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4356Y1 - 관람용 의자의 수납을 위한 지지대의 구조 - Google Patents

관람용 의자의 수납을 위한 지지대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4356Y1
KR200184356Y1 KR2019980006160U KR19980006160U KR200184356Y1 KR 200184356 Y1 KR200184356 Y1 KR 200184356Y1 KR 2019980006160 U KR2019980006160 U KR 2019980006160U KR 19980006160 U KR19980006160 U KR 19980006160U KR 200184356 Y1 KR200184356 Y1 KR 2001843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hair
piece
armrest
hi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61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9773U (ko
Inventor
김종성
Original Assignee
김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성 filed Critical 김종성
Priority to KR20199800061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4356Y1/ko
Publication of KR199900397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7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3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3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1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having tipping-up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47C7/543Supports for the arms movable to inoperativ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6Parts or details of tipping-up chairs, e.g. of theatre chairs
    • A47C7/563Parts or details of tipping-up chairs, e.g. of theatre chairs provided with a back-rest moving with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6Parts or details of tipping-up chairs, e.g. of theatre chairs
    • A47C7/58Hinges, e.g. for mounting chairs in a curved row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2Tribunes, grandstands or terraces for spect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등판과 좌판이 절첩되도록한 관람용 의자에 있어서, 의자를 눕혀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측면지지대의 구성을 개량한 것임.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과제
종래의 절첩식 관람용 의자는 측면지지대의 폭이 넓어서 의자를 눕혀 수납하는 것이 불가능하였음.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슬라이드지지부(1′)가 있는 측면지지대(1)의 일측에 지지판(5)과 팔걸이편(6)을 관절 형태로 결합시킴으로써, 의자로 사용시에는“”형태가 되어 팔걸이 기능을 하게끔 하고 수납을 위해 의자를 눕히면 저절로 펼쳐지도록 구성하였음.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관람용 절첩의자에 사용할 때 의자 전체를 눕혀서 수납 하기가 용이하게 됨.

Description

관람용 의자의 수납을 위한 지지대의 구조
본 고안은 의자의 등판과 좌판이“”형으로 접혀지는 관람용 접첩의자에 있어서 의자 전체를 눕혀 상부스탠드 내부로 수납시킬수 있도록 하기위해 팔걸이 기능과 등판 및 좌판의 지지대기능을 하도록 된 측면지지대의 구조를 개량한 것으로, 특히 의자가 세워졌을때는“”형태로 팔걸이대 형태를 유지하다가 수납을 위해 눕힐때는 폭이 저절로 줄어들게 하여 수납을 용이하게 하려는 것이다.
종래에도 상기와 같이 의자를 눕혀 상단의 스탠드 내부로 수납시키는 의자장치는 있었으나, 의자를 사용하지 않을 때 등판과 좌판이 저절로 접히는 작동이 스프링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이에따른 구조가 복잡해지고 수리가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따라 본 출원인이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선출원(실용신안등록출원 제98-3395호)한바 있는 고안에 따르면, 의자의 양옆에 설치되는 측면지지대에 등판을 가이드하도록 경사진 슬라이드홈을 형성하여 등판 측면의 가이드봉이 삽입되게 하고 또한 좌판의 작용중심이 되는 중심구멍을 형성하여 좌판의 중심봉을 삽입한후 좌판의 끝에 무게를 주도록 철판을 부착함으로써, 절첩을 위한 스프링 장치등이 필요치 않으면서도 사람이 의자에서 일어나면 자동으로 좌판이 세워지면서 등판도 조금 하강하는 동작“()”이 이루어져 절첩되게 끔 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로 절첩을 하려다 보니 지지대의 일측(슬라이드 홈이 형성된부분)이 의자의 뒷쪽으로 경사진 상태로 형성될수밖에 없고 상부는 측면지지대 중심보다 앞쪽으로 돌출되는 팔걸이도 형성되어야 하므로 전체형상이“”형태가 될 수밖에 없는데, 따라서 의자를 눕혀 지지대가“”형태가 되게한후 윗칸스탠드의 아래로 수납시킬때 지지대의 높이(세웠을 때의 폭)가 너무 높아 수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다시말해 상기 본 출원인의 선출원전에 실시되던 지지대(스프링장치에 의해 절첩되는 의자)의 경우는 등판과 좌판이 스프링장치에 의해 절첩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서 스프링장치만 지지대에 설치하여주면 되므로 지지대를“”형태로 폭이 좁게 구성할 수가 있고 팔걸이대는“”형태로 지지대 상단에 설치할 수가 있게 되었던 것이며, 따라서 이때는 의자를 눕혀서 상단스탠드 내부에 삽입하더라도 지지대의 높이에 따른 수납불가 문제는 없었던 것이지만, 상기 선출원과 같은 간단한 구성으로 절첩을 하려하다보니 수납에 따른 문제가 발생하였던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코자 안출된 본 고안은 선출원 고안을 더욱 발전시켜 등판과 좌판의 절첩을 간단히 하는 기능은 물론, 관람용 수납식 의자에도 문제없이 사용할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으로, 지지대를 구성시 의자가 세워져있을때의 상부에 팔걸이가 있는“”형태가 되고 의자를 눕혀 수납시에는 그폭이 저절로 줄어들게 개선하여 수납이 용이토록 함을 목적으로 한 고안인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팔걸이대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팔걸이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4(a)~4(c)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제4(a)도는 의자가 세워져 있을때의 상태도.
제4(b)도는 일정각도 눕혀질때의 상태도.
제4(c)도는 완전히 눕혀졌을때의 상태도.
제5도는 제4(a)도의 A-A′선 확대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측면지지대 1′: 슬라이드지지부
2 : 슬라이드홈 3 : 중심구멍
4 : 지지돌부 5 : 지지편
5a : 하단힌지부 5a′: 받침부
5c : 상단힌지부 5b′: 걸림턱
6 : 팔걸이편 6a : 힌지부
6a′: 작용요부 6b : 안착요부
7 : 안착돌부 8,8′: 핀
10 : 좌판 20 : 등판
본 고안의 측면지지대(1)는 상단부에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한 슬라이드지지부(1′)를 형성하여 여기에 슬라이드홈(2)을 형성하고 그 아랫쪽 조금옆에는 중심구멍(3)을 형성하여 좌판(10)의 측단을 중심구멍(3)에 지지시키고 등판(20)의 측단을 슬라이드홈(2)에 지지시켰다.
따라서 좌판(10)은 중심구멍(3)을 중심으로 세워지거나 눕혀질수 있게 하고 등판(20)은 슬라이드홈(2)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토록 된 것으로, 사람이 앉기 위해 좌판(10)을 눕히면 등판(20)은 상승하면서 앉을수 있는 상태가 되고 좌판(10)이 세워지면 등판(20)이 하강하여 등판(20)과 좌판(10)은“”형태로 접혀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단에 팔걸이가 형성되면서 눕힐때 펼쳐질수 있는 구성으로는 측면지지대(1)의 중단부 일측, 즉 슬라이드지지부(1′)의 반대쪽으로 지지돌부(4)를 형성한후 하단과 상단에 각각“”형으로 된 하단힌지부(5a)와“”형으로 된 상단힌지부(5b)가 형성된 지지편(5)을 형성하여 핀(8)으로 지지돌부(4)에 결합시키고 하단의 힌지부(5a)에는“”형으로 된 받침부(5a)를 형성하여 일정각도 이상 아래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단의 힌지부(5b)에는 걸림턱(5b′)을 형성하였다.
상부에는 슬라이드지지부(1′)와 지지편(5)을 횡으로 가로지르는 팔걸이편(6)을 설치하는데, 지지편(5)과 연결되는 부분에는“”형으로 된 힌지부(6a)를 형성하여 지지편(5)의 상단힌지부(5b)와 핀(8′)으로 결합시키고 힌지부(6a)의 외면에 작동요부(6a′)를 형성하여 지지편(5)의 걸림턱(5b′)에 의해 작용각도를 제한 받도록 하며, 반대편의 끝단에는 안착요부(6b)를 형성하였다.
슬라이드지지부(1′)의 상단, 즉 팔걸이편(6)이 닿는부분에는 안착돌부(7)를 형성하여 상기 안착돌부(6b)가 삽입될수 있게 끔 구성하였다.
그리고 제6도에 도시된 것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측면지지대(1a)를 구성시 팔걸이편은 구성치 않고 일측으로 경사진 슬라이드지지부(1a′)만을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팔걸이 기능은 없지만 의자를 눕혀 수납시 아무런 문제없이 수납이 가능토록 구성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된 부호 31은 셋트스크류, 32는 의자(30)가 설치되는 계단식스탠드, 32′는 상부의 스탠드, 33은 의자를 눕히는 장치부, 34,34′는 좌판(10)과 등판(20)을 연결시키면서 슬라이드홈(2)과 중심구멍(3)에 지지되는 연결구, 35는 연결구(34)를 좌판(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좌판(10)의 고정부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은 슬라이드홈(2)과 중심구멍(3)에 의해 등판(20)과 좌판(10)이 접혀지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좌판(10)의 경우 중심구멍(3)에 지지되는 부분이 맨뒤쪽 보다 조금 앞쪽이고 무게중심은 맨뒤쪽에 있기 때문에 사람이 앉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저절로 세워지게 되며, 등판(20)은 좌판(10)과 연결되어 있어서 좌판(10)이 눕혀지면 슬라이드홈(2)에 의해 상승하고 좌판(10)이 세워질때는 하강하여 등판(20)과 좌판(10)은“”형태로 접혀지게 되는 것이다.
의자를 수납시키기 위해 눕힐때의 작용을 살펴보면, 최초 제4(a)도 상태에서 측면지지대(1)가 의자의 앞쪽방향으로 어느정도 젖혀지면 팔걸이편(6)의 무게에 의해 저절로 젖혀져 제4(b)도와 같이 되고, 완전히 젖혀지면 지지편(5)과 팔걸이편(6)이 연결되는 부분이 바닥에 닿게 되어 제4(c)도와 같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측면지지대(1)의 전체폭(눕혔을때의 높이)이 세웠을 때에 비하여 70%정도로 줄어들게 되어 제4(a)도의“”방향으로 의자(30)가 수납될 때 원활하게 수납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수납후 다시 의자(30)를 사용할때는 상기한 설명과 반대로 세로 작용을 하여 측면지지대(1)는 처음과 같이“”형으로 변형되는데, 특히 이때는 팔걸이편(6) 끝단의 안착요부(6b)가 슬라이드지지부(1′)의 끝에 형성된 안착돌부(7)에 저절로 삽입되므로 의자로 사용도중 팔걸이편(6)이나 지지편(5)이 측방향으로 흔들리는 경우를 예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의자(30)의 등판(20) 및 좌판(10)이 간단한 구성으로도 자동 접첩될수 있는 기능이 있게 되고 이러한 기능외에도 의자(30)을 눕혀 수납할 때 팔걸이의 폭이 자동으로 줄어들게 되어 수납이 용이하게 되므로 수납식 관람용 의자로도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등 관람용 의자의 기능을 한층 발전시킨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관람용 수납식 절첩의자의 측면지지대(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에 일측방향으로 경사진 슬라이드지지부(1)을 형성한후 여기에 슬라이드홈(2) 및 중심구멍(3)을 형성하여 등판(20) 및 좌판(10)의 절첩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게 끔 하며, 측면지지대(1)의 중단부 일측, 즉 슬라이드지지부(1′)의 반대 쪽으로 지지돌부(4)를 형성한후 하단과 상단에 각각“”형으로 된 하단힌지부(5a)와“”형으로 된 상단힌지부(5b)가 형성된 지지편(5)을 형성하여 핀(8)으로 지지돌부(4)와 하단힌지부(5a)를 연결시키며, 상부에는 슬라이드지지부(1′)와 지지편(5)을 횡으로 가로지르는 팔걸이편(6)을 설치하여 지지편(5)과 연결되는 부분에는“”형 힌지부(6a)를 형성하여 지지편(5)의 상단힌지부(5b)와 핀(8)으로 결합하고, 힌지부(6a)의 외면에 작동요부(6a)를 형성하고 지지편(5)의 상부에는 걸림턱(5b′)을 형성하여 작동각도를 제한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용 의자의 수납을 위한 지지대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팔걸이편(6)의 슬라이드지지부(1′)에 닿는쪽 끝단에는 안착요부(6b)를 형성하고 슬라이드지지부(1′) 상단의 안착요부(6b)가 닿는면에는 안착돌부(7)를 형성하여 안착요부(6b)에 삽입되게 끔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용 의자의 수납을 위한 지지대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측면지지대(1a)를 구성시 팔걸이편은 구성치 낳고 일측으로 경사진 슬라이드지지부(1a′)만을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용 의자의 수납을 위한 지지대의 구조.
KR2019980006160U 1998-04-10 1998-04-10 관람용 의자의 수납을 위한 지지대의 구조 KR2001843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160U KR200184356Y1 (ko) 1998-04-10 1998-04-10 관람용 의자의 수납을 위한 지지대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160U KR200184356Y1 (ko) 1998-04-10 1998-04-10 관람용 의자의 수납을 위한 지지대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773U KR19990039773U (ko) 1999-11-15
KR200184356Y1 true KR200184356Y1 (ko) 2000-06-01

Family

ID=19533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160U KR200184356Y1 (ko) 1998-04-10 1998-04-10 관람용 의자의 수납을 위한 지지대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435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773U (k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3894A (en) Foldable leg assembly
US5735570A (en) Foldable chair frame
US20090243346A1 (en) Foldable swivel stool
US5899525A (en) Foldable chair frame
US6511122B1 (en) Foldable chair having a reduced storage space in a folded state and adjustable backrest inclination
US6820629B2 (en) Leg assembly for a canopy
KR200184356Y1 (ko) 관람용 의자의 수납을 위한 지지대의 구조
KR200389413Y1 (ko) 접이식의자 연결구
KR100267160B1 (ko) 접철식 의자
US4108490A (en) Foldable chair
GB2303058A (en) Folding chair
KR20200004217A (ko) 의자 일체형 탁자
US8118358B2 (en) Chair
US6585314B2 (en) Tablet arm attachment for folding chair having ganging feature
US540794A (en) Folding chair
US2147100A (en) Foldable seat
US7213875B2 (en) Foldable chair
KR20200097425A (ko) 사용이 편리한 접철식 낚시용 의자
KR20200049097A (ko) 야외용 원목 테이블
KR200494643Y1 (ko) 휴대가 가능한 가변형 낚시좌대
CN216907358U (zh) 折叠支架及包含其的折叠秋千椅
CN212972353U (zh) 一种公园用组合式藤椅
JP3225173U (ja) サークル付き折畳式ベッド
KR102028400B1 (ko) 여행용 가방
JPH08242973A (ja) ソファーベッド及びソファーベッドの組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