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5982Y1 - 착즙기(extractor) - Google Patents

착즙기(extra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5982Y1
KR200185982Y1 KR2019970032918U KR19970032918U KR200185982Y1 KR 200185982 Y1 KR200185982 Y1 KR 200185982Y1 KR 2019970032918 U KR2019970032918 U KR 2019970032918U KR 19970032918 U KR19970032918 U KR 19970032918U KR 200185982 Y1 KR200185982 Y1 KR 2001859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support
plate
compress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29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9571U (ko
Inventor
김혜순
Original Assignee
김혜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혜순 filed Critical 김혜순
Priority to KR20199700329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5982Y1/ko
Publication of KR199900195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5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59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59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7Centrifugal ex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력찜통에 의하여 다려진 한약이나 영양 음식(보신용 개소주)을 압착하여 그 즙을 추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압착용기에 담겨진 대상물을 압착하는 압착판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착즙기는 압착용기와 압착장치 그리고 압착판이 수직 일 선상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으로서 그 사용에 있어서 취급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압착용기를 슬라이드 형식으로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였고 보다 확실한 착즙을 위하며 압축기를 부설한 착즙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착즙기
본 고안은 압력짐통을 이용하여 조리된 한약이나 보신용 개-소주, 흑염소-소주 등과 같은 건강보조식품을 가공할 때 그 조리물의 액즙을 추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압착용기에 담겨진 대상무을 압착하여 액즙을 추출하는 압착판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이미 조리된 대상물에 한하여 사용되는 것인데 반하여, 일반적인 착즙기에서는 한약이나 개-소주 등을 조리하는 압력용기의 밀폐수단의 중앙에 착즙기능을 행하는 장치를 부설하여 조리 및 착즙을 겸하는 장치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압력조리기의 간단한 구조로서는 통상의 원통형 금속 재의 압력용기를 상자형틀의 몸체에 설치하고 이 몸체의 내부 하측에 가열버너를 설치하고 용기의 상부에 힌지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태로 회전되어 개폐되는 밀폐수단을 부착하였으며, 상기 밀폐수단의 중앙에는 스크류 방식으로 왕복되는 압착기축을 설치하고 이의 상측에 이송핸들을 부착하고 하단에는 압착판을 설치한 구조이다.
위와 같은 구조의 일적인 압력조리기에 있어서, 장점으로서는 압력조리기와 착즙작용을 겸하는 장치로서 별도의 그 각각의 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으나, 이에 반하여 단점으로서는 압력용기의 밀폐수단에 설치되는 압착착즙기의 구조가 압력용기에서 발생되는 고압을 견디도록 구성하여야 되는 관계로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되는 것과, 착즙기의 구동행정거리 만큼 밀폐수단의 상부로 돌출 되게 됨으로서 취급이 불편한 것이며, 압력용기의 하단에 부설되는 착즙홈 및 배출장치로 인한 압력용기의 강도상 취약부가 되어 이를 보강하기 위한 수단의 필요성이 강구되어야 하며, 사용할 때 조리된 대상물을 일정한 시간동안 방치한 후 착즙을 행하여야 됨으로서 대기시간의 낭비가 있으며, 가공이 완료된 조리물의 세척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가공이 완료된 조리물의 세척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위와같은 단점으로 인하여 앞에서 설명한 장점에 비하여 압력조리 기능과 착즙기능을 겸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착즙전용의 착즙기인 것으로서, 압력조리기에서 조리된 대상물을 착즙용기에 옮겨 담은 후 착즙장치에서 용이하게 착탈이 이루어지는 압착용기에 담은 후 전동식으로 작동되는 압착장치에 의하여 간편하게 압착되도록 하는 장치이고 보다 완전한 착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조 가압장치를 이용하여 완전한 착즙이 되도록 한 착즙기를 제공한다.
제1도는 본 고안 제1 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제1 실시예의 분해사사도,
제3a도는 본 고안 제1 실시예인 압착전의 모습을 표현한 단면도,
제3b도는 본 고안 제1 실시예인 압착후의 모습을 표현한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제1 실시예의 압착구동부 발취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 제1 실시예의 압착구동부 발취 평면도,
제6도는 본 고안 제1 실시예의 압착구동부 발취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 제1 실시예의 고압착 작용의 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 제2 실시예인 사시도,
제9도는 본 고안 제2 실시예의 압착구동부 발취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기초판 5 : 가압기
6 : 회전력 8 : 하부지주고정홀
10 : 높이유지파이프 20 : 착즙판
21 : 배출관안내홈 22 : 미끄럼레일
23 : 지주안내홈 24 : 용기협지턱
25 : 위치조절나사 26 : 유지스프링
27 : 스톱링 30 : 착즙용기
32 : 배출관 33 : 배출밸브
34 : 안내홈 40 : 착즙망
41 : 착즙홀 51 : 모터
52 : 감속기 53 : 원동스플라켓
54 : 동력전달체인 55 : 종동스플라켓
56 : 워엄 57 : 워엄휠
58 : 스크류홀 59 : 상부지주고정홀
60 : 구동판 61 : 회전방지키
67 : 샤프트홀 70 : 압착샤프트
71 : 회전방지홀 72 : 지주
80 : 구동부커버 82 : 압착샤프트커버
83 : 콘트롤박스 90 : 압착원판
92 : 주름관 100 : 압축핸들
위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로서, 하측에는 이동바퀴(1)를 부착하고 이의 일 측 고정쇠(2)를 설치한 기초판(3)의 외곽에 4개의 하부지주고정홀(8)을 천공하고 이의 중앙에 가압기(5)를 위치시키는 안치대(4)를 형성하고 상기 가압기(5)에는 승압페달(6)과 배압레버(7)를 설치하였다.
위와 같은 기초판(3)의 하부지주고정홀(8)들에는 지주(72)를 각각 위치시킨 후 하부지주고정볼트(9)로 체결하여 고정하며 이 지주(72)에 상측으로부터 높이유지 파이프(10)를 삽입하고 이어서 착즙판(20)에 천공된 지주안내홈(23)을 통하여 끼우는데, 상기 착즙판(20)에는 전방으로 배출관안내홈(21)을 형성하고 이의 양측에 미끄럼레일(22)을 형성하고 이의 후방으로 용기협지턱(24)을 반원형으로 설치하고 이에 등간격의 위치조절나사(25)를 다수 설치하였다.
그리고, 상기 지주(72)의 상단에는 구동판(60)의 네모퉁이에 천공된 상부지주고정홀(59)을 통하여 상부지주고정볼트(68)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렇게 고정된 구동판(60)에는 중앙에 상하로 천공된 샤프트통과홀(60-1)이 형성되고 이의 상측에 회전턱(61)과 하측에 하우징지지턱(63)을 형성하고 상기 구동판(60)의 일 축 축받침(56-1)을 설치하여 이에 워엄(56)을 설치하여 이와 맞물리는 워엄훨(57)의 하부에 형성된 휠지지턱(62)을 상기 회전턱(61)에 끼워서 설치하여 회동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워엄(56)의 양측은 축받침(56-1)에 끼워져 회동되는데 이의 일 축은 종동스플라켓(55)이 설치되어 이에 물려진 동력전달체인(54)을 통하여 모터(51)와 감속기(52)의 회전축에 부착된 원동스플라켓(53)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워엄휠(57)의 중앙에 천공되어 형성된 스크류홀(58)에는 압착샤프트(70)를 나선조립하고 이의 하측에 압착원판(90)을 나선 결합한다.
한편, 상기 압착샤프트(70)의 원주곡면에는 수직으로 파여져 형성된 회전방지홈(71)에는 상기한 구동판(60)의 중앙하부에 형성된 하우징지지턱(63)에 설치된 키하우징(64)의 중앙에 천공된 샤프트홀(67)을 통과 할 때 이의 사이에 설치된 회전방지키(65)가 끼워져 있으며, 이의 외측에는 주름관(92)을 씌운다.
그리고, 앞에서 설명한 착즙판(20)이 지주(72)에 끼워져서 높이유지파이프(10)상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부로 지주(72)에 유지스프링(26)을 끼우고 그 상측에 스톱링(27)을 부착하였다.
위와 같이 설치된 착즙판(20)에는 원통형 착즙용기(30)를 올려놓도록 하는데 이 착즙용기(30)의 내부 저면에는 안내홈(34)이 4방향으로 형성되고 이의 전측부로 배출관(32)을 돌출하여 이의 중간에 배츨밸브(33)를 설치하며 상측 중간부위에 손잡이(31)를 부착하여서 상기 착즙판(20)의 상부에 형성된 미끄럼레일(22)위에서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사용한다.
위와 같은 착즙용기(30)의 내부에는 조리돈 내용물을 담아 즙을 내도록 하는 착즙망(40)을 넣는데 이 착즙망(40)의 상부에는 손잡이(42)를 부착하고 외주곡면에는 무수한 착즙홀(41)이 천공되어 있기에 즙은 통과하고 그 찌꺼기는 걸러지도록 하며, 앞에서 설명한 구동판(60)의 외측에는 이 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구동부커버(80)를 씌워서 압착샤프트(70)의 이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압착샤프트커버(81)가 상부로 돌출 되어 있고 이의 전면에는 콘트롤박스(83)를 설치하여서 이루어진 구조이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3a, b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표현한 것으로서, 가상선으로 표현된 것과 같이 착즙용기(30)를 착즙판(20)위에서 앞으로 당겨 놓고 조리된 내용물이 담긴 착즙망(40)을 상기 착즙용기(30)에 안치시킨 후 내측으로 밀어 넣으면 이 착즙용기(30)는 착즙판(20)의 후부에 설치한 용기협지턱(24)에 접촉되어 위치를 고저하게 되며, 보다 정확한 위치에 놓이게 하기 위하여 위치조정나사(25)를 이용하여 조정토록 한다.
이때, 압착샤프트(70)는 상측으로 올려져 있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첨부도면 제3b도와 같이 콘트롤박스(83)에 설치된 구동스위치를 조작하면 착즙구동부(50)가 작동되어 압착샤프트(70)를 하강시키면 이의 하측에 부착된 압축원판(90)이 착즙망(40)의 내부를 압착하여 그 내부에 담겨진 내용물을 압착한다.
이렇게 압축이 진행되면 내용물에 함유되었던 추출액이 착즙홀(41)을 통하여 흘러나오게 되어 하측으로 흘러서 착즙용기(30)의 바닥에 고이고 이에 형성된 안내홀(34)을 따라 배출관(32)으로 집합되고 이의 중간에 설치한 배츨밸브(33)를 개방하면 그 추출액이 용기에 받아지게 되는 것이며, 상기 구동부(50)의 작동은 1차 압축을 행하며 보다 강력한 압축을 위해서는 첨부도면 제7도에서와 같이 기초판(3)의 안치대(4)에 놓여진 가압기(5)를 작동시켜 착즙판(20)을 상향시키는데, 이는 압축원판(90)이 하강되어 1차압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가압기(3)의 측면 부에 설치한 승압페달(6)을 작동시켠 가압기(5)의 피스톤이 착즙판(20)을 들어올리게 되고 이 착즙판(20)은 가장자리에 천공된 지주안내홈(23)을 타고 지주(72)을 따라 올라가면서 그 상부에 놓여진 압착용기(30)를 밀어 올림으로서 압착샤프트(70)에 의하여 하강되어 고정된 압축원판(90)에 의하여 착즙망(40)내부에서 1차 압축된 내용물을 2차 압축하게 됨으로서 보다 강력한 압축력에 의하여 내용물의 액즙을 완전히 추출하게 된다.
이때 착즙판(20)을 하측으로 밀도록 설치된 유지스링(26)은 상측의 스톱링(27)에 받쳐진 상태이므로 압축되어 놓이게 되고, 가압기(5)의 압력을 해제하는 배압레버(7)를 작동하면 가압기(5)의 피스톤에 가해진 압력이 해제되면서 상기 유지스프링(26)의 복원력에 의하여 착즙판(20)을 하강시키고 이 착즙판(20)은 지주(72)에 끼워지고 안치대(4)의 상부에 접촉되어 있는 높이유지파이프(10)의 상부에 올려져서 하강을 멈추게 된다.
위와 같이 추출작용을 행하는 본 고안 구동부(50)의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4도는 본 고안 구동부(50)를 발취 하여 표현한 사시도이고, 제5도는 제4도의 평면도, 제6도는 제4도의 중앙 종단면도로서, 구동부(50)의 일 축 설치된 모터(51)가 구동하면 그 회전력이 감속기(53)에서 감속되어 큰 회전력을 발생하고 그 회전력을 원동스프라켓(53)을 회전시키고 그 회전력을 동력전달체인(54)을 통하여 축받침(56-1)에 회전되게 설치된 워엄(56)의 회전축에 부착된 종동스플라켓(55)을 회전시킨다.
위와 같이 회전되는 종동스플라켓(55)은 이에 고정 설치된 워엄(56)을 회전시키고 그 회전력을 워엄(56)과 맞물린 워엄휠(57)을 회전시킴으로서 모터(51)의 회전방향이 수직에서 수평방향의 회전으로 전환된다.
이렇게 회전되는 워엄휠(57)은 하측에 일체로 형성된 휠지지턱(62)이 구동판(60)의 샤프트통과홀(60-1)의 상측에 형성된 회전턱(61)에 회전 지지되어 설치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워엄휠(57)은 상하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회전된다.
위와 같은 회전되는 워엄휠(57)은 그 중앙에 천공된 압축나사홀(58)에 나선 결합된 압축샤프트(70)의 나선을 따라 회전하여 압착샤프트(70)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시키게 되는데 이의 작용을 설명하면, 구동판(60)의 샤프트통과홀(60-1)의 하부에 형성된 하우징지지턱(63) 내부에 통상의 고정수단으로 협지된 키하우징(64)과 상호작용으로 작동되는데, 이는 상기 키하우징(64)의 중앙에 천공된 샤프트홀(67)을 관통하는 압착샤프트(70)의 외주곡면에 수직방향으로 파여진 회전방지홀(71)에 끼워지고 샤프트홀(67)의 내측면에 고정된 회전방지키(65)에 의하여 압착샤프트(70)는 회전되지 못하는 상태와 상하방햐으로의 슬라이딩 작용의 상호작용으로 워엄휠(57)이 회전될 때 이의 중앙에 천공 형성된 나선형의 압축나사홀(58)과 일치되어 나선 조립된 압착샤프트(70) 외주면 나선부와의 작용에서 워엄휠(57)이 회전되어서도 압착샤프트(70)는 앞에서 설명한 회전방지홈(71)에 끼워진 회전방지키(65)로 인하여 따라서 회전하지 못하며, 워엄휠(57)을 협지하고 있는 휠지지턱(62)으로 인하여 워엄휠(57)은 압착샤프트(70)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왕복운동 작용을 행하도록 한다.
위와 같이 작용하는 본 고안은 전기적 작용으로 구동되는 모터(51)의 힘으로 압축작용을 갖는 것이기에 사용자는 간편하게 착즙작용을 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착즙작용에 있어서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구조의 본 고안 다른 실시예가 있는데, 이는 첨부도면 제8도와 제9도에 표현된 것과 같이 워엄휠(57)을 지지하는 축받침(56-1)을 관통하는 그 회전축에 압축핸들(100)을 연장하여 설치하므로서 제1 실시예와 같이 모터(51)를 이용하지 않고 압축핸들(100)을 인위적으로 회전시키면 이에 연결된 워엄(56)이 동이라헥 회전하여 이에 맞물린 워엄휠(57)을 회전시키게 됨으로서 이하의 동작이 제1 실시예의 방식과 동일한 작용을 행하게 되며, 이와 같은 구조상 공간 활용을 위하여 압축핸들(100)의 위치는 구동부(50)의 정면에서 외측으로 비스듬히 놓여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고가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확실한 착즙작용을 행하게 됨으로서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한 것이다.
위안 같이 작용하는 본 고안은 조리를 완료한 내용물을 전용으로 착즙 하는 것이기에 조리용 암력찜통과 착즙을 겸하는 종래의 구조에 비하여 내용물의 액즙을 추출하는데 있어서, 완전한 액즙의 추출이 가능하도록 압착구동장치에 의하여 상측에서 하향하는 1차 착즙과정과 하측에 설치된 가압기로 2차 착즙과정에 의하여 착즙이 이루어지는 것이기에 매우 효과적인 착즙이 이루어지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하측에 이동수단과 고정수단을 설치한 기초판(3)의 외곽에 4개의 하부지주고정홀(8)을 천공하고 이의 중앙에 수동으로 작동하는 가압기(5)를 위치시키고, 상기 기초판(3)의 하부지주공정홀(8)들에는 지주(72)를 각각 고정하여 이 지주(72)에 상측으로부터 높이유지파이프(10)를 삽입하고 이어서 착즙판(20)를 지주 안내홈(23)을 통하여 끼우며, 상기 착즙판(20)에는 전방으로 배출관안내홈(21)을 형성하고 이의 양측에 미끄럼레일(22)설치하고 이의 후방에 위치조절나사(25)를 다수 갖는 용기협지턱(24)을 반원형으로 설치하였으며, 상기 지주(72)의 상단에는 구동판(60)의 네 모퉁이에 천공된 상부지주고정홀(59)을 통하여 고정되고 이 구동판(60)은 중앙에 천공된 샤프트통과홀(60-1)을 형성하여 상측에 회전턱(61)과 하측에 하우징지지턱(63)을 형성하고 일측 축받침(56-1)을 설치하여 워엄(56)을 설치하며 이와 맞물리는 워엄휠(57)의 하부에 형성된 휠지지턱(62)을 상기 회전턱(61)에 끼워서 설치하여 회동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워엄(56)의 양측은 축받침(56-1)에 끼워져 회동하는데 이의 일 축 종동스플라켓(55)이 설치되어 이에 물려진 동력전달체인(54)을 통하여 모터(51)와 감속기(52)의 회전축에 부착된 원동스플라켓(53)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워엄휠(57)의 중앙에 천공되어 형성된 스크류홀(58)에는 압착샤프트(70)를 나선조립하고 그 하측에 압착원판(90)을 나선 결합하였고, 상기 압착샤프트(70)의 원주곡면에 회전방지홈(71)을 수직으로 형성하고 이에 상기한 하우징지지턱(63)에 설치된 키하우징(64)의 중앙에 천공된 샤프트홀(67)을 통과 할 때 이의 사이에 설치된 회전방지키(65)가 끼워져 있으며, 이의 외측에는 주름관(92)을 씌우고, 앞에서의 착즙판(20)이 지주(72)에 끼워져서 높이유지파이프(10)상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상부로 지주(72)에 유지스프링(26)을 끼우고 그 상측에 스톱링(270을 부차하였으며, 착즙판(20)에는 바닥에 안내홈(34)이 4방향으로 형성되고 이의 전측부로 배출관(32)을 연결하고 그 중간에 배출밸브(33)를 설치한 착즙용기(30)를 올려놓고 그 내부에 착즙망(40)을 넣으며 이 착즙망(40)의 상부에는 손잡이(42)를 부착하고 외주곡면에는 무수한 착즙홀(41)이 천공되어 있으며, 앞에서의 구동판(60)의 외측에는 이 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구동부커버(80)를 씌워서 압착샤프트(70)의 이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압착샤프트커버(81)가 상부로 돌출 되어 있고 이의 전면에는 콘트롤박스(83)를 설치한 착즙기.
  2. 제1항에 있어서, 워엄(56)을 지지하는 축받침(56-1)을 관통하는 그 회전축에 압축핸들(100)을 연장하여 설치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KR2019970032918U 1997-11-20 1997-11-20 착즙기(extractor) KR2001859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918U KR200185982Y1 (ko) 1997-11-20 1997-11-20 착즙기(extra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918U KR200185982Y1 (ko) 1997-11-20 1997-11-20 착즙기(extra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571U KR19990019571U (ko) 1999-06-15
KR200185982Y1 true KR200185982Y1 (ko) 2000-08-01

Family

ID=19514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2918U KR200185982Y1 (ko) 1997-11-20 1997-11-20 착즙기(extra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59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980A (ko) * 2002-05-20 2003-11-28 임병선 착즙기
KR101789731B1 (ko) * 2015-09-24 2017-11-20 (주)퓨어시스템 아로니아액 추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980A (ko) * 2002-05-20 2003-11-28 임병선 착즙기
KR101789731B1 (ko) * 2015-09-24 2017-11-20 (주)퓨어시스템 아로니아액 추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571U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58941A1 (en) Automated Juice Extractor
US20100058939A1 (en) Automated Juice Extractor
US8205544B2 (en) Automatic juicer
US8161872B2 (en) Automated juice extractor
KR20200103103A (ko) 푸드 프로세서
CN105962749B (zh) 电驱动封闭式真空压榨机
KR200185982Y1 (ko) 착즙기(extractor)
CN110123133A (zh) 锅盖组件以及压力锅
KR200468254Y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US20090092721A1 (en) Juice extractor
WO2009044104A1 (en) Domestic appliance
CN208709630U (zh) 一种真空食物处理器
CN112754249A (zh) 柳橙取汁机构及多功能榨汁组合机
KR101147326B1 (ko) 추출장치를 갖는 한약 추출기
KR20000018841U (ko) 자동한약추출기
WO2009044106A1 (en) Domestic appliance
KR0140733Y1 (ko)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의 동력 압착장치
CN220967052U (zh) 一种新型便携式榨汁机
KR200178595Y1 (ko) 전기압력솥
CN219166163U (zh) 一种压力锅锅盖、压力锅及双胆锅
CN217066078U (zh) 一种电饭煲用便于安装的面板
CN220423711U (zh) 一种榨汁机
KR102642761B1 (ko) 식재료의 수분짜는 기능을 갖는 주방용기
CN220192731U (zh) 一种快速榨汁装置
CN219961809U (zh) 一种油炸机捞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