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5868Y1 - 냉장고용 가스켓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가스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5868Y1
KR200185868Y1 KR2020000000970U KR20000000970U KR200185868Y1 KR 200185868 Y1 KR200185868 Y1 KR 200185868Y1 KR 2020000000970 U KR2020000000970 U KR 2020000000970U KR 20000000970 U KR20000000970 U KR 20000000970U KR 200185868 Y1 KR200185868 Y1 KR 2001858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door
main body
refrigerator
fron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09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09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58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58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58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 F25D23/087Sealing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6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 E05C19/161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magnetic gas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의 저장실을 밀폐시키도록 도어의 내측면 테두리에 설치되는 가스켓에 관한 것으로, 본체의 전면과 밀착되는 가스켓의 착자부 전면에 공기실을 형성하는 밀폐막이 마련됨으로써, 저장실의 기밀성이 더욱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작은 힘으로도 도어가 쉽게 열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용 가스켓{GASKET FOR REFRIGERATORS}
본 고안은 냉장고용 가스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저장실을 밀폐시키도록 도어의 내측면 테두리에 설치되는 냉장고용 가스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내부에 냉동사이클의 구성요소가 설치되어 이로부터 발생되는 냉기를 저장실로 공급하여 각종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본체의 내부에 전면이 개방된 저장실이 형성되고, 본체의 전면에는 이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설치된다. 이때, 본체의 전면과 접하는 도어의 내면 테두리에는 저장실을 밀폐시키는 가스켓이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냉장고의 도어에 설치된 가스켓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냉장고의 본체(1)는 철판이 절곡되어 마련된 외상(1a)과, 저장실(2)의 내면을 형성하도록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내상(1b)이 상호 결합되어 벽체를 이루며, 내상(1b)과 외상(1a) 사이의 공간에는 발포단열재(1c)가 충진된다. 또 저장실(2)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4)는 본체(1)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도어(4)의 외면을 이루는 외판(4a)과, 도어(4)의 내면을 이루는 내판(4b)이 상호 결합되며, 내판(4b)과 외판(4a) 사이의 공간에 단열구조를 이루는 발포단열재(4c)가 충진된다.
그리고 가스켓(5)은 그 일측이 도어(4)의 외판(4a)과 내판(4b)이 결합되는 틈새에 끼워져서 고정되며 도어(4)의 테두리를 따라 순회하여 설치된다. 또한, 가스켓(5)은 도어(4) 개폐시 신축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다수의 주름면(5a)으로 구성되며, 본체(1)의 전면(1d)과 접하는 부분에는 가스켓(4)이 본체(1)의 전면(1d)에 부착될 수 있도록 자석(6)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냉장고는 도어(4)를 닫으면, 가스켓(5)의 표면이 본체의 전면(1d)에 밀착되면서 저장실(2)이 밀폐되는데, 가스켓(5)의 내부에 수용된 자석(6)이 철판으로 이루어진 본체(1)의 전면(1d)에 부착되기 때문에 저장실(2)의 밀폐효과가 더욱 커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냉장고는 도어가 닫힌 상태로 한동안 유지될 경우 본체(1)의 전면(1d)과 가스켓(5)의 표면 사이의 밀착력이 커서 도어(4)의 개방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즉, 냉장고는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저장실(2)의 내부압력이 떨어지면 도어(4)가 더욱 닫히려하고, 가스켓(5)은 더욱 본체(1) 전면(1d) 쪽으로 밀착되면서 완전한 밀폐구조를 이루는데, 이때 본체의 전면(1d)에 면접촉을 하는 가스켓(5)의 밀착력과 자석(6)의 자력에 의해 가스켓(5)이 본체(1)의 전면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려 하기 때문에 도어(4)의 개방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의 전면과 면접촉을 하는 가스켓의 기밀성을 더욱 높이면서도 도어를 열 때 가스켓과 본체 전면 사이의 이격이 용이하도록 하여 도어의 개방을 손쉽게 하는 냉장고용 가스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냉장고용 가스켓의 장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켓이 적용된 냉장고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용 가스켓의 장착상태를 보인 단면도로, 도 3은 가스켓의 착자부와 밀폐막이 이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가스켓의 착자부와 밀폐막이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용 가스켓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본체, 21: 저장실,
22: 중간벽, 23: 냉동실도어,
24: 냉장실도어, 24a: 도어의 외판,
24b: 도어의 내판, 25: 냉매관,
30: 가스켓, 31: 고정부,
32: 주름면, 33: 착자부,
33a: 자석, 34: 밀폐막,
35: 공기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용 가스켓은, 본체 내부에 형성된 저장실을 밀폐키도록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내측면 테두리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전면과 접하는 부분에 자석이 수용된 착자부를 구비한 냉장고용 가스켓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방이 용이하도록 상기 착자부의 전면에는 공기실을 형성하는 밀폐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폐막은 신축이 가능한 탄성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착자부의 전면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착자부와 상기 착자부의 주변을 덮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실은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착자부의 전면과 상기 밀폐막의 내면이 밀착되는 밀착공간과, 상기 밀착공간의 공기가 이동하여 내부공간이 팽창하도록 상기 밀착공간과 연통한 상태로 상기 밀착공간의 측방에 마련되는 여유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의 내부에 냉동· 냉장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실(21)이 형성되고, 이 저장실(21)은 상부와 하부의 공간이 중간벽(22)에 의해 구획이 되어, 상부의 냉동실(21a)과 하부의 냉장실(21b)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체(20)의 일측에는 냉동실(21a)과 냉장실(21b)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일측에 힌지 결합된 냉동실도어(23)와 냉장실도어(24)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체(20)의 전면과 밀착되는 각 도어(23,24)의 내측면 테두리에는 도어(23,24)가 닫혔을 때 저장실(21)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키는 가스켓(30)이 설치되는데, 이 가스켓(30)은 도어(23,24)의 내측면 테두리를 따라 순회하여 설치된다.
한편, 냉장고의 본체(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의 외면을 형성하며 철판이 절곡되어 성형된 외상(20a)과, 저장실(21)의 내면을 형성하며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내상(20b)이 상호 결합되어 벽체를 이루는데, 내상(20b)과 외상(20a) 사이의 공간에는 단열구조를 이루는 발포 단열재(20c)가 충진된다. 그리고 본체(20)의 전면(20d) 내측에는 본체(20) 전면(20d)에 이슬 맺힘이 방지되도록 고온의 냉매가 흐르는 냉매관(25)이 설치된다.
도어(24)도 본체(20)와 마찬가지로 철판으로 구성된 외판(24a)과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내판(24b)이 상호 결합되어 구성되며, 내판(24b)과 외판(24a) 사이의 공간에 발포 단열재(24c)가 충진된다.
그리고 도어(24)에 설치되는 가스켓(30)은 도어(24)의 내판(24b)과 외판(24a)의 결합부에 끼워지는 고정부(31)를 구비하고, 이 고정부(31)로부터 본체(20)의 전면(20d) 쪽으로 연장이 되며 신축이 가능하도록 된 다수의 주름면(32)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체(20)의 전면(20d)과 접하는 주름면(32)의 일측에는 가스켓(30)이 본체 전면(20d)에 부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자석(33a)이 수용된 착자부(33)가 마련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가스켓(30)은 본체(20)의 전면(20d)에 밀착되는 외면, 즉 착자부(33)의 전면에 공기실(35)을 형성하는 밀폐막(34)이 형성되어 도어(24)를 열 때 도어(24)의 개방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밀폐막(3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자부(33)의 전면과 소정간격(t) 이격된 상태로 착자부(33)를 덥도록 구성되어 착자부(33)의 전면과 밀폐막(35)의 내면 사이에 밀폐된 공기실(35)을 형성한다. 또한, 밀폐막(34)의 일측는 착자부(33)의 측면에 벤딩된 상태로 결합되고, 타측은 저장실(21) 쪽에 위치하는 가스켓(30)의 주름면(32) 일측에 벤딩된 상태로 결합된다. 이때 밀폐막(34) 내의 공기실(35)은 도어(24)가 닫힐 때 착자부(33)의 전면과 밀폐막(34)의 내면이 밀착되어서 공간이 사라지게 되는 밀착공간(35a)과, 상기 밀착공간(35a)이 밀착될 때 밀착공간(35a) 내의 공기가 이동하여 일측 내부공간이 팽창되도록 밀착공간(35a)과 연통한 상태로 밀착공간(35a)의 측방에 마련된 여유공간(35b)으로 구성된다.(도 3과 도 4참조)
또한, 밀폐막(34)은 가스켓(30)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착자부(33) 및 주름면(32)과 함께 일체로 제작되며, 주름면(32)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소정의 탄성을 구비하여 도어(24)가 개폐될 때 착자부(33)의 전면과 밀폐막(34)의 내면이 밀착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가스켓이 적용된 냉장고 도어의 개폐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도어(24)를 닫으면, 도어(24)는 저장실(21)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에 따른 도어(24)의 닫힘력에 의해 본체(20)의 전면(20d)쪽으로 닫히려한다. 이때 가스켓(30)의 착자부(33) 전면의 밀폐막(3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4)의 닫힘력에 의해 외면이 본체(20)의 전면(20d)에 밀착되고, 내면이 착자부(33)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때는 착자부(33)의 전면과 밀폐막(34)의 내면사이, 즉 밀착공간(35a)의 공기가 착자부(33)와 접하지 않는 타측 밀폐막 내부의 여유공간(35b)으로 몰려서 여유공간(35b) 쪽이 팽창되므로, 밀폐막(34)을 본체(20)의 전면에 더욱 밀착시키게 되어 저장실(21)의 기밀성이 더욱 커진다. 여기서 도어(24)의 닫힘력이란 저장실(21) 내부온도의 하강으로 저장실(21) 내부압력이 떨어져서, 저장실(21)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가 발생되고, 이 압력차에 의해 도어(24)가 닫히려는 쪽으로 작용되는 힘을 말한다. 또한 여기에서 도어(24) 닫힘력은 가스켓(30)의 내부에 설치된 자석(33a)이 본체(20)의 전면(20d)에 부착되려하는 힘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24)를 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자부(33)의 전면과 밀폐막(34)의 내면이 이격되면서 공기실(35)의 여유공간(35b) 쪽에 위치하던 공기가 착자부(33)의 전면과 밀폐막(34)의 내면사이의 밀착공간(35a) 쪽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착자부(33)가 본체(20)의 전면(20d)으로부터 쉽게 이격된다. 따라서 자석(33a)의 자력에 의한 도어(24)의 닫힘력이 감소되어 작은 힘으로도 도어(24)가 쉽게 열린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용 가스켓은 본체의 전면에 밀착되는 착자부 전면에 공기실을 형성하는 밀폐막이 마련됨으로써, 저장실의 기밀성이 더욱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작은 힘으로도 도어가 쉽게 열리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본체 내부에 형성된 저장실을 밀폐키도록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내측면 테두리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전면과 접하는 부분에 자석이 수용된 착자부를 구비한 냉장고용 가스켓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방이 용이하도록 상기 착자부의 전면에는 공기실을 형성하는 밀폐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가스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막은 신축이 가능한 탄성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착자부의 전면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착자부와 상기 착자부의 주변을 덮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가스켓.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실은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착자부의 전면과 상기 밀폐막의 내면이 밀착되는 밀착공간과, 상기 밀착공간의 공기가 이동하여 내부공간이 팽창하도록 상기 밀착공간과 연통한 상태로 상기 밀착공간의 측방에 마련되는 여유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가스켓.
KR2020000000970U 2000-01-14 2000-01-14 냉장고용 가스켓 KR2001858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970U KR200185868Y1 (ko) 2000-01-14 2000-01-14 냉장고용 가스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970U KR200185868Y1 (ko) 2000-01-14 2000-01-14 냉장고용 가스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5868Y1 true KR200185868Y1 (ko) 2000-06-15

Family

ID=19637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970U KR200185868Y1 (ko) 2000-01-14 2000-01-14 냉장고용 가스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58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1383A (ko) 2022-03-04 2023-09-13 뉴서광 주식회사 연질의 가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1383A (ko) 2022-03-04 2023-09-13 뉴서광 주식회사 연질의 가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60429A (ko) 냉장고 및 그 내부 도어의 제조 방법
JPH1096584A (ja) 冷蔵庫の断熱機構
KR200185868Y1 (ko) 냉장고용 가스켓
KR19990012722A (ko) 냉장고
KR200184616Y1 (ko) 냉장고 가스켓의 결합구조
KR200164364Y1 (ko) 냉장고용 가스켓
KR100488030B1 (ko) 냉장고 도어용 가스켓
KR200316728Y1 (ko) 냉장고의도어
KR200187030Y1 (ko) 냉장고의 도어닫힘 제한장치
JP2005188840A (ja) 冷蔵庫
KR200217763Y1 (ko) 냉장고도어의개스킷
KR0125637Y1 (ko) 냉장고의 핫파이프 고정구조
JP2003156283A (ja) 冷蔵庫
KR100438305B1 (ko) 냉장고 도어
KR200168214Y1 (ko) 냉장고의 가스켓
JP2003021455A (ja) 冷蔵庫
US20210348827A1 (en) Refrigerator and beam for refrigerator
JP2022166699A (ja) 冷蔵庫
KR100208013B1 (ko) 냉장고
JP7079063B2 (ja) 冷蔵庫
KR20060015865A (ko) 냉장고
JP2008175467A (ja) 冷蔵庫
KR100484662B1 (ko) 냉장고 도어
KR200232940Y1 (ko) 아이스 박스
JPH10148457A (ja) 冷気漏出防止用ガスケットを有する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