유통구를 탈착시키지 않고 포획한 장어를 통발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있는 장어잡이용 통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견제에 따른 본 고안은 다수개의통발들이 적층될 수 있도록 상광하협식으로 통발이 형성되고, 상기 통발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원추형 타입의 유통날개들이 형성되며, 상기 통발에는 내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홈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고정캡이 상기 원통형의 상단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고정캡의 내주면에는 상단 둘레면을 따라 다수개의 고정구멍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회전캡이 조립되고, 그리고 상기 고정캡의 홈에는 걸림턱이 끼워지게 되고 이 걸림턱은 다시 상기 회전갭의 고정구멍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걸림턱의 하단부에는 상기 회전캡의 작동에 따라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블레이드가 일체로 형성한 장어잡이용 통발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광하협 타입의 장어잡이용통발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통발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통발의 주요구성 부분을 도시한 확대도.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블레이드의 형상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블레이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의 장어잡이용 통발이 닫혀있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장어잡이용 통발이 열려있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어잡이용 통발들이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회전캡 12: 사각구멍
16: 고정구멍 18; 고정캡
20: 돌기 24: 홈
28: 원통 38: 블레이드
42: 유통날개 100: 통발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혹은 장어 통발 제작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우선 본 고안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장어잡이용 통발의 개념을 살펴보면, 통발의 형상을 상광하협식으로 하고 그 상단면에는 회전캡의 좌/우 작동에 따라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블레이드를 조립하고 그 하단면에는 원뿔식 타입의 유동날개들을 부착하여 장어들이 통발의 양측단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구성한 장어 통발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앞에서 제안한 장어잡이용 통발의 구성을 도 1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통발(100)은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고 이는 통상의 원통(28)과 내주면을 따라 홈(24)들을 가지는 고정캡(18) 및 상기 고정캡(18)과 결합되는 회전캡(10)으로 구성된다. 상기 원통(28)은 다수개의 통수공(30)들이 형성되고 상측 외주면에는 'U'자 모양의 손잡이(32)가 부착된다. 또한 상기 원통(28)은 장어를 잡기 위하여 출어시 많은 량의 통발을 선적하기 위하여 '상측은 직경이 크고 아래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은' 상광하협식으로 형성되며, 이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통발(100)들을 적층하여 많은 량의 통발(100)들을 선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원통(28)의 하단 내주면에는 원뿔식 타입의 유통날개(42)들이 부착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유통날개(42)들은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을 취하면서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고정캡(18)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28)의 상단에 다수개의 나사(34)로 체결 조립되고, 그 형상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상기 고정캡(18)은 외주면을 따라 돌기(20)들이 형성되고 내주면을 따라 홈(24)들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20)들은 직사각형 타입으로서 약 90°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되고, 상기 홈(24)들은 고정캡(18)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돌출면(19)에 형성되어진다. 즉, 상기 돌출면(19)에는 지지리브(26a,26b)들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되고, 전술한 홈(24)은 상기 지지리브(26a)와 지지리브(26b) 사이의 간격을 말한다. 한편 전술한 지지리브(26a,26b)들은 소정의 텐션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후술하는 블레이드(38)의 걸림턱(40)이 착탈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끝으로 전술한 고정캡(18)의 외주면에는 고정리브(22)가 돌출 형성되고, 이 고정리브(22)는 상기 고정캡(18)과 회전캡(10)을 서로 연결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회전캡(10)은 고정캡(18)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리브(22)가 끼워져 체결되기 위한 개구부(14)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캡(10)의 외주면에는 사각구멍(12)들이 약 90°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되고, 이 사각구멍(12)들은 전술한 고정캡(18)의 돌기(20)들보다 항상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방법으로 구성한 이유는, 구체적으로는 사각구멍(12)의 크기를 돌기(20)보다 크게 한 이유는 회전캡(10)을 작동시킬 때 회전반경을 제어하기 위함이며, 이는 고정캡(18)에 조립된 블레이드(38)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전술한 회전캡(10)의 상단면에는 다수개의 고정구멍(16)들이 규칙적으로 형성되고, 이 고정구멍(16)에는 블레이드(38)의 걸림턱(40)이 끼워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38)는 회전캡(10)의 작동에 따라 '오므려졌다, 펴졌다'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며, 이러한 블레이드(38)의 형상은 후술하는 도 4의 상세 설명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4는 전술한 블레이드(38)의 형상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장어들이 원통(28) 안으로 들어올 때 부드럽게 들어오도록 혹은 꼬리가 끼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플랙시블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38)는 걸림턱(40)과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또한 아래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면서 결국 그 끝은 뾰족하게 형성되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장어잡이용 통발의 조립과정 및 이 통발을사용하여 장어잡이 방법을 도 3 및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고정캡(18)의 내주면에 형성된 각 홈(24)에 블레이드(38)의 걸림턱(40)을 각각 끼운 다음, 상기 고정캡(18)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34)로 원통(28)의 상단부에 체결 고정시킨다. 이후 고정캡(18)의 돌기(20)들을 회전캡(10)의 사각구멍(12)에 끼운 다음, 전술한 걸림턱(40)들을 회전캡(10)의 고정구멍(16)에 체결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캡(18)의 고정리브(22)는 회전캡(10)의 개구부(14)에 끼워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캡(10)과 고정캡(18)은 서로 조립되어진다.
한편, 전술한 조립방법은 실시 예에 따른 구체적인 조립방법에 대한 것이며, 사용자 혹은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다르게 조립될 수 있다는 것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자명할 것이다.
이후, 전술한 방법대로 조립된 통발(100)을 이용하여 장어를 잡고자 할 때는 우선 전술한 회전캡(10)을 잡고 시게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도 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38)는 닫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통발(100)들을 바다속에 던져 놓으면 장어들은 원통(28)의 유통구, 바람직하게는 블레이드(38)를 따라 원통(28) 안으로 들어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원통(28)의 저면에 형성된 유통날개(42)를 통해서도 장어들이 원통(28) 안으로 들어오게 된다.
다음, 작업자는 소정시간 경과 후 통발(100)들을 바다속에서 건져 올린 다음, 회전캡(10)을 잡고 반시계 방향으로 돌린다. 그러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38)는 열리게 되고, 이에 따라 작업자는 신속하고 용이하게 장어들을 빼낼 수 있게 된다. 한편 장어들은 전술한 유통날개(42)들을 통해서는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는다.
한편, 앞에서 개시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광하협식으로 통발의 외형을 형성하므로서 다수개의 통발들을 적층시켜 한꺼번에 많은 량의 통발들을 선적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장어를 잡은 후 회전캡을 돌리기만 하면 통발의 유통구가 간단히 열리기 때문에 작업의 신속성 및 간편화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통발의 양측단으로 장어를 잡을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통발보다 어획량을 높일 수 있는 상승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장어잡이용 통발에 있어서,
    상기 통발의 외형은 다수개의 통발들이 적층될 수 있도록 상광하협식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어잡이용 통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발은
    둘레면을 따라 다수개의 통수공을 가지는 원통과;
    상기 원통형의 상단에 체결 고정되며, 내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홈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고정캡과;
    상기 고정캡이 내주면을 따라 조립되며, 상단 둘레면을 따라 다수개의 고정구멍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회전캡과;
    상기 고정캡의 홈에 끼워진 다음 상기 회전캡의 고정구멍에 삽입 고정되는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캡의 작동에 따라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어잡이용 통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캡의 둘레면에는 상기 돌기들이 끼워지기 위한 사각구멍들이 상기 돌기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어잡이용 통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플랙시블 재질로서 상기 걸림턱과 소정각도를 이루면서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어잡이용 통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원추형 타입의 유통날개들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어잡이용 통발.
KR2020000002513U 2000-01-25 2000-01-25 장어잡이용 통발 KR2001867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513U KR200186748Y1 (ko) 2000-01-25 2000-01-25 장어잡이용 통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513U KR200186748Y1 (ko) 2000-01-25 2000-01-25 장어잡이용 통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6748Y1 true KR200186748Y1 (ko) 2000-06-15

Family

ID=19639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513U KR200186748Y1 (ko) 2000-01-25 2000-01-25 장어잡이용 통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74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3199A (en) Fish hook guard
JP2012504391A (ja) 改良された魚釣り用のおもり
US4611424A (en) Selectable entry shellfish trap
KR101644468B1 (ko) 해양 생태계 보호용 친환경 조립식 부력체
KR200186748Y1 (ko) 장어잡이용 통발
WO1999029165A2 (en) Combination trap, holding pen and chum pot
US2849827A (en) Fishing float
KR20000030177A (ko) 장어잡이용 통발
US4554757A (en) Trolling bucket
JP6216602B2 (ja) 採便容器
US4043068A (en) Escape hatch for fish net
US6550409B1 (en) Rat ring
WO2008105665A1 (en) Trap
KR101397465B1 (ko) 통발
JP2004143809A (ja) 野外テント
KR101282869B1 (ko) 배수밸브 및 이를 채용한 배수구 개폐장치
JP2009005638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4422869B2 (ja) シーアンカー収納装置
KR200327118Y1 (ko) 어류 포획용 어항
US20120292416A1 (en) Spinning Type Fishing Reel with Manual Bale Lock and Bale Release Mechanisms
KR101215856B1 (ko) 빗물 빠짐구를 구비한 우산 커버 시스템
JPH0746155Y2 (ja) 魚収納ケース
KR20200022935A (ko) 어망 교체가 가능한 낚시용 뜰채
KR200174141Y1 (ko) 세면기의 배수밸브용 승강구
KR200154241Y1 (ko) 어류포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