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865Y1 - 치열교정용 간접접착 브라켓 포지셔너 - Google Patents

치열교정용 간접접착 브라켓 포지셔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865Y1
KR200183865Y1 KR2019990030664U KR19990030664U KR200183865Y1 KR 200183865 Y1 KR200183865 Y1 KR 200183865Y1 KR 2019990030664 U KR2019990030664 U KR 2019990030664U KR 19990030664 U KR19990030664 U KR 19990030664U KR 200183865 Y1 KR200183865 Y1 KR 2001838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ole
holder
metal plate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306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경희문
Original Assignee
경희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문 filed Critical 경희문
Priority to KR20199900306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38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8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865Y1/ko
Priority to US09/712,434 priority patent/US6296481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6Positioning or placement of brackets;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5Lingual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6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cemented to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1)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설측 브라켓을 이용한 치열교정 시술을 할 때 설측 브라켓을 모형상의 치아에 정확하게 부착하는데 필요한 간접접착용 브라켓 포지셔너에 관한 것으로, 기공과정을 좀더 편리하게 하면서도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을 개량한 것이다.
(2)고안의 목적
본 고안은 금속판과 브라켓 홀더의 구조을 개량하여 브라켓 홀더에 설측 브라켓의 고정을 더욱 쉽게 하면서 또한 작업시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도록 하였으며, 또한 브라켓 홀더를 금속판의 고정 나사를 풀지 않고 쉽게 착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간접 브라켓 접착 작업을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3)고안의 구성
설측에 사용하는 금속판(1)의 양측변 가장자리에 측방 장공(2)(2')을 형성하고 앞쪽의 중앙부 가장자리에는 원형구멍(3)을 형성하였다.
측방 치열용 브라켓 홀더(4)(4')는 견치부터 제2대구치 까지 한꺼번에 브라켓을 부착할 수 있는 길이로 하였으며, 측방 장공(2)(2')에 결합되는 부위에는 측방 장공(2)(2')의 길이 방향과 직각으로 구성되면서 후단의 일부분이 개방된 형태의 연결 장공(5)을 형성하여 쉽게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브라켓이 삽입되는 부위는 브라켓(10)을 고무링으로 쉽고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구멍(6)을 여러개 연속적으로 형성하였다.
또한 전방부 원형구멍(3)에 결합할 전치부용 브라켓 홀더(7)도 상기 연결 장공(5)과 같이 개방된 형태의 연결 장공(8)으로 형성하여 쉽게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브라켓 부착 부위는 상하 전치부 치열궁 형태와 유사한 원호형으로 고정구멍(9)을 형성하였다.
금속판(1)의 측방 장공(2)(2')과 전방부 원형구멍(3)에 브라켓 홀더(4)(4')(7)를 결합할 때는 볼트(21) 및 너트(22)를 이용하되 스프링(23)을 삽입한 상태로 결합한다.
(4)고안의 효과
본 고안은 브라켓 홀더(4)(4')를 일체로 형성한 후 브라켓 홀더(4)(4')에 고무링 등을 이용하여 브라켓(1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브라켓 홀더(4)(4')의 개방형 장공을 이용하여 볼트와 너트를 풀지 않고 간단하게 금속판(1)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시킴으로써 브라켓 설치작업이 매우 빠르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치열교정용 간접접착 브라켓 포지셔너{An indirect bonding bracket positioner for correction of irregularities of the teeth}
본 고안은 설측 브라켓을 이용한 치열교정 시술을 할 때 설측 브라켓을 치아에 정확하게 부착하기 위하여 모형을 만드는데 이 모형상의 치아에 브라켓을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치열교정용 간접 브라켓 포지셔너에 관한 것으로서, 시술작업을 좀더 편리하게 하면서도 정확한 시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을 개량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브라켓을 이용한 치열교정 방법은 직접 구강내에서 브라켓을 치아에 부착하거나 혹은 모형상에 브라켓을 부착하여 구강내로 옮기는 간접접착술이 있는데, 간접접착에 따른 포지셔너의 개량구조를 본인의 선출원(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8-008587호)에서 이미 제시한 바 있다.
상기한 선출원에서의 구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설측 및 순측 치열궁 형태와 유사하게 제작된 수평 금속판의 가장자리에 장홈을 형성하고 상기 장홈에 여러개의 브라켓 홀더를 결합하되 스프링이 결합된 상태로 볼트와 너트를 결합하여 브라켓 홀더가 수평면 상에서 이동이 가능토록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브라켓을 브라켓 홀더에 고정을 할 수 없어서 작업중 브라켓이 홀더에서 잘 빠져나오는 단점이 있었고, 브라켓 홀더를 금속판에서 제거할 경우에는 항상 볼트와 너트를 풀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브라켓 홀더를 개방형 연결장공으로 구성함으로써 브라켓 홀더를 금속판에 연결시킬 때 볼트와 너틀 풀지 않고도 간편하게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브라켓을 한 개씩 브라켓 홀더에 고정하던 이전 방식과는 달리 한꺼번에 여러개의 브라켓을 브라켓 홀더에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여러개의 브라켓을 동시에 더욱 쉽고 간편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금속판 2,2':측방 장공
3:원형구멍 4,4':측방 치열용 브라켓 홀더
5:연결장공 6:고정구멍
7,7a:전치부용 브라켓 홀더 8:연결장공
9,9a:브라켓 고정구멍
10:브라켓
21:볼트 22:너트
23:스프링
본 고안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구성 예를 살펴본다.
설측에 사용하는 금속판(1)의 양측변 가장자리에 측방 장공(2)(2')을 형성하고 앞쪽의 중앙부 가장자리에는 원형구멍(3)을 형성하였다.
측방 치열용 브라켓 홀더(4)(4')는 견치부터 제2대구치 까지 한꺼번에 브라켓을 부착할 수 있는 길이로 하였으며, 측방 장공(2)(2')에 결합되는 부위에는 측방 장공(2)(2')의 길이 방향과 직각으로 구성되면서 후단의 일부분이 개방된 형태의 연결 장공(5)을 형성하여 쉽게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브라켓이 삽입되는 부위는 브라켓(10)을 고무링으로 쉽고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구멍(6)을 여러개 연속적으로 형성하였다.
또한 전방부의 원형구멍(3) 에 결합할 전치부용 브라켓 홀더(7)도 상기 연결 장공(5)과 같은 형태의 개방형 연결 장공(8)으로 형성하여 쉽게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브라켓 부착 부위는 상하 전치부 치열궁 형태와 유사한 원호형으로 고정구멍(9)을 형성하였다.
전치부용 브라켓 홀더를 한 개씩 할 경우에는 도4의 실시 예와 같이 설측 금속판(1a)의 양측변의 구성과 브라켓 홀더(7)의 구성은 상기한 구성과 동일하게 하되, 금속판의 전방부를 원호형으로 하고 그 원호에 따라 장공(9a)을 형성하고 1개용 전치부용 브라켓 홀더(7a)를 부착할 수 있다. 1개용 브라켓 홀더의 브라켓 고정부위 가장자리는 원형의 홀을 뚫어 결찰선을 이용하여 브라켓(10)을 고정할 수 있도록하였다. 물론 일체형으로 된 전치부용 브라켓 홀더(7)도 이곳에 부착할 수가 있다.
금속판(1)의 측방 장공(2)(2')과 원형구멍(3)에 브라켓 홀더(4)(4')(7)를 결합할 때는 볼트(21) 및 너트(22)를 이용하되 스프링(23)을 삽입한 상태로 결합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사용시 금속판(1)의 장공(2)(2')에 브라켓 홀더(4)(4')를 결합시키고 브라켓 홀더(4)(4')에 브라켓(10)을 고정시킨 후 ??업 모형상의 치아에 브라켓(10)을 한꺼번에 접착하는 것으로, 브라켓 홀더(4)(4')를 금속판(1)에 결합시 브라켓 홀더(4)(4')에 구성된 일측이 개방된 연결장공(8)을 이용하여 볼트(21)에 걸기만 하면 결합이 완료되고 브라켓 홀더(4)(4')를 교환하기 위해 분리할 때도 역순으로 간단하게 분리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경우는 금속판(1a)의 양 측면부는 앞서 설명한 실시 예와 구성 및 작용이 같고 앞쪽 부분에는 앞서 설명한 선출원의 구성과 동일하지만 1개용 브라켓 홀더도 개방형으로 하여 착탈이 쉽도록 하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측방 치열용 브라켓 홀더(4)(4')를 일체로 형성한 후 측방 치열용 브라켓 홀더(4)(4')에 브라켓(10)을 설치토록 구성하고 측방 치열용 브라켓 홀더(4)(4')를 간단한 방법으로 금속판(1)에 결합토록 함으로써 브라켓 고정작업이 매우 빠르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설측의 금속판(1)을 구성시 양측변 가장자리에 측방 장공(2)(2')을 형성하고 상기 장공이(2)(2')이 근접하는 앞쪽의 가장자리에는 원형구멍(3)을 형성하며,
    상기 장공(2)(2')에 결합될 측방 브라켓 홀더(4)(4')는 견치에서 제2대구치 까지의 브라켓을 모두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길이를 길게 구성하고, 전방부 브라켓홀더도 4개의 전치 브라켓을 동시에 고정할 수 있도록 원호형으로 제작하며,
    장공(2)(2')에 결합되는 부위는 장공(2)(2')의 길이 방향과 직각으로 구성되면서 후단의 일부분이 개방된 형태의 연결 장공(5)을 형성하고, 브라켓 고정부는 브라켓(1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멍(6)을 여러개 연속적으로 형성하며,
    원형구멍(3)에 결합할 브라켓 홀더(7)는 연결 장공(5)과 같은 형의 개방형 연결 장공(8)을 형성하고 브라켓 부착부에는 원호 형태로 고정구멍(9)을 형성하며,
    장공(2)(2')과 원형구멍(3)에 브라켓 홀더(4)(4')(7)를 결합할 때는 볼트(21) 및 너트(22)를 이용하되 스프링(23)을 삽입한 상태로 결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간접접착 브라켓 포지셔너.
  2. 제 1항에 있어서,
    설측 금속판(1a)의 앞쪽 선단부를 원호형으로 돌출된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8a)에 개방형의 낱개로 된 브라켓 홀더(7a)를 결합토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간접접착 브라켓 포지셔너.
KR2019990030664U 1999-12-31 1999-12-31 치열교정용 간접접착 브라켓 포지셔너 KR2001838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664U KR200183865Y1 (ko) 1999-12-31 1999-12-31 치열교정용 간접접착 브라켓 포지셔너
US09/712,434 US6296481B1 (en) 1999-12-31 2000-11-14 Indirect bonding bracket positioner for correction of irregularities of the tee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664U KR200183865Y1 (ko) 1999-12-31 1999-12-31 치열교정용 간접접착 브라켓 포지셔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3865Y1 true KR200183865Y1 (ko) 2000-06-01

Family

ID=19605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30664U KR200183865Y1 (ko) 1999-12-31 1999-12-31 치열교정용 간접접착 브라켓 포지셔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296481B1 (ko)
KR (1) KR2001838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329B1 (ko) * 2000-08-25 2003-01-10 주식회사 인비지테크 조절가능한 치열교정용 설측 브라켓 포지셔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655Y1 (ko) * 2000-12-29 2001-07-03 경희문 치열교정용 간접접착 브라켓 포지셔너
US20040166463A1 (en) * 2003-02-26 2004-08-26 Align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mbination treatments of dental patients
US20040166462A1 (en) 2003-02-26 2004-08-26 Align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a dental template
KR20050044214A (ko) * 2003-11-07 2005-05-12 경희문 브라켓 헤드 타입의 치열 교정용 스크류
US20050244768A1 (en) * 2004-04-28 2005-11-03 Eldad Taub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an abutment force between dental appliance and teeth
US20170128162A1 (en) * 2015-10-16 2017-05-11 Diego Dalla-Bona Orthodontic apparatus
CN110916779B (zh) * 2019-12-10 2021-04-27 南京医科大学附属口腔医院 一种上颌骨三维精确定位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2052A (en) * 1913-05-09 1913-12-23 Robert H W Strang Instrument for recording changes in tooth-regulating appliances.
US3439421A (en) * 1967-01-09 1969-04-22 Thomas E Perkowski Method of making orthodontic appliances
US3949478A (en) * 1974-12-27 1976-04-13 Firma Scheu-Dental, Inhaber Rudolf Scheu Herstellung Und Vertrieb Von Dentalbedarf Process and apparatus for fitting orthodontic brackets to teeth
US4183141A (en) * 1977-12-05 1980-01-15 Dellinger Eugene L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malocclusion
US4431409A (en) * 1982-01-15 1984-02-14 Picard Peter J Orthodontic apparatus
AT391614B (de) * 1988-05-31 1990-11-12 Ronay Franz Verfahren sowi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orthodontischen apparatur
US5100316A (en) * 1988-09-26 1992-03-31 Wildman Alexander J Orthodontic archwire shaping method
KR100247408B1 (ko) * 1998-03-07 2000-03-15 경희문 치열교정용 간접접착 브라켓 포지셔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329B1 (ko) * 2000-08-25 2003-01-10 주식회사 인비지테크 조절가능한 치열교정용 설측 브라켓 포지셔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96481B1 (en) 2001-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0166B1 (en) Orthodontic device
US4597739A (en) Tow element bracket system for true straight wire orthodontics
US5785520A (en) Orthodontic distalizing apparatus
US5161969A (en) Orthodontic bracket
US7074036B1 (en) Palatal expansion device and methods
KR200183865Y1 (ko) 치열교정용 간접접착 브라켓 포지셔너
US5230620A (en) Orthodontic buccal tube
JP2009522038A (ja) フリーアングル型インプラントドライバー及びフリーアングルホール(孔)型インプラントアバットメント
KR20110117660A (ko) 치열 교정용 브래킷
KR20020016324A (ko) 치열교정용 치아 브라켓의 정위 및 접착 보조장치
KR101539755B1 (ko)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
KR200230655Y1 (ko) 치열교정용 간접접착 브라켓 포지셔너
US4744751A (en) Removeable fixture for dental articulators
KR100839929B1 (ko) 치아 교정 브래킷 부착용 게이지
TWI792564B (zh) 齒列矯正裝置
US20120202164A1 (en) Orthodontic Maxillary Micro Implant
KR200172086Y1 (ko) 치아교정용 설측 브라켓
KR100562581B1 (ko) 골격형 ⅱ급 부정교합 교정장치
KR101646905B1 (ko) 구개고정용장치
JPH02268754A (ja) 歯列矯正ブラケット用軸インジケータ
KR100367329B1 (ko) 조절가능한 치열교정용 설측 브라켓 포지셔너
KR101459909B1 (ko) 하이브리드 임플란트 픽스츄어
KR20210094814A (ko) 교합기용 치아모형 베이스 구조체
KR20200002673U (ko) 치과용 콤보 토크 렌치팁
US20120288815A1 (en) bondable molar tu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