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5657Y1 - Portable buoyancy-device - Google Patents

Portable buoyancy-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5657Y1
KR200185657Y1 KR2020000002016U KR20000002016U KR200185657Y1 KR 200185657 Y1 KR200185657 Y1 KR 200185657Y1 KR 2020000002016 U KR2020000002016 U KR 2020000002016U KR 20000002016 U KR20000002016 U KR 20000002016U KR 200185657 Y1 KR200185657 Y1 KR 2001856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s
air
coupled
air ba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201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형옥
Original Assignee
김형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옥 filed Critical 김형옥
Priority to KR20200000020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565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56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5657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3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attachable to body member, e.g. arm, neck, head or wai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2Lifeboats, life-raft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life-saving
    • B63C9/04Life-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76Inflation devices making use of the Venturi-effect for enhancing the gas flow from the pressurized gas source by entraining ambient air, e.g. using eductor-jet pumps for decreasing inflation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부력기구에 관한 것으로 익사사고의 위험시 대기중의 공기를 손쉽게 주입하여 부력을 발생시키는 휴대용 부력기구에 있어서, 선단에 제1로드(15a)가 결합된 제1케이스(11); 상기 제1케이스(11)와 지지볼트(13)로 연결되며 선단에 제2로드(15b)가 결합되어 상기 제1로드(15a)와 연결되어 있는 제2케이스(12);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12)에 마련된 착용구(20);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12)의 전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12)에 상보적으로 암수결합가능하며, 각각 원주방향으로 회동되어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손잡이부(16a,16b);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12)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부(16a,16b)를 회동시켜 가압 또는 가압해제시킴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12)를 예각으로 벌리거나 복귀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18); 및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12)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부(16a,16b)의 가압 및 가압해제에 따라 입구가 개방 또는 봉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12) 내에 접이식으로 수용가능한 공기주머니(21);를 포함하여 휴대가 간편하고, 안전하며, 간단한 동작으로 짧은 시간 안에 공기의 주입이 가능하여 위급 상황의 발생시 즉시 대처할 수 있음으로 익사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부력기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buoyancy mechanism, which is a portable buoyancy mechanism that generates buoyancy by easily injecting air into the air in the event of a drowning accident, comprising: a first case (11) having a first rod (15a) coupled to a front end thereof; A second case 12 connected to the first case 11 and the support bolt 13 and having a second rod 15b coupled to a front end thereof and connected to the first rod 15a; Wearing holes 20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and 12; It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12), respectively, and can be complementari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12), and rotat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respectively, sp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Handle portions 16a and 16b;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and 12 are connected, respectively, to open or return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and 12 at an acute angle by pivoting the handle portions 16a and 16b to press or release the pressure. An elastic spring 18 which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be able to be made; And installed at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and 12 so that the inlet is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the pressing and releasing of the handle portions 16a and 16b, and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and 12. Air bag (21) that is foldable to accommodate in; easy to carry, safe, simple operation to inject air in a short time to respond immediately in the event of emergencies can prevent drowning accidents Provide a portable buoyancy mechanism.

Description

휴대용 부력기구{Portable buoyancy-device}Portable buoyancy device

본 고안은 휴대용 부력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익사사고의 위험시 대기의 공기를 손쉽게 주입하여 부력을 발생시키는 휴대용 부력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buoyancy mechanis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buoyancy mechanism that generates buoyancy by easily injecting air into the atmosphere during the danger of drowning.

일반적으로, 익사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수중용 안전기구는 어린이 및 성인들을 위한 물놀이 용품용 튜브, 구명용 안전조끼 및 구명튜브 등이 있다. 또한, 그 외 다른 안전기구로는 홍수로 인한 수해복구 및 인명구조시 화물운송 및 수재민의 수송을 위한 구명보트 등이 있으며, 군경들들의 훈련 도중 발생하는 익사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군용바지를 공기주머니로 활용하여 긴급적으로 대처하는 구명부구 대체품 등이 있다.In general, underwater safety mechanisms to prevent drowning accidents include a tube for children's play equipment, life safety vests and life tubes and the like. In addition, other safety mechanisms include lifeboats for flood damage recovery and lifesaving during flood rescue, and transportation of flood victims, and military pants airbags to prevent drowning accidents occurring during the training of military police. There are alternatives to lifebuoys that can be used urgently.

그러나, 이러한 안전기구들 중 특히, 물놀이 용품용 튜브 및 구명용 안전조끼는 물속에서 수영할 때에 몸에 착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수영을 즐기기에 너무나도 거치장스럽고, 휴대가 매우 불편하여 이를 휴대하거나 착용하지 않고 맨몸으로 수영하게 된다. 이로 인해 위급한 상황에서는 속수무책일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상기 안전기구들 중 구명튜브나 구명보트는 홍수 등의 재해로 인하여 주택이 침몰하거나, 야영 중에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거리제한과, 긴급대처에 따른 시간확보가 어려워 다소 인명피해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군경들의 훈련 도중 유사시의 도하시 긴급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대개의 군경들은 훈련받은 구명대처법을 즉각 조치하지 못하여 익사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mong these safety devices, in particular, the tub for life supplies and the life safety vest must be worn on the body when swimming in the water, so the user is too rigid to enjoy swimming and is very inconvenient to carry and wear or wear it. Instead of swimming naked. As a result, it was forced to be helpless in an emergency. In addition, life-saving tubes and lifeboats among the safety devices are more likely to be damaged due to distance limitations and emergency measures when the housing is sunk or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during camping. There was a problem. On the other hand, when emergency situation occurred during emergency of Doha during the training of military policemen, most police officers could not immediately take action on the trained life-saving law, which resulted in the loss of life due to drowning accident.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소형으로 휴대가 간편하고, 보관이 안전하며 긴급상황 발생시 간단한 동작으로 대기의 공기를 주입하여 즉시 부력화시킬 수 있는 휴대용 부력기구를 제공하는 점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it is small in size, easy to carry, safe to store and provides a portable buoyancy mechanism that can be immediately buoyant by injecting air into the atmosphere with a simple operation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Has its purpose.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부력기구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분해사시도이고,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buoyancy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공기주머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ir pocket of Figure 1,

도 3은 도 1의 밸브유니트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valve unit of FIG.

도 4a는 도 1의 결합사시도이고,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ation of Figure 1,

도 4b는 본 고안의 부력기구를 벨트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Figure 4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earing the buoyancy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elt,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부력기구의 사용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And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of a portable buoyancy mechanis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제1케이스 12... 제2케이스11 ... Case 1 12 ... Case 2

13... 지지볼트 14... 핀부재13 ... Support bolt 14 ... Pin member

15a... 제1로드 15b... 제2로드15a ... first load 15b ... second load

16a,16b... 손잡이부 16c,16d... 암수부재16a, 16b ... Handle 16c, 16d ... Male and female

17... 스토퍼 18... 탄성스프링17 ... stopper 18 ... elastic spring

19... 결합바아 19a... 결착구19 ... joining bar 19a ... fastener

20... 착용구 21... 공기주머니20.Wearing 21.Airbag

22... 보조주입관 23... 장력부재22 ... Auxiliary injection pipe 23 ... Tension member

24... 연결끈 31... 밸브유니트24 ... Connecting string 31 ... Valve uni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부력기구는 익사사고의 위험시 대기중의 공기를 손쉽게 주입하여 부력을 발생시키는 휴대용 부력기구에 있어서, 선단에 제1로드가 결합된 제1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와 지지볼트로 연결되며 선단에 제2로드가 결합되어 상기 제1로드와 연결되어 있는 제2케이스;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에 마련된 착용구;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의 전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에 상보적으로 암수결합가능하며, 각각 원주방향으로 회동되어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손잡이부;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부를 회동시켜 가압 또는 가압해제시킴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를 예각으로 벌리거나 복귀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가압 및 가압해제에 따라 입구가 개방 또는 봉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 내에 접이식으로 수용가능한 공기주머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ortable buoyancy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buoyancy mechanism that generates buoyancy by easily injecting air into the atmosphere when the danger of drowning accident, the first rod is coupled to the tip First case; A second case connected to the first case and the support bolt and coupled to the front end with a second rod connected to the first rod; Wearing holes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cases; A handle part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cases, respectively, and capable of being male and female complementary to the first and second cases, respectively rotat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 elastic spring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ases, respectively, and provides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ases can be opened or returned at an acute angle by rotating the handle to press or release the pressure; And an air bag installed in the first and second cases, the inlet being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the pressing and releasing of the handle part, the air bag being foldable in the first and second cases. .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공기주머니는 내부영역에 마련되어 주입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배출구 쪽의 대략 반원이 수축이완되는 보조주입관과, 선택적으로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하는 밸브유니트와, 입구에 연결되어 묶음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연결끈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bag is provided in the inner region is connected to the inlet and the inlet, the valve unit for selectively injecting or discharging the air and the auxiliary inlet pipe that the approximately half-circle of the outlet side shrinks to prevent the back flow of the inlet air It is preferable to further provide at least one connecting string that can be bundled.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는 상기 공기주머니가 착탈가능하도록 공기주머니의 입구와 연결되는 결합바아가 더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cases are further provided with a coupling bar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air bag so that the air bag is detachable.

따라서, 휴대가 간편하고, 안전하며, 간단한 동작으로 짧은 시간 안에 공기의 주입이 가능하여 위급 상황의 발생시 즉시 대처할 수 있음으로써, 익사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Therefore, it is easy to carry, safe, and simple in operation, the air can be injected in a short time, so that it can immediately cope with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situ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drowning can be prevented.

이러한 특징으로 가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부력기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ortable buoyancy mechanis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features.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부력기구는 익사사고의 위험시 대기 중의 공기를 간단한 동작으로 손쉽게 주입하여 부력화시킬 수 있는 것이며, 그 구성으로는 탄성력에 의해 가압 또는 가압해제되어 기구학적으로 벌려지거나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는 제1 및 제2케이스(11,12)와,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12)에 연결되어 대기 중의 공기가 주입 또는 배출되는 공기주머니(21)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portable buoyancy mechanis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buoyant by injecting the air in the air with a simple operation in the event of drowning accident, the configuration is elastic force Air in the atmosphere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and 12 and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and 12, which may be pressurized or depressurized to be mechanically opened or returned to their original states. It is provided with an air bag 21 to be injected or discharged.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12)는 일측면 즉, 전면과 길이방향의 후단쪽 면이 개방되어 길이방향에 대해 횡방향의 절단면이 대략 'ㄴ'자 형상으로 마련되며, 좌우로 벌어지거나 원위치될 수 있도록 지지볼트(13)에 의해 지지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케이스(11,12) 선단에는 핀부재(14)로서 상호 연결되어 후술되는 공기주머니(21)를 지지할 수 있도록 관절운동하는 제1 및 제2로드(15a,15b)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케이스(11,12)는 전면을 커버링할 수 있으며, 양측 원주방향으로 회동가능한 손잡이부(16a,16b)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16a,16b)는 양측 원주방향으로 펼쳐지는 날개형상을 하고 있으며, 제1 및 제2케이스(11,12)의 전면을 커버링함으로써 후술되는 공기주머니(21)가 케이스(11,12)의 내측 공간속으로 접혀서 수용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케이스(11,12)에는 손잡이부(16a,16b)를 원주방향으로 젖혔을 때 회동이 저지되어 상호 이격되게 하는 스토퍼(1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뒷면에는 케이스(11,12)를 사용자의 벨트(B) 등에 클립되는 착용구(도 4b의 20 참조)가 각각 고정설치되어 있다.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and 12 have one side, that is,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opened, and the cutting surfac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rovided in a substantially 'b' shape, and is spaced left and right. It is supported by the support bolt 13 so that it can be lost or repositioned. In addition, first and second rods 15a and 15b which are joint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s a pin member 14 to support the air pocket 21 to be described later are coupled to the front end of each case 11 and 12. have.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and 12 may cover the front surface, and the handle portions 16a and 16b which are rotatable in both circumferential directions are provided. Here, the handle portions (16a, 16b) has a wing shape that extends in both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air bag 21 to be described later by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12) the case (11) It is folded into the inner space of 12 so as to be acceptable. In addition, stoppers 17 are provided in the cases 11 and 12 so as to prevent rotation when the handle portions 16a and 16b are flipp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a wearing hole (see 20 in FIG. 4B) to which the cases 11 and 12 are clipped to the user's belt B is fixedly installed on the back side.

한편,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12)의 후단부위에는 손잡이부(16a,16b)를 가압하였을 때, 그리고, 손잡이부(16a,16b)의 가압을 해제하였을 때, 탄성바이어스되어 제1 및 제2케이스(11,12)가 벌려지거나,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18)이 각 케이스(11,12)에 연결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handle portions 16a and 16b are pressed to the rea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and 12, and when the handle portions 16a and 16b are released, they are elastically biased. An elastic spring 18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and 12 can be opened or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is connected to each case 11 and 12.

다른 한편으로,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12)의 내측면에는 후술되는 공기주머니(21)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결합바아(19)가 설치된다. 즉, 상기 공기주머니(21)는 입구측 가장자리를 결합바아(19)에 연결하여 착탈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참조부호 16c,16d는 손잡이부(16a,16b)가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12)에 상호 암수결합되어 커플링되게 하는 암부재 및 숫부재이고, 참조부호 19a는 상기 결합바아(19)가 케이스(11,12)의 내측면에 결착가능하도록 상기 내측면에 형성된 결착구이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12) is provided with a coupling bar (19) for facilitating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air bag 21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air bag 21 can be used detachably by connecting the inlet side edge to the coupling bar (19). Here, reference numeral 16c, 16d is a female member and a male member for the handle portion (16a, 16b) is coupled to each other and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12), and reference numeral 19a is the coupling The bar 19 is a binding hole formed in the inner surface such that the bars 19 can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s of the cases 11 and 12.

상기 공기주머니(21)는 유입구(21a)를 가지고 있으며 원통형상 또는 그외 여러 형상으로 마련되며, 수중에서 쉽게 뜰수 있도록 비중이 작은 합성수지, 비닐 또는 방수처리된 천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기주머니(21)는 제1 및 제2케이스(11,12)에 마련된 결합바아(19)에 유입구(21)의 가장자리 일부분이 끼워져 고정되며, 유입구(21a)의 가장자리 타부분이 제1 및 제2로드(15a,15b)에 연결되어 케이스(11,12)의 내측공간에 접혀져 수용된다. 또한, 공기주머니(21)의 내부영역에는 주머니 속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역류되어 밖으로 배출되지 않게 하기 위한 보조주입관(22)이 더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보조주입관(22)은 공기주머니(21)의 유입구(21a)측에 부착 또는 봉재되며, 배출구쪽 가장자리의 대략 반원은 장력차를 주기 위해 수축이완되는 장력부재(23)가 마련되어 있다.The air bag 21 has an inlet (21a) and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or other various shapes, it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vinyl or waterproof cloth with a small specific gravity to easily float in water. The air bag 21 is fixed by fitting a portion of the edge of the inlet port 21 to the coupling bar 19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12), the other edge of the inlet port (21a) 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rods 15a and 15b and folded in the inner spaces of the cases 11 and 12 to be accommodated. In addition, an auxiliary injection pipe 22 is further provid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air bag 21 to prevent the air flowing into the bag from being flowed back. The auxiliary injection pipe 22 is attached or sealed to the inlet (21a) side of the air bag 21, the approximately half circle of the outlet side edge is provided with a tension member 23 that is contracted and relaxed to give a tension difference.

아울러, 공기주머니(21)의 유입구(21a)측 가장자리 또는 유입구 반대편에는 신체의 일부분이나, 제1 및 제2케이스(11,12)로부터 탈취될 경우 유입구(21a)를 묶을 수 있도록 된 연결끈(24)이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nlet (21a) side edge of the air bag 21 or the opposite side of the inlet port is connected to the inlet (21a) when the part of the body, or when deodoriz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12) ( 24) is at least one connected.

그리고, 공기주머니(21)의 입구측 반대편에는 주머니 내의 공기압을 한층 더 보강하기 위해 보충공기를 주입하거나, 주머니를 접어 케이스(11,12) 내에 보관하고자 할 때, 잔여 공기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된 밸브유니트(31)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let side of the air bag 21 is injected with supplementary air to further reinforce the air pressure in the bag, or when the bag is folded and stored in the cases 11 and 12, the remaining air is easily discharged. The valve unit 31 is provid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유니트(31)는 단일의 주입구(33)와 다수의 배출구(34)를 가진 본체(32)와, 주입구(33)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도록 스프링(35)에 의해 승강하는 패킹바아(36)와, 패킹바아(36)에 연장 형성되어 패킹바아(36)의 승강에 따라 본체(32)의 내벽에 마련된 돌출부(38)에 접촉 및/또는 이격되어 공기의 흐름을 개방 또는 단속하는 연장부(37)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체(32)에는 패킹바아(36)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패킹바아(36)에 결합되어 본체(32) 외부로 돌출되는 푸싱부재(39)가 설치되어 있다. 부연설명하면, 사용자가 푸싱부재(39)를 상방으로 밀면 패킹바아(36)는 주입구(33)를 개방시키고, 반대로, 푸싱부재(39)에서 손을 떼면 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고, 패킹바아(36) 또한 스프링(35)에 의해 탄성바이어스되어 주입구(33)를 폐쇄시킨다.As shown in FIG. 3, the valve unit 31 has a main body 32 having a single inlet 33 and a plurality of outlets 34, and a spring 35 to open or close the inlet 33. Air is formed in the packing bar 36, which is lifted and lowered by the packing bar 36, and is contacted and / or spaced apart from the protrusion 38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32 as the packing bar 36 moves up and down. It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37 for opening or regulating the flow of. In addition, the main body 32 is provided with a pushing member 39 coupled to the packing bar 36 so as to elevate the packing bar 36 to protrude out of the main body 32. In other words, when the user pushes the pushing member 39 upward, the packing bar 36 opens the injection hole 33 and, on the contrary, when the user releases the pushing member 39, the original force is relea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35. Returning to position, the packing bar 36 is also elastically biased by the spring 35 to close the inlet 33.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부력기구의 작용 및 그에 따른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portable buoyancy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사용자는 본 고안의 부력기구를 휴대하거나, 신체에 착용한다. 예를 들면, 물놀이를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수용복에 착용하거나 안전요원 또는 보호자가 휴대하고 다닌다. 또한, 폭우로 인한 수해, 계곡 등에서의 야영 그리고, 군경들의 훈련 도중 신체 예컨대, 벨트(B)와 같은 곳에 착용한다.As shown in Figures 4a and 4b, the user usually carries the buoyancy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or wear it on the body. For example, in the case of playing in the water, the user wears directly in a suit or is carried by a safety officer or guardian. It is also worn in places such as belts B during flood training, camping in valleys and the like, and during training of military officers.

이러한 평상시의 상황에서 익사사고의 위험성이 갑자기 돌발하면, 사용자는 본 고안의 부력기구를 위험 대상자에게 던지거나, 신체로부터 탈취한다.If the danger of drowning accident suddenly breaks out in such a usual situation, the user throws the buoyancy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subject of danger or seizes it from the body.

이후의 동작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사용자는 상호 결착된 손잡이부(16a,16b)의 결착상태를 해제하고, 원주방향으로 젖혀 회동시킨다. 이 때, 상기 손잡이부(16a,16b)는 회동 도중 스토퍼(17)에 걸려 소정간격 이격된다. 이런 상태에서, 손잡이부(16a,16b)를 가볍게 가압한다. 그러면, 제1 및 제2케이스(11,12)는 지지볼트(13)를 중심으로 부채골 형상과 같은 예각을 이루며 벌어진다. 이 때,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12)는 탄성스프링(18)의 압축력에 의해 긴장된 상태를 이루고 있다. 아울러, 제1 및 제2케이스(11,12)는 제1 및 제2로드(15a,15b)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로드(15a,15b)는 케이스(11,12) 내에서 접혀져 있다가 케이스(11,12)가 벌어질 때 핀부재(14)를 중심으로 관절운동하여 직선으로 펼쳐지며 제1 및 제2케이스(11,12)와 함께 대략 삼각형을 이뤄 후술되는 공기주머니(21)의 유입구(21a)를 형성시킨다.Referring to the following operation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ure 5, first, the user releases the binding state of the handle portions (16a, 16b) that are mutually bound, and rotate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handle portions 16a and 16b are caught by the stopper 17 during the rota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is state, the handles 16a and 16b are lightly pressed. Then,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and 12 are formed at an acute angle such as a fan bone shap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bolt 13.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and 12 are in a tensioned state by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elastic spring 18.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and 12 are supported by the first and second rods 15a and 15b. Here, the first and second rods 15a and 15b are folded in the cases 11 and 12, and when the cases 11 and 12 are opened, the first and second rods 15a and 15b are articulated about the pin member 14 to be unfolded in a straight line. The inlet 21a of the air bag 21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toge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and 12.

즉, 공기주머니(21)는 제1 및 제2케이스(11,12)와 제1 및 제2로드(15a,15b)에 지지된 채 유입구(21a)가 개방된다.That is, the inlet 21a is opened while the air bag 21 is supported by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and 12 and the first and second rods 15a and 15b.

그런 다음, 손잡이부(16a,16b)를 가압하여 쥔 채 좌우로 흔든다. 그러면, 대기중의 공기는 공기주머니(21)의 유입구(21a)를 통해 내부공간으로 주입되고, 공기에 의해 주머니는 팽창된다. 이 때, 공기주머니(21) 내로 주입되는 공기는 보조주입관(22)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데, 배출구에 구비된 장력부재(23)는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으로 인해 이완되고, 다시 수축되어 이미 유입된 공기가 역류됨으로써 밖으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즉, 장력부재(23)가 배출구의 넓이를 축소시켜 배출구를 통해 역류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Then, the handles 16a and 16b are pushed and shaken to the left and right. Then, the air in the atmosphere is injected into the internal space through the inlet 21a of the air bag 21, and the bag is inflated by the air. At this time, the air injected into the air bag 21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auxiliary injection pipe 22, the tension member 23 provided in the discharge port is relaxed due to the pressure of the incoming air, and is again contracted again The incoming air flows backward so that it is not discharged outward. That is, the tension member 23 is to reduce the width of the outlet so as not to flow back through the outlet.

이와 같이, 대기 중의 공기를 공기주머니(21) 내에 주입하고 나면, 가압하고 있던 손잡이부(16a,16b) 중의 하나를 손으로부터 이탈시킨다. 그러면, 손잡이부(16a,16b)가 해제됨과 동시에 긴장된 상태로 벌려져 있던 제1 및 제2케이스(11,12)는 탄성스프링(18)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그 후, 손잡이부(16a,16b)를 반대방향으로 회동시켜 결착시킨다. 그러므로써, 공기주머니(21)의 유입구(21a)는 폐쇄되고, 공기는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 이 때, 공기주머니(21) 내의 공기는 유입구(21a)가 열린 공기주머니(21)를 흔듦으로써 주입되었기 때문에 그 공기압은 그다지 높지 않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밸브유니트(31)를 이용하여 공기주머니(21) 내로 보충분의 공기를 불어 넣는다. 부연설명하면, 먼저, 푸싱부재(39)를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그러면, 패킹바아(36)는 스프링(35)을 가압한 채 상승하여 주입구(33)를 개방시키게 되고, 이에 연장부(37)는 돌출부(38)와 상호 이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주입구(33)에 입을 대고 공기를 불어 넣으면 된다. 이 때, 주입되는 공기는 본체(32)에 형성된 다수의 배출구(34)를 통해 공기주머니(21) 내로 주입되고, 보충분의 공기가 주입되면, 밀고 있던 푸싱부재(39)를 놓는다. 그러면, 패킹바아(36)는 스프링(35)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어 주입구(33)를 폐쇄시킨다(도 3 참조).In this way, after the air in the air is injected into the air bag 21, one of the handle portions 16a, 16b that are pressurized is released from the hand. Then, the handle portions 16a and 16b are released and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and 12, which are opened in a tense state,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springs 18. Thereafter, the handle portions 16a and 16b are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be engaged. Therefore, the inlet 21a of the air bag 21 is closed and air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At this time, since the air in the air bag 21 is injected by shaking the air bag 21 in which the inlet port 21a is opened, the air pressure is not so high. To compensate for this, the user blows the supplemental air into the air bag 21 using the valve unit 31. In detail, first, the pushing member 39 is lifted upward. Then, the packing bar 36 is raised while pressing the spring 35 to open the inlet 33, the extension 37 is spaced apart from the protrusion 38. Therefore, the user may blow air into the inlet 33. At this time, the injected air is injected into the air bag 21 through the plurality of outlets 34 formed in the main body 32, and when the supplemental air is injected, the pushing member 39 that is pushed is placed. The packing bar 36 is then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spring 35 to close the inlet 33 (see FIG. 3).

이로써, 공기가 팽팽하게 주입된 공기주머니(21)는 그 부력에 의해 수면으로 뜨게 되고 익사사고의 위험성이 닥친 사용자는 공기주머니(21)를 안거나 잡고 헤엄쳐 목숨을 건지게 된다.As a result, the air bag 21 inflated with air is floated to the surface by the buoyancy and the user who is in danger of drowning accident is holding or holding the air bag 21 to swim.

반대로, 수중 밖으로 헤엄쳐 나온 사용자는 공기주머니(21)에 주입된 공기를 배출하고 공기주머니(21)를 제1 및 제2케이스(11,12) 내에 접어 넣는다.On the contrary, the user swimming out of the water discharges the air injected into the air bag 21 and folds the air bag 21 into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and 12.

부연설명하면, 우선, 사용자는 공기주머니(21)에 공기를 주입하는 동작순으로 공기주머니(21)의 유입구(21a)를 벌려 주머니 내에 존재하는 공기를 밖으로 배출시킨다. 이 때, 공기주머니(21) 내에 잔류하는 잔류공기를 완전히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밸브유니트(31)의 푸싱부재(39)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주머니를 눌러 주면 주입구(33)를 통해 외부로 완전히 배출된다(도 3 참조). 이와 같이, 공기가 완제히 제거되면, 공기주머니(21)를 차곡차곡 접어 제1 및 제2케이스(11,12) 내에 넣고 손잡이부(16a,16b)를 결착함으로써 케이스(11,12)의 전면을 덮는다.More specifically, first, the user opens the inlet port 21a of the air bag 21 in order to inject air into the air bag 21 to discharge the air present in the bag out. At this time, in order to completely discharge the residual air remaining in the air bag 21, pressing the bag in the state of lifting up the pushing member 39 of the valve unit 31 is complete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33 ( 3). As such, when the air is completely removed, the air bags 21 are folded and placed in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and 12 to bind the handle portions 16a and 16b to the front surfaces of the cases 11 and 12. To cover.

한편, 본 고안의 부력기구는 공기주머니(21)를 제1 및 제2케이스(11,12)로부터 분리시켜 부력화할 수도 있다. 즉, 결합바아(19)를 각각의 케이스(11,12)에 형성된 결착구(도 1의 19a)로부터 뺀낸다. 그런 다음, 공기주머니(21)를 결합바아(19)에서 이탈시키고, 제1 및 제2로드(15a,15b)에 결려 있는 부분을 빼내면 제1 및 제2케이스(11,12)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그리고, 분리된 공기주머니(21)에 공기를 주입하고 연결끈(도 2의 24)으로 주머니의 유입구(21a) 부분을 묶어 부력화시킨다. 또는, 상기 연결끈(도 2의 24)을 사용자의 신체에 묶을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uoyancy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parate the air bag 21 from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12) to be buoyancy. That is, the engaging bar 19 is pulled out from the binding opening (19a of FIG. 1) formed in each case 11 and 12. As shown in FIG. Then, the air bag 21 is detached from the coupling bar 19, and the part which is attached to the first and second rods 15a and 15b is removed completely from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and 12. do. Then, air is injected into the separated air bag 21 and the buoyancy is tied to the inlet port 21a of the bag with a connecting string (24 of FIG. 2). Alternatively, the connecting strap (24 of FIG. 2) may be tied to the user's body.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설계변형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design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부력기구는 휴대가 간편하고, 안전하며, 간단한 동작으로 짧은 시간 안에 공기의 주입이 가능하여 위급 상황의 발생시 즉시 대처할 수 있음으로써, 익사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점에 그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buoyancy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carry, safe, and can be injected immediately in a short time with a simple operation, so that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ituation, The advantage is that drowning can be prevented.

Claims (3)

익사사고의 위험시 대기중의 공기를 손쉽게 주입하여 부력을 발생시키는 휴대용 부력기구에 있어서,Portable buoyancy mechanism that generates buoyancy by easily injecting air into the air in case of drowning accident, 선단에 제1로드(15a)가 결합된 제1케이스(11);A first case 11 having a first rod 15a coupled to a front end thereof; 상기 제1케이스(11)와 지지볼트(13)로 연결되며 선단에 제2로드(15b)가 결합되어 상기 제1로드(15a)와 연결되어 있는 제2케이스(12);A second case 12 connected to the first case 11 and the support bolt 13 and having a second rod 15b coupled to a front end thereof and connected to the first rod 15a;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12)에 마련된 착용구(20);Wearing holes 20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and 12;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12)의 전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12)에 상보적으로 암수결합가능하며, 각각 원주방향으로 회동되어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손잡이부(16a,16b);It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12), respectively, and can be complementari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12), and rotat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respectively, sp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Handle portions 16a and 16b;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12)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부(16a,16b)를 회동시켜 가압 또는 가압해제시킴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12)를 예각으로 벌리거나 복귀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18); 및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and 12 are connected, respectively, to open or return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and 12 at an acute angle by pivoting the handle portions 16a and 16b to press or release the pressure. An elastic spring 18 which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be able to be made; And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12)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부(16a,16b)의 가압 및 가압해제에 따라 입구가 개방 또는 봉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12) 내에 접이식으로 수용가능한 공기주머니(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부력기구.Installed in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12), the inlet is opened or sealed according to the pressing and releasing of the handle portion (16a, 16b), in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12) Portable buoyancy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ldable air bag (21).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공기주머니(21)는,The air bag 21, 내부영역에 마련되어 주입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배출구 쪽의 대략 반원이 수축이완되는 보조주입관(22)과, 선택적으로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하는 밸브유니트(31)와, 입구에 연결되어 묶음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연결끈(24)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부력기구.It is provided in the inner area and the auxiliary injection pipe 22 which shrinks about half of the outlet side to relax the injection air to prevent backflow of the injection air, the valve unit 31 which selectively injects or discharges the air, and can be connected to the inlet Portable buoyancy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connecting string (24).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1,12)는,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and 12, 상기 공기주머니(21)가 착탈가능하도록 공기주머니(21)의 입구와 연결되는 결합바아(19)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부력기구.Portable buoyancy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bar 19 is further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air bag (21) so that the air bag (21) detachable.
KR2020000002016U 2000-01-25 2000-01-25 Portable buoyancy-device KR20018565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016U KR200185657Y1 (en) 2000-01-25 2000-01-25 Portable buoyancy-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016U KR200185657Y1 (en) 2000-01-25 2000-01-25 Portable buoyancy-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5657Y1 true KR200185657Y1 (en) 2000-06-15

Family

ID=19639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016U KR200185657Y1 (en) 2000-01-25 2000-01-25 Portable buoyancy-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5657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0205B2 (en) Personal floatation device
US10384751B2 (en) Inflatable personal bodywear flotation device
US7267509B1 (en) Floatation device
JP5961014B2 (en) Shoulder bag
KR100938973B1 (en) Personal Survival Apparatus
US5284453A (en) Rescue package composed of a life raft connected to a canister of materials to inflate the raft
US6976894B1 (en) Combination wet suit and flotation device
JP2018024422A (en) Throwing type zip fastener open type automatically expanding life jacket
KR100938925B1 (en) A life belt that save a person who drown
KR20140002679U (en) Auto Gas Floating Rescue Assembly
KR101919954B1 (en) Compact life jacket with water sensinig sensor and timer
KR200185657Y1 (en) Portable buoyancy-device
JP2009083850A (en) Lifesaving apparatus
US20050118906A1 (en) Tactical flotation support system
JP3959496B2 (en) Personal lifeboat
IT201700010263A1 (en) EXTENSIBLE RESCUE DEVICE
EP1409337A1 (en) Flotation device
KR20140007536A (en) Life belt
JP3806574B2 (en) Lifesaving waist bag
KR101905691B1 (en) Flatable buoyancy bag
KR101888499B1 (en) Portable device for life-saving on the water
KR101227043B1 (en) Life Vest
KR102499772B1 (en) body wearable buoyancy lifesaving device
WO2010128690A1 (en) Personal life-saving device
KR200264791Y1 (en) Parachu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