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4877Y1 - 손잡이 부분이 돌출된 가위 - Google Patents

손잡이 부분이 돌출된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4877Y1
KR200184877Y1 KR2019990030312U KR19990030312U KR200184877Y1 KR 200184877 Y1 KR200184877 Y1 KR 200184877Y1 KR 2019990030312 U KR2019990030312 U KR 2019990030312U KR 19990030312 U KR19990030312 U KR 19990030312U KR 200184877 Y1 KR200184877 Y1 KR 2001848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ssors
cut
handle
blade
fix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303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서규
Original Assignee
김서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서규 filed Critical 김서규
Priority to KR20199900303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48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8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8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12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 B26B13/20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with gripping bows in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10Handle construction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 B25G1/102Handle construction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the shape being specially adapted to facilitate handling or improve grip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잡이 부분이 돌출된 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가위는 가위를 측면으로 두었을 때, 가위날 부분과 손잡이 부분이 일직선을 이루고 있어서 바닥이나 측면에 밀착되어 있는 물체를 자르거나 오릴려면 가위의 손잡이 부분을 잡은 손이 물체에 부딪혀서 자르거나 오리고자 하는 부분을 정확하게 절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와같은 점들을 보완하기 위해서 가위(1)를 측면으로 두었을 때, 가위날(10)부분과 고정핀(20) 부분은 일직선을 유지하되 고정핀(20) 상단부터 손잡이(30) 부분까지는 가위날(10) 부분보다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상부쪽으로 돌출되게 함으로 손잡이(30) 부분을 잡고 절단하고자 할 때, 손잡이(30) 부분을 잡은 손이 가위날(10) 부분보다 상부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자유자재로 정확하게 원하는 부분을 절단하도록 고안하였다.

Description

손잡이 부분이 돌출된 가위{.}
가위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물체를 자르거나 오릴때에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자르거나 오리는 부분이 모두가 일정하지 않고, 어떤 부분들은 자르거나 오리고자 하는 물체의 부분의 면적이 넓어서 쉽게 작업을 할수도 있지만 또다른 부분들은 면적이 좁은 경우도 있다. 그러할 때 종래의 가위들을 사용하여 자르거나 오릴 경우에는 가위를 측면으로 두었을 때 가위날과 손잡이 부분이 일직선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손잡이 부분을 잡고 사용할 경우 손 부분이 밀착된 물체 부위에 닿기 때문에 정확하게 작업하고자 하는 부분을 자르거나 오릴수가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절단된 부위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외관상 보기도 좋지 않고 능률도 비효율적이어서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되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위를 측면으로 두었을 때, 가위날 부분과 고정핀 부분은 일직선을 유지하되 손잡이 부분을 가위날 부분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상부쪽으로 돌출되게 함으로 손잡이 부분을 잡고 작업을 하여도 손 부분이 가위날 부분보다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작업하고자 하는 물체의 부위에 닿지 않고 정확하게 자르거나 오릴 수 있게 고안하였다.
따라서 작업하고자 하는 물체의 면적이 좁거나 바닥이나 측면에 물체가 밀착되어 있어도 깨끗하게 절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외관상 아름답고 작업의 능률도 효율적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하부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측면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종래 가위의 윗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가위 10. 가위날 20. 고정핀 30. 손잡이
본 고안의 구성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물체를 자르거나 오릴 수 있는 가위날(10) 부분과 가위날(10)을 결합시키는 고정핀(20), 그리고 가위날(10) 부분을 열고 닫는데 사용하는 손잡이(30)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손잡이(30) 부분을 외부방향으로 열어줌에 따라 고정핀(20)에 결합된 가위날(10)들이 열려서 물체들이 가위날(10) 내부로 삽입되게 하였으며, 반대로 손잡이(30) 부분을 내부방향으로 모아주면 가위날(10) 내부로 삽입된 물체들이 절단되게 하였다.
그러나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위(1)를 측면으로 두었을 때, 가위날(10) 부분과 고정핀(20) 부분은 일직선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반면에 손잡이(30) 부분은 가위날(10) 부분과 고정핀(20) 부분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상부쪽으로 돌출되게 구성하였다.
따라서 손잡이(30) 부분을 손으로 잡고 작업을 하여도 손잡이(30) 부분이 가위날(10) 부분보다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절단하고자 하는 물체부위에 손이 닿지 않으므로 깨끗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위(1)를 측면으로 두었을 때, 가위날(10) 부분보다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손잡이(30) 부분이 상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장점들이 있다. 예를 들면, 바닥이나 측면에 밀착되어 있는 물체를 자를때나 면적이 좁은 부분을 오릴때에도 손 부분이 절단하고자 하는 물체의 부위에 닿지 않으므로 깨끗하게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미용실이나 이발소에서 머리카락을 자를때나 학생들이 색종이를 오릴때에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뿐 아니라 작업시간도 단축시키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현시대는 외관과 능률을 중시하는 시대인데 본 고안의 가위로 작업을 하면 외관상 깨끗하게 절단할 수 있으며, 능률도 높여주는 효과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학습용 가위에서부터 미용 가위, 또 의료용 가위에도 적용해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

  1. 물체를 절단하는데 사용하는 가위날(10)과 가위날(10) 부분을 결합시키는 고정핀(20)과 가위날(10) 부분을 열고 닫는데 사용하는 손잡이(30) 부분으로 구성되고, 가위(1)를 측면으로 두었을 때 가위날(10) 부분과 고정핀(20) 부분보다 비교하여 손잡이(30) 부분이 상대적으로 상부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30) 부분이 돌출된 가위.
KR2019990030312U 1999-12-23 1999-12-23 손잡이 부분이 돌출된 가위 KR2001848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312U KR200184877Y1 (ko) 1999-12-23 1999-12-23 손잡이 부분이 돌출된 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312U KR200184877Y1 (ko) 1999-12-23 1999-12-23 손잡이 부분이 돌출된 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4877Y1 true KR200184877Y1 (ko) 2000-06-01

Family

ID=19604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30312U KR200184877Y1 (ko) 1999-12-23 1999-12-23 손잡이 부분이 돌출된 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48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805B1 (ko) * 2008-10-27 2011-10-13 이유희 가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805B1 (ko) * 2008-10-27 2011-10-13 이유희 가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05027051D1 (de) Bidirektionales rasiergerät
KR910005803A (ko) 매니큐어 도구용 제어개선 부품
BR9809740A (pt) Aparelho de barbear e processo para fabricar o mesmo
US5010648A (en) Gray hair cutter
DE59103464D1 (de) Rasierapparatekopf, insbesondere Rasierklingeneinheit, eines Nassrasierapparates.
KR200184877Y1 (ko) 손잡이 부분이 돌출된 가위
KR100582029B1 (ko) 미용가위
US2839827A (en) Nail clipper
CN214520322U (zh) 一种油性头发专用剪刀
JPH0510783Y2 (ko)
JP2001259258A (ja) 散髪用鋏
US3844032A (en) Nail nippers
KR200388723Y1 (ko) 손톱깍기
JP3013053U (ja) ブロース用鋏
KR200202768Y1 (ko) 유아용 및 덧살 제거용 손톱깎기
DE69811465D1 (de) Schneidinstrument für Friseur
JP2001129271A (ja) ハサミ
CN2167597Y (zh) 一种指甲刀
CN2614865Y (zh) 铲形剪
JPH0313965U (ko)
JP3013057U (ja) 電動シェーバー
KR950005016Y1 (ko) 손톱눈 깍이
JPS61160806U (ko)
KR200270348Y1 (ko) 눈썹화장용 칼
JPS5823327Y2 (ja) 柄を変形させた理・美容バサ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