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5005Y1 - 화장용지 케이스 - Google Patents

화장용지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5005Y1
KR200185005Y1 KR2019990029739U KR19990029739U KR200185005Y1 KR 200185005 Y1 KR200185005 Y1 KR 200185005Y1 KR 2019990029739 U KR2019990029739 U KR 2019990029739U KR 19990029739 U KR19990029739 U KR 19990029739U KR 200185005 Y1 KR200185005 Y1 KR 2001850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toilet paper
paper
cosmetic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97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봉권
Original Assignee
최봉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봉권 filed Critical 최봉권
Priority to KR20199900297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50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50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50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3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pulled out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용지와, 상기 화장용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실과, 상기 수용실을 양측으로 구획하는 구획벽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화장용지의 잔 량을 확인하도록 형성된 투시창과, 상기 케이스의 상부 면에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된 화장용지를 인출할 수 있는 인출구와, 상기 인출구 영역의 내면에 부착되며 절취부가 형성된 비닐 막을 갖는 화장용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화장용지 케이스는; 상기 수용실에 설치되며 상기 잔 량의 화장용지를 상측을 향하여 소정 높이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양측벽에 형성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화장용지 케이스에 수용된 잔여 화장용지를 손쉽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특히 확인되지 않아 버릴 수 있는 잔여 화장용지 까지 사용할 수 있어서 경제적인 이득이 있는 화장용지 케이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화장용지 케이스{TISSUE PAPER CASE}
본 고안은, 화장용지를 수용하는 화장용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잔여 화장용지를 보다 간편하게 인출 할 수 있도록 한 화장용지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용지는 두루 마리형 화장용지와, 일정한 크기의 낱장으로 되어 케이스에 수용시켜 보관하는 화장용지로 대별된다.
이와 같은 두루 마리형 화장용지는, 두루 마리형으로 말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에 수용한 화장용지는, 화장용지를 다수 적층시켜 수용하는 수용실을 가지고 있으며, 케이스의 상부 면에 수용된 화장지를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구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두루 마리형 화장용지는, 케이스에 보관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나머지 잔 량까지 남김없이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나, 케이스에 다량의 화장용지를 적층하여 사용하는 화장용지는, 사용하다 보면 화장용지를 수용실로부터 인출할 수 없는 상태로 잔 량이 남게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잔여 화장용지를 확인하지 않고 버리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수용실에 수용된 잔여 화장용지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인출구를 통하여 손을 넣은 상태에서 화장용지를 인출하여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 들어 잔여 화장용지를 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화장용지 케이스의 저면부에 절취선에 의해 절취되는 받침판을 갖는 화장용지 케이스가 제안된바 있으며, 따라서 받침판을 수용실의 내측으로 밀게되면 잔여 화장용지가 상측으로 이동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수용실을 향하여 기립상태로 절곡된 받침판이 기립상태를 장시간 동안 유지할 수 없는 관계로 소망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본원 출원인이 선 출원한 실용원 제99-5319호 '일회용 티슈 용기'에서는, 화장용지의 잔여 량을 확인하기 위한 투시창을 형성하여 케이스의 수용실 내부를 쉽게 확인하여 잔여 화장용지를 인출할 수 있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회용 티슈 용기는 잔 량의 화장용지를 확인하는 것은 효과적이나, 화장용지를 인출하는 것은 불편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잔여 화장용지를 보다 간편하게 인출구 측으로 이동시켜 간편하게 인출 할 수 있도록 한 화장용지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지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지 케이스의 일 측을 확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지 케이스의 전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Ⅲ-Ⅲ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사용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화장용지 2 : 수용실
3 : 인출구 5 : 절취부
6 : 비닐막 8 : 투시창
10 : 화장용지케이스 20 : 이동부재
21 : 구획벽 23 : 받침판
25 : 걸림편 30 : 고정수단
31 : 걸림홈 33 : 출구
35 : 절취선 37 : 지지편
S,S1 : 측면날개편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화장용지와, 상기 화장용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실과, 상기 수용실을 양측으로 구획하는 구획벽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화장용지의 잔 량을 확인하도록 형성된 투시창과, 상기 케이스의 상부 면에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된 화장용지를 인출할 수 있는 인출구와, 상기 인출구 영역의 내면에 부착되며 절취부가 형성된 비닐 막을 갖는 화장용지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지 케이스는; 상기 수용실에 설치되며 상기 잔 량의 화장용지를 상측을 향하여 소정 높이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양측벽에 형성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지 케이스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는 소정 높이로 형성된 구획벽을 갖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소정 길이로 연장되며 상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걸림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걸림편이 삽입되어 걸림 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양측 벽에 형성한 걸림홈과; 상기 케이스의 양측 벽에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를 상측을 향하여 소정 높이로 이동시키기 위한 출구를 형성하는 절취선과; 상기 절취선을 따라 절취되며 상측 영역에 고정편이 연설된 지지편을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지 케이스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지 케이스의 일 측을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지 케이스의 전개도이며, 도 4는 도 1에 따른 Ⅲ-Ⅲ선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지 케이스(10)는, 화장용지(1)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실(2)과, 수용실(2)에 수용된 화장용지(1)를 인출하는 인출구(3)를 구비하고 있다.
인출구(3)의 내면에는 절취부(5)를 갖는 비닐막(6)을 부착하여 먼지 등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며, 화장지 케이스(10)의 전방 영역에는 수용실(2)을 투시할 수 있는 투시창(8)을 소정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하고 투시창(8)의 내부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비닐막(9)이 부착된다.
수용실(2)의 내부에는 잔여 화장용지(1)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부재(20)가 설치된다.
이동부재(20)는 중앙부에 소정 높이로 형성된 구획벽(21)과, 이 구획벽(21)에 의하여 양측으로 분리 적층된 화장용지(1)를 받침 하는 받침판(23)으로 형성되며, 받침판(23)의 양측에는 받침판(23)으로부터 연장되어 상측을 향하여 절곡된 걸림편(25)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 이동부재(20)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고정하는 고정수단(30)중 걸림홈(31)은 화장용지 케이스(10)의 양측벽(7)을 이루며 외측에 부착되는 측면날개편(S)에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수단(30)을 이루며 받침판(23)을 상측을 향하여 소정높이로 이동시킬 수 있는 출구(33)를 형성하는 절취선(35)과, 절취선(35)을 따라 절취되며 상측에 고정편(37)이 연설된 지지편(39)은 양측벽(7)을 이루며 상기 측면날개편(S)의 내측에 부착되는 측면날개편(S1)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지 케이스(10)는, 수용실(2)에 수용된 화장용지(1)를 인출할 때는 인출구(3)를 통하여 인출한다.
한편, 화장용지(1)를 사용하다 보면 수용실(2) 내부에 적층된 화장용지(1)는, 소량 정도가 수용실(2)의 바닥면 즉 받침판(23) 위에 남게되며, 이와 같이 화장요지(1)의 잔 량 확인은 투시창(8)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실(2) 내부에 소량의 잔여 화장용지(1)가 확인되면 화장용지(1)를 받침하고 있는 받침판(23)을 인출하기 편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때에는 사용자가 화장지 케이스(10)의 양측벽(7)을 이루는 측면날개편(S1)에 형성된 각 절취선(35)을 절취하면, 양측벽(7)에는 출구(33)가 형성되며 이 출구(33) 측으로 손가락을 집어넣어 이동부재(20)인 받침판(23)의 걸림편(25)을 잡고 상측으로 이동시켜 걸림편(25)을 측면날개편(S)에 형성된 걸림홈(31)에 걸림 되도록 삽입하면 받침판(23)은 소정 높이에서 고정된다.
걸림홈(31)에 걸림된 걸림편(25)을 외측으로 절곡하고 이어서, 절취되어 형성된 지지편(39)을 상측으로 즉,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킨 후 지지편(39)의 상단부에 형성된 고정편(37)을 걸림홈(31)에 삽입하면 받침판(23)은 그 위치에서 흘러내림이 없이 고정된다.
따라서, 잔여 량의 화장용지(1)를 받침하고 있는 받침판(23)으로부터 인출구(3)를 통하여 손쉽게 화장용지(1)를 인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화장용지 케이스에 수용된 잔여 화장용지를 손쉽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특히 확인되지 않아 버릴 수 있는 잔여 화장용지 까지 사용할 수 있어서 경제적인 이득 있는 화장용지 케이스가 제공된다.

Claims (3)

  1. 화장용지와, 상기 화장용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실과, 상기 수용실을 양측으로 구획하는 구획벽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화장용지의 잔 량을 확인하도록 형성된 투시창과, 상기 케이스의 상부 면에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된 화장용지를 인출할 수 있는 인출구와, 상기 인출구 영역의 내면에 부착되며 절취부가 형성된 비닐 막을 갖는 화장용지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지 케이스는;
    상기 수용실에 설치되며 상기 잔 량의 화장용지를 상측을 향하여 소정 높이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양측벽에 형성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지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소정 높이로 형성된 구획벽을 갖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소정 길이로 연장되며 상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걸림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지 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걸림편이 삽입되어 걸림 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양측 벽에 형성한 걸림홈과;
    상기 케이스의 양측 벽에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를 상측을 향하여 소정 높이로 이동시키기 위한 출구를 형성하는 절취선과;
    상기 절취선을 따라 절취되며 상측 영역에 고정편이 연설된 지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지 케이스.
KR2019990029739U 1999-12-27 1999-12-27 화장용지 케이스 KR2001850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739U KR200185005Y1 (ko) 1999-12-27 1999-12-27 화장용지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739U KR200185005Y1 (ko) 1999-12-27 1999-12-27 화장용지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5005Y1 true KR200185005Y1 (ko) 2000-06-15

Family

ID=19603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9739U KR200185005Y1 (ko) 1999-12-27 1999-12-27 화장용지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50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886Y1 (ko) * 2009-10-27 2011-08-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포장상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886Y1 (ko) * 2009-10-27 2011-08-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포장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45395T3 (es) Dispensador de alimentacion por gravedad y metodo para dispensar servilletas interplegadas.
US20080073371A1 (en) Dispenser for a rolled material
US4993589A (en) Disposable article dispenser
US6568625B2 (en) Wet wipes dispenser and mounting system
DK0910273T3 (da) Papirholder med aftagelig kassette
KR20030007626A (ko) 습윤성 티슈 디스펜서
JPH0230234Y2 (ko)
US3475067A (en) Toilet tissue dispenser
US5878893A (en) Combination magazine rack and toilet paper dispenser
US7654273B2 (en) Dental flosser dispenser
JP4335553B2 (ja) ウェットシート収納容器
KR200185005Y1 (ko) 화장용지 케이스
US6915935B2 (en) Sheet dispensing system for rolled materials
US7118008B2 (en) Label tag dispenser
US20070102444A1 (en) Paper roll storage device
EP0599493A1 (en) Kitchen roll dispenser
KR200253756Y1 (ko) 화장지 상자
US20010048047A1 (en) Dispenser of flexible material, provided with a multi-roll holder
KR200480503Y1 (ko) 종이 호일 케이스
GB2618761A (en) Roll cutting apparatus
KR200196735Y1 (ko) 티슈 페이퍼 상자 또는 두루마리 휴지를 수납할 수 있는 서랍을 구비한 다용도 책상
KR200408035Y1 (ko) 인출이 용이한 휴대용 휴지 케이스
KR101663880B1 (ko) 화장용 시트 케이스
US20190200817A1 (en) Multiple roll toilet paper dispenser
KR920002819Y1 (ko) 두루마리 화장지 보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