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374Y1 - 난방수 분리 겸용 보일러 - Google Patents

난방수 분리 겸용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374Y1
KR200186374Y1 KR2020000002667U KR20000002667U KR200186374Y1 KR 200186374 Y1 KR200186374 Y1 KR 200186374Y1 KR 2020000002667 U KR2020000002667 U KR 2020000002667U KR 20000002667 U KR20000002667 U KR 20000002667U KR 200186374 Y1 KR200186374 Y1 KR 2001863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water
fuel
heating
wood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26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하수
Original Assignee
김하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하수 filed Critical 김하수
Priority to KR20200000026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3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3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3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2/00Oth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12/02Other central heating systems having more than one hea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CWORKING-UP PITCH, ASPHALT, BITUMEN, TAR; PYROLIGNEOUS ACID
    • C10C5/00Production of pyroligneous acid distillation of wood, dry distillation of organic was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4Gas or oil fired boi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6Solid fuel fired boiler
    • F24D2200/065Wood fired bo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보고안은 난방수 분리형 겸용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나무와 기름을 공동사용 연료로하는 겸용보일러에 있어 발열 균일도가 일정하지 않은 나무연료의 사용시 소요되는 많은량의 난방수를 나무와 기름의 연료에 무관하게 공동으로 사용함으로서 기름연료를 난방연료로 사용할때에는 불필요한 다량의 난방수를 데워야 함으로서 기름의 불필요한 소비를 가져오는 종래기술을 개선하는 난방수 분리형 겸용 보일러에 관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난방수 분리 겸용 보일러
[고안의 명칭] 본 고안은 '난방수 분리형 겸용 보일러' 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나무와 기름을 공동으로 사용하는 겸용 보일러로서 난방수가 분리된 보일러의 제조 방법을 창안 함으로서 나무를 연료로하는 난방수와 기름을 연료로 하는 난방수를 분리하여 폐목(廢木)등을 소각한 열로 난방효과가 종료되고, 기름을 난방연료로 사용할 때 기름의 사용량을 효과적으로 절감할수 있는 겸용 보일러의 제조 방법을 완성함을 목적으로한다
본 고안 분야의 종래기술로는 도면 제 5 도와 같이 나무의 연소공간 상부의 좌우측 중 한곳에 기름 버너를 설치하여 나무의 소각열이 소실된 이후 기름 버너가 자동으로 난방을 대체 하는 공동 난방수 겸용 보일러 제조 방법(종래기술 A 형)과 도면 제 6 도와 같이 보일러의 소각로 입구에 2 개의 문(門)을 설치하여 1 개의 문은 나무 소각시 차단용으로 사용하고,
1 개의 문은 기름 버너를 설치한후 기름 보일러용으로 고안하여 나무에 의한 난방이 종료되면 나무 소각용 차단문을 열고,
기름 버너가 설치된 문을 소각로 입구에 장치하여 기름 버너로서 난방을 연결해 나가는 겸용보일러 제조 방법(종래기술 B 형)이 종래 기술로 존재한다
.
제 1 도 : 본 고안 겸용보일러의 사경도
제 2 도 : 난방수 흐름 개념도
제 3 도 : 자동 개폐기 설치 개념도
제 4 도 : 자동개폐기 단면도
제 5 도 : 통합 난방수 겸용 보일러 개념도(종래기술 A 형)
제 6 도 : 통합 난방수 겸용 보일러 개념도(종래기술 B 형)
색인표:
(1) 겸용보일러 : 나무와 기름를 공동연료로하는 난방용 보일러
(2) 난방수 : 보일러의 내부에 충진되어 연료에서 발생한 열을 난방 필요지점으로 이동 시키며 난방열을 전달하는 물
(3) 발열 균일도 : 연료가 연소될 때 연소 시간당 발생되는 열량의 균일한 정도
(4) 목초액 : 나무가 연소될 때 연기를 냉각하여 수거하는 액체로서 각종 유기산이 함유된 농업자재
(5) 자동 개폐기 :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용수의 통로를 개방또는 폐쇄시키는 장치로서 패킹(PACKING) 과 개폐변으로 구성
(6) 난방수 출수부 : 보일러 내부에서 고온화된 난방수가 난방지역으로 난방을 위해 출발하는 지역
(7) 난방수 퇴수부 : 난방지역에서 난방을 위해 열량을 소진한 난방수가 열량 보충을 위해 보일러로 돌아오는지역
본 고안은 난방 연료의 차이에 의해 난방수 소요량이 현격히 차이가 남에도 불구하고 공동 난방수를 사용함으로서 기름연료의 과도한 소비를 조장함을 방지하고져 본 고안을 창안 하였다
난방 연료와 난방수의 소요량을 설명하면
나무 연료는 발열 균일도가 매우 낮아 연소 시간 단위 별 발열량이 현격히 변화됨으로 이를 완충해 줄수 있도록 많은 량의 난방수가 필요하여 일반적으로 130∼200 리터(l)의 난방수를 보일러에 충진한다 또한 이 난방수가 적을 경우에는 발열량의 과도함으로 인해 과열되어 보일러의 고장 및 폭발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비해 기름연료는 발열 균일도가 매우 높아 발열량을 정확히 예측함으로서 난방수량을 효율적으로 줄여 일반 가정용 보일러는 15∼20 리터(l)의 난방수를 보일러에 충진한다
종래 기술에 의한 겸용 보일러는 상기한바와 같은 난방수 소요량을 무시하고 나무 연료사용시 필요한 난방수량(130∼200 리터)을 충진하여 난방에 사용됨으로서 나무 연료에 의한 난방이 종료된 이후
기름을 연료로 난방을 가동할때에는 적정 난방수 소요량(15∼20 리터)의 8∼10 배의 난방수를 가열하는 손실이 발생되어 기름 연료의 절감효과를 절감 시킴과 동시에
나무 연료의 사용이 제한되어 기름 만을 연료로 사용할때에는 소비되는 기름 연료량이 더 많이 소비되어 유류 절감을 기대한 겸용보일러의 목적에 역행하는 경우가 발생되기도 한다
또한 나무 연료의 사용시 농업자재로 사용되는 목초액이 생산되게됨에도 종래 기술의 겸용 보일러는 목초액에 혼입되면 성장장애를 유발하는 기름의 소각찌거기가, 연소공간 또는 연도을 공동으로 사용함으로서 목초액에 혼입되게 됨으로서 부산물로 생산되는 목초액을 수거하여 사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본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나무 연료 사용시 난방수와 기름연료사용시 난방수를 자동으로 분리시키는 방법을 고안하여 기름 연료 사용시 연료의 손실을 방지하는 기술을 제공함과 동시에
나무의 소각로와 연도를 기름연료의 소각로와 연도에서 완전히 분리시킴으로 부산물인 목초액의 수거 및 사용이 가능하도록 고안 하였다
[고안의 설명]
본 고안은 제 1 도와 같이 나무연료의 소각에의한 난방수와 기름 연료에 의한 난방수의 공간을 구획하여 각 연료의 사용에 따라 난방수의 용량이 조절되도록 난방수 공간을 설계하였다
제 2 도와 제 3 도는 자동 개폐기의 사용에 의한 난방수의 차별화와 자동개폐기의 설치 위치에 관한 개념도 이다
본 고안은 나무 연료가 소각되어 난방을 실시할때는 제 4 도의 나무보일러 작동시 개폐변의 위치와 같이 자동 개폐기가 개방되어 나무 연료의 난방수와 기름연료의 난방수가 통합되어 난방에 사용되게된다
그러나 기름 연료에 의한 난방이 시작되면 개폐변은 패킹에 기밀되어 나무 연료의 사용의 난방수가 난방에서 배제됨으로서 고안의 구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15∼20 리터의 난방수만으로 난방을 실현하게 된다
본 고안은 나무와 기름을 공동 연료로하는 겸용 보일러에 있어 난방수 통합형 겸용보일러의 종래기술로서 생산된 보일러가 나무 연료의 발열중단(연료소진) 또는 기름 단일 연료의 사용시 필요 이상의 난방수을 가열함으로서 발생하는 기름연료의 과도한 소비를 개선하고 기름 연료와 나무 연료의 연도를 완전히 분리함으로서 나무 연소에의한 연기의 냉각으로 생산되는 목초액을 수거하여 농업자재로 활용할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1)

  1. 제 1 도면과 같이 나무 연료와 기름 연료의 사용에 따른 난방수를 분리하도록 설계된 겸용보일러로서
    제 4 도면과 같이 자동개폐기를 장치하여 기름 연료사용시 나무연료 난방수가 자동으로 폐쇄되어 소량의 기름연료 난방수 만으로 난방을 실현 하는 기름 및 나무의 연료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난방수 분리형 겸용 보일러
KR2020000002667U 2000-01-24 2000-01-24 난방수 분리 겸용 보일러 KR2001863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667U KR200186374Y1 (ko) 2000-01-24 2000-01-24 난방수 분리 겸용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667U KR200186374Y1 (ko) 2000-01-24 2000-01-24 난방수 분리 겸용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6374Y1 true KR200186374Y1 (ko) 2000-06-15

Family

ID=19640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667U KR200186374Y1 (ko) 2000-01-24 2000-01-24 난방수 분리 겸용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37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2579A (en) Condensate overflow control for furnace
CA1228509A (en) Particle fuel delivery control device
US4471702A (en) Apparatus for burning waste material
CN100523620C (zh) 多燃料炉
US4646713A (en) Smoke-incinerating woodstove
KR200186374Y1 (ko) 난방수 분리 겸용 보일러
EP0798510A3 (de) Heizkessel
CN104566345A (zh) 生物质气化燃烧锅炉
KR0140806Y1 (ko) 폐기물 소각 장치
US2883947A (en) Incinerator
KR20070065563A (ko) 목편 및 톱밥을 원료로 사용하는 스팀 및 온수보일러 장치
KR19980019156U (ko) 소각로 겸용 보일러
KR870002352Y1 (ko) 종합연료 온수보일러
EP0039670B1 (en) Batch type combustion process and apparatus
KR102320351B1 (ko) 연탄 연료와 목재 연료의 결합형 고효율 난로
RO126059A2 (ro) Boiler de apă caldă pentru combustibili solizi, bazaţi în special pe biomasă
DE502004011764D1 (de) Vorrichtung zur Beheizung eines wärmetechnischen Gerätes mit festem, schüttfähigem Brennmaterial
JP2727069B2 (ja) 焼却炉
EP1099916A3 (en) Combustion device
CA1144018A (en) Hot-water boiler with firewoods
SU148316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жигани топлива
KR19980014315U (ko) 보일러
GB2140903A (en) Furnace
KR820001182Y1 (ko) 구멍탄용 온수보일러의 연통 조절장치
JPH0261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