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4364Y1 - 골프 스윙 근육 단련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골프 스윙 근육 단련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4364Y1
KR200184364Y1 KR2019990026190U KR19990026190U KR200184364Y1 KR 200184364 Y1 KR200184364 Y1 KR 200184364Y1 KR 2019990026190 U KR2019990026190 U KR 2019990026190U KR 19990026190 U KR19990026190 U KR 19990026190U KR 200184364 Y1 KR200184364 Y1 KR 2001843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golf swing
golf
grip
free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61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식
Original Assignee
송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정식 filed Critical 송정식
Priority to KR20199900261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43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3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3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42Anchored at one end only, the other end being manipulated by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간단한 운동기구를 통해 일상적인 생활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지만 골프 스윙 중에 사용되는 골퍼의 옆구리 근육을 단련시킬 수 있도록 한 골프 스윙 근육 단련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근육 단련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양손으로 잡을 수 있는 골프 클럽의 그립 형상으로 고안된 그립부재(1)와, 이 그립부재(1)에 연결고리(4)를 통해 연결되는 탄성부재(2)로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부재(2)의 자유단에 형성된 고리(2b)에 끼워지는 체결고리(5)를 통해 골프 스윙 연습자가 원하는 위치(높이)에 탄성부재(2)의 자유단을 고정하여 사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프 스윙 근육 단련 운동기구{Power impact device for golf swing}
본 고안은 골프 스윙 근육 단련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운동기구를 통해 일상적인 생활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지만 골프 스윙 중에 사용되는 골퍼의 옆구리 근육을 단련시킬 수 있도록 한 골프 스윙 근육 단련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에서 스윙하는 동안에 골프 클럽(club)은 타구 전 칠 자세의 위치에서 출발하여 백스트로크 하는 동안에 위로 움직여 맨 꼭대기 위치까지 이동하고, 다음에는 다운스윙 하는 동안에 아래로 움직여 골프공을 치고 팔로우스루 하면서 다시 위로 이동하는 동안에 줄곧 아치형을 유지하여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과정에 있어서 앞쪽팔은 통상적으로 클럽의 이동경로를 유도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뒤쪽팔은 클럽의 이동경로를 유지하는 역할보다는 클럽을 추진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바, 이와 같이 스윙 동작을 하는 동안에 클럽을 위로 이동시키는 힘과 다시 아래로 이동시키는 힘은 허리를 중심으로 허리와 옆구리의 근육을 사용하여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한편, 골프 스윙 연습은 신체의 근육을 신장 및 단련시키고, 골프 스윙 자세를 교정 및 완성하며, 골프 공이 특정 골프클럽에 의해 타격될 때의 정확성 및 비거리를 향상시키기 위해 실시하는 일이 많다.
즉, 타구를 의도된 방향으로 향하게 할수 있는 일정 수준에 도달된 숙련 골퍼라면 골프 공의 비거리를 보다 길게 하려는 욕구를 갖게 된다. 이를 위해 골퍼는자신의 기초 체력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신경을 써야 하고, 이렇게 전체적인 체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어느 정도의 골프 공의 비거리가 증가할 수 있지만, 이런 전체적인 체력의 증대는 신체 전체를 단련함으로써 점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지만, 이는 장시간을 요한다.
따라서, 골프 공의 비거리를 향상시키는 데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이때,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인간의 신체 구조학상 반복되는 부하를 받는 근육은 발달되어 반복 부하를 보다 더 잘 견딜 수 있도록 되어 있는바, 운동 선수가 연습을 통해 신체를 단련 및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실전(경기)에서 사용하는 실제 부하보다 약간 큰 부하를 가지고 연습함으로써 보다 신체 및 체력을 발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운동 선수는 실제 경기 상황에서 사용되는 근육을 발달시키는 데 집중하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골프에서 스윙을 할때 사용되는 허리 및 옆구리 근육을 반복적인 부하(운동)를 통해 강화시켜 줌으로써, 골퍼의 큰 과제 중의 하나인 골프 스윙시 골프공의 비거리 향상에 노력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일상적인 생활에서 잘 사용하지 않는 이러한 골프 스윙 근육을 단련(강화)시켜 줄 수 있는 간단한 운동기구들이 많이 나와 있지 않아 골프 애용자나 전문적인 골퍼들이 골프 스윙 근육을 단련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골퍼가 골프 스윙 동작시 필요로 하는 근육에 걸리는 부하를 느끼면서 골프 스윙에 필요한 특정 근육을 우선적으로 단련할 수 있는 간단한 운동기구를 통해 일상적인 생활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지만 골프 스윙 중에 사용되는 골퍼의 옆구리 근육을 단련시킬 수 있도록 한 골프 스윙 근육 단련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근육 단련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양손으로 잡을 수 있는 골프 클럽의 그립 형상으로 고안된 그립부재와, 이 그립부재에 연결고리를 통해 연결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부재의 자유단에 형성된 고리에 끼워지는 체결고리를 통해 골프 스윙 연습자가 원하는 위치(높이)에 탄성부재의 자유단을 고정하여 사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근육 단련 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탄성부재 다수개를 그립부재에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탄성부재 자유단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용 예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그립부재 1a : 귀부
1b : 작은 고리 2 : 탄성부재
2a, 2b : 고리 3 : 고정수단
3a : 고정판 3b : 안내레일
3c : 걸이구 3d : 조임나사
4 : 연결고리 5 : 체결고리
6 : 중간고리 7 : 벽면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근육 단련 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골프 스윙 근육 단련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양손으로 잡을 수 있는 골프 클럽의 그립 형상으로 고안된 그립부재(1)와, 이 그립부재(1)에 연결고리(4)를 통해 연결되는 탄성부재(2)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립부재(1)는 골프 클럽의 손잡이 부분(그립)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외면에는 오목부 및 융기부가 교대로 형성되거나 외면 둘레에 전체적으로 너얼링이 형성된 것으로서,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인 3개 또는 4개의 돌출 스트립(strip) 또는 리브(rib)가 제공되어, 사용자가 그립부재를 잡을때 골프 클럽의 그립을 잡는 형태를 손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그립부재(1)의 외면 형상은 골퍼의 골프 클럽의 파지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시예로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그 외면 형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재(1)의 일측단부에는 작은 고리(1b)를 걸 수 있는 귀부(1a)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작은 고리(1b)에 탄성부재(2)를 연결하는 연결고리(4)를 걸도록 되어 있다.
물론, 상기 작은 고리(1b)를 사용하지 않고 연결고리(4)를 그립부재(1)의 귀부(1a)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재(2)는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이 우수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바, 상기 탄성부재(2)의 양단부에는 일체로 두개의 고리(2a,2b)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2)에 형성된 두개의 고리(2a,2b)에는 각각 연결고리(4)와 체결고리(5)가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2)는 상이한 탄성 또는 장력을 갖는 여러 종류로 제작 구비되어, 사용자가 자신에게 운동 능력에 맞는 탄성부재(2)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2)를 선택함에 있어서, 자신의 운동 능력에 맞는 하나의 탄성부재(2)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하나의 탄성부재(2)로 부족할 때는 상기 그립부재(1)에 연결되는 탄성부재(2)의 연결 갯수를 필요한 부하(장력)에 따라 여러 개를 선택하여 사용자에 맞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렇게 탄성부재(1)를 여러개를 연결고리(4)를 통해 상기 그립부재 (1)에 연결할 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의 편의를 위해 연결고리(4)와 탄성부재(2)에 형성된 고리(2a) 사이에 중간고리(6)를 매개하여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고리(4)는 일측이 개폐되는 개폐식 연결고리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2)에 형성된 고리(2a)에 보다 손쉽게 연결 분리할 수 있어, 상기 그립부재(1)에서 탄성부재(2)를 손쉽게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체결고리(5)는 탄성부재(2)의 자유단을 벽면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벽면에 구비된 임의의 형태의 고정구(도시 안됨)에 손쉽게 체결하여 탄성부재(2)의 일측단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2)의 자유단을 고정할 때, 별도로 제작된 고정수단(3)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고정수단(3)은 임의의 벽면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판(3a)과, 이 고정판(3a)에 형성된 안내레일(3b)을 따라 이동하면서 위치(높이) 조절이 가능한 걸이구(3c)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레일(3b)내에서의 걸이구(3c) 고정은 걸이구 (3c) 하단부에 형성된 조임나사(3d)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근육 단련 운동기구의 사용 상태를 도 4 및 도 5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그립부재(1)와 탄성부재(2)가 분리된 상태로 가정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립부재(1)와 탄성부재(2)를 연결고리(4)를 통해 연결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의 자유단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3)은 적절한 임의의 벽면(7) 위치(높이)에 고정 설치한다.
물론 이때, 상기와 같은 고정수단(3)이 설치하기 어렵거나 구비되지 않은 경우, 적절한 임의의 벽면(7) 위치에 상기 탄성부재(2)의 자유단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구(도시안됨)를 설치하여 사용하면 된다.
상기 탄성부재(2)의 자유단에 형성된 고리(2b)에 끼워지는 체결고리(5)를 통해 상기 고정수단(3)의 걸이구(3c)에 탄성부재(2)의 자유단을 연결 고정한다.
이와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부재(1)를 잡고 골프 스윙 자세로 당기는 반복적인 운동을 통해 근육을 단련시키면 된다.
따라서, 사용자(골퍼)가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근육 단력 운동기구를 사용하여 골프 스윙을 연습할 때, 골프 스윙의 실행에 사용되는 근육은 통상의 부하보다 큰 부하(또는 등가의 장력)를 받게 되고, 골퍼는 부하를 극복하기 위해 추가의 에너지를 소비하여야만 한다.
이렇게 골퍼가 골프 스윙을 연속적으로 연습한다면, 관련된 근육은 반복 부하를 받게 되면서 관련된 근육은 부하에 더욱 잘 견디도록 단련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설명한 특정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골퍼)가 골프 스윙 자세로 본 고안의 운동기구를 지속적으로 당기는 운동을 통해 골프 스윙에 관련된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사용자가 양손으로 잡을 수 있는 골프 클럽의 그립 형상으로 고안된 그립부재와, 이 그립부재에 연결고리를 통해 연결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부재의 자유단에 형성된 고리에 끼워지는 체결고리를 통해 골프 스윙 연습자가 원하는 위치(높이)에 탄성부재의 자유단을 고정하여 사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근육 단련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재에 연결되는 탄성부재의 연결 갯수는 필요한 부하(장력)에 따라 조정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골프 스윙 근육 단련 운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근육 단련 운동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자유단을 고정할 수 있는 별도로 제작된 고정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근육 단련 운동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임의의 벽면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판과, 이 고정판에 형성된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위치(높이) 조절이 가능한 걸이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근육 단련 운동기구.
KR2019990026190U 1999-11-26 1999-11-26 골프 스윙 근육 단련 운동기구 KR2001843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190U KR200184364Y1 (ko) 1999-11-26 1999-11-26 골프 스윙 근육 단련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190U KR200184364Y1 (ko) 1999-11-26 1999-11-26 골프 스윙 근육 단련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4364Y1 true KR200184364Y1 (ko) 2000-06-01

Family

ID=19598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6190U KR200184364Y1 (ko) 1999-11-26 1999-11-26 골프 스윙 근육 단련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436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954B1 (ko) 2007-05-15 2008-07-22 홍두호 투스킬 좌우분리장착 기능성 골프스윙근육 교정 및강화기기
KR20160048598A (ko) * 2014-10-24 2016-05-04 이동기 임팩트에서 폴로 스로의 손목 자세 교정기
KR101847216B1 (ko) 2011-05-18 2018-05-28 올레 포크 스메드 운동적 스윙 트레이닝 장치 및 이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954B1 (ko) 2007-05-15 2008-07-22 홍두호 투스킬 좌우분리장착 기능성 골프스윙근육 교정 및강화기기
KR101847216B1 (ko) 2011-05-18 2018-05-28 올레 포크 스메드 운동적 스윙 트레이닝 장치 및 이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KR20160048598A (ko) * 2014-10-24 2016-05-04 이동기 임팩트에서 폴로 스로의 손목 자세 교정기
KR101690667B1 (ko) 2014-10-24 2016-12-28 이동기 임팩트에서 폴로 스로의 손목 자세 교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6123B2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7326122B2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6558302B2 (en) Muscle training and development device
US7322908B2 (en) Exercise device
US7762913B1 (en) Bat training device
US6949035B1 (en) Power swing training bat
US7074131B1 (en) Golf grip kit and swing exercise device
US200802143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ricting arm movement and method of use thereof in sports training, physical training, and physical therapy
US7758437B1 (en) Golf swing training aid
JP2009502262A (ja) 運動装置及び運動方法
CA2675537A1 (en) Exercise grip device
US20140005014A1 (en) Athletic speed training device using biofeedback
US8066623B2 (en) In-water training and rehabilitation device
US20110250979A1 (en) Golf Swing Training Aid
US20070010344A1 (en) Golf training device
US20120208683A1 (en) Exercise Grip Device
US20050101457A1 (en) Isometric/pacing exercise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isometric exercises
EP2524719A2 (en) Athletic sw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US5947835A (en) Golf swing exercise and training device
US6572497B1 (en) Power swing training bat
US8113993B2 (en) Exercise grip for exercising pectoral muscles
KR200184364Y1 (ko) 골프 스윙 근육 단련 운동기구
KR102049797B1 (ko) 어깨 움직임 운동 장치와 사용 방법
US7223218B2 (en) Muscle strengthening device
US4423866A (en) Gymnastics/exercis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